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부진아동의 문식성 연구

        박순길 ( Soon Gil Park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2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초등학생 학습부진아동의 문식성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이 있으며, G광역시 A, B초등학교 3, 4학년, 학습부진아동 61명, 일반아동 61명, 전체 122명을 대상으로 문식성(읽기, 비단어읽기, 어휘력, 쓰기, 읽기속도), 음운인식(음절탈락, 첫음소탈락, 끝음소탈락), 시지각(시각변별, 시-공간, 시각형태항상성, 시각도형배경), 단기기억(숫자폭, 비단어글자폭), 명명속도(숫자, 사물), 형태소의 관계와 예언변인을 알아보고자 기술통계, t검정,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하였다. 첫째, 학습부진아동은 문식성, 음운인식, 시지각, 단기기억, 명명속도, 형태소에서 일반아동집단보다 낮은 수행능력을 보였다. 그러나 시지각 하위변인인 시각변별과 명명속도의 사물명명속도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학습부진아동의 문식성 상관변인은 시지각, 단기기억, 명명속도, 형태소이다. 그러나 일반아동의 문식성 상관변인으로 시지각변인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학습부진아동의 문식성 예언변인은 음소인식, 숫자단기기억, 사물명명속도, 시각도형배경, 형태소이지만, 일반아동 문식성 예언변인은 숫자명명속도와 형태소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literacy of underachievers in elementary schools. Sixty-one underachieving students and sixty-one average achievers in the 3rd and 4th grades of A.B elementary schools in G Metropolitan city were involved, The study wa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cy, phonological awareness, visual perception, short-term memory, naming speed, morphology and predictor variables of these students. The results were analys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 test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First of all, it has been found that underachievers showed lower ability in literacy, phonological awareness, visual perception, short-term memory, naming speed and morphology compared to average achiever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comparison between their abilities in performing visual discrimination that is a sub-variable of visual perception and naming speed. Secondarily, the study proved that the predictor variables of literacy for underachievers were visual figure-ground, short-term memory, naming speed, and morphology. Visual perception was not a part of the predictor variables for the average achievers. Thirdly, the predictor variables for literacy of underachievers were phoneme awareness, number naming speed, object naming speed, visual figure-ground and morphology. However, the predictor variables of average students were number naming speed and morphology.

      •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선호도와 수학 성취도와의 관계 연구

        박순길 ( Soon Gil Park ),전연경 ( Yeon Gyeong Jeon ),음나연 ( Na Yeon Eum ),채성은 ( Seong Eun Chae ) 한국초등특수교육학회 2010 초등특수교육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선호도와 수학성취도를 알아보기 위해 광주광역시 L초등학교 3개반 102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며, 연구목적에 맞게 교차분석과 빈도분석을 하였으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선호도를 알아보면 취미와 특기로 스포츠와 컴퓨터 활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보였으며, 장래희망으로는 교사, 교수 등의 안정된 직업인 교육계열을 많이 선호하였으며, 좋아하는 과목은 수학, 싫어하는 과목은 사회로 나타났다. 하교 후 공부하는 시간은 평균 1~2시간정도이며, 하루 중 수학공부를 하는 시간은 평균 1시간 정도로 나타났다. 한 달 동안 1~10권정도 독서를 하며, 노는 토요일이나 주말의 여가시간에는 영화를 보거나 운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5-가의 영역별 수학성취도를 보면 정답률이 높은 영역은 수와연산, 도형, 규칙성과함수이다. 즉 전반적으로 규칙성과함수 영역에서 높은 정답률을 보였고, 측정이나 문자와식 영역에서는 낮은 정답률을 보였다. 셋째,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수학성취도와 선호도와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수학성취도 점수가 10점 이하인 학생들은 취미, 특기가 스포츠, 장래희망은 교육계열 및 운동계열, 좋아하는 과목은 예능계열, 하루 중 수학 공부하는 시간은 1시간 정도이며, 여가활동으로는 운동이나 오락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수학성취도 점수가 10점 이상인 학생들은 취미로 컴퓨터를 하고 특기는 스포츠, 장래희망은 의학계열을 선호하며, 좋아하는 과목은 수학이고, 싫어하는 과목은 사회로 나타났다. 하루 중 수학 공부하는 시간은 1-2시간이며, 한달 독서량은 1-10권 정도이며 여가활동으로는 주로 오락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grade 5 mathematics achievement and student rating to evaluate the three classes of elementary school Gwangju L was studied in 102 patients, for the purposes of research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and cross the conclusion follows. First, a rating of grade 5 students might try to taste and skill that a lot of sports and computer activities showed the future include teachers, professors and much prefer a stable family and professional education, his favorite subjects are mathematics, favorite subject was social. Second, the primary 5-가 According to domain-specific mathematics achievement The number of operations percentage and a high area, shape, and is a function of the rules. Overall, the rules of correct answers was higher in areas and functions, measurement, and a lower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was Character and expression area. Third, the mathematics achievement of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ference and math achievement scores of students is less than 10 points Hobbies, specialty sports, education, family and future family of sports, entertainment family favorite subjects, The time of day, 1 hour studying math and sports and recreational leisure activities appeared to be Math achievement scores by 10 points or more students and computer skills as a hobby sport, for the future in favor of the Department of Medicine, favorite subject is math, favorite subject was social. The time of day to study math is 1-2 hours a month, reading rate and recreational activities around the 1-10 appeared to be primarily entertainment.

      •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의 수학 교과와 과학 교과의 성취 수준 비교

        박순길(Park Soon Gil),김다경,박지현,정지영 The Research and Information Service 2009 남부대학교 논문집 Vol.9 No.-

        본 연구는 초등 학교 4학년 학생들의 수학 교과와 과학 교과의 성취 수준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 남도 영암구 Y초등 학교 4학년 5개 학급 133명이며, 연구 결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 상관분석, t 검정을 하였으며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학교 4학년 학생들의 수학, 과학에 대한 인식 정도는 수학, 과학 성취 수준과 유의미한 관련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수학의 각 영역은 과학의 각 영역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둘째, 초등 학교 4학년 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면 도형 영역, 문자와 식 영역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성취 수준이 더 높았다. 셋째, 초등 학교 4학년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선호 영역은 측정, 수와 연산, 확률과 통계, 규칙성과 함수, 도형, 문자와 식 순서로 나타났으며, 과학에 대한 선호 영역은 지구, 에너지, 물집, 생명 순서로 나타났다.

      • 학업우수학생과 학업부진학생의 양육태도 지각과 자아개념 비교 연구

        박순길(Soon Gil Park),김순연(Soon Yeon Kim) The Research and Information Service 2007 남부대학교 논문집 Vol.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parental's adolescent-rearing attitudes and self-concept in academic achievement levels. For tl1is study, n-iass-inspection was conducted on. 60 students who are in the second grade of middle school in Changwon, and then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subjects and causal sequence with variables, mean, sd, t-test, ANOVA, correlations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with high level group in academic achievement has positive higher self-concept than the students with low level group in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he hon-ie self-concept of fen1ale students was positive than that of male students.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parental's adolescent-rearing attitudes and self- concept in both groups. Finally, it can be concluded that self-control/control can greatly predict high level group in academic achievement, whereas the social self-concept can predict low level group in academic achievement.

      • 학습장애아 관점에서 본 초등학교 2학년 수학 교과서 분석과 통합 교수적 수정

        박순길(Park Soon Gil),김한나,김혜림 The Research and Information Service 2010 남부대학교 논문집 Vol.10 No.-

        본 연구는 학습장애아 관점에서 본 초등학교 2학년 수학 교과서 분석과 통합 교수적 수정에 대해서 알아보았으며 교과서 분석이라는 질적 연구를 통한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학습장애 유형별 초등학교 2학년 수학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주의집중 장애아들에게는 수학2-가 단계의 1단원 세 자리 수-뛰어서 세어 보기, 지각쟁애를 가진 학생들에게는 수 학 2-가 단계의 1단원 세자리 수 세기, 2-가 단계의 3단원 도형과 도형 움직이기, 2-나 단계의 3단원 쌓기 나무 놀이에서 학습에 어려움을 느낄 것으로 판단된다. 기억장애를 가진 학생들에게는 수학2-가 단계의 7단원 시간 알아보기, 수학2-나 단계 1단원 곱셈구구에서 문제 해결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상위인지장애를 가진 학생들은 수학 2-가 단계 4단원 두 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2), 수학 2-나 단계 1단원 곱셈구구, 수학 2-나 단계의 6단원 표와 그래프에서 학습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사회 · 정서장애를 가진 학생들에게는 초등학교 수학 2-가 8단원 곱하기(짝짓기 놀이)에서 불안이나 위축으로 인해 학습상 어려움이 예상된다.

      • KCI등재

        취학전 다문화가정, 농촌, 도시 아동의 문식성 및 인지 언어적 발달 비교

        박순길(Soon Gil Park),조증열(Jeung Ryeul Cho),박선희(Sun Hee Park) 한국언어치료학회 2014 言語治療硏究 Vol.23 No.4

        Purpose: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South Korea has been increasing since the early 90s.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shown to b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children from single-culture families. Previous research explained that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mutual interaction by reading influenced literac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Korean literacy among children from (1) multicultural families, (2) rural, and (3) urban communities. We also compared cognitive linguistic skills becaus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cy and cognitive linguistic skills. Methods: Children were tested in reading and writing and cognitive-linguistic tasks including phonological awareness, morphological awareness, rapid naming, and visual perception. The participants included 288 preschool children aged 4 and 5 (95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95 from rural communities, and 98 from urban communitie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urban 4-year-old children performed better in word reading and writing, phonological awareness, and morphological awareness tasks than rural children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ive-year-old children from urban and rural communities performed better in word reading and writing, phonological awareness, and morphological awareness tasks than those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owever, rapid naming and visual perception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Conclusions: In conclusio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howed inferior performances compared to urban and rural children particularly in the skills of literacy and phonological and morphological awareness but not in rapid naming and visual perception skills. It is suggested that children from muticultural families may need a proficient language environment and active interactions with adults in addition to literacy education.

      •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 특성 분석

        박순길(Soon Gil Park),김달리,김리나,한국왕 The Research and Information Service 2011 남부대학교 논문집 Vol.11 No.-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전공계열별, 학년별, 성별, 자격증 개수, 연령에 따라 학업스트레스, 성격스트레스, 학교환경스트레스에 관해 차이를 알아보았다. 첫째, 전공계열별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는 보건계열이 학업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고, 예체능계열이 학교환경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는 경향이 있다. 둘째, 대학생들의 학년별 취업스트레스는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대체로 4학년들이 취업에 대한 스트레스가 3학년보다는 높았다. 셋째, 대학생들의 성별 취업스트레스는 남자 대학생 들은 학교환경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여자 대학생들은 학업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는다고 할 수 있다. 넷째, 대학생들의 자격증 개수에 따른 취업스트레스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대체로 자격증 개수가 많을수록 취업스트레스는 더 많이 받는 경향이 있다. 다섯째, 대학생들의 연령이 높을수록 학교환경 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 KCI등재후보

        일반 중학교 지체부자유학생에 대한 또래학생들의 장애 태도 연구

        박순길 ( Soon Gil Park ),박정순 ( Jeoung Sun Park ) 한국특수아동학회 2007 특수아동교육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일반 중학교에서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지체부자유학생에 대한 또래학생들의 장애태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지체부자유학생에 대한 또래학생들을 보면 4개 학교 8학급의 학생들로 1학년 132명, 3학년 139명으로 전체 271명이었다. 연구목적별로 결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 t검정을 하였으며 연구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체부자유학생에 대한 또래학생들의 장애 태도는 전체적으로 통합반과 비통합반간에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하위영역인 활동영역과 학업영역에서 통합반 학생들이 비통합반 학생들보다 지체부자유학생들에 대해 더 부정적인 장애 태도를 나타내었다. 둘째, 중학교에서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지체부자유학생에 대한 또래학생들의 장애 태도는 1학년이 3학년보다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또한 각 하위영역 모두에서 1학년이 3학년보다 긍정적인 장애 태도를 나타내었다. 셋째, 일반 중학교 지체부자유학생에 대한 또래학생들의 장애 태도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전체인식태도와 하위영역인 학업영역에서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따라서 지체부자유 학생에 대한 장애 태도는 통합반보다는 비통합반이, 학년에서는 3학년보다 1학년에서 더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긍정적인 장애 태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ttitude of peers toward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y in the inclusive environment of middle school.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71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s were done to draw out the conclusions according to different study purpos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ttitude of peer groups toward physically disabled students in the inclusive class was non-significant compared to those in the non-inclusive class. Second, peers in the lower class levels showed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physical disability compared to peers in the higher class levels. Third, it can be said that the attitude of female peers toward the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as more positive compared to the male peers.

      • TWI통신을 이용한 자계위치측정기의 개발

        박순길(Soon-Gil Park),유영재(Young-Jae Ryoo),김규하(Gyu-Ha Kim)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0 한국지능시스템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Vol.20 No.1

        본 논문에서는 TWI통신을 이용한 자계위치센서의 데이터 출력 개선 방법을 제안한다. TWI통신 방식은 2선식 직렬통신 방식으로 병렬통신 방식에 비해 전송 속도가 빠르며, 많은 버스선이나 인터페이스 소자를 줄일 수 있어 경량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TWl통신을 적용한 자계위치센서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TWI통신을 이용한 자계위치센서의 성능 검증을 위해 자제위치표시기에 적용하고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 KCI등재

        뇌성마비아의 시지각 능력과 언어학습기능과의 관계 연구

        박순길 ( Soon Gil Park ) 한국특수아동학회 2006 특수아동교육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뇌성마비아의 시지각 능력(시각변별, 시각기억, 시-공간관계, 시각형태항상성, 시각계열기억, 시각전경-배경, 시각완성)과 언어학습기능(읽기, 쓰기, 문장 이해력, 어휘력)에서 집단간 차이를 보였는지를 알아보았으며, 뇌성마비아의 시지각 능력과 언어학습기능 하위 변인간의 상관관계와 언어학습기능을 가장 잘 예언해주는 시지각 변인이 무엇인지를 회귀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첫째, 뇌성마비아는 비장애아동보다 시각형태항상성만 제외하고, 시각변별, 시각기억, 시공간관계, 시각계열기억, 시각전경배경, 시각완성에서 전반적으로 시각처리능력이 낮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뇌성마비아는 언어학습기능(읽기, 쓰기, 문장이해력, 어휘력)에서 비장애아동보다 낮은 능력을 보였다. 셋째, 뇌성마비아의 시지각 능력과 언어학습기능과의 상관은 매우 높으며, 특히 쓰기, 문장이해력, 어휘력과의 상관은 매우 높게 나타났고, 뇌성마비아의 쓰기, 문장이해력, 어휘력을 예언하는 변인으로는 시공간관계와 시각계열기억으로 나타났다. 비장애아동의 시지각 능력과 언어학습기능과의 상관은 쓰기에서만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으며, 비장애아동의 쓰기를 예언하는 시지각 변인으로는 시각변별로 나타났다. 따라서 뇌성마비아의 쓰기에는 시공간관계가 중요한 변인이고, 비장애아동의 쓰기에는 시각변별이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fference between visual perceptual ability(visual discrimination, visual memory, visual-spatial relationship, visual form constancy, visual sequential memory, visual figure-ground, visual closure), language learning skills(reading, spelling, comprehension of sentences, vocabulary). Moreover, the correlation between visual perceptual ability and language learning skills with children cerebral palsy displays an inferior element. This study was also concerned with finding out what primary factors of visual perceptual ability are best at predicting language learning skills by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30 cerebral palsy were recruited from a special elementary school and they were compared to normal control children who had the same mental age as the 30 cerebral palsy in a K-SPM Raven Intelligence Test(Yim, 2004). The participants were presented Visual-Perceptual Skills Test-Revised(Gardner, 1996). Moreover, The Basic Learning Skill Tests(Park et al, 2001) and A Picture-Vocabulary Test(Kim et al, 1995) were also measured to identify the language learning abilities of the cerebral pals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erebral palsy had generally low visual perceptual ability in visual discrimination, visual memory, visual-spatial relationship, visual sequential memory, visual figure-ground and visual closure except for visual form constancy. Second, the cerebral palsy had lower ability than the normal in language learning skills including reading, spelling, comprehension of sentences and vocabulary. Third, there was a very clos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perceptual ability and language learning skills of the cerebral palsy, and spelling, comprehension of sentences and vocabulary were especially related to each other. Furthermore, spelling, comprehension of sentences and vocabulary were predicted by visual-spatial relationships and visual sequential memory. For normal children,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perceptual ability and language learning skills only affected spelling. Visual discrimination was the major factor that predicted spelling for normal children.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visual-spatial relationships are an important factor in spelling for the cerebral palsy, whereas visual discrimination was more important for the normal.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