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아의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사회적 기술

        박수경 ( Sookyung Park ),하승민 ( Seungmin Ha ),이기성 ( Gisung Lee ),유수옥 ( Soook Yoo ) 대한아동복지학회 2015 아동복지연구 Vol.13 No.3

        This study examined children``s social skills in view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 Data was collected from 1,140 children aged 3 to 5 years old(male: 582; female: 558) who attended daycare centers or kindergartens in North Jeolla Province by means of the preschool and kindergarten behavior scale-2 for teachers. The researchers found that children attending a kindergarten located in a city rather than rural area showed a higher level of social compliance, and that in rural areas, children attending a daycare center showed a higher level of social interaction, social cooperation, and social compliance than those attending a kindergarten. As for types of education, children in a regular class showed a higher level of social cooperation and social compliance than an all-day class. As for types of families, children in a common family showed a higher level of social interaction than those in a multi-cultural family, and those in a multi-cultural family than those in a grandparent-headed family. Children in common, multi-cultural, and single-parent families showed a higher level of social cooperation and social compliance than those in a grandparent-headed family. Children in common and single-parent families showed a higher level of social independence than those in a grandparent-headed family. Female children showed a higher level of social interaction, social cooperation, social independence, and social compliance than male children. 5-year-old children showed a higher level of social interaction and social compliance than 4-year-old children, and 4-year-old children than 3-year-old children. 5-year-old children showed a higher level of social cooperation and independence than 4 and 3-year-old children.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at would affect children``s social skills were examined according to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it turned out that such factors as gender, center location, age, family type (grandparent-headed family), education type, and family type (common family) had significant effects.

      • KCI등재

        일본에서의 일하는 방식의 다양화에 따른 노동조합법상 근로자 개념에 대한 연구

        박수경(Sookyung Park) 한국비교노동법학회 2021 노동법논총 Vol.52 No.-

        본 연구는 디지털 전환 등 산업구조의 변화에 따라 일하는 방식이 다양화되고 있는 가운데, 일본에서 플랫폼노동종사자 및 프리랜서 등 고용 유사한 일을 하는 자(이른바 노무제공자)의 노동조합법상 근로자 개념과 논의의 동향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노동조합법상 근로자 개념과 관련된 일본 최고재판소의 3가지의 주요 판례를 고찰한 후, 플랫폼노동종사자 및 프리랜서 등 노무제공자의 노동조합법상 근로자 개념과 관련하여 노동조합법 제3조의 “근로자” 개념과 동법 제7조 제2호의 “고용하는 근로자”의 개념에 대하여 살펴본다. 또한 2021년 3월 일본에서 발표된 “프리랜서 가이드라인”은 노무제공자에 대하여 독점금지법과 하청법 등으로 보호를 하면서, 그 업무실태가 고용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노동관계법을 적용하는 방향으로 보호하고자 함을 언급하고 있다. 일본에서 노동조합법상 근로자 개념은 노동기준법상 근로자 개념보다 넓게 해석되고 있어, 향후 노무제공자들이 노동조합법상 근로자로 인정받게 될 가능성이 유추된다. 이에 노동조합법과 독점금지법의 경합 관계를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2018년 일본에서 공정거래위원회의 “인재와 경쟁정책에 관한 검토회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이 보고서에서는 노동기준법상 근로자는 독점금지법상 사업자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보고 있으며, 그리고 노동조합법상 근로자는 노동법제로 규율되고 있는 분야에 대해서는 행위 주체가 사용자인지 근로자·근로자단체인지에 관계없이, 원칙적으로 독점금지법상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해석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언급하고 있다. 즉, 노동법 우선 적용론을 언급하고 있어, 이에 근거로 하여 노동조합 활동에 대하여 독점금지법의 적용제외를 긍정하고 있다. 향후 우리나라에서도 업무실태에서 고용과 자영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 자의 노동조합법상 근로자 개념이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경우, 노동조합법상 근로자와 경쟁법상 사업자의 관계가 문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근로기준법상 근로자가 아니기에 노동법에서의 두터운 보호를 받지 못하는 노무제공자에게 노동법상 보호를 확대해 나가고자 하는 방향성을 추구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단기적으로는 근로자성과 사업자성이 경합될 수 있으므로, 노동법과 경쟁법상 적용 관계를 명확히 하여 노무제공자에 대한 법제도적 보호 방안을 함께 강구해 나가는 것도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Amid diversification of work styles due to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such as digital transform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trends in the definition of workers and relevant discourses regarding platform workers, freelancers, and other quasi-employees (labor providers) under the Labor Union Act in Japan. First, this study reviews the three significant precedents set by the Supreme Court of Japan related to the definition of workers under the Labor Union Act. It also examines the definition of “worker” in Article 3 of the Labor Union Act as well that of “workers employed” in Article 7, Item 2, of the same law in relation to quasi-employees. In addition, the “Guidelines for Secure Working Conditions for Freelancers,” announced in Japan in March 2021, offer protection to quasi-employees under the Antimonopoly Act and the Subcontract Act, in addition to declaring an intent to apply the labor laws to protect workers when the actual status of a job qualifies as employment. Because the Labor Standards Act has a broader definition of workers than the Labor Union Act does, we surmise that quasi-employees may be recognized as workers under the Labor Union Act in the future. In this context, some point out that a problem might arise from the conflict between labor laws (Labor Union Act) and the Antimonopoly Act. According to the Fair-Trade Commission’s “Report of Study Group on Human Resource and Competition Policy,” published in 2018 in Japan, those defined as workers under the Labor Standards Act do not qualify as entrepreneurs under the Antimonopoly Act. Moreover, it is also in favor of the interpretation that, in principle, the Antimonopoly Act is not applied to workers under the Labor Standards Act in areas regulated by labor laws, regardless of whether the actors are employers or workers/workers’ organizations. Because this prioritizes the application of labor laws, it affirms the exclusion of the provisions of the Antimonopoly Act on labor union activities. We expect that the definition of workers under the Labor Union Act in Korea shall be expanded in the future to include quasi-employees who possess characteristics of both the employed and the self-employed simultaneously. In this case, problems might aris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ers under the Labor Union Act and entrepreneurs under the laws governing economic activities. Eventually, we need to advance in a direction that expands the protection of labor laws to cover labor providers who do not qualify as workers under the Labor Standards Act and are thus denied ample protection under labor laws. As some short-term issues may arise during this process from the competing characteristics of labor providers as workers and as entrepreneurs, it would be an essential task for us to enhance legal and institutional protection for quasi-employees by clarifying the applicability of labor and economic laws in relevant areas.

      • KCI등재

        일본 원격진료의 지역화 형성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카가와현(香川?)을 통한 지방의 원격진료 사례를 중심으로

        박수경(Sookyung Park) 대한지리학회 2011 대한지리학회지 Vol.46 No.4

        본 연구에서는 원격진료 기술로 병원간 통합을 꾀하고 있는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원격진료의 지역화 형성 및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를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에서는 원격진료의 효과적인 운용을 위해, 현청, 지역 내 대학, 의사회, 지역 산업을 기반으로 하는 기업 등을 주축으로 하는『원격진료 의원회』를 구성하여, 이를 활발한 의사 교환의 장(場)으로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지역의 다양한 의료 종사자와 환자의 직접적인 수요를 최대한 반영하고, 조속히 맞춤형 원격진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형성하였다. 둘째, 이미 형성된 긴밀한 인간관계가 원격의료의 지역화에 크게 관여하고 있다. 지역의료의 발전을 위한 정책 결정자-의사 집단 간의 관계, 의사회의 정기적인 모임과 연장자 의사 집단의 지역의료에 대한 깊은 이해 및 지원 등을 기반으로 하는 의사-의사 간의 관계, 긴 시간 신뢰를 쌓은 의사-환자 간의 관계 등은 원격진료의 발안 단계에서부터 실제적인 이용과 응용의 단계 까지 두루 걸쳐 일본에서만 보여지는 지역화의 특성을 결정짓는다. 결론적으로 오프라인에서 형성된 개인적 차원의 관계(게마인샤프트)가 온라인상의 공적 차원(게젤샤프트)의 서비스로 전환되는 현상이 일본 원격진료의 지역화에서 보여지는 고유한 양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현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 경제, 문화적인 특성들이 원격진료에서도 고스란히 투영되어 나타나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This research investigates a geographical issue as to which factor discovered in the only Japanese telemedicine with regard to social and medical circumstances performs a role as a determinant in regionalization, especially, local areas in Japan. According to the results, strong human networks based on regionalism are mirrored in regionalization and are associated with not only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telemedicine operations, but also the choice of telemedicine users concretely. In other words, all processes from the suggestion stage of telemedicine to the practical usage or application stage of telemedicine are involved in the existing human networks within one prefecture (the third diagnostic area); further, personal stakes are transferred to public health care services (telemedicine) and their relationships have been formulated by the telemedicine council including local government, medical association, region-rooted companies, core health centers and universities, etc. Accordingly, the telemedicine council responses to the need of telemedicine users immediately and contributes to develop regional health care. Also, telemedicine users have been connected with each other closely before operating telemedicine; accordingly, the human relationships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or among doctors influence the choice of telemedicine serving sites and their behaviors comes down to regional-based diagnosis via the telemedicine system.

      • KCI등재

        일상적 삶에서의 치유의 공간에 관한 지리학적 고찰

        박수경(Sookyung Park) 대한지리학회 2014 대한지리학회지 Vol.49 No.4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국내 지리학에서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었던 치유(healing)에 관한 지리적 접근을 검토하고, 심리상담카페의 운영자의 시선을 통해 일상적 삶에서의 치유의 공간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눈에 드러난 정신과, 심리상담센터 등과 같은 곳은 일종의 문화적 낙인(cultural stigma)의 공간으로 인식되지만, 심리상담카페의 경우에는 이와 같은 심리적 거부감 내지 거리감을 낮춤으로서 치유가 필요한 사람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곳으로 통하고 있다. 둘째, 현대인들에게 요구되는 치유란 짧은 시간이나마 현실에서 도피할 수 있는 것이라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점에 있어서 인스턴트식으로, 기대하지 않았던 공간에서의 치유 활동은 심리상담카페의 이용자들에게 특별한 경험으로 다가오며, 부담스럽지 않은 선에서 반복적이며, 지속적인 치유 경험이 가능한 곳이 된다. 셋째, 심리상담카페는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인 카페로 재탄생함으로서 우리의 일상적 삶에 더 깊숙이 침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This research attempts to investigate the geographical approaches on healing, which have been neglected in geography relatively, comprehensively and to examine the meaning of healing in daily life from the viewpoint of the managers of psychological counselling caf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exposed healing spaces such as mental clinics or counselling centers are regarded as cultural stigmatic spaces; besides, psychological counselling cafes decrease psychological distance or resistance and people calling for healing can access these healing spaces easily. Second, healing spaces from a perspective of modern people mean geographical boundaries as refuges for a brief time; accordingly, the users’ activities in psychological counselling cafes as instant or unexpected healing spaces in daily life are interpreted as special experiences without any emotional burdens. And these psychological counselling cafes are regarded as the spaces where can experience healing repeatedly and continuously. Third, psychological counselling cafes were changed into general cafes as open spaces; therefore, they can penetrate deeper into daily life rather than others.

      • KCI등재

        원격진료의 지역적 차별성과 정보격차에 관한 연구

        박수경(Sookyung Park) 대한지리학회 2015 대한지리학회지 Vol.50 No.3

        원격진료는 정보통신기기를 활용해 의료정보를 주고받는 의료 혁신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사실상 오프라인의 여건에 따라 그 적용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에서는 원격진료 시행의 기초 단위인 각 시군의 행정권에 따라 같은 의료권에 내에서도 원격진료는 차별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원격진료 사례를 통해 원격진료의 지역적 차별성의 원인을 알아보았다. 더 나아가 이러한 차별성은 정보격차와 연관성이 있어 원격진료로 인해 유발되는 정보격차의 문제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격진료의 도입과 더불어 행정 인력의 증원, 실질적인 행정 책임자에 대한 경제적 보상, 원격진료 기기에 대한 교육 등이 제대로 마련되지 않아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지역만이 원격진료를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격진료의 차별적 활용은 지역의료의 최고 결정자라 할 수 있는 시장 혹은 군수, 그리고 보건소장의 관심 여부와 연결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공중보건의는 원격진료의 실질적인 수행자 역할을 하고 있지만, 원격진료에 실시에 반대하고 있는 의사회와의 관계, 실질적인 지역의료 여건의 개선 미비 등으로 원격진료에 대해 회의적 입장인 것으로 드러났다. 넷째, 원격진료 활용의 지역적 차별성으로 인해 나타나는 정보격차는 아직까지 가시적인 것은 아닐뿐더러, 다른 차원의 격차(의료격차, 지역격차 등)로 전이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나, 앞으로 원격진료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가 이루어질 것을 예상한다면 이에 대한 적절한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elemedicine, which gives or receives medical information via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s regarded as innovation in a medical field and its application is various according to offline conditions. For example, the utilization of telemedicine in Korea is unfair because of the administrative discretion, which is the basic unit of telemedicine for its practical operation, in spite of the same diagnostic area. With this min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ause of regional differences of telemedicine through a case of Kangwon province. Furthermore, the crucial matter is that regional dierences of telemedicine are associated with digital divide; therefore, this research considers digital divide triggered by telemedicine. The cor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little measures such as increase of the staff, economic compensation for public officials, education of telemedicine facilities; accordingly, only regions, where can accept these insufficient conditions, manage the telemedicine system. Second, the interesting of a mayor or a governor and a head of a health center as a highest decision maker has something to do with dierent utilization of telemedicine. ird, public health doctors play a role as practical operators in telemedicine, but their stance is skeptic about telemedicine somewhat because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medical association opposing the implementation of telemedicine, unimproved regional health care condition, etc. Forth, it seems that the digital divide caused by the regional differences of the present telemedicine utilization does not led to tangible results and is not turned to another disparity so far, the proper measures are required considering that various health care services based on telemedicine will be extended.

      • KCI등재

        일본 온천을 중심으로 본 물을 매개로 하는 치유의 경관에서의 여성적 요소

        박수경(Sookyung Park) 한국지역지리학회 2016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2 No.3

        본 연구는 물을 매개로 하는 물리적 치유의 경관이 갖는 신체적, 문화적, 공간적, 경제적 의의가 어떤 형태로 여성을 중심으로 하는 공간에서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이를 여성을 위한 쉼터로서의 기능, 여성을 위한 배려의 기능, 여성을 형상화한 기능으로 나눠 검토하는 것에 목표를 두고 있다. 여성을 위한 쉼터로서의 기능에는 신체적 의의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온천수와 온천욕, 분위기, 부대시설, 안전한 밤문화 등으로 구체화된다. 이러한 매개를 통 해 여성은 자유로움, 온천수가 온전한 상태로 회귀시켜주는 힘, 끊임없이 제공받는 치유의 장치, 안전하게 보호해주는 것, 마음을 열고 자연스럽게 타인과의 교류 등을 느끼게 된다. 다음으로 여성을 위한 배려의 기능에서는 물을 매개로 하는 치유의 경관이 갖는 문화적 의의가 두드러지게 되는데, 이는 온천에서 발견할 수 있는 문화이기도 하지만, 배려 에 바탕을 둔 일본의 문화가 자연스럽게 혼합되어 나타나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영버스, 오카미상 혹 은 나카이상의 서비스, 장식품, 장난스러운 설치물, 개인공간의 확보 등을 통해서 다양한 즐거움을 느낄 수 있고, 누 군가 지지해주고 혹은 지켜주고 있다는 느낌을 받게 되며, 신체적인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아름다움까지도 추구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여성을 형상화한 기능은 문화적, 공간적, 경제적 의의 등 폭넓게 나타나는데, 광고매체, 온 천과 관련된 표식, 신사, 오브제, 상품화된 매개체 등을 통해 다양하게 드러난다. 이러한 기능은 건강함, 쉼, 편안함, 친숙함 혹은 익숙함, 사랑이 이루어지거나 혹은 행복한 결혼 생활로 이어진다는 이미지 등으로 승화된다. 이상을 통해 온천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여성을 위한 치유의 요소는 자유로움, 안전함, 신체를 뛰어넘는 효과, 즐거움, 치유의 지속 성, 아름다움, 희망 등으로 수렴되며, 이러한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결합될 때 여성의 온전하지 않음은 온전함으로 회 복되는 치유의 효과가 드러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atter as to how the meaning of the physical therapeutic landscape by water, which is associated with physical, cultural, spatial, and economical aspects, appears in the space centering on women and is to look into the feminine factors in term of a rest area, consideration, and imagery for women. From a perspective of a rest area for women, the meaning of a physical aspect is remarkable and is materialized in thermal waters and bathing, atmosphere, subsidiary facilities and safe nightlife. According to these phenomena, female visitors are able to feel freedom, power, which can return themselves to the best condition by thermal waters, therapeutic equipments provided in a watering place continuously, safe protection and exchange with strangers with an open mind. And the cultural aspect of the therapeutic landscape by water is discovered in consideration for women. It is the fact that joins the Japanese culture based on consideration towards others to the traditional culture of hot springs by itself. For example, women can feel various pleasure, experience the protection or the support by someone and pursuit not only physical beauty but also mental or spiritual one through welcome bus, service of Okami san and Nakai san, decorations, funny installments and secure of private space. Lastly, the imagery of women can be identified in cultural, spatial, and economical aspects extensively somewhat and is embodied by advertising mediums, signs of hot springs, shrines, objets and products variously. It is made into healthiness, relaxation, comfort, familiarity and image that are realized to love or are connected to a happy marriage life. To sum up the results, the healing or therapeutic elements for women appearing in hot springs are gathered to some abstraction such as freedom, safe, effect beyond the body, pleasure, durability of healing or therapy, beauty and hope; furthermore, if these abstraction are combined each other closely, the effect of healing or therapy, which transforms anxiety into a stable condition, can be exposed externally.

      • KCI등재

        비정규직의 직무요구와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직무자율성 결여, 보상부적절, 자기효능감의 다중가산조절효과 검증: DRIVE 모델을 중심으로

        박수경(Park Sookyung),이선우(Lee Seonwoo),최현민(Choi Hyunmin)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7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55 No.-

        본 연구는 DRIVE모델을 이용하여, 비정규직 근로자의 직무요구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직무자원인 보상부적절, 직무자율성 결여 및 개인자원인 자기효능감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자는 서울과 경기지역의 비정규직 근로자 333명이며,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중가산조절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비정규 직 근로자의 직무요구는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요구와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는 나타난 반면, 보상부적절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직무요구와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직무자율성 결여 및 자기효능감 모두 조절효 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비정규직의 정신건강 향상을 위한 산업복지실천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to examine moderating effects of insufficient lack of reward, job control and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ffect of job demand on mental health of non-regular Workers based on the DRIVE model of Mark and Smith(2008). For this purpose, the participants are composed of 333 non-regular workers resided in Seoul and Gyeonggi-do, The PROCESS Macro program was used to examine the multi additive moderation model. The results are that first, the job demand were associated with mental health. Second, self-efficacy appeare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demand and mental health, but lack of reward did not. Third, both self-efficacy and insufficient job control moder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demands and mental health, which showed that multiple additive moderation effects were supported. Based on these results, there are need to develop the occupational social work practice program to improve the mental health of non-regular workers in South Korea.

      • KCI등재

        일본 플랫폼노동 종사자에 관한 법제 및 정책에 관한 연구

        박수경(Sookyung Park)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21 江原法學 Vol.62 No.-

        본 연구는 일본의 플랫폼노동 종사자에 대한 법제와 정책의 논의 동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본의 학계 및 정부도 플랫폼노동 종사자의 법적 보호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논의를 진행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와의 논의 동향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현재 일본 정부는 플랫폼노동 종사자 가운데, 크라우드 워크 등을 포함한 “고용유사한 일하는 방식을 하는 자” 또는 “자영형 텔레워크 종사자”에 대한 노동법상의 법적 보호에 대한 논의는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어떠한 방식 및 법률로 보호해야 할지에 대해서는 계속 논의를 거듭하고 있는 단계로서 구체적인 입법안 발의 등의 동향은 보이지 않는다. 일본에서는 크라우드 워크 종사자를 포함한 플랫폼노동 종사자는 그 대부분 이 고용계약이 아니라 개인도급을 중심으로 하는 계약형태에 의한 취업형태를 취하게 된다고 보아, 이러한 플랫폼노동은 특정 사용자의 지휘명령을 받고 “근로자”로 일하는 “고용관계”와는 다르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이들을 근로자가 아니라 “고용”과 “자영”의 중간적인 일하는 방식, 또는 자영업자, 개인사업주, 프리랜서, 개인업무도급 종사자 등으로 보고 있다. 일본은 개별노동관계법에서의 근로자에 대한 확장개념을 인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노동기준법상의 근로자로 인정받지 못하면, 기본적으로는 노동관계법령의 보호를 받지 못한다(노동조합법상의 근로자에 해당되면 단체교섭권 등은 인정된다). 그렇다 보니, 고용관계를 전제로 한 노동으로 근로자성이 인정되고 있지 못한 관계로, 노동기준법 및 노동조합법상의 보호가 미치지 않고 있으며, 산재보험 및 고용보험 등의 사회보장법 관계의 보호도 미치고 있지 못한 상태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일본에서는 고용유사한 일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새로운 입법을 마련하기 보다는 기존의 법 구조 안에서 대응하고자 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플랫폼노동 종사자에 대한 논의로는 근로자성을 확대하는 것이 아니라, 자영업자 중 일정한 보호가 필요한 사람에게 보호의 내용을 고려하여 별도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는 방법으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후생노동성의 자영형 텔레워크 가이드라인, 프리랜서 가이드라인의 활용과 독점금지법, 하청법 등의 종래의 경제법 및 가내노동법의 적용을 확대하여 플랫폼노동 종사자를 보호하는 방향으로 논의가 진행되고 있어 향후 논의의 향방이 주목된다. 물론 플랫폼노동종사자를 보호하기 위한 구체적인 입법의 동향은 없지만, 법의 보호의 사각지대에 있는 플랫폼노동 종사자에 대하여 향후 최종적인 입법화를 위한 중간적인 단계에서 일정한 보호 장치를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서 그 기능과 중요성을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rends regarding the legislation and policies for platform workers in Japan. In Japan, the government and academia discuss the legal protection of platform-mediated workers. For example, Japan’s government discusses the legal protection that labor laws afford to those engaged in an “employee-like working style” or “self-employed telework”, which includes crowd workers. However, although discussion of how to protect platform workers is ongoing, no specific trends regarding legislative proposals have yet been identified. In Japan, platform workers, including crowd workers, consider themselves to be employed through individual subcontracting contracts, not employment contracts. The Labor Standards Act treats such platform workers as different from employees in employment relationships, which are defined by the presence of two criteria: “usage dependency” and “economic dependency.” Rather than employees, platform workers are regarded as self-employed, individual contractors, independent contractors, or freelancers. Japan’s labor law does not extend its scope to include platform workers. This means that individuals not recognized as employees under the Labor Standards Act are not protected by labor laws. Nor are platform workers protected by social security laws. (Of course, when an individual is recognized as a worker under the Labor Union Act, that individual’s right to organize is recognized.) At present, there is discussion in Japan of expanding the scope of existing law to include such workers. In general, Japan tends to respond to the need for new legislation by modifying the framework of existing legislation. In the case of platform workers, Japan’s government is trying to address their protection by expanding the scope of two existing acts: the Subcontract Act and the Home Work Act. In addition, the Ministry of Health, Labor, and Welfare has the guideline for properly implementing self-employed telework. Although the guideline have no legal force for the protection of platform workers, they provide some protection for platform workers, who are currently situated in a blind spot regarding the law’s protection, and they provide time to evaluate the functionality and significance of legislation and policy before more specific legislation is created in the future.

      • KCI등재

        도장 선택 시 태권도지도자 역할과 학부모 만족도 및 학부모 소비행동의 관계

        박수경(Sookyung Park) 세계태권도문화학회 2024 세계태권도문화학회지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aekwondo coaches roles, on parents satisfaction and parents consumption behavior. In order to achieve this, a sample of 188 was drawn out of the parents who send their children to Taekwondo gym in Gyeonggi-do (Anyang, Bundang, Seongnam). The acquired data was analyzed through the descriptive statistic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from the SPSS 23.0 and AMOS 23.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aekwondo coaches roles had a positive effect on parents satisfaction. Second,it was found that Taekwondo coaches roles had a positive effect on parents consumption behavior. Third, it was found that parents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parents consumption behavior.

      • KCI등재

        일본의 상병수당 제도와 쟁점에 관한 연구 – 최근 개정과 코로나19 관련 대응을 중심으로 –

        박수경(Park, Sookyung) 한국사회보장법학회 2022 사회보장법학 Vol.11 No.1

        본 연구는 일본의 상병수당 제도의 최근 법개정 내용과 지자체에서의 상병수당 확대의 동향 등을 고찰한다. 우리나라는 2022년 7월부터 상병수당제도의 시범운영을 앞두고 있다. 이에 반해 일본에서는 건강보험제도가 시작되었던 1927년부터 건강보험급여의 한 가지로 존재한 상병수당제도의 내용과 운영현황, 운영상의 쟁점 등은, 앞으로 한국형 상병수당제도를 심화하고 확립하는데 있어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일본에서는 업무상외 질병 및 부상에 대하여 건강보험법의 피보험자인 피용자는 건강보험법상의 상병수당금 급여를 수급할 수 있다. 상병수당금 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요양을 위해서 일할 수 없게 되어 그 결과 연속하여 3일 이상 휴업하고 있는 것을 요건으로 하고 있다. 상병수당금의 지급액은 1일에 대하여 표준보수일액의 3분의 2 상당액으로, 회사에서 급여 일부가 지급되는 경우에는 상병수당금과 지급된 급여의 차액이 지급된다. 이 상병수당금의 지급기간은 통산하여 1년 6월간에 달할 때 까지 상병수당금을 수급할 수 있다. 이러한 상병수당금 제도의 운영상에 있어 사상병 휴직과의 관계, 자격상실 후의 계속급여, 연금, 산재보험, 고용보험 등 다른 보험 등과의 관계에서 우리나라 상병수당 제도 설계에 실무적인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일본 국민건강보험법의 피보험자가 되는 자영업자 등은 국민건강보험법상에 상병수당금은 임의급여로 규정되어 있어 지자체에 따라서 지급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코로나19로 인하여 비록 국민건강보험법상의 피용자인 단시간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여 특례적인 재정지원 형태로 상병수당금의 지급이 확대되었다. 일본에서는 피용자가 아닌 자영업자 및 프리랜서 등은 상병수당금 제도의 적용을 받고 있지 못하는 상황인데, 이러한 특례적인 상황에서의 적용이 아니라, 장기적인 관점에서 다양한 노무제공자로의 적용확대의 논의가 시작되고 있는 바, 이러한 논의의 과정과 결과도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cent revision of the Japanese injury and sickness allowance system and its expansion by local governments to cover COVID-19 in Japan. South Korea is set to test run its injury and sickness benefits system from July 2022. In contrast, the Japanese injury and sickness allowance was one of the benefits of the Health Insurance Scheme that was established in Japan in 1927. Consideration of the contents, operational status, operational issues, and problems of the Japanese injury and sickness allowance system will reveal lessons for deepening and establishing the Korean-style injury and sickness allowance system. In Japan, when an insured person (mainly an employee) is unable to earn a salary or other income while off work due to a nonoccupational sickness or injury, the health insurance system pays injury or sickness benefit per day off work, which is an amount equal to two-thirds of one’s average standard monthly remuneration over the most recent 12-month period (divided by 30), to help protect the insured person’s livelihood. The Japanese Health Insurance Scheme pays the injury or sickness benefit from the fourth day of illness for one year and six months in total. The design of the Korean-style injury and sickness benefits system can learn some practical lessons from Japan’s trials and errors concerning sick leave, continuous benefits after loss of qualification, and other insurance, such as pensions, worker’s compensation, and employment insurance. In the Japanese National Health Insurance Scheme, these benefits are voluntary under the law; an insured person (mainly self-employed, freelance, or part-time) is sometimes forced to be absent from work because of injuries or sickness that are not work-related. Thus, there is a disparity between employees and individuals enjoying the benefits of the injury and sickness allowance. Amid the COVID-19 pandemic, however, a person infected with COVID-19 can also benefit from the special temporary injury and sickness allowance system in Japan. This system is up to the regulations set forth by each municipality and is time-limited. In Japan, discussions on expanding the application of the injury and sickness allowance system to workers, including self-employed, freelancers, and platform workers, begin from a long-term perspective. Thus, the process and results of the discussion can be a good reference for developing a Korean-style injury and sickness benefit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