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컬리어 어주자 척도를 활용한 시각중복장애학생의 발달 수준 분석

        박순희(Bak Sunhi)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9 시각장애연구 Vol.35 No.2

        평가는 시각장애학생의 개별적 요구에 맞는 교육계획에 수립하는 토대가 된다. 발달 척도는 표준화 검사와 일상 행동 관찰법과 더불어 주요 평가 방법으로 사용되어져 왔다. 시각중복장애학생을 위해 개발된 발달 척도를 활용하여 발달 수준을 알아보고자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 참여자는 A맹학교 재학생 23명이었고, 발달 척도로 컬리어 어주자 척도가 사용되었다. 시각중복장애학생을 대상으로 발달 척도를 사용하여 나온 결과를 두 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시각중복장애학생들은 컬리어 어주자 척도의 262개의 발달 기술 중 121개를 습득하여 46%의 수행 수준을 보였다. 다섯 가지 영역에서는 40-52%의 발달 기술 수행 수준을 보였다. 둘째, 컬리어 어주자 척도의 하위요소의 발달기술을 수행한 연령 구간 별 시각중복장애학생들의 분포는 다르게 나타났다. 시각중복장애학생들이 발달기술을 가장 낮게 수행한 연령 구간은 1-5개월이었고, 가장 높게 수행한 연령 구간은 36-47개월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시각중복장애학생 별로 보이는 발달 수준을 발달 척도를 사용하여 평가하고 그 결과를 개별화교육계획에 반영해볼 수 있겠다. Comprehensive evaluation is a critical first step in developing appropriat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additional disabiliti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developmental level of students with visual and additional impairments by using the developmental scale. As a developmental instrument, the Callier-Azusa Scale G was used to evaluate developmental level of 23 students, aged 12 to 33, who studied in the A School for the Bli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acquired 121 out of 262 development skills on the Callier-Azusa scale, showing a performance level of about 46%. In five developmental areas, 40-52% level of development skills performance was shown. Second, the distribution of students with visual and additional impairments by age group who performed the developmental skills of sub-component of the Scale was different. The lowest level of development skills performed by the participants was 1-5 months, while the highest level of 36-47 months. Given the above results, evaluation process through developmental scale is used to gather useful information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s for learner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additional disabilities.

      • KCI등재

        성별, 학교급 및 도시규모에 따른 초.중.고등학생의 시력 분석

        박순희(Bak Sunhi)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21 시각장애연구 Vol.37 No.4

        연구 목적: 본 연구에서는 2018년과 2019년의 국가 건강검진 표본조사 결과를 토대로 성별, 학교급 및 도시규모에 따른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시력을 분석하었다. 연구 방법: 학생 16,456명의 데이터는 변인에 따른 시력을 알아보기 위해 IBM SPSS Statistics 23.0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초⋅중⋅고등학생들의 좌안과 우안 모두에서 나안시력과 교정시력의 평균은 0.9이고, 0.8~2.0시력군에 많이 분포되어 있었다. 나안시력과 교정시력으로 양안의 시력 차이값은 0.2이지만 학생들의 시력 차이는 0에서 1.9까지로 넓었다. 둘째, 성별, 학교급 및 도시규모에 따라 학생들의 좌안과 우안 모두에서 나안시력과 교정시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성별로는 남자가 여자보다 시력이 높았고, 학교급으로는 나안시력에서는 초등학생이, 교정시력에서는 고등학생이, 농촌 지역의 학생의 시력이 높았다. 셋째, 좌안과 우안 모두에서 나안시력군과 교정시력군은 성별, 학교급 및 도시규모와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넷째, 학교급에 따른 양안의 나안시력 차이값과 양안의 교정시력 차이값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고등학생의 차이값이 중학생과 초등학생보다 높았다. 도시규모에 따른 양안의 나안시력 차이값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도시거주자의 차이값이 시골거주학생보다 높았다. 결론: 초중고학생들은 성별, 학교급 및 도시규모에 따라 시력에서 차이를 보이므로 안 건강증진 측면에서 이 변인들을 고려하여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visual acuity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national health examination sample surveys in 2018 to 2019. Method: The data of 16,456 students were analyzed by using IBM SPSS Statistics 23.0 to determine visual acuity according to variables. Results: First, both the left and right eyes of students’ unaided visual acuity and corrected visual acuity had an average vision of 0.9, and the students were widely distributed in 0.8 to 2.0 vision group. The average difference value in unaided and corrected visual acuity between both eyes was 0.2, but the difference values ranged from 0 to 1.9.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unaided visual acuity and corrected visual acuity according to gender, school level, and city size. Thir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gender, school level, and city size and visual acuity group in the left and right eyes of both unaided vision and corrected vision. Fourth,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difference value in both unaided visual acuity and corrected visual acuity of left and right eyes according to school level. The difference value of high school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middle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fference in unaided visual acuity between both eyes according to the city size, and the difference value of urban resi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rural students. Conclusio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unaided visual acuity and corrected visual acuity varies according to gender, school level, and city siz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eye health promotion plan in consideration of these variables.

      • KCI등재

        특수교육 요구 학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활용

        박순희(Sun-Hi Bak)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8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22 No.-

        Within recent decades, the use of multimedia in special education has been explored and developed.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current multimedia approach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nd suggest vision for applying multimedia in Special Education. There are a variety of new learning options that include multimedia and personalization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Multimedia system, including computer, could mak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volve active class working activities with higher motivation and interesting, and maximize the performance of their learning. Recognizing the limited development and empirical base of support for technology applications in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ttention must be given to designing and developing specialized applications to address their unique needs. In addition, intensive research should be explored further in relation to software development for special needs educati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make effort to compile a list of learning needs, learning style and special activities to support the special needs of the learner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색각이상별 색 지각 이미지를 구현하는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 개발

        박순희(Bak Sunhi),황대영(Hwang Daeyoung)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20 시각장애연구 Vol.36 No.4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실세계 환경에서 색각이상별 색 지각 이미지를 구현하는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은 video see-through HMD 방식을 적용하여 카메라에서 획득한 현실 영상에 색상 필터를 적용하여 다양한 색각이상 상태를 보이는 증강 영상으로 구현되도록 만들어졌다. 연구 결과: 어플리케이션은 증강현실에서 요구되는 필수조건을 충족하며 개발되었으며 각 색각장애의 특징에 맞는 색 지각 이미지를 실제 환경에서 구현할 수 있다. 결론: 이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교육과 생활에서 색 정보를 쉽고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색각장애인을 위한 효과적인 색 활용 방법을 강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된 색각 이미지가 실제 색각이상 상태와 차이가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후속으로 색각이상 필터에 대한 모델을 개발하는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that implements color perception images by color vision deficiency in the real world environment. Method: The application is designed to be reproduced as augmented images showing various color vision deficiency from the real-life images acquired from the camera by applying video see-through HMD method. Results: The application has been developed to meet the requirements of augmented reality and The application implements color perception images that match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lor blindness in the actual environment. Conclusion: By utilizing this application, effective color utilization methods can be devised to support people with color vision deficiencies easily and accurately recognize color information in education and life. However, the resulting image through the application is likely to differ from the actual color vision deficiencies. It is necessary to conduct further research to develop a model for color vision filters.

      • KCI등재

        학교 건강검진 표본조사에서의 눈 검진 방법과 결과 추이 분석 : 2010년~2019년의 변화를 중심으로

        박순희(Bak Sunhi)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21 시각장애연구 Vol.37 No.3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국가 건강검진 표본조사에서 눈 검진 방법과 결과의 추이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연구 방법: 학교 건강검진 표본조사는 눈 검진을 포함한 13개의 영역을 중심으로 매년 초등학교 1학년, 초등학교 4학년, 중학교 1학년과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눈 관련 건강검진 방법과 검진 결과 데이터는 2010년부터 2019년까지 발간된 학교 건강검진 표본조사 결과 보고서와 건강검진 매뉴얼에서 수집되었다. 연구 결과: 의료전문기관의 의사가 교육부가 제시한 검진 항목(시력이상, 색각이상, 안질환)별로 검진방법과 판정 기준에 준하여 검사를 실시하였다. 2010년부터 2019년까지 검진 항목별 평균 백분율은 시력이상은 54.5%, 색각이상은 1.7%, 안질환은 0.3%였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시력이상 백분율은 높아졌고, 학교급이 높을수록 안질환 백분율은 상승하였다. 초등학교에서의 색각이상 백분율은 중학교보다 높았다. 결론: 학교 건강검진 표본조사는 색각과 시야를 검진 항목으로 포함하고, 시야 검진을 위한 방법과 판정 기준을 추가로 마련해야 한다. 학교 건강검진 결과, 절반 이상의 학생이 눈과 관련된 문제를 보이고 있으므로 효과적인 눈 건강증진 계획이 수립되어야 하고, 눈과 관련된 문제가 학교급 혹은 학년에 달라짐을 건강증진 계획에서 고려해야 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 of eye examination methods and results in national health examination sample survey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ethod: The school health examination sample survey was conducted every year, focusing on 13 areas including eye examination. Eye-related health examination methods and examination results data were collected from school health examination sample survey reports and health examination manuals published from 2010 to 2019. Results: Doctors at medical institutions conducted the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examination method and criteria for each examination item(abnormal visual acuity, color vision deficiency, eye disease) sugges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From 2010 to 2019, the average percentage of each examination item was 54.5% for abnormal visual acuity, 1.7% for color vision deficiency, and 0.3% for eye disease. The higher the grade, the higher the percentage of abnormal visual acuity, and the higher the school level, the higher the percentage of eye disease. The percentage of color vision deficiency was higher in elementary schools than in middle schools. Conclusion: Color vision deficiency and visual field need to be included as items for eye examination, and methods and criteria for visual field examination should be prepared. More than half of the students have eye problems, so an effective eye health promotion plan must be established. Percentage of students with eye problems by school level or grade level should be considered in planning.

      • KCI등재

        시력정도에 따른 정상시력 이하인 학생들의 사회적 기술 특성 분석

        박순희 ( Sun Hi Bak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0 No.4

        시각은 사회생활에서 중요하게 요구되는 필수적인 사회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주요 수단이다. 시각장애 분야에서는 시각이 상실되었거나 부분적으로 결손된 학생들은 일반학생과 다를 수 있다는 점에 관심을 가져 왔다. 일부 연구자들은 사회적 기술에 전반적인 결함이 있다고 보고하기도 하였고, 일부는 사회적 기술의 일부 영역에서만 일반학생과 차이를 보일 뿐이라고 하면서 전반적인 결함설에 대해 반론을 제기하기도 하였다. 한국에서는 이경림(2005b)이 사회적 기술 평정척도를 개발하여 특수학교인 시각장애 학교에 재학 중인 시각장애학생의 사회적 기술을 평가한 결과서투르지만 가끔씩 사회적 기술들을 보인다고 보고한바 있다. 그러나 일반학교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저시력을 포함한 시각적인 제약이 있는 정상시력 이하인 학생의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지만 이들의 사회적 기술 특성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일반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저시력 수준에 있는 학생을 포함한 정상시력 이하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특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A광역시 소재 일반 초등학교와 일반 중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정상시력 1.0 이하인 학생73명의 사회적 기술을 담임교사에게 의뢰하여 4점 만점을 기준으로 평정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시력이 0.05에서 0.3까지의 저시력 학생들은 평균 2점대를 받은 항목과 3점대를 받은 항목들로 구분이 되어 나타난 반면, 시력이 0.4에서 0.9까지의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모든 사회적 기술 항목에서 3점대의 평균을 보여 ‘항상 기술을 보이는 것은 아니지만 자주 해당 기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력정도별로 나누어서 사회적 기술 점수의 차이를 검증해 본 결과, 시력이 0.05에서 0.3까지의 저시력 학생 집단과 0.4에서 0.9까지의 학생 집단간의 사회적 기술 점수의 유의미한 차이는 항목별, 영역별, 전체 점수별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skills of students below normal visual acuity studying in regular schools. The 73 subjects consisted of 34 students with corrected visual acuity of 0.05 to 0.3 and 39 students with corrected visual acuity of 0.4 to 0.9. Their general education teachers rated 53 items of Social Skills Rating Scale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SSRS-SVI) with four-point Likert’s scale. As a resul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SRS-SVI total scores of two groups of students grouped by degree of visual acuity. In addi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cores of the two groups in self-control, social interaction, and social cognition factors. The mean total score was 3.33 and mean scores of several SSRS-SVI items were below 3.0. The mean score in self-control was higher than those in social interaction and social cogn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more structured social skills training included teaching a student to initiate and sustain interaction with other people, teaching a student to introduce himself to others, developing strategies with a student on ways to participate in conversation at the appropriate time, and so 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tervene and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specific social skills of children below normal visual acuity. Especially, students with low vision require structured intervention strategies(for example, structured social skills training, peer-mediated social skills training, peer-support social skills models) to learn specific social skills in regular schools.

      • KCI등재후보

        선천성 시각장애아동의 마음의 이론(theory of mind) 발달 연구

        박순희 ( Sun Hi Bak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6 No.4

        시각장애교육 전문가들은 선천적으로 실명한 시각장애아동들의 사회적인 이해 능력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왔다. 중점 관심사는 아동이 시각장애로 인하여 마음의 이론 발달에서 어려움을 겪는지와 이 능력 발달과 관련이 있는 변인을 알아내는 것이었다. 분석은 시각장애아동들의 사회적인 상황에서 자신 및 다른 사람의 정신 상태에 대한 개념발달이 정상발달 아동들과 비교하면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마음의 이론 발달과 관련 있다고 언급된 배경변인 즉 연령증가, 시력정도, 언어성 지능과 교육경험기간에 따른 선천성 시각장애아동의 마음의 이론 과제 수행수준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마음의 이론 발달의 주요시기인전조작기에서 구체적 조작기에 있는 4세에서 12세까지의 선천적으로 실명한 아동들이었다.마음의 이론 발달 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조망수용과제와 함께 위치변경과제와 비정상적인 내용물 제시 과제로 구성된 거짓믿음과제가 실시되었다. 결과로 연구대상들은 정상발달 아동들에 비해 느리나 마음의 이론 발달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력정도와 언어성 지능에 따른 시각장애아동들의 마음의 이론 과제 수행 수준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교육경험기간에 따른 수행 수준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선천성 시각장애아동의 마음의 이론 발달 및 사회적인 능력 발달을 이해하고 사회성 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theory of mind in the congenitally visually impaired, aged 4-12. Subjects were 48 students who are studying kindergarten and elementary levels in 3 schools for the blind in OOO district in South Korea. All subjects were individually tested on a battery of two perspective-taking tasks and four false-belief tests including changed location tasks and misleading appearance tests. The battery was designed to assess their understanding of false belief, that is, central aspect of social understanding. The subjects were given theK-WPPSI or K-WISC-III to determine their verbal intelligence. While increasing age significantly predicted gains in three kinds of task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ask performance scores between two age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cores of children with blindness and those with low vision. The subjects`` level of visual impairment and verbal intelligence do not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development of perspective taking and understanding false belief.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ask performance scores among three educational experience groups. Educational background is likely to account for developmental differences in the congenitally visually impaired.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to establish the exact nature between the visually impaired``s difficulties and other abnormalities in their development of pretend play and language comprehension and use. It would be very useful to seek qualitative information on visual and social experiences of the visually impaired.

      • KCI등재

        시각중복장애아동을 위한 의사소통중심 행동중재를 통합한 기능적 교육과정 적용 사례연구

        박순희 ( Sunhi Bak ),김순진 ( Soon Jin Kim ),지원석 ( Weon Suk Ji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8 No.2

        시각장애 외 한 가지 이상의 장애가 중복된 아동은 의사소통 능력의 부족으로 인해 사회적으로 부적합한 행동을 보이게 된다. 또한 자신의 기본적인 신변처리와 관련된 일상적인 활 동측면에서 뿐 만 아니라 기초적인 학업능력을 습득하는 데서도 어려움을 보인다. 행동문제를 보이고 생활에 필요한 기초 기능 습득 수준이 낮은 시각 중복장애학생을 위한 교육적 접근 방안으로 의사소통을 강조한 행동중재를 통합한 기능적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가 실시되었다. 중도장애학생으로 판별된 시각장애학교 초등학 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아동 관련인을 중심으로 교육팀을 구성하였다. 팀 중심으로 연구대상의 행동문제에 대한 기능분석을 실시하여 행동중재계획을 수립하였고 학교 중심의 기능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통합시킨 뒤 적용하였다. 중재 후 아동의 문제행동빈도와 생활기능 습득율을 측정하여 본 결과 문제행동은 감소하였고 기능적 기술 습득율은 상승하였다. 시각 중복장애아동을 위한 개인적 교육적 요구에 맞는 개별적인 기능 교육과정을 실제로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한 기초연구로 중도장애 교육현장에서 긍정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the individualized behavioral intervention and functional curriculum on problem behaviors and functional skills of a student with both visual impairment and mental retardation. The subject was a male student aged 10.2 years old who studies in XX School for the Blind. A collaborative team designed and implemented communication-based behavioral intervention and functional curriculum activities. The communication-based behavioral intervention was incorporated into the individualized functional curriculum activities. After the 11-week intervention, data showed that the interventions reduced problem behaviors and increased specific functional skills in school settings. Social validation data supported the efficacy of the interventions.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to design home- or community-based functional curriculum activities.

      • KCI등재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시각장애성인의 자기자비, 공상의 자각, 탈중심화, 심리적 안녕감 분석 연구

        김정훈 ( Kim Jeong-hoon ),박순희 ( Bak Sunhi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0 No.2

        시각장애성인은 각기 다른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가진다. 본 연구는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시각장애성인의 자기자비, 공상의 자각, 탈중심화 및 심리적 안녕감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S시에 거주하는 장애인 등록을 한 시각장애성인 240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가 진행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인구학적 특성 중 연령, 장애정도와 결혼여부 별로 시각장애성인의 자기자비와 그 하위요소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성별과 연령 별로 일부 공상의 자각 유형에서 시각장애성인의 공상의 자각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연령과 결혼여부 별로 시각장애성인의 일부 탈중심화 유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연령과 결혼여부 별로 시각장애성인의 심리적 안녕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사회인구학적 특성은 시각장애성인의 재활, 상담, 복지 및 교육에 대한 다각적인 지원을 계획, 시행하는 데 있어 고려될 필요가 있다. Adults with visual impairments have different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 the psychological changes that they experience throughout their lives due to loss of vis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elf-compassion, imaginations, decenter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ults with visual impairment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240 adults with visual impairments in S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compassion and its sub-factors by age, degree of disability and marital status.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some imaginations by gender and age.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me decentralization by age and marital status. Four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well-being by age and marital status. Given the above result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need to be considered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multi-level support for rehabilitation, counseling, welfare and education for persons with visual impair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