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초 함량을 달리한 차잎 피클의 저장중 품질 및 항산화특성

        박보람,박진주,황인국,한혜민,신말식,신동선,유선미,Park, Bo-Ram,Park, Jin-Ju,Hwang, In-Guk,Han, Hye-Min,Shin, Malshick,Shin, Dong-Sun,Yoo, Seon-Mi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14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0 No.4

        조미액의 식초 함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차잎 피클의 pH는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소폭 감소하였고, 총산도는 증가하였다. 차잎 피클의 색도는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L값은 감소, a값은 증가함을 보였으며 식초 20% 실험군을 제외하고는 L값의 저장기간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p<0.05). 경도는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꾸준히 감소하였는데 식초 10% 실험군은 15일부터 식초 20%, 30% 실험군은 5일부터, 식초 40% 실험군은 3일부터 경도에 유의적인 차이가(p<0.05) 나타난 것으로 보아 조미액의 식초함량이 피클의 연화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며 조미액의 식초의 함량에 따라 경도 감소 시기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은 조미액 별 산성 조건이 다르므로 탈메틸화(demethylation)가 진행되는 정도의 차이 때문인 것이라 사료된다. 관능검사 결과 떫은맛의 기호도는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대체로 증가하였으며 전반적 기호도는 식초 함량 40% 실험군 제외한 모든 실험군에서 20일차에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p<0.05) 그 중 식초 함량 20% 실험군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차잎피클 제조시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총 페놀화합물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식초 함량 40% 실험군에서 가장 많이 감소함을 보였다. 또한,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도 저장기간에 따라 꾸준히 감소하며 조미액의 식초의 함량 40% 실험군에서 가장 많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 볼 때 조미액의 식초함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차잎 피클은 식초 20% 함량으로 저장 20일차에 섭취할 때 전반적인 기호도가 가장 우수하며 저장기간에 따라 항산화 화합물 함량 및 항산화 활성능이 감소하므로 가능한 빠른 시일에 섭취하는 것이 생리활성 물질의 이용면에서 우수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ea leaf pickle with different pickling solutions. Blanched tea leaf at $100^{\circ}C$ for 3 min was pickled using pickling solutions (mixture of water, soy sauce, sugar and vinegar) with different vinegar contents (10, 20, 30 and 40%, v/v). and stored for 30 days at $4^{\circ}C$. The color values, hardness, pH, total acidity, sensory evaluation, antioxidant compound contents, DPPH radical scavenging and ABTS radical scavenging of the pickled tea leaf during storage were determined. The pH of tea leaf pickles decreased consistently and total acidity was increased during storage. The L-value of tea leaf pickles was decreased and the a-value was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storage; however, the b-value had no significant changes (p<0.05). The hardness of the tea leaf pickles decreased consistently during storage. On the sensory evaluation, the highest score of overall acceptance was presented to the tea leaf pickle using a 20% vinegar pickling solution stored for 20 days. The antioxidant compoun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consistently decreased during storage; further, the experimental group of vinegar with 20% content tea leaf pickle displayed the lowest antioxidant compound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 KCI등재

        가열 조건을 달리한 단호박 페이스트와 검 종류별 단호박 라떼의 품질특성

        박보람,김나정,유선미,한귀정,김하윤,한혜민,신동선,신말식,Park, Bo-ram,Kim, Na-Jung,Yoo, Seon-Mi,Han, Gwi Jung,Kim, Ha Yoon,Han, Hye-min,Shin, Dong-Sun,Shin, Malshick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15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1 No.3

        가열 조건에 따른 단호박 페이스트를 제조하기 위해, 단호박을 15분 간 초벌 증숙한 뒤, 고압가열 처리 0분(A), 10분(B), 20분(C), 40분(D) 실시하여 실험군의 품질특성 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일반성분의 경우, 대체적으로 고 압가열 처리 유무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관찰되었으며, 고압가열 처리한 B, C, D 실험군의 수분함량, 조단백질, 조섬유가 고압가열 무처리군 A에 비해 감소하였고, 가용성 무질소물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열 조건별 단호박 페이스트의 수용성식이섬유는 고압가열 20분 처리군인 C의 측정치가 2.02로 가장 높았으며 무처리군인 A의 1.60 보다 증가하였고, 고압가열 처리 40분의 경우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의 L 값은 고압가열 무처리군인 A가 52.20에서 고압가열 처리 10분, 20분, 40분으로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각각 50.33, 49.46, 48.06으로 감소하였고, a 값과 b 값 또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감소하였다. 현미경을 통한 단호박 페이스트의 현탁액 입자를 관찰한 결과 카로티노이드를 포함하는 유세포가 관찰되었으며 고압가열 처리와 그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단호박 유세포의 변형이 뚜렷하게 관찰되었으나, 부유안정성 실험 결과 실험군 A, B, C, D 간 차이가 없었다. 이때, 가열조건의 선택은 수용성 식이섬유의 증가, 환원당 증가, 단맛의 관능특성이 유의적으로 높고, 전반적 기호도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 고압가열 처리 20분인 C 실험군으로 결정하였다. 선택된 조건의 단호박 페이스트에 식품가공 시 널리 사용되는 검류인 xanthan gum, locust bean gum, guar gum을 단호박 페이스트에 종류별로 첨가하여 부유안정성을 확인하였는데, 이 결과 guar gum, locust bean gum, xanthan gum 순으로 부유안정성 효과를 나타냈으며 locust bean gum과 xanathan gum은 비슷한 정도의 효과를 보였다. 또한 관능검사를 통한 기호도 확인 결과 텍스쳐와, 전반적인 기호도가 가장 우수했으므로 locust bean gum(0.2%) 첨가 단호박 라떼의 품질이 가장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For the production of pumpkin paste with respect to heating conditions, we steamed the pumpkin for roughly 15 min, heated it with high pressure treatment for 0 min (A), 10 min (B), 20 min (C), 40 min (D), and subsequentl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Gener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pumpkin paste treated with and without high-pressure heat. The values of water content, crude protein and crude fiber of the high-pressure heat-treated groups B, C, D were decreased compared with untreated group A. The soluble fiber in experimental group B sweet-pumpkin paste treated with high-pressure heat for 20 min was higher than the control, and the highest value at 2.02. Experimental group D sweet-pumpkin paste treated with high-pressure heat for 40 min was found to have a decreased soluble fiber content relative to the control. The L value for the color of the group A untreated control sweet-pumpkin paste (no high-pressure heating) decreased as the time increased from 10 min to 40 min, with L values of 50.33, 49.46, and 48.06, respectively. The b value for the color of the sweet-pumpkin paste also decreased,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Taking into account all the results, we chose experimental group B in order to prepare sweet-pumpkin latte. We used 0.2% gum (xanthan gum, locust bean gum, guar gum) as a stabilizer. Sweet-pumpkin latte with xanthan and locust bean gum has a suspension stability effect that lasts 90 min. The L and b values of sweet-pumpkin latte with gums increase and a value decrease compared with the control. In terms of the overall acceptance of the sweet-pumpkin latte, the experimental group with xanthan gum scored the best.

      • KCI등재

        브랜드의 정의에 관한 고찰 - 어원과 제도적 관점을 중심으로 -

        박보람(주저자) ( Park Bo Ram ),박보람(교신저자) ( Park Bo Ram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7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6 No.1

        브랜드에 관해서는 유독 여러 정의들이 존재하여 학제적 논의의 복잡성이 높다. 이에 그동안 산발적으로 흩어져있는 브랜드에 관한 정의들을 총체적으로 분류,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는 브랜드의 응용 연구에 비해 학제적 개념 연구가 현저히 부실한 국내 브랜드 연구에 특히 필요한 콘텐츠다. 우선 총론에서는 브랜드에 관한 다양한 문헌 연구를 종합 분석하여 여러 정의들을 추출, 재분류하였다. 브랜드의 정의를 크게 상업적 문맥이 본격적으로 형성되기 이전의 어원적 정의와 제도적 관점에서의 정의, 그리고 본격적인 상업적 문맥이 형성된 후, 공급자 관점, 수요자 관점, 그리고 그 둘간의 관계 혹은 상호작용 중심의 정의로 나누었으며 이들을 <표1>로 정리하였다. 각론에서는 어원적 정의와 제도적 관점에서의 정의를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Brand`가 `brandr(불타는 나무)`라는 명확한 단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burn`과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또한 이것이 cattle-branding을 거치면서 현대적 의미를 갖게 된 과정을 통하여 브랜드의 개념과 역사를 짚어보았다. 이와 함께 브랜드의 `법적 선언`인`trademark`로서의 브랜드 의미를 살펴보고 브랜드가 생산자 및 소비자의 보호와 행정적 관리, 관련 산업의 육성 등을 가능케 하는 사회의 중요한 법적, 제도적 시스템으로 정착되는 과정을 분석했다. 결론적으로 어원적 정의와 제도적 관점에서의 정의는 브랜드의 역사를 고스란히 반영하고 있는 가장 본원적이며 사전적인 정의임을 강조하였다. 이는 이후 브랜드와 관련된 여러 응용 연구에 있어서 그 개념적 초석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There are many definitions around brand. It complexify academic literature. Thus, this study collected meaningful definitions among many statements about brand and analyzed and classified them by available perspectives. This is especially necessary contents in domestic brand study, which is short of concept research about brand. Various literatures are refereed to brand definition introduction. But to etymological definition, several European linguistic theses are deeply reviewed and to institutional definition, wide range of information such as history, law and society is refereed. Total brand definitions are classified in < table1 >. It is divided into 2 parts which are non-commercial context (etymological and institutional definition) and commercial context (producer, customer and the relation or interaction between producer and customer). In etymological definition, the word origin is clear word `brandr` which means `burning wood` and cattle-brand made this `brand`. In legal definition, legal and institutional meaning of `trademark` is examined. Etymological definition and institutional definition are fundamental and lexical definition which show brand history. These are foundation stones in brand studies.

      • KCI등재

        조직의 창의적 역량 제고를 위한 실패 관리 연구 - Design Thinking 방법론 및 강화이론을 활용하여 -

        박보람 ( Park Bo Ram ),남승윤 ( Nam Seung Eun ),박보람 ( Park Bo Ram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6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5 No.6

        창의적 혁신 없이 살아남기 힘든 사회에서 실패의 의미는 달라져야 한다. 실패를 재기 불능의 낙오가 아닌, 혁신을 위해 반드시 수반, 활용되어야 할 과정으로 인식하고 이를 위한 적극적인 관리 체계를 마련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시점에서 실패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주목을 받게 된 것이 `빠르고 저렴한` 실패를 강조하는 `Design Thinking`방법론이다. 그러나 이것은 프로토타입의 제작이 용이한 분야에서 적용하기 적합한, 미시적 방법론의 한계를 갖는다. Design Thinking에서 강조하는 `실패의 신속한 반복`이라는 핵심을, 여러 분야의 조직에서 적용될 수 있도록 보강할 필요가 있는데,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직 행동의 강화 이론을 활용하였다. 우선 사례 분석을 통해 실패는 공유를 통해 조직의 자산으로 구축될 수 있으며 동시에 이에 대한 적절한 강화조치는 조직의 새로운 시도를 촉진함을 확인하였다. 조직은 이 과정을 통해 창조적 학습이 가능하고 바람직한 시도의 증가라는 선순환이 이루어진다. 이를 유형별로 정리하고 강화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동일한 시도가 일어나는 것이 바람직한가 그렇지 않은가`의 행동 강화를 기준으로 실패를 판단할 것을 제안하였는데 이것은 판단과 동시에 적절한 강화조치가 취해지면서 신속하게 조직 구성원의 새로운 시도를 강화하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실패를 공유하여 자산으로 구축하고 동시에 행동 강화를 기준으로 판단하여 그에 따른 적절한 강화조치가 취해지면, 다시 혁신적인 시도가 증가하는 선순환 구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 순환의 신속하고 유기적 반복은 실패를 통한 창조적 학습을 가능케 하여 조직의 혁신 가능성을 높인다. Digital technology created business environment that is difficult to survive without creative innovation. As for that, the meaning of the failure has changed as well. Understanding failure as inevitable means for innovation but not as failure being beyond recovery, the increased efforts are being put into arranging active management system for it. By eliciting changed perception on failure and actively exercising it, `Design Thinking` methodology, which stands on the basis of quick failure, received attention. However, it has its limits as such methodology is only facilitated effectively in a field where making prototypes are easy. This study proposes failure management system that can enhance innovative competence of organization by helping overcome the fear of failure, inducing new ventures persistently and selectively reinforcing the advisable attempts at the same time from the perspective of organizational behavior. Case study on successful failure management make clear that failures can become organization`s asset and motivate new venture by appropriate reinforcement action. On the conclusion virtuous cycle which increases innovative attempts is possible when the failures are judged by reinforcement criteria, made into asset by appropriate share system. Repeating this cycle promptly and organically raises the possibility of innovation by creative learning by failure.

      • KCI등재

        시민교육을 위한 성적 시민성 개념 연구

        박보람 ( Park Bo-ra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20 윤리교육연구 Vol.0 No.58

        성적 시민성 개념은 시민권의 렌즈를 통해 성을 보기 시작하면서 생성된 개념이다. 본 논문에서는 시민교육에서 새롭게 등장한 성적 시민성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성적 권리와 관련하여 전통적 시민성 개념이 지닌 불완전성을 밝히고, 다이앤 리차드슨의 연구를 중심으로 성적시민성 이론이 평등의 관점에서 차이, 다원주의 관점으로 발전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더불어, 성적 시민성에 관한 논의가 재생산 시민성, 성의 새로운 경계, 성 제국주의 차원에서 재고될 필요성이 있음을 밝히면서, 성적 시민성에 대한 시민교육 방향을 제안한다. The concept of sexual citizenship was created from the beginning of seeing sexuality through the lens of civil rights. In this study,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sexual citizenship newly emerged in citizenship education, in relation to sexual rights, the incompleteness of the traditional concept of citizenship is revealed. Focusing on Diane Richardson's research, it looks at the process of the developing of the theory of sexual citizenship from the perspective of equality to the perspective of difference and pluralism. In addition, the discussion on sexual citizenship reveals the need to reconsider in terms of reproductive citizenship, new boundaries of sexual, and sexual imperialism, and proposes a plan for citizenship education for sexual citizenship.

      • KCI등재

        인성교육에서 덕의 실행으로서 행복 -긍정심리학의 덕목 가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

        박보람 ( Park Bo-ram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18 倫理硏究 Vol.118 No.1

        교육은 진정한 행복이 무엇인지에 대해 숙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인성교육은 학생들이 행복한 삶을 살아가기 위한 요건으로 인성 덕목의 함양을 중시한다. 인성교육에서 중시하는 인성 덕목은 오늘날 긍정심리학에서 중시하는 인성 강점과 유사하다. 셀리그만은 덕을 행함으로써 행복이 증진된다는 덕목 가설을 가치중립적인 경험적 연구 결과를 사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행복과 덕목의 개념을 불분명하게 정의하고, 행복과 덕목의 관계를 불충분하게 설명한다. 그 결과 덕목을 사회적 가치로 여기고 행복을 주관적 만족감으로 간주하게 함으로써 개인의 이기적인 행복 추구가 가능하게 만든다. 학생 개인이 인성을 함양 하여 행복을 증진하도록 조력하는 인성교육의 목표가 제대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긍정심리학의 덕목 가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진정한 행복은 도덕적 함의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정의되어야 한다. 그리고 행복을 증진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덕목은 일방적으로 표준화되거나, 주관주의에 빠지거나, 성급하게 일반화되어서는 안 된다. Education must offer opportunities to contemplate what is true happiness. Character education emphasizes the cultivation of personality virtues as a requirement for students to live a happy life. The personality virtues that are regarded important in character education are similar to character strengths which are valued in positive psychology today. Seligman views that the virtue hypothesis that happiness is promoted by exercising virtue can be explained using value-neutral empirical research results. However, selfish individual pursuit of happiness becomes possible when the definitions for happiness and virtue are unclear and the explanati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re inadequate, and by regarding virtue as social value while happiness as subjective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critically examine the virtue hypothesis of positive psychology in order to realize the goal of character education to help individual student develop character and promote happiness. True happiness should be defined in a way that includes moral implications. And the virtues that is required of a person to promote happiness should not be unilaterally standardized, fall into subjectivism, or prematurely generalized

      • KCI등재

        소셜미디어 의존도가 윤리적 민감성에 미치는 효과 분석

        박보람 ( Park Bo-ra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9 윤리교육연구 Vol.0 No.51

        본 연구는 초간단 소셜미디어의 빈번한 사용이 공감을 방해하여 도덕의 피상성을 높인다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우리나라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을 대상으로 소셜미디어 이용 빈도, 용도, 분야가 소셜미디어 의존도, 윤리적 민감성, 윤리적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전반적으로 소셜미디어 이용 빈도가 높을수록 미디어 의존도와 윤리적 민감성은 높고, 윤리적 리터러시는 낮게 나타났다. 이는 빈번한 소셜미디어 사용이 도덕의 피상성을 높인다는 선행연구와 배치된다. 오히려, 소셜미디어 환경에서 청소년의 도덕적 피상성을 줄이고 윤리적 민감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소셜미디어 이용 시간과 빈도를 줄이는 것보다 교육적 개입을 통해 소셜미디어를 이용 분야를 TV·연애, 웹툰등의 흥미와 오락거리에서 책·문화, 기술·과학 등의 정보로 소셜미디어 활동의 외연을 넓히는 것이 중요하다. 소셜미디어 콘텐츠를 다양한 관점에서 숙고하고 도덕적으로 성찰할 기회를 마련해 주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ypothesis that frequent use of social media interferes with sympathy and increases the superficiality of morality. This study examines the hypothesis that frequent use of short - term social media interferes with empathy and increases morality. We investigated the frequency of social media use, its uses, and its effects on social media dependence, ethical sensitivity, and ethical literacy. Overall, the higher the frequency of social media use, the higher the media dependence and ethical sensitivity, and the lower the ethical literacy. This is in line with previous studies that use frequent social media to enhance the superficiality of morality. Rather, in order to reduce the moral superficiality and increase ethical sensitivity of youth in social media environments, it is necessary to broaden the use of social media into books, culture, technology, and science through educational intervention rather than reducing social media use time. Social media content needs to be pondered from various viewpoints and given an opportunity to reflect mor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