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현대사회의 언어성 분석에 기초한 상담의 윤리적 역할 재조명 : 내면적 치료에서 대화적 공동체 형성에로

        박세원 ( Seo Woen Park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5 초등도덕교육 Vol.0 No.47

        인간과 사회는 복잡하고, 중층적이고, 역동적인 형식과 내용으로 서로를 떼려야 뗄 수 없는 실체로 형성시킨다. 따라서 인간이 건강하게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관계적 실체가 어떤 구조로 존재하고 어떻게 서로를 형성시키는가에 대한 존재론적 해명이 절실히 필요하다. 인간과 사회는 모두 언어적 지평 위에서 기원하고, 형성되고, 또 변화한다. 즉, 인간과 사회를 서로 뗄 수 없는 실체로 상호 형성시키는 매개는 바로 언어이다. 과연 언어는 인간과 사회의 관계에서 어떤 자리에 있으며, 또 역사적으로 어떻게 서로를 형성해왔고, 또 현대사회의 언어성은 인간과 사회의 관계적 존재함에 어떤 속성으로 자리잡고 있는가? 이 글은 이러한 존재론적 문제를 해명하면서 오늘날, 그리고 미래사회에서 상담이 어떤 윤리적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지를 논한다. 결론적으로, 이 글은 상담이 내면적 치료에서 대화적 공동체 형성에로 그 패러다임을 옮겨갈 것을 주장하면서 대화교육을 상담과 윤리교육의 통섭적 지평으로 제안한다. Human beings and society are intimately linked and, thus, shape each other intricately, multi-layeredly, and dynamically. In order for human beings to live their own lives healthily, it is required to explain the fundamental structure of how the two aspects function interactively. There lies language in the hear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society, and it is language itself that interlink human beings and society. Indeed, Where does language shape its pla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society? Where do the linguistic attributes of modern society shape its pla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society? This paper discusses the role of counselling and psychotherapy through these kinds of ontological questioning and responding. Conclusively, this paper argues that the role of counselling and psychotherapy transfers its role from healing an individual`s inner self to shaping a dialogical community she or he is situated in through dialogical education.

      • KCI등재후보

        학생 이해에 기초한 교과교육과정 통합 재구성 전략: 도덕과를 중심으로

        박세원 ( Seo Woen Park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3 한국초등교육 Vol.24 No.4

        이 논문은 초등교사가 학생의 삶과 발달성에 대한 탐구와 이해를 기반으로 교과교육과정을 통합 재구성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국가교육과정 재구성의 근거는 공교육 행위가 본질적으로 학생각자의 삶을 위한 것이어야 한다는 당위성에 기초한다. 초등학교 시기는 신체적, 지적, 사회적, 심리적, 도덕적으로 최고의 성장기이다. 따라서 초등학생은 학년에 따른 발달성의 차이가 클 뿐만 아니라 그들이 가진 기질, 능력, 성격, 관심, 선행지식, 환경 역시 저마다 차이가 크다. 이러한 학년 발달성과 학생 개별성을 온전히 탐구하고 그 이해에 기초해 교육활동을 계획, 수행, 평가할 수 있는 주체는 교사이다. 이것이 교육과정 재구성의 문제에 있어서 교사가 전문성을 갖추어야 하고 그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자율성이 보장되어야 하는 근거가 된다.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은 맥락에 따라 다양한 차원들이 존재하지만, 이 논문은 현재 공교육에서 주요 관심사로 주목받고 있는 교과 간 통합 재구성을 주로 다루고 있다. 필자는, 먼저, 국가교육과정 재구성과 교사의 전문성의 관계적 의미를 밝히고, 다음으로, 초등학생의 발달성에 대한 이해와 국가교육과정 분석을 바탕으로 통합 교과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방법을 도덕교과를 중심으로 소개한다. 이 연구는 초등교사, 초등교사교육자, 질적연구자, 도덕과교육자들이 교과교육과정을 통합 재구성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This paper shows the methodological ideas of subject curriculum integratio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student life. The justification of teacher`s curricular reconstruction is grounded on the fact that all kinds of educational activities exist for the growth of each student. Every student is unique and different and this is why teachers are the ultimate subject in terms of curricular reconstruction. Specifically, teachers need to understand the individual and developmental differences of students and carry out the reconstruc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every student life. This is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why teachers should be equipped with their professional capability and autonomy in the matter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While there are various dimensions in the matter of teachers` curriculum reconstruction, this paper deals with the reconstruction of subject curriculum integration which draws high public attention these days. Accordingly, this paper, first, clar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teachers` professionalism, secondly, shows the methodological ideas of how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al differences of elementary children not to mention the analytical strategies of national curriculum, and, thirdly, suggests step-by-step strategies of how to reconstruct subject curriculum integration in detail. Accordingly, this paper implies that teachers and teacher educators should obtain the professional knowledge in the matter of subject curriculum integration.

      • KCI등재

        예비교사를 위한 존재론적 교과교육과정 개발 -`도덕과 교재연구 및 교수법`강좌를 중심으로

        박세원 ( Park Seo-woen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6 초등도덕교육 Vol.0 No.54

        윤리의 문제는 근본적으로 나와 타자의 삶을 이해하면서 대화로 상호적 삶을 형성하는 것에 근거한다. 이러한 맥락적 윤리의 관점에 근거해서 필자는 오랜 동안 예비교사들이 자신과 타자의 삶을 이해하면서 대화적 삶을 형성하도록 돕는 교과교육과정 개발에 노력을 기울여 왔다. 예비교사들은 탐구적 저널쓰기, 예술적 표현활동, 자서전 쓰기, 자전적 동화 창작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통해 삶의 맥락에서 윤리적 탐구를 수행하였고, 그 결과 예비교사들은 윤리교육의 의미와 방법을 자신의 흥미에 기초해 형성할 수 있었다. 이 글은 내용 중심으로 구성된 기존의 교과교육과정을 삶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대체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공할 것이라 기대한다. The issues of ethics are fundamentally grounded in the shaping of the person-to-person`s interaction of understanding and dialogue in a real-life context. Based on the contextual viewpoint of ethics, I have put a great effort to develop an ontological curriculum paving a route for the pre-service teachers to understand and dialogue the self and others in an ontological way. While helping them to experience their ontological inquiry through inquiry based journal writing, artistic expression, autobiographical writing, and children`s fairy story making, I was able to notice that they had shaped their own life meanings, contents, or methodologies of ethics and ethics education based on their own interests or choices. Accordingly, this paper is expected to provide teacher educators with an alternative idea with which they would be able to replace the content-based curriculum with a life-based curriculum.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교사됨의 의미 형성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교사는 스스로의 언어로 아동과의 대화적 삶을 이야기하고 살아내는 만큼 존재한다

        박세원 ( Seo Woen Park ),김윤미 ( Yoon Mi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0 교육과정연구 Vol.28 No.1

        이 글은 김교사가 힘겨운 삶을 살아가던 그녀의 초등학교 4학년 제자 명환(가명)이의 존재를 탐구하는 과정에서 그와의 대화적 삶을 이야기하고 살아내면서 교사로서의 존재 의미를 자신의 언어로 형성해가는 이야기이다. 날이 갈수록 표준화, 도구화, 조작화, 정형화의 언어가 지배하는 오늘날의 교육문화 속에서, 또 그 언어들이 지시하는 수많은 학교행사와 잡무들로 바쁜 일상 속에서, 공립학교 초등교사는 아동의 삶을 있는 그대로 온전하게 이해하고, 그 이해를 기초로 개별적인 교육활동을 전개하기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 연구에서 김교사는 보살핌의 결손으로 인해 수많은 부적응 행동을 보이는 명환이의 존재를 관찰, 면접, 저널쓰기, 인공물 수집과 분석을 통해 온전히 이해해가면서 스스로의 언어로 명환이의 성장을 투사하고, 교육적 역할을 찾고, 실천하면서 그와의 상호적 존재 의미를 대화적으로 형성해간다. 이 과정에서 그녀는 기존에 소유하고 있던 일방적 타자의 언어들(`학습부진 아동`, `문제 아동`, `부적응 아동` 등)을 자신의 언어로 재개념화 해나간다. 또한 그녀의 존재론적 탐구는 대화성, 이야기성, 실천성을 조화롭게 꿰어내면서 연구를 그저 연구물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존재 구성적 삶으로 창조하도록 도왔다. 탐구의 결과는 질적 연구를 통해 아동 존재를 보다 온전히 이해하면서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바람직하게 형성하는데 관심을 가진 교사와 교사교육자에게 공명될 수 있다. This paper is a story about an elementary teacher who constructed the dialogical meaning of becoming a teacher with her 4th grade student, Myunghwan. He was regarded as a `maladjusted student` having a variety of `misbehaviour problems` due to the lack of family caring. Despite of her strong preoccupations of maladjustment regarding him, she continued to uncover the whole meaning of his existence based on the ontological question of `what is his life like?` partly through going between parts and the whole and partly through using various research methods such as interview, observation, artifact analysis, journal writing. In the process of her inquiry, she not only reconceptualized her preoccupations meaningfully but also threaded a dialogical life text with her own language. Her inquiry was not just limited to an interpretive research text but actively threaded dialogue, story, and practice into the research, which ultimately shaped it into a storied life text. The results of the study resonate with educators whose interests lie in teacher`s identity shaping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 KCI등재

        교사의 교육 활동에서 내러티브 탐구 과정이 가지는 의미

        박세원 ( Seo Woen Park ) 한국교육인류학회 2007 교육인류학연구 Vol.10 No.1

        우리가 교육을 하는 목적도, 교육이 존재하는 이유도 아동 각자의 자기다운 성장을 위해서라는 데는 의문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그리고 교육이 각 아동의 자기다운 성장을 가져오게 하려면 무엇보다 교사의 존재적 성장이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밖에 없다. 내러티브 탐구는 교사가 아동들과의 관계 속에서 자신의 개인적, 실천적 경험과 지식을 말하고 다시 말하는 이야기적 자기 구성 경험을 통해 아동의 성장에 기여할 수 있다고 믿는다. 먼저, 이 논문은 교사연구자가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왜 그리고 어떻게 자신과 각 아동에 대한 관계적 이해를 형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계획, 조직, 실행, 평가의 주체자로서 성장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지 소개한다. 다음으로, 이 논문은 교사 연구자가 내러티브 탐구를 기반으로 자신의 교육 활동을 전개하고 이를 연구 텍스트로 형성하는 방법과 과정을 소개한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에서 필자는 내러티브 탐구가 교사로 하여금 자신의 교육 활동을 하나의 공유된 이야기적 삶으로 실현하게 도움으로써 자기다운 교사 정체성의 형성과 계발은 물론 교육과정 전문가로서의 성장을 도울 수 있음을 말하려고 한다. There will be no doubt that the goal of education is to help each child to have the capacity to live one`s own purpose and meaning in harmony with others. Thereupon, whose role should be central in curriculum planning among all of the educational agents to realize this goal? This paper emphasizes that teachers should play the central role in curriculum planning. Narrative inquiry is based on the belief that children`s ontological growth is inextricably intertwined with teachers` own ontological growth best made out of the telling and retelling of their personal-practical knowledge. Firstly, this paper shares ideas on why and how narrative inquiry helps a teacher to shape and reshape the relational understanding of children, a teacher, curriculum matters, and environment. Secondly, this paper shares ideas on how a teacher shapes and reshapes one`s teaching practices based on one`s contextual understanding of curriculum. Thirdly, this paper shows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 of narrative inquiry in teachers` teaching practices with a portion of narrative writing tips. This paper eventually tells that narrative inquiry helps a teacher to shape one`s unique teaching practices into a meaningful storied life, which ultimately helps one to grow as a good teacher and curriculum planner for the unique life of each child.

      • KCI등재

        존재론적 탐구로서의 저널쓰기: 예비교사의 자기 정체성 형성 이야기

        박세원 ( Seo Woen Park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2 교육인류학연구 Vol.15 No.1

        이 글에서 필자는 예비교사로서의 정체성 형성을 주제로 이루어진 저널쓰기를 통해 자기 정체성을 실존적 힘과 언어로 형성해가는 현주(가명)의 존재 여정을 이야기한다. 현주는 저널을 써 나가면서 지금까지 자신의 삶의 여정에서 공부란 것이 억압적인 세상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하는 유일한 수단으로 존재해왔음을 자각하고, 계속적인 저널쓰기를 통해 공부를 세상과 함께 소통하면서 대화적 존재 의미를 찾아가는 경험으로 받아들인다. 사실 현주의 저널은 세상과 마주하고자 하는 간절함과 함께 그러한 대면적 체험에 대한 두려움 사이의 긴장이 지속적으로 전개되는 과정에서 끝이 난다. 하지만 그녀의 저널은 그러한 긴장의 연장선 위에서 여기저기 흩어진 자신의 단편적인 삶의 퍼즐들을 자신만의 일관된 의미로 꿰어내려는 탐색적 몸부림이 고스란히 담겨져 있다. 그녀에게 있어서 존재론적 탐구 공간으로서의 저널쓰기는 나-세계, 나의 과거-현재-미래를 실존적 힘과 언어로 소통시키고 꿰어가면서 가장 자기다운, 그러면서도 가장 대화적인 삶의 텍스트를 창조하는 힘을 부여하도록 도왔다는 점에서 의미와 중요성을 가진다. 이 글에서 필자는 예비교사들의 바람직한 자기 정체성 형성을 돕고자 하는 교사교육자들에게 존재론적 탐구로서의 저널쓰기의 과정, 실체, 의미, 방법을 함께 공유하고자 한다. This paper is a storied account of a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Hyeonju (pseudonym) who has shaped her self-identity of becoming an educator with her own existential power and language in a space of reflective journal writing. In the first part of her story, she wrote of becoming aware that learning in her life has continued to exist as the only means to defend herself against the oppressive, alienating world. As she continued, she made another existential discovery that learning is an experience of threading a dialogical life text between I-The World. However, her journal writing has come to an end in the midst of the constant tension between her eagerness for the dialogicality and the fear of facing it. Her journal writing is understood as an inquiring struggle to thread her disconnected multiple selves scattered here and there in the past like lost puzzles in a coherent dialogical life meaning. As an ontological inquiry, her journal writing has meaning and significance in that it enabled her to knit the most unique and dialogical life text with her own language party by going between herself and the world in which she is situated, and partly by going between her past, future, and present. Ultimately, this paper is meant to share the process, reality, meaning, and method of pre-service teachers’ journal writing with the teacher educators whose interest lies in the shaping of pre-service teachers’ self-identity.

      • KCI등재

        왜 존재론적 탐구인가?: 탐구의 존재론적 자리매김과 탐구론적 전경 재구축

        박세원 ( Seo Woen Park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4 교육인류학연구 Vol.17 No.3

        오늘날 수많은 탐구방법론이 인간사회에 존재한다. 그리고 인간은 그것들을 학문적 탐구와 일상적 탐구, 과학적 탐구와 인문학적 탐구(혹은 비과학적 탐구), 양적 탐구와 질적 탐구, 그리고 질적 탐구 안에서도 문화기술적 탐구, 심리분석적 탐구, 현상학적 탐구, 해석학적 탐구, 내러티브 탐구, 근거이론적 탐구 등으로 구분하고 저마다의 경계지 안에서 특정 탐구방법론을 수행한다. 그런데 인간은 그 특정의 길(탐구방법론) 속에 갇혀 쉽게 망각하는 것이 있다. 지금 가는 그 길이 근원적으로 무엇을 위해, 그리고 왜 가는지 말이다. 인간의 모든 삶, 의식, 행동, 그리고 탐구 행위의 배경에는 ‘(무엇이) 어떻게 있는가?’와 ‘(무엇을) 어떻게 있게 할 것인가?’의 지향적 구조가 깔려있지만 그는 바로 그 ‘있음’의 의미를 망각하는 것이다. 일찍이 Heidegger가 지적한 것처럼 존재 문제는 그 어떤 물음보다 존재(론)적 우위에 있는 가장 본래적인 물음이다. 그리고 존재 문제는 언제나 인간이 세계-내-존재라는 존재 구조 속에서 발생하고 해명된다는 점에서 탐구는 언제나 내가 이 세상과의 관계 속에서 ‘어디에 어떻게 있고, 또 있게 할 것 있는가?’에 대한 실존론적 존재론의 성격을 가진다. 이 글은 ‘인간의 삶에서 탐구는 어디에 어떻게 있어야 하는가?’에 대한 필자의 존재론적 탐구의 과정을 통해 여러 가지 탐구방법론들의 전경들을 재구축하면서 그것을 본래 있어야 할 자리로 되돌리려는 시도이다. Today, a variety of inquiry methodologies exist in human society. Human beings oftentimes classify them into the bipolar system of disciplinary vs. everyday, scientific vs. humanistic (or non-scientific), quantitative vs. qualitative, and, even in the umbrella of qualitative inquiry, they tend to classify them into ethnographic inquiry, psychoanalytic inquiry, phenomenological inquiry, hermeneutic inquiry, narrative inquiry, grounded theory, etc. And most of the inquirers perform their inquiry within the borderlands of the unique inquiry tradition she or he is situated in. By the way, they are easily lost in oblivion in their way of researching in relation to the questioning of ``Why and for what are they walking in the methodological way?``. There lies the directional structure of ``How does (something) exist?`` and ``How can something be brought into existence?`` in the background of a human`s life, consciousness, action, and inquiry behaviour. Heidegger earlier pointed out that Being is self-evident and the most universal concept, and, thus, the question of Being is prior to all other ontical questions.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question of Being is raised and explained in the ontical-ontological conditions of Being-in-the World, inquiry aims to raise and explain the question of ``Who am I?`` and ``How and where can I exist in relation to the world?``This paper is an attempt to reposition inquiry into its original place by reshaping the current landscapes of a variety of inquiry methodologies based on the ontological questioning and interpretation of where and how inquiry exists in human beings` liv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