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그룹 감각통합치료가 학령기 감각통합장애 아동의 실행능력과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김은영,박윤,김경미,Kim, Eun-Young,Park, Yun-Yi,Kim, Kyeong-Mi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09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7 No.2

        목적: 본연구는 그룹 감각통합치료를 통해 학령기 감각통합장애 아동의 실행,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만 7~13세의 학령기 아동 5명으로, 실2험기간은 009년 6월에서 11월까지였다. 그룹 감각통합치료는 주 1회, 회7기 당 0분씩 총 26회기의 그룹 감각통합치료를 실시하였다. 아동의 실행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Bruininks-Oseretasky Test of Motor Proficiency(BOT-2), 사회성을 알아보기 위해 사회성 기초기능척도를 사용하였다. 그룹 감각통합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을 사용하였다. 그룹 감각통합치료 사전/사후의 BOT-2,(Wi사회성 기초기능척도의 차이는 윌콕슨 순위검정 lcoxon matched-pairs signed ranks test)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그룹 감각통합치료는 학령기 아동의 실행능력,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감각통합장애가 있는 학령기 아동에게 그룹 감각통합치료에 대한 효과를 제시하여 학령기 아동의 그룹치료에 대한 초기연구모델을 제시하였으며, 감각통합 치료적용이 보다 확대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향후 연구에서 연구 대상자의 수를 늘리고 표준 데이터를 제시해 줄 수 있는 다양한 평가기준을 사용한다면 보다 객관적이고 긍정적인 결과가 나올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group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on praxis and socialization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sensory integration disorder. Method : The subjects are five children aged between 7 and 13 with sensory integration disorder. All children had participated in 26 sessions of group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The Bruininks-Oseretasky Test of Motor Proficiency(BOT-2) and The Scale for Basic Socialized Function were used so as to evaluate the praxis and socialization.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o verify the effect of group sensory integration(SI) intervention. The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group SI intervention in the BOT-2, Scale for basic socialized function is tested by the Wilcoxon matched-pairs signed ranks test. Results :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2(Z=-2.023, p=.043) and Scale for basic socialized function(Z=-2.023, p=.043) scores comparing pre-intervention with post-intervention.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group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praxis and socialization for school-aged children. However,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conclusion because the number of subjects was limited and the environmental confounding factors had not been considered. Therefore, in the future research, it should supplement the aspect these limitations before applying the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in order to suggest standard criteria for norm data.

      • KCI등재

        아치의 미적 특성을 적용한 현대 건축 공간에 관한 연구

        박윤 ( Park Yun ),조택연 ( Cho Taigye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7

        (연구 배경 및 목적) 최근 아치가 인테리어 디자인 트렌드로 주목받으며 국내 상업 공간과 주거 공간에서는 아치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유행 현상에 대한 구체적 원인은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아치를 활용한 실내 디자인의 유행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아치의 미적 가치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다. 아치는 건축분야의 핵심적 키워드로서 오랜 시간에 걸쳐 논의되어왔지만 주로 역학적 관점에서의 분석이 대부분이며 미학의 관점에서 아치가 갖는 미적가치에 대한 분석은 거의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아치에 대한 보편적 호감을 이해하는 개념으로 진화심리학적 관점에서 아치가 갖는 미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이후 디자인 영역에서 아치의 효율적 활용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론적 고찰 단계에서 아치의 개념과 건축공간에 있어서 아치의 역할을 분석하였다. 이후 진화심리학을 근거로 하는 생존미의식의 이론들을 고찰함으로서 아치가 갖는 미적 특성을 조형적, 환경적, 구조적 측면에서 각각 도출하였다. 도출된 특성들은 대칭성, 연속성, 개방성, 폐쇄성, 안정성, 탈중력성으로 이를 기반으로 실제 건축 공간에서의 적용도를 평가하기 위한 틀을 제작하였다. 사례조사는 아치의 활용을 특징으로 하는 최근 5년 이내의 국내 건축물을 선정하여 진행하며 이를 통해 실제 공간디자인 발견되는 아치의 미적 특성을 확인하고 반영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결과) 종합적으로 봤을 때 아치의 연속성이 가장 두드러진 특성으로 나타났으며 뒤이어 안정성과 폐쇄성이 높은 점수로 나타났다. 공간 디자인에 아치를 적용함으로서 공간을 구성하는 물리적 요소들이 분절되지 않고 부드럽게 이어지는 유기적 공간을 생성한다. 또한 아치의 삼차원적 확장형인 볼트 구조는 시각적 차폐의 기능을 수행하고 영역성을 확보함으로서 공간에 위요감을 유발해 이용자들의 심리적 만족감을 높인다. (결론) 본 연구는 진화심리학적 관점에서 자연발생적 형상으로서 아치가 갖는 선험적이고 보편적인 미의식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사례 조사를 통해 도출된 아치의 미적 특성이 실제 공간 디자인에 있어 비중 있게 반영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공간디자인에 있어 아치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선 선험적 미의식의 측면을 고려한 접근 방식이 요구 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arche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n interior design trend, and arches are actively used in domestic commercial and residential spaces. However, no specific cause has been provided for this tre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aesthetic value of arch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trend of interior design using arches. Arches have been discussed for a long time as key keywords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but most of the studies are analyzed from the mechanical point of view, and there is little analysis of the aesthetic value of arches from the aesthetic point of view.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arches from the perspective of evolutionary psychology as a concept to understand universal liking for arches. Through thi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efficient use of arches in the future design area. (Method) At the stage of theoretical consideration, the concept of arches and the role of arches in the architectural space were analyzed. Later, by examining the theories of survival aesthetics based on evolutionary psychology,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arches were derived from the formative, environmental, and structural aspects. The derived characteristics were symmetry, continuity, openness, closedness, stability, and de-gravity. Based on this, a framework was made to evaluate the degree of application in the actual architectural space. The case study was conducted by selecting a domestic building within the last 5 year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rches, and through thi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arches found in actual spatial design were confirmed and the aspects of reflection were examined. (Results) Overall, arches' continuity was the most prominent characteristic followed by high scores of stability and closedness. By applying an arch to the spatial design, the physical elements that make up the space are not segmented, but create an organic space that is smoothly connected. In addition, the vault structure, which is a three-dimensional extension of the arch, provides the function of visual shielding and secures territoriality, causing a sense of calmness in the space, thereby enhancing the psychological satisfaction of users. (Conclusion) This study examined the a priori and universal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arches as natural-generating shapes from the evolutionary psychological perspective. The case study also confirmed that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arches derived were significantly reflected in the actual spatial design. Therefore, for the efficient use of arches in future spatial design, an approach that considers the aspect of a priori aesthetics is require.

      • KCI등재

        또래간 인기도에 따른 유아의 유치원 적응과 문제행동 및 행복감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

        박윤(Park, Yun),양진희(Yang, Jin-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6

        본 연구는 유아의 또래간 인기도에 따라 유치원 적응과 문제행동 및 행복감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 98명(인기아 35명, 배척아 33명, 고립아 30명)이었다. 본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유치원 적응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은 인기아의 경우 유치원 적응이 높은 것으로 인식되고 있었으며,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 차이는 세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은 인기아의 경우 문제행동이 덜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었으며,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 차이는 세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행복감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은 인기아의 경우 행복감이 높은 것으로 인식되고 있었으며,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 차이는 세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mothers" and teachers" perceptions on young children"s kindergarten adjustment, problem behavior and happiness according to children"s peer popularity.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98 five-year-old children(35 popular, 33 rejected, and 30 neglected children).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examined. 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mothers" and teachers" perceptions on young children"s kindergarten adjustment according to their peer popularity? 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mothers" and teachers" perceptions on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 according to their peer popularity? 3.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mothers" and teachers" perceptions on young children"s happiness according to their peer popularity?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thers" and teachers" perceptions on young children"s kindergarten adjustment according to their peer popularity.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thers" and teachers" perceptions on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 according to their peer popularity.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thers" and teachers" perceptions on young children"s happiness according to children"s peer popularity.

      • KCI등재

        협력중심 심리적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우울성향이 있는 유아교사의 우울, 주관적 안녕감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박윤(Park, Yun),양진희(Yang, Jin-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5

        본 연구에서는 협력중심 심리적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우울성향이 있는 유아교사의 우울성향과 주관적 안녕감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유아교육기관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 중 우울성향이 있는 교사 38명(실험집단 18명, 통제집단 20명) 이었으며, 실험집단의 경우 20주 동안 협력중심 심리적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본 프로그램이 우울성향이 있는 유아교사들의 우울성향과 주관적 안녕감 및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교사들의 우울성향과 주관적 안녕감 및 행복감을 비교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독립표본 t-검증을 통해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첫째, 우울성향이 있는 유아교사들의 우울성향은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감소되었다. 둘째, 우울성향이 있는 유아교사들의 주관적 안녕감은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증진되었다. 셋째, 우울성향이 있는 유아교사들의 행복감은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보다 유의미하게 증진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사의 우울성향과 주관적 안녕감 및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에 대한 시사점 및 우울성향이 있는 유아교사의 긍정적 삶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the Collaborative Mental Health Promotion Program on the depressive tendencies, well-being, and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uffering from depression.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38 early-childhood teachers with depression (18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0 i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Collaborative Mental Health Promotion Program, in 10 sessions over 20 weeks. No action was taken with the control group. The Collaborative Mental Health Promotion Program was conducted once every two weeks. In this study, the measurement factors were depressive tendencies, the well-being, and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depression. Data were analyzed with a mean, standard deviation, and t-test on the pre-score and post-score to find ou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surement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depression among the control group members decreased significantly. Second, their level of well-being was significantly higher. Third, their level of happiness was significantly higher.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the Collaborative Mental Health Promotion Program contributed to the enhancement of the well-being and happiness, and the decline in depressive tendenc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depression.

      • KCI등재

        장애이해프로그램 후 반성적 사고 저널 쓰기가 비장애 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활동선호도와 프로그램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박윤(Park, Yun),김현정(Kim, Hyun-jeong)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30 No.-

        본 연구는 장애이해프로그램 후 반성적 사고 저널 쓰기가 비장애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활동선호도와 프로그램 만족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S유치원으로 만 5세 2학급 40명으로 구성하였다. 유치원 일과 중 자유선택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40분씩 총 12회 6주간동안 실험집단은 장애이해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반성적 사고저널 쓰기 활동을 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장애이해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도구는 비장애유아들의 활동선호도와 만족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 장애이해교육에 대한 활동선호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장애유아에 대한 활동선호도의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고, 사후검사 점수를 종속변인으로 한 ANCOVA를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만족도 분석은 매회기 프로그램 전후로 측정한 만족도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여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장애이해프로그램 후 반성저거 사고 저널 쓰기가 비장애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활동선호도 변화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장애이해프로그램 후 반성적 사고 저널 쓰기에 대한 비장애유아의 만족도 변화에 있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flective thinking journal writing after disability understanding activities on the activity preferences and happiness of young, non-disabled children. The subjects were 40 five year old children from two classes at a kindergarten in G Metropolitan City. Using the free choice activity hours among the daily programs of the kindergarten, we executed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and then had reflective thinking journal writing activities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rough 12 sessions for 6 weeks and 40 minutes per session, and executed only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for the control group during the same period. The research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scales measuring children’s activity preferences and happiness. Data analysis involved the use of ANCOVA with pretest scores as the covariate. According to the results, reflective thinking journal writing after disability understanding activities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non- disabled young children's activity preferences. Second, reflective thinking journal writing after disability understanding activities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non-disabled young children's happiness

      • 프로젝트 스펙트럼에서의 언어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박윤(Yun park) The Research and Information Service 2006 남부대학교 논문집 Vol.6 No.-

        본 연구는 프로젝트 스팩트럼에서의 언어활동 프로그램이 유아들에게 어떤 교육적 효과를 미치며, 창의성의 하위요소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에는 어떠한 교육적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결론올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젝트 스팩트럼에서의 언어활동 프로그램은 전체적으로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유의한 차이를 보임으로써 효과가 있었다. 둘째, 프로젝트 스팩트럼에서의 언어활동 프로그램은 창의성의 하위 요소인 유창성 발달에 유의한 차이를 보임으로써 효과가 있었다. 셋째, 프로젝트 스팩트럼에서 의 언어활동 프로그램은 창의성의 하위 요소인 융통성 발달에 유의한 차이를 보임으로써 효과가 있었다. 넷째, 프로젝트 스팩트럼에서의 언어활동 프로그램은 창의성의 하위 요소인 독창성 발달에 유의한 차이를 보임으로써 효과가 있었다. 다섯째 프로젝트 스팩트럼에서의 언어활동 프로그램은 창의성의 하위 요소인 정교성 발달에 유의한 차이를 보임으로써 효과가 있었다. 여섯째, 프로젝트 스팩트럼에서의 언어활동 프로그램은 유아의 창의성의 하위 요소인 독창성과 정교성 간에 양적 상관이 있었다. 따라서 프로젝트 스팩트럼에서의 언어활동 프로그램을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실시함으로써 유아의 창의성 발달을 촉진시키는 교육적 효과를 얻올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KCI등재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아상과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 간의 관계 분석

        박윤(Park, Yun),양진희(Yang, Jin-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2 No.5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아상과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328명 이었다. 측정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상호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아상은 아버지의 양육효능감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모든 하위요인 간에도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아버지의 양육효능감은 양육행동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모든 하위요인 간에도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아상은 아버지의 양육행동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모든 하위요인 간에도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아상과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은 상호 정적 영향 관계에 있다는 점에서,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바람직한 자아상 확립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self-image,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 of young children’s fat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28 fathers of young children attending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estimated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among the variabl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how the variables were affected.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self-image and parenting efficacy of young children’s fathers and between every sub-factor. Second,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 of young children’s fathers and between every sub-factor. Third,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self-image and parenting behavior of young children’s fathers and between every sub-factor.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self-image,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 of young children’s fathers are in a mutual static impact relationship.

      • KCI등재후보

        일본 후쿠시마 방사선 누출에 관한 유치원의 유아와 학부모 인식 조사

        박윤(Yun Park),이준행(Junhaeng Lee),김현정(Hyunjeong Kim) 한국방사선학회 2011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5 No.6

        본 연구는 일본의 후쿠시마 방사선 누출에 관한 유치원의 유아와 학부모의 인식을 조사하여 국민건강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2011년 7월 G광역시 H유치원 학부모 101명과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5세아 54명 총 155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된 설문지 학부모 97명 만5세아(남27명, 여23명) 50명 총 147명의 자료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일본 후쿠시마 방사선 누출 피해에 대해 언론의 역할이 대단히 중요하며, 유치원에서도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교육과정으로 유아와 학부모에게 교육, 홍보해야만 국민복지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suggest national health material on the basis of awareness of parents and infants on radiation leak in Fukushima in Japan. This research investigated and analysed the 147 questionnaire forms out of 155 who are composed of 97 parents in ‘H’ kindergarten living in ‘G’ metropolitan city and 50 infants (5 years old, 27boys and 23 girls). In conclusion, the role of press is very important on the matter of radiation leak damage, and as a result, specific and practical management of curriculum regarding it is essential to provide parents and infants with useful information to improve national wellbeing.

      • KCI등재

        유아 발전체의 뼈에 대한 합성 전후축방향 엑스선촬영법 연구

        박윤(Yun Park),안병주(Byung-Ju Ahn) 한국방사선학회 2021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5 No.7

        본 연구는 유아 발의 합성 전후축방향 엑스선 촬영에서 발전체가 다리와 겹침 없이 균일한 농도와 선예한 영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와 Signal to Noise Ratio 분석 결과 Cronbach Alpha 값이 0.813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신호대잡음비(SNR)의 연구에서는 발허리뼈에서 발꿈치뼈를 향하여 엑스선관을 10° 기울여 검사 시 5.948 높게 나타났으며, 발꿈치뼈에서 발허리뼈를 향하여 엑스선관을 20° 기울여 검사 시 6.957으로 가장 높았다. 또한, 주관적평가에서는 발허리뼈에서 발꿈치뼈로 10° 기울려 검사 시 18점으로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발꿈치뼈에서 발허리쪽뼈을 향하여 엑스선관을 20° 기울여 검사 시 18점을 얻었다. 본 연구의 결과 유아 발 합성 전후축방향 검사 시 엑스선관을 발허리뼈 뒤쪽으로 10° 기울였을 경우와 발꿈치뼈에서 전방으로 20° 기울였을 때 균일한 농도와 선예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A Study that Cronbach Alpha values were Significantly higher at 0.813 in the Composite AP axial Radiography Signal to Noise Ratio(SNR) for Evaluating uniform Density and Advanced Images of the Entire Foot without overlap with the legs. The Subjective Evaluation ROC also scored a high score of 18 on Foot Calcaneus bone 10° from the Foot Metatarsal bone, and 18 on the Examination by tilting the Sharpness X-ray Tube 20° from the Foot Calcaneus bone. Results show uniform Density and images at 10° rearward of Foot Metatarsal bone and 20° forward of Foot Calcaneus bone during the Composite AP axial Radiography X-ray Examination of Infants.

      • KCI등재

        창작 음악극 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과 음악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박윤(Park Yun),김현정(Kim Hyun Jeong) 동아인문학회 2020 동아인문학 Vol.52 No.-

        본 연구는 창작 음악극 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과 음악교수 효능감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과 2, 3학년 학생 31명(실험집단 15명, 비교집단 16명)을 대상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도구는 음악적 자아개념과 음악교수 효능감 평정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창작 음악극 활동은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하위요인인 음악 전반 활동, 감상이 점수가 높았다. 둘째, 창작 음악극 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음악교수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개인적 효능감과 결과기대 효능감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는 직전 교육 과정에서 창작 음악극 활동이 예비유아교사에게 음악교육에 의미 있는 경험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reative music drama activities on the musical self‐concept and music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mposed of 31 students (15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6 in the control group) from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of a university located in G city. The research tool used was the rating scale for musical self‐concept and music teaching efficacy, an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covariate analysis(ANCOVA). From the research results, first, creative music drama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musical self‐concep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overall music activity and appreciation, which are sub‐factors, scored high. Second, creative music drama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music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 efficacy and expected outcome of efficacy. It is found that creative music drama activities in the immediate prior education process were meaningful experiences in music education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