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인 피부색의 상세한 분류

        박영경(YungKyung Park) 한국색채학회 2018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5

        피부색에 대한 측정 시도는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져왔고 현재도 연구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인의 피부색의 분포를 색채측면에서 분석하고 분류하고자 하였다. 균일한 피부색 시편 값의 상대적인 색채 비교를 통해 지각적 측면에서 세분화하여 분류하고자 하였다. 110개의 피부색을 yellowish, orangeish, reddish, greenish, purplish와 bluish 5가지 기본색으로 분류하도록 하고 그중 30개의 색을 한국인의 피부색으로 실측값과 육안측색을 선정하고 분석하였다. 평균값과의 차이로 Δa*(Redness), ΔL*(Lightness)와 Δb*(Yellowness)-ΔC*(Chroma)의 관계를 통해 피부색 분포를 설명하였다. 이와 같은 관계에서 한국인의 피부색은 채도와 b*값이 평균이상이면 a* 값이 평균이하이면 yellowish 피부색이고 이와 정반대의 색채를 가지면 reddish 피부색, 이도저도 아니면 orangeish(neutral) 피부색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공공 전시공간의 관람을 위한 조명 적합성에 관한 연구

        박주연(Ju Yeon Park),박현진(Hyeon Jin Park),박영경(YungKyung Park) 한국색채학회 2016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0 No.1

        현대에는 과거와 달리 삶의 질이 향상되면서 사람들의 문화 활동 욕구가 높아졌다. 이를 충족하기 위해 미술관 등 전시를 목적으로 하는 공간 외에도 사람들의 이용이 많은 지하철역 등의 공공 공간에서의 전시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적합한 조명 기준이 없어 관람객들은 시각적으로 쾌적한 조명 환경을 제공받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시 공간 모형을 촬영하여 전시 공간에서 보여 지는 적합한 조도와 색온도를 알아보고, 조명이 전체 공간과 부분에 집중되어 보여 질 때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부분 조명의 유무에 따른 적합성을 알아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1차 실험으로 모형을 통한 간접 조사를 실시 후, 1차 실험의 상위 데이터를 가지고 실제 검증을 통해 2차 실험을 진행함으로서 객관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전시공간에서의 부분조명의 유무에 의한 적합도 평가는 500lx이하의 평가 결과는 저조도 조명 환경에서 부분 조명이 있을 때와 없을 때의 차이가 고조도에 비해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3500-4500K의 색온도 범위에서는 저조도 조명환경보다 고조도 조명환경이 더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모형실험 결과에서 나타난 조명 적합성이 높은 조도와 색온도 값을 기준으로 실험한 실제 검증에서는 모형실험에서와의 비슷한 적합도 평가 경향을 보였다. 모형과 직접검증 실험에서 모두 색온도의 적합성은 조도의 조건에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공공 전시 공간의 조명을 계획할 때, 조명이 같은 색온도 값을 가지더라도 조도의 조건에 따라 관람객들이 느끼는 적합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고려하여 조명환경을 구성한다면 조명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Nowadays the desire of cultural activities have grown by the improvement of life quality. In order to meet this requirement, there is increasement of galleries and exhibition halls in public places such as the subway station which are open to large exhibitor groups. However, with no appropriate lighting guideline, lighting environment that is visually comfortable for the visitors are not provided.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he appropriate illuminance level and correlated color temperature, and the appropriative partial lighting system by capturing the image of a model of an exhibition space. The first part was through a model experiment and the second part was done under a real exhibition condition to increase the objectivity of the model experiment. The effectiveness of partial lighting was larger under lower illuminance below 500lx for public exhibition space lighting. High illuminance level was more suitable under 3500-4500K color temperature. The suitable color temperature and illuminance level by the model experiment showed similar results with the real exhibition condition experiment results. Both experiments showed that the suitable color temperature is highly related to the illuminance level. The efficiency of the lighting for public exhibition space would increase by construction of the suitable lighting environment considering that the audience may feel differently with the illuminance level at the same color temperature.

      • KCI등재

        색상에 의한 한국인 피부색의 상세한 분류

        박다은(Park, DaEun),홍해령(Hong, HaeRyung),박영경(Park, YungKyung) 한국색채학회 2019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3 No.3

        Personalized makeup is preferred based on individual skin color diagnosis. In accordance, the need to diagnose skin color accurately is required. Skin color varies across different body locations and therefore inaccurate to measure skin color. For these reasons, human skin color is hard measure as a single color value.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o classify the tone and brightness of human skin by hue than to measure the skin color. Hue is easier for non-professionals to answer and has a wider choice than warm and cool based skin color. In this study, detailed classification of skin colors was attempted using skin color specimens and actual facial images. Based on the PANTONE SkinToneTM Guide, and real skin images, the skin was classified in terms of six hues of Reddish / Yellowish / Orangish / Greenish / Bluish / Purplish. Considering that skin color can be explained by relative values, the measurement data was converted to a difference (delta) from the average value. In skin colors, Redness (a*) and Yellowess (b*) were calculated by classifying each of them into two large categories and to clearly distinguish Lightness (L*) and Chroma (C*) from the tone graph. Δa*(Redness) and ΔL*(Lightness) are calculated as differences from average value. In the same way, Δb*(Yellowness)-ΔC*(Chroma) was also calculated to explain the hue classification. We also identified that Korean skin color is divided into yellow, reddish, and orangish and the relationship with Δb* and ΔC* values of CIELAB.

      • 산업군별 제품 색명의 분류와 특성

        박지수(JiSu Park),박영경(YungKyung Park) 한국색채학회 2022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12

        과거 단순히 색상 정보만 전달하던 색이름은 제품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컨셉과 이미지를 전달하는 기능으로 확장되며, 그 역할의 중요성은 점점 커지고 있다. 산업군별로 활용되는 제품색명의 차이점을 살펴보고자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가전제품, 자동차, 화장품, 페인트의 색명을 수집 분류하였다. 심층적인 분석을 위해 1. 기본적인 분류 2. 연상 분류 2가지 범주로 분류 작업을 진행했다. 그 결과 가전제품 색명과 자동차 색명은 기본적인 분류에서 특이한 수식어가 결합된 ‘unexpected descriptive’와 연상 분류에서 구체어를 사용하여 표현한 ‘구체적 연상’이 가장 높은 분포수를 보였다. 화장품과 페인트는 기본적인 분류에서 색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ambiguous’와 연상 분류에서 직접적으로 색을 떠올릴 수 있는 상징적 표현인 ‘직관적 연상’이 높은 분포수를 보였다. 산업군마다 가지고 있는 특성은 색이름을 지정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색이 주요 속성인 화장품과 페인트와 색이 부수적인 속성인 가전제품과 자동차는 각각 다른 유형의 색이름에서 높은 분포수를 보여주었다.

      • 패키지 디자인 배색에 따른 단맛 연상 연구

        박재령(JaeRyung Park),박영경(YungKyung Park) 한국색채학회 2016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1

        본 연구에서는 단맛 제품 패키지 디자인에 있어 배색이 단맛의 연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서 단맛 제품의 패키지 디자인시 배색 적용에 관한 기본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KS 기본색 15색을 2색 배색한 샘플을 제작하여 이에 대한 패키지 디자인 배색의 단맛연상도를 알아보는 설문을 진행 하였다. 설문을 분석한 결과 Pk, Y 배색의 경우 단맛을 연상시켰다. Pk 배색의 경우 가장 강하게 단맛이 연상되었고, Wh 또는 난색계열인 R, Y, YR와의 배색 시 강한 단맛의 연상을 보였다. 반면 BG, PB, Gy, Bk의 배색 경우 쓴맛이 연상되었다. Bk 경우 가장 강하게 쓴맛이 연상되었으며, Gy 또는 한색 계열인 BG, PB와 배색시 강한 쓴맛의 연상을 보였다. RP, YR, Wh, R, P, YG, Br, B, G 배색의 경우 단맛과 쓴맛을 제외한 그 외의 맛 혹은 맛이 느껴지지 않는다고 연상하였다. 실험분석 결과를 통해 2색배색시 특정 단색이 갖고 있는 단맛 연상도가 패키지 디자인 배색의 단맛 연상도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단맛이 연상되는 단색 색상들의 배색시 단맛연상도가 높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그러나 가장 강한 단맛 연상이 일어난 패키지 배색은 Pk와 Wh의 배색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단맛 제품의 패키지 디자인시 배색에 따른 단맛연상도를 고려하여 제품의 효과적인 이미지 전달에 기여할수 있기를 기대한다.

      • 전시시설 내 조명 색에 관한 연구

        박진희(Jinhee Park),박영경(Yungkyung Park) 한국색채학회 2012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1

        본 연구는 현재 전시시설들 내의 작품부분의 조명 색과 밝기 정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기획에 따라 작품이 자주 교체되고, 영리성을 목적으로 하는 갤러리로 선정하였으며, 조사 결과 조명 색은 갤러리마다 각기 다양한 색으로 나타났다. 또한 작품 부분의 밝기는 일반조명과 전시조명을 함께 사용한 갤러리보다 전시조명만 사용한 갤러리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한 갤러리 내에서 작품 부분과 조명되지 않은 벽면의 밝기의 차이는 전시조명만을 사용한 갤러리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조명 기구가 기획에 따라 교체되지 않고 계속적으로 쓰이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이러한 조명 색 차이는 작품을 고려한 것이 아닌, 단순히 각 갤러리의 조명 기구의 색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전시 기획에 따라 작품이 교체되는 갤러리 안에서 작품에 맞는 조명 색을 맞춰 구현시킨다면 갤러리를 찾는 관람객에게 작품의 최고의 진가를 선보일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장면 이미지의 기억색 특징

        박다은(DaEun Park),박영경(Yungkyung Park) 한국색채학회 2018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5

        기억색 연구의 연구 대상은 친숙한 자연물에서 출발해 브랜드 로고와 같은 인공물과 자연풍경으로까지 확장되었다. 기억색은 장기기억에 저장된 원형(prototype)으로 재현된 색채 또는 이미지의 선호에 영향을 미친다. 이미지를 활용한 커뮤니케이션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다양한 complex 이미지가 소비되는 지금, 일상의 모습을 재현한 complex이미지의 기억색 특성을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자연 풍경과 인물, 인공물이 혼재하는 장면 이미지를 활용한 기억색 재인 실험을 시행했다. 실험 결과 장면 이미지의 색채는 brightness, contrast, saturation이 상승한 상태로 장기 기억에 저장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장면 이미지의 기억색은 saturation 감소에 민감한 것으로 확인되어 기존 자연물 단일 대상을 활용한 기억색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