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글로벌 새마을 운동과 산림자원 활용방안

        박영화(Piao Ying hua),네모토 마사쯔구(Nemoto Masatsugu) 충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새마을 운동 및 산림치유에 관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글로벌 새마을 운동과 산림치유의 접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검토 결과 과 거 새마을 운동의 성과와 한계를 극복하는 관점에서 산림자원 활용을 접목한 다면 우수마을 우선지원 원칙 지양, 다양한 지방자치 형태 구축 지원, 여성・ 장애인・고령자 지원과 함께 산림자원 활용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산 림치유의 효과, 경제적 가치를 개발도상국 지역주민 스스로가 향유할 수 있 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 예로 산림치유 지도사, 숙소 와 음식의 연계, 장애인 대응 환경 조성 등을 제시하였다. 이와 함께 NPO(비영리 민간단체) 등 주민조직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aims to reveal possibility to add functions of forest therapy to ‘Global Saemaul Undong’ by re-evaluating earlier studies of ‘Saemaul Undong’ especially in 1970s. In this viewpoint, competition system among villages based on performance evaluation of ‘Saemaul Undong’ should be reconsidered because it had caused impeding progress of cooperation and local autonomy among villages. On the other hand, consideration with women and venerable people includes disabled and aged people in each community is necessary when forest therapy is added in ‘Global Saemaul Undong’, especially through community organizations such as NGO/NPOs.

      • KCI등재

        산림치유 수요의 결정요인과 확충방안

        박영화(Piao, Ying Hua),배영목(Bae, Young Mok),이연호(Lee, Yeonho)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16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0 No.4

        본고는 설문조사를 통해 구축한 산림치유연구사업단의 DB를 이용하여 산림치유 참여 동기와 선호하는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산림치유 참가 여부와 참여(예정)횟수 결정요인을 추정하며,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산림치유 수요기반을 확충하기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하는 연구이다. 산림치유는 주로 기분전환 · 휴식, 정신적 · 육체적 건강증진을 위해 참여하고, 가족별 및 생애주기별 프로그램을 원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선호하는 요법은 식물요법, 운동요법, 정신요법 순으로 나타났으며, 선호의 차이는 성별, 직업별, 질병유무 보다는 연령별 차이가 더 큰 것으로 밝혀졌다. 회귀분석 결과, 산림치유 참여 경험은 남성에 비해 여성이, 연령이 많을수록, 산림치유 효과를 인정하는 사람일수록, 산림치유를 자세히 알고 있을수록, 야외활동에 많이 참여한 사람일수록, 중소도시보다는 농어촌에 거주하는 사람일수록 더 많았다. 산림치유 참여횟수는 경험자의 경우 남성에 비해 여성이, 중소도시에 비해 농어촌에 거주하는 사람일수록, 질병이 있는 사람일수록, 산림치유 인지도가 높은 사람일수록, 야외활동을 많이 하는 사람일수록 더 빈번했던 것으로 추정되었다. 미경험자의 경우 남성일수록, 연령과 소득이 많을수록, 산림치유효과를 인정하는 사람일수록, 산림치유를 잘 인지하고 있는 사람일수록, 야외활동이 잦은 사람일수록, 질병이 있는 사람일수록, 직업이 있는 사람일수록, 산림치유 참여가 더 빈번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산림치유 수요기반을 확충하기 위해서는 산림치유 인지정도를 높이고 산림치유의 질병치유 효과에 대한 의학적 증거를 축적해 이를 널리 홍보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산림치유를 아웃도어 활동과 결합하여 제공하는 방안이 필요하고, 미경험자에 대해서는 치유의 숲의 위치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고 접근성을 높이는 방안이 필요하다. 그리고 산림치유 참여 동기에 적합한 맞춤식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하되, 선호 프로그램의 연령대별 차이가 큰 점을 고려하여 생애주기별 프로그램의 개발을 중요시해야 한다. This study, using forest therapy research project database obtained from a survey, examined forest therapy participants’ preferences, and estimated forest therapy participation experiences and numbers of actual and intended participation.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were provided on how to strategically increase forest therapy participation. The main reasons for participating in forest therapy were diversion or relaxation and mental or physical health betterment, and there was a strong preference toward family-oriented and life-cycle based programs. It was found that preferred programs were herbal therapy, exercise therapy, and mental therapy, with mental therapy being most preferred. Age was shown to influence the preferences of participants more than gender, occupation, and physical health. The regression analysis on determinants of forest therapy participation reveals that the number of participation increased with older age, more knowledge of forest therapy, better recognizing disease-healing effects, and more outdoor activities. Accordingly, there seems to be a need to increase knowledge about forest therapy and promote disease-healing effects based on the medical evidence. As a further suggestion, forest therapy programs can include outdoor activities. Targeting non-participants in particular, promoting the location of healing forests and enhancing its accessibility seem to be a useful strategy to increase their participation. Programs must be operated to meet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forest therapy; The significant variations in preferred programs by age shows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programs tailored to each age group.

      • KCI등재후보

        지역별 사회적 기업 결정요인과 정책적 시사점

        이연호(Lee Yeon Ho),박영화(Piao Ying Hua),장우진(Jang Woo Jin) 한국정책개발학회 2011 정책개발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지역별 사회적 기업의 출현을 설명하는 결정요인들을 분석하고 이로부터 지역 밀착형 사회적 기업 활성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런 목적으로 지역별 경제적 구조와 사회적 기업 간의 관계를 경제적 특성, 산업구조, 서비스업 구조의 3 부문으로 나누어 실증 분석하였다. 첫째, 지역별 경제적 특성과 사회적 기업 간의 관계를 실증 분석한 결과, 경제활동 인구 비중이 높고 취업자 수의 비중이 낮은 지역일수록 사업적 기업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지역별 산업구조와 사회적 기업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 분석 결과, 건설업 및 서비스업의 비중이 높은 지역일수록 사회적 기업의 비중도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서비스업의 구조와 사회적 기업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 분석 결과, 금융ㆍ보험업, 보건ㆍ사회복지 서비스업, 예술ㆍ스포츠ㆍ여가 관련 서비스업의 비중이 높은 지역일수록 사회적 기업의 비중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지역밀착형 사회적 기업의 발굴 및 육성을 위해서는 지역사회 욕구를 반영하고 지속성을 담보할 수 있는 아이템 개발, 중앙부처별 다양한 육성 정책과의 연계를 통한 발굴 및 활성화 방안의 적극적 검토를 제언하였다.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regional social enterprises and derives policy implications for vitalizing them. For this purpose, we empirically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regional social enterprises and three local economic factors:economic characteristics, industrial structures, and services, respectively.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share of labor force in a region is, the higher the share of social enterprises is in that region. In contrast, the lower the share of labor force is, the higher the share of social enterprises is. Second, the higher the shares of construction and services are in a region, the higher the share of social enterprises is in that region. Third, the higher the shares of finance and insurance, health and social welfare, and arts, sports and leisure services are, the higher the share of social enterprises is. Bases on these results, we propose policy measures to boost localized social enterprises. Local government must develop new items that are consistent with local needs and sustainable and should link regional social enterprises closely with various development policies of central governments.

      • KCI등재

        교통약자를 고려한 노상주차 개선과 커뮤니티 교통 발전 방향 : 청주지역 노상주차의 실태와 주민 인식을 중심으로

        네모토 마사쯔구(Nemoto Masatsugu),박영화(Piao, Ying Hua),황명구(Hwang, Myong-Gu) 충북대학교 국제개발연구소 2019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9 No.4

        차량 증가에 따라 주차문제가 심각해지면서 기존 운전자 관점뿐만 아닌 보행자 특히 교통약자 관점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청주지역 노상주차 실태조사 및 지역주민 인식조사와 국내외 주차 관련 교통 정책 등의 참조를 통해 향후 개선, 발전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노상주차로 인한 위험성은 교통약자, 자전거/전동 킥보드/휠체어, 보행자 순으로 위험하다고 인식되고 있었다. 또한 노상주차에 대한 보행시 위험성 인식은 차량 소유 여부와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비소유자가 더 높은 위험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 교통약자를 포함한 차량 비소유자 관점에서 노상주차 개선과 커뮤니티 교통 구축을 동시적으로 해야 함을 시사한다. 구체적으로 교통약자가 위험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차 공간을 추가적으로 설계할 필요가 있으며, 식당, 직장, 기타(병원, 문화회관 등)에서 임대 자전거, 전동 휠체어 등 왕래가 가능하도록 이른바 액티브 모빌리티 정책을 도시재생, 사회적 경제 등과 연계해 병행할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Viewpoint of vulnerable pedestrians have tended to disregard in previous studies of on-street parking nevertheless they can be the very victim. This study derives improvement direction of on-street parking and community transportation based on actual condition survey and questionnaire on recognition of resident in Cheongju. As the result, risk consciousness to vulnerable pedestrian is highest, bicycle or wheelchair is higher, and pedestrian is high. Pedestrian"s risk consciousness of non-car owner is higher than car owner. Thus the improvement direction can be not only an introduction of an incentive regulation for sharing parking facilities preferentially with sufficient consideration for vulnerable pedestrian, but also policy enforcement of universal active mobility includes bicycle and electric wheelchair through urban regeneration and social economic policy from viewpoint of non-car owners include vulnerable residents at same time.

      • KCI등재

        일본과 한국의 산림치유사업과 육성정책의 비교·연구

        배영목 ( Young Mok Bae ),이연호 ( Yeon Ho Lee ),김상미 ( Sang Mi Kim ),박영화 ( Ying Hua Piao ) 한국임학회 2014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3 No.2

        일본과 한국은 산림의 건강증진 효과에 주목하고 산림치유사업을 전개하고 있으나 제도와 정책은 차이가 많다. 일본은 산림치유사업을 지자체와 주민이 운영하는 반면 한국은 산림청이 운영한다. 일본은 삼림세라피 기지 인증제를 이용해 삼림의과학적 증거에 바탕을 두고 산림치유의 질을 유지하면서 지자체와 주민의 경쟁적 참여를 유도하며, 산림치유사업자협회를 통해 인력을 양성하고 연구회가 운영방식을 개선한다. 반면 한국은 허가제에 기초해 법제 정비를 실시하였으나, 아직 치유의 숲 조성과 인력 양성이 초기단계에 있으며 운영방식도 체계화되어 있지 않다. 산림치유 육성정책은 일본의 경우 지역진흥 및 산촌활성화 정책과 중첩되어 자체 추진력이 약하지만, 한국의 경우는 산림서비스 확대라는 정책목표 아래 고유의 정책체계를 가짐으로써 강력히 추진되고 있다. Japan and Korea have developed forest therapy policies, but their policies differ in several respects. First, Forest therapy projects are managed by local governments and residents in Japan, while they are operated by Korea Forest Service. Second, Japan adopts the certification system of forest therapy areas, emphasizes medical and scientific evidences, maintains the quality of forest therapy by inducing competitive participation of local governments and residents, and cultivates forest therapists through Forest Therapy Society. In contrast, Korea has adopted the licence system, improved institutional framework, and cultivated therapists, but it is at early stage. Third, Japanese forest therapy policy aims at regional development of the mountain villages, overlapping with other local policies. However, in Korea, the primary policy goal is to expand forest services and thereby having its own policy framework and being promoted strong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