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의 흡연과 사망 위험에 관한 코호트 연구

        이은하,박수경,고광필,조인성,장성훈,신해림,강대희,유근영,Lee, Eun-Ha,Park, Sue-K.,Ko, Kwang-Pil,Cho, In-Seong,Chang, Soung-Hoon,Shin, Hai-Rim,Kang, Dae-Hee,Yoo, Keun-Young 대한예방의학회 2010 예방의학회지 Vol.43 No.2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cigarette smoking and total mortality, cancer mortality and other disease mortalities in Korean adults. Methods: A total of 14 161 subjects of the Korean Multi-center Cancer Cohort who were over 40 years of age and who were cancer-free at baseline enrollment reported their lifestyle factors, including the smoking status. The median follow-up time was 6.6 years. During the follow-up period from 1993 to 2005, we identified 1159 cases of mortality, including 260 cancer mortality cases with a total of 91 987 person-years, by the national death certificate. Cox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estimate the hazard ratio (HR) of cigarette smoking for total mortality, cancer mortality and disease-specific mortality, as adjusted for age, gender, the geographic area and year of enrollment, the alcohol consumption status, the education level and the body mass index (BMI). Results: Cigarette smoking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total mortality, all-cancer mortality and lung cancer mortality (p-trend, < 0.01, <0.01, <0.01, respectively). Compared to non-smoking, current smokers were at a higher risk for mortality [HR (95% CI)=1.3 (1.1 - 1.5) for total mortality; HR (95% CI)=1.6 (1.1 -2.2) for all-cancer mortality; HR (95% CI)=3.9 (1.9-7.7) for lung cancer mortality]. Conclusions: This study's results suggest that cigarette smoking might be associated with total mortality, all-cancer mortality and especially lung cancer mortality among Korean adults.

      • KCI등재후보

        한국인 유전성 유방암 가계에서 BRCA1/2 유전자 돌연변이 사실에 대한 가족과의 의사소통 실태

        강은영(Eunyoung Kang),박수경(Sue K. Park),김구상(Ku Sang Kim),최두호(Doo Ho Choi),남석진(Seok-Jin Nam),백남선(Nam Sun Paik),이종원(Jong Won Lee),이민혁(Min Hyuk Lee),김성원(Sung-Won Kim) 대한의학유전학회 2011 대한의학유전학회지 Vol.8 No.2

        목적: 유전성 유방암 가계에서 BRCA 유전자 돌연변이 결과 공유의 중요성은 가족검사를 통해 돌연변이 보인자를 확인하고 적극적인 암 발생 감시와 예방적 치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유전성 유방암 가계에서 돌연변이 사실에 대한 공유 정도, 등친 별 의사소통 차이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한국인 유전성유방암 연구에 등록되어 BRCA1 또는 BRCA2 돌연변이가 확인된 발단자 106명을 대상으로 검사 후 유전상담, 유전성 유방암 지식도 평가, 돌연변이 사실에 대한 가족간의 의사소통 과정, 가족 검사 현황에 대해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최종 응답자 106명 중 99명은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친족에게 자신의 유전자 검사결과를 알렸으며, 일등친 가족에게만 알린 경우는 68.7%, 일등친과 이등친 이상의 가족에게 돌연변이 사실을 알린 경우는 31.3%였다. 단변량 분석결과 일등친 가족에게만 검사결과를 알린 군이 이등친 또는 삼등친 가족에게 돌연변이 사실을 알린 군에 비해 기혼자의 비율이 더 높았으며, 검사 후 유전상담일로부터 설문조사 시점까지 기간이 유의하게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에게 돌연변이 사실을 알린 이유에 대해서는 가족들에게 BRCA 유전자 돌연변이 가능성과 유방암 발병위험성을 알리기 위함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결론: 유전성 유방암 가계에서 BRCA 돌연변이 사실에 대한 정보를 보다 많은 가족과 공유하기 위해서는 유전상담 시 환자 개개인의 가계 구조를 파악하여 차별화된 의사소통 방법을 제시해 주어야 할 것이다. Purpose: Sharing genetic information with family members is important for cancer awareness and prev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sclosure patterns of positive BRCA genetic test results to patients’ relative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06 probands who had positive BRCA genetic test results from the Korean Hereditary Breast Cancer Study participated in our study. Subjects were asked whether they had disclosed their genetic test results to first-, second-, and third-degree relatives.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were used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positive result sharing with close and distant relatives. Results: In total, 99 respondents (93.4%) informed at least one at-risk relative of the test result, and they all reported that they had disclosed their genetic test result to a first-degree relative. Communication of test results to other relatives occurred significantly less often, with only 31 of 99 subjects (31.3%) sharing their results with second- or third-degree relatives. In the results of univariate analyses, disclosure of genetic test results to more distant relatives was associated with marital status and months since post-test counseling. The reasons for communication were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BRCArelated cancer risk and to recommend the genetic test. Conclusion: Most individuals with the BRCA mutation share their test results with first-degree family members; however, these results reach more distant relatives significantly less ofte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patients’ communication with extended family members through systematic genetic counseling.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