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아동의 기본운동기술 평가 시스템 개발: 평가 기준 설정 및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개발

        박승하 ( Seung Ha Park ),최재남 ( Chae Nam Choe ),김미예 ( Mi Ye Kim ) 체육과학연구원 2009 체육과학연구 Vol.20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취학 전, 후 남녀 아동(5세-13세)의 이동운동기술의 평가 내용을 구성하고, 성별과 연령에 따른 이동운동과 물체조작운동 기술의 평가 기준을 설정하며, 컴퓨터 기반 평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동운동에 대한 평가 내용을 구성하기 위하여 TGMD-2와 선행연구의 발달 단계(Seefeldt et al., 1982; Roberton et al., 1984)를 토대로 다섯 가지 동작(던지기, 호핑, 갤로핑, 슬라이딩, 수평점프)에 대한 항목과 세부 내용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평가 내용은 전문가 회의를 통해 내용을 검토한 후, 세 명의 평가자의 기술 수준(상, 중, 하)에 따른 수행 점수의 평균차이검증을 통해 타당도를 확인하였으며, 세 명의 평가자간 상관분석(.86 이상)과 일치도 분석(83% 이상)을 통해 평가 내용의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물체조작운동의 평가 내용은 박승하(2008)가 구성한 평가 내용을 활용하였다. 최종적으로 구성된 기본운동기술의 평가 내용을 토대로 성별과 연령별로 평가 기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5세에서 13세의 아동 총 944명(남: 522명, 여: 422명)을 대상으로 이동운동(달리기, 호핑, 갤로핑, 슬라이딩, 수평점프)과 물체조작운동(던지기, 받기, 차기, 치기, 드리블, 굴리기) 수행 장면을 촬영하여 동작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점수를 T점수로 변환하여 국민체력실태조사(문화체육관광부, 2008)에서 사용한 등급 백분위를 기초로 평가 등급을 설정하였다. 평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화면 설계 및 디자인, 데이터베이스 구축, 프로그램 로직 설계, 소프트웨어 제작, 버그테스트 및 수정 보완 과정을 거쳐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주 메뉴와 기능 메뉴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능 메뉴에는 항목평가, 학생자료 관리, 결과조회 기능을 포함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메인 화면은 세부적으로는 학교/학생 선택창, 영상 편집창, 구간 및 키포지션 관리창, 평가 항목 선택창, 평가창 등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기본운동기술 평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취학 전, 후 아동의 기본운동기술을 평가할 수 있는 내용과 기준을 확립하고, 평가 결과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의 첫 단계를 이루었다는 면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평가 결과에 대한 영상 및 다양한 피드백 자료를 학부모와 아동들에게 손쉽게 공유할 수 있는 온라인 시스템을 갖추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stablish the contents for fundamental movement skill test and the evaluation standards, and to develop the computer-based software program for assessment. For setting up locomotor skill test, we made up items and performance criterions for five skills (run, hop, gallop, slide, horizontal jump), based on TGMD-II and the developmental stage from previous research (Seedfeldt et al., 1982; Roberton et al., 1984). These contents were investigated by the group of experts in field of motor learning and development. The validity was identified through verifying mean difference among three raters over skill levels, and the reliability was tested through agreement statistics (over 83%) and correlation analysis (over .86) among three raters. All items for object-control skill test were referred from Park`s (Park, 2008). For establishing the evaluation standard, the fundamental movement skills (five locomotor & six object-control skills) of total 944 children (male 522, female 422) were recorded and analyzed. Raw score was transformed to T-score, and then five grades were established based on percentile for grading in 2007 National Physical Fitness Surveillance (Ministry of Curture, Sports, and Tourism, 2008). Computer-based software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processing of the design of a picture, database establishment, program logic design, software manufacture, bug test, & revision. The software program was comprised of the main manu and the functional manu, which included item assessment, data administration, and inquiry of results. Main picture was made up windows for selecting school/student, editing the image, managing the region and key-position, selecting contents for evaluating, and assessing. In conclusions, our results mean that the program establishes items and standard to assess the fundamental movement skills for pre- and post school aged children in korea, and systematically constructs the computerized organization for managing the rating results. Also, we think that it will be contributed to building up on-line system for sharing various feedback information and images easily with parents and children.

      • KCI등재후보

        폐암 환자에서 혈청 VEGF 농도와 예후와의 관계

        박승하 ( Seung Ha Park ),이승세 ( Seung Sei Lee ) 대한내과학회 2002 대한내과학회지 Vol.63 No.6

        목적: VEGF는 혈관신생의 중요한 조절인자이다. 다양한 악성 종양에서 혈청 VEGF 농도가 증가되어 있음이 기존의 많은 연구에서 보고되었으나 임상적인 예후와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폐암환자에서 혈청 VEGF 농도가 생물학적 예후인자로 이용될 수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조직학적으로 폐암을 진단 받은 환자 86명을 대상으로 ELI SA kit를 이용하여 혈청 VEGF 농도를 측정하였다. 대상 환자의 혈청 VEGF 농도의 Backgrou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s an important regulator of angiogenesis and vascular permeability. Increased serum VEGF concentrations (sVEGF) have been reported in various types of human cancer. In the current study, we assessed s

      • KCI등재후보

        한국인 성인에서 인슐린저항성에 따른 대사증후군 발생의 비교위험-Adult Treatment Panel 3 적용

        박승하 ( Seung Ha Park ),이원영 ( Won Young Lee ),김선우 ( Sun Woo Kim ) 대한내과학회 2003 대한내과학회지 Vol.64 No.5

        목적 : 대사증후군의 치료를 위해서는 각각의 위험인자에 대한 개별적 접근보다는 생활 방식의 개선과 함께 통합적인 위험인자들의 관리가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서는 대사증후군의 정도를 표현할 수 있는 파라미터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인 성인을 대상으로 인슐린 저항성의 지표인 HOMA와 공복 인슐린 농도가 대사증후군 발생과 어느 정도 관련성이 있는지를 분석하고 HOMA 및 공복 인슐린 농도에 따른 대사증후군의 비교위험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2002 Background : Metabolic syndrome (MS) is a cluster of the risk factors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type 2 diabetes that share physiologic antecedent resistance to insulin. Subjects with MS are about twice as likely to develop cardiovascular disease and o

      • KCI등재후보

        건강한 한국 성인 남성의 비만과 인슐린 저항성

        박승하 ( Park Seung Ha ),이원영 ( Lee Won Yeong ),이용수 ( Lee Yong Su ),이은정 ( Lee Eun Jeong ),김선우 ( Kim Seon U ) 대한내과학회 2003 대한내과학회지 Vol.65 No.4

        목적: 비만이 인슐린 저항성의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비만한 사람이 모두 인슐린 저항성이 있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동양인은 서양인보다 제 2형 당뇨병 및 심혈관계 질환의 유병률이 높은데, 이는 동양인에서의 높은 인슐린 저항성의 경향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건강한 성인 남자를 대상으로 비만한 남자에서의 인슐린 저항성의 유병률과 관상동맥 질환의 위험인자에 대한 비만 및 인슐린 저항성의 상대적인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Background: Several reports document Asians have a strong tendency of developing insulin resistance. We aimed to evaluate the relative effects of insulin resistance and obesity on coronary heart disease (CHD) risk factors and to clarify whether insulin re

      • SCOPUSKCI등재

        건강검진 수진자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 및 간기능 장애 인슐린 저항성과의 관계

        박승하 ( Seung Ha Park ),김병익 ( Byung Ik Kim ),유태우 ( Tae Woo Yoo ),김정욱 ( Jeong Wook Kim ),조용균 ( Yong Kyun Cho ),성인경 ( In Kyung Sung ),박창영 ( Chang Young Park ),손정일 ( Chong Il Sohn ),전우규 ( Woo Kyu Jeon ),이원 대한소화기학회 2003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1 No.5

        Background/Aims: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is one of the major causes of the elevation of aminotransferase when other causes of liver disease are excluded. Insulin resistance is an essential pathophysiologic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NAFLD and metabolic syndrome. We hypothesized that there would be an association between the elevation of aminotransferase and metabolic syndrome. Methods: A total of 6,244 health screen examinees (3,975 men, 2,269 women) with no evidence of viral hepatitis and alcohol abuse were enrolled in this study. We assess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using liver function test (LFT) and ultrasonography. Homeostatic model assessment (HOMA) was used as an index of insulin resistance. Results: According to the increment of HOMA, the prevalence of abnormal liver function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adjustment with age, sex, and obesity (p<0.01). Abnormal liver function remained 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metabolic syndrome in both sexes after logistic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age and body mass index (p<0.001 in male, p<0.05 in female). Conclusions: The abnormal liver function was closely associated with insulin resistance. Thus, it can be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metabolic syndrome. Index of insulin resistance such as HOMA may serve as a good parameter for follow-up during the treatment of NAFLD. (Korean J Gastroenterol 2003;41:366-373)

      • KCI등재

        테니스 발리 스트로크에서 과제의 제한조건에 따른 시선 행동, 눈-머리 협응 및 스윙의 시간적 특성의 변화

        박승하 ( Seung Ha Park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4 체육과학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발리 스트로크를 수행하는 데에 필요한 시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시선 행동과 눈-머리의 협응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시선 행동과 실제 스윙의 시간적 특성의 관계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알아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테니스 선수 8명이 두 가지의 사전 정보(목표제시시점과 발리 스트로크 종류에 대한 사전 지식)에 따라 조작된 네 가지의 실험조건에서 발리 스트로크로 가능한 정확하게 제시된 목표지점으로 공을 보내는 과제를 수행하였다. 이 때 시선 행동 및 스윙의 시간적 특성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VIA 시스템과 동작 분석 시스템을 사용하였으며, 목표제시시점을 조작하기 위하여 자체 제작한 레이저 센서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목표제시시점은 시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시선 행동에 영향을 주어, 목표지점을 나중에 제시한 조건보다 미리 제시한 조건에서 시선의 최초이동시점과 QE(quiet eye)의 시작시점이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QE의 유지시간과 눈-머리 고정의 유지시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발리 스트로크의 종류에 따라서는 시선 행동에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반면, 샷의 성공여부와 관련하여, 목표지점에 공을 정확하게 보낸 경우에서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서보다 시선의 최초이동시점과 QE의 시작시점이 빨랐으며, QE의 유지시간과 눈-머리 고정의 유지시간 또한 긴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백스윙의 시간적 특성에 있어서 목표제시시점과 발리 스트로크의 종류, 그리고 샷의 성공여부에 따라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목표지점을 미리 제시한 조건, 포핸드 발리 조건, 그리고 샷을 성공한 경우에서 백스윙의 시작시점이 빠르게 이루어졌으며, 백스윙 자체는 천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협응 형태가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포워드스윙의 시작시점은 두 가지의 사전 정보와 샷의 성공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셋째, 시선 행동과 스윙의 시간적 특성의 관계를 살펴볼 때, 목표지점으로 공을 정확하게 보낸 경우 백스윙의 시작시점과 수행시간이 시선의 최초이동시점이나 QE의 시작시점 및 유지시간과 매우 높은 상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포워드스윙은 시선행동과 유의미한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gaze behavior and eye-head coordination were formed to acquire visual information for successful performance,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gaze behavior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swing in tennis volley stroke. Eight elite payers were required to play a volley stroke to one of two target areas in four conditions (pre-cue & forehand volley, pre-cue & fore/backhand volley, post cue & forehand volley, and post-cue & fore/backhand volley). The data on gaze behavior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swing were collected using both VIA system and motion analysis system. Laser sensor was used to manipulate the cue light time for target. Results showed that gaze behavior was affected by the manipulation of cue condition. Participants used a earlier first gaze shift, earlier quiet eye onset, longer quiet eye duration and longer eye-head stabilization duration in pre-cue condition than in post-cue condition.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s of the manipulation of volley stroke direction on gaze behavior. Gaze behavior was also affected by shot accuracy, with a earlier first gaze shift, earlier quiet eye onset, longer quiet eye duration and longer eye-head stabilization duration during hits than misses. During backswing, participants used a earlier initiation and slower swing in pre-cue condition and forehand volley condition, and during hit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s of both the manipulation of task constraints and the shot accuracy on temporal characteristics of forwardswing. Lastly, the initiation time and movement time of backswing had a higher relation to gaze behavior, such as the first gaze shift, quiet eye onset and quiet eye duration, during hits than miss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gaze behavior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forwardswing during hits.

      • KCI등재

        배구 숙련도에 따른 스파이커의 공격 형태와 방향에 대한 예측과 시각정보의 획득 과정

        박승하 ( Seung Ha Park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3 체육과학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숙련도에 따른 상대 팀 스파이커의 공격 형태와 방향에 대한 예측 능력과 예측을 위해서 필요한 시각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의 차이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기 위하여 기술 숙련도에 따라서 세 그룹(숙련자, 중간 숙련자, 초보자)으로 구분하고, 모든 연구 대상자는 스크린에 제시되는 스파이커의 공격 장면이 담긴 동영상을 보고 가능한 빠르고 정확하게 스파이커의 공격 형태(스파이크 또는 팁인)와 방향(직선 또는 대각선)을 예측하고 자신의 예측 반응에 대한 확신 정도를 표현하는 과제를 수행하였다. 이 때, 안구 움직임 기록 장치를 사용하여 시각탐색 과정을 살펴보았다. 실험을 통해서 얻어진 자료는 빈도분석과 일원분산분석의 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숙련자는 중간 숙련자와 초보자에 비하여 스파이커의 공격 형태와 방향을 빠르고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자신의 예측 반응에 대한 확신 정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탐색율에 있어서는 숙련도에 따라 시선고정시간비율, 시선고정빈도, 평균시선고정시간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세트-스파이크 구간에서 숙련자는 초보자보다 스파이커 영역에 시선을 오랜 시간동안 고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상체 영역에 시선을 오래 고정시켰다. 반면에 초보자는 숙련자보다 스파이커의 머리 영역에 시선을 오랫동안 고정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파이크 순간에는 숙련자는 거의 스파이커의 팔 영역에 시선을 고정시킨 반면에 초보자는 팔, 머리, 그 밖의 공간 영역 등과 같이 다양한 영역에 시선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숙련자가 보다 일정한 시각탐색 과정을 통해서 스파이커의 상체와 팔 등과 같은 필수적인 운동학적 정보를 통해 스파이커의 공격 형태와 방향을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anticipation and acquiring process of visual cue on opposite spiker`s attack type and direction as a function of skill level in volleyball. All participants in three group (experts, intermediates, novices), from the perspective of a center back defender, anticipated spiker`s attack type and direction as fast and accurately as possible after watching films on screen, and then they were asked to express the level of confidence on their anticipation immediately. These films included four possible attacks combined two types (spike and tip) with two directions of hits (down-the-line or cross-court). Eye movement recording system was used for measuring on visual search patterns.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one-way ANOVA. Tuckey post hoc tests were used as follow-up analysi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p < .05 for all test. Results showed that experts had superior anticipatory skill and were higher level of confidence on their anticipation than intermediates and novices. No significant effects were found for search rate as a function of expertise. However, the result on the fixation location showed that experts spent more time fixating on the spiker`s upper body, whereas novices directed more time toward the spiker`s head area in set-spike period. In the spike moment, experts mainly fixed on only spiker`s arm area, but novices directed their gaze on various areas such as arm, head, and space. These results mean that experts have less variable search patterns and utilize the proximal cue such as upper body and arm as essential kinematical information for predicting the spiker`s attack type and direction.

      • KCI등재

        골프퍼팅에서의 시선 행동과 동작 제어

        박승하 ( Seung Ha Park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6 체육과학연구 Vol.17 No.2

        본 연구에서는 골프 퍼팅을 수행하는 데에 있어서 숙련성, 성공여부, 다양한 퍼팅 거리에 따라서 시선 행동과 퍼팅 동작의 부드러움 특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관찰하고, 더 나아가 이러한 변인간의 관계가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술 숙련성에 따라 숙련자와 비숙련자 각각 9명씩, 총 18명의 골퍼를 대상으로 하여 2m, 4m, 6m의 거리 조건에서 퍼팅 과제를 실시하였다.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시선 행동과 퍼터 헤드 움직임의 운동 역학적 자료를 얻기 위하여 EMR-8과 영상분석 장비를 사용하였다. 시선 행동의 변인은 다운스윙이 이루어지기 직전에 나타나는 공에 대한 마지막 시선 고정 시간을 의미하는 Quiet eye duration(QED)으로 계산하였으며, 퍼터헤드 움직임의 부드러움 특성은 Normalized Jerk-cost(NJerk)를 계산하여 분석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 숙련자는 비숙련자보다 QED가 긴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숙련자는 퍼팅을 성공하였을 때가 실패하였을 때보다 QED가 유의하게 길게 나타났다. 퍼팅 스윙 구간별로 NJerk 값을 비교한 결과, 다운스윙 구간에서 홀 방향의 움직임에 있어서 숙련자는 퍼팅 성공과 실패와 관계없이 모든 거리 조건에서 비숙련자보다 NJerk 값이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골프 퍼팅시 시선 행동과 동작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QED와 각 구간에서의 NJerk 값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 QED와 다운 스윙 구간에서 홀 방향에서의 NJerk 값, 그리고 QED와 전체 스윙 크기에 대한 다운스윙 크기의 비율 간에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스윙크기에 대한 다운스윙 크기의 비율과 다운스윙 구간의 홀 방향에 대한 NJerk 값 간에 높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QED가 높을수록 부드러운 다운스윙이 이루어지고, 숙련된 골퍼의 전형적인 낮은 다운스윙 비율을 유지함으로써 보다 높은 퍼팅 수행력을 보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QED와 다운스윙 구간에서의 NJerk 변인은 골프 퍼팅의 숙련성을 평가하는 주요 변인이며, 다운스윙이 일어나기 이전에 측정된 QED가 전체스윙 크기에 대한 다운스윙 크기의 비율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다는 사실로 시선 행동과 스윙 동작간의 연합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gaze behavior and movement smoothness in golf putting depending on different skill levels, performance accuracy, and putting distance. Eighteen golfers(nine experts and nine non-experts) performed a golf putting task of different distances(2m, 4m, and 6m). EMR-8 was used to collect data of the gaze behavior and a motion analysis system was used to collect kinematics of a putter head movement. The variables were the quiet eye duration(QED), defined as the duration of the final fixation on the ball immediately before the beginning of the downswing, and a normalized jerk-cost(NJerk), defined as an index of smoothness of putting stroke movement.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expert group had a longer QED than the non-expert group, and had a longer QED in successful trials than in non-successful ones. In the hall direction during the downswing phase, experts showed lower NJerk on all distance conditions than non-experts, regardless of putting accuracy. From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gaze behavior and the putting movement, a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QED and the NJerk in the hall direction during downswing, and between the QED and the ratio of downswing to total swing. A positive correlation was significantly found between the NJerk in hall direction during downswing phase and the ratio downswing to total swing.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higher QED is followed by the smoother downswing, and experts show more accurate putting performance by keeping a lower ratio of downswing to total swing. We conclude that the QED and NJerk might be important variables to evaluate the golf putting performance, and present a possibility to be able to explain the coupling process between the gaze behavior and putting movement.

      • KCI등재

        복측과 배측 신경경로의 상호작용: 에빙하우스 착시에 따른 지각과 동작 제어 특성

        박승하 ( Seung Ha Park ),이승민 ( Seung Min Lee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2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적 착시에 따른 지각과 동작의 제어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지각과 동작의 제어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사용한 시각적 착시는 주변원의 크기에 따라 중심원의 크기가 달라 보이는 에빙하우스 착시 도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오른손잡이 성인 10명이 자극 형태에 따라착시도형과 일반 도형에서 지각판단 과제와 잡기 과제를 수행하였다. 지각판단 과제에서 피험자는 자신이 생각하는 중심원의 크기를 엄지와 검지 손가락의 그립 크기로 나타내도록 하였다. 잡기 과제에서는 연구자의 신호에 의해 중심원을 엄지와 검지 손가락으로 잡는 과제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결과를 살펴보면, 에빙하우스 착시가 지각판단과 잡기 동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착시에 의한 지각적 차이가 실제 잡기 동작에서 그립 크기와 최대 그립 크기의 차이를 유발하였다. 그러나 중심원의 크기가 작게 보이는 착시 도형의 잡기 과제에서는 그립 크기에 대한 착시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각과 동작의 분리성과 연합성을 명확히 밝히는 데에 한계가 있으나, 두 시각 시스템이 서로 상호작용한다는 결과를 지지한다고 할 수 있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a ebbinghaus illusion on visual perception and the visual control of grasping movement. In this illusion, two identical discs can be perceived as being different in size when one is surrounded by and annulus of smaller circles and the other is surrounded by an annulus of larger circles. This classic size contrast illusion, known as Ebbinghaus or Titchencer circles illusion, has a strong perceptual effect.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10 right-handed participants performed manual estimate task and grasping task on ebbinghaus circle illusion figure and normal figure. In the perceptual estimation task, subjects indicated how big they thought the target was by separating their thumb and forefinger to match the target`s size. During the grasping task, subjects were required to reach and grasp the target circle on the experimenter`s command.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the perceptual estimation and the hand shaping while grasping the disc were similarly influenced by the illusion. Moreover, the stronger the perceptual illusion, the greater the effect on the grip scaling. However, There was small illusion effect on a large circles array illusion. We discuss the results as evidence of an interaction between the functional pathway for perception and action in the intact human br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