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포도 품종별 과립 성숙에 따른 당 조성 및 품질 변화 비교

        마쓰모토가즈히로(Kazuhiro Matsumoto),김병기(Byung-Ki Kim),부티킴완(Vu Thi Kim Oahn),서정학(Jeong-Hak Seo),윤홍기(Hong-Ki Yoon),박문균(Mun-Kyun Park),황용수(Yong-Soo Hwang),천종필(Jong-Pil Chun) 한국원예학회 2007 원예과학기술지 Vol.25 No.3

        우리나라 주요 재배 포도 6품종을 공시하여 변색기 이후 성숙기간 중 품질, 착색 및 당축적 패턴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모든 품종에서 과립의 성숙과 더불어 경도가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성숙기에 10N 이하로 떨어졌고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과립의 성숙과 더불어 증가하였고 산 함량은 꾸준히 감소하여 성숙기에 0.5% 이하였다. 과피의 안토시아닌 축적은 품종에 따라 절대 수준은 큰 차이가 있었으나 과립의 성숙과 더불어 증가하는 경향이었는데 당산비의 증가와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과피의 L<SUP>*</SUP> 값은 변색기 이후 급격히 감소하였고 CIRG 값과 당산비간의 상관계수는 ‘캠벨얼리’(r = 0.802, P<0.05), ‘거봉’(r = 0.853, P<0.01) 및 ‘흑구슬’(r = 0.831, P<0.05)로 유의하였다. 과립내에 축적되는 당의 성분을 과즙을 이용하여 HPLC로 분석한 결과, ‘델라웨어’, ‘캠벨얼리’, ‘거봉’, ‘흑구슬’, ‘MBA’는 환원당 축적형으로 그리고 ‘새단’은 자당 축적형으로 나타났는데 환원당 축적형 품종에서는 성숙이 가까워질수록 포도당의 비율이 급격히 증가하여 과당의 격차가 커지고 자당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되었다. Berry quality, coloration and sugar accumulation pattern were examined in 6 varieties of grape (Vitis labruscana B.) during ripening after verasion. Considerable drops of berry firmness (<10 N) and titratable acidity (<0.5%) were found at ripening stage, while the content of soluble solid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long with the ripening process. Total levels of anthocyanin content among the cultivars were different, the concentration of anthocyanin sharply increased coinciding with the sugar accumulation in berries showing high correlation (r=0.956, P<0.01) with maturity index (brix/acid) regardless of cultivars. L value of berry skin decreased after veraison. Correlations between color index for red grape (CIRG) and sugar/acid ratio were found in cultivars including ‘Campbell Early’ (r=0.802, P<0.05), ‘Kyoho’ (r=0.853, P<0.01), and ‘Heukguseul’ (r=0.832, P<0.05). Sugar analysis of extractable juice by HPLC revealed that cultivars such as ‘Delaware’, ‘Campbell Early’, ‘Kyoho’, ‘Heukguseul’, and ‘MBA’ belonged to reducing sugar accumulating group at maturity and ‘Sheridan’ showed sucrose accumulation one. The rapid accumulation of glucose at ripening in former cultivars resulted in the increase of glucose/fructose ratio. These characteristic pattern of sugar accumulation may have a potential for the development as objective ripening index.

      • KCI등재

        대립계 포도 천창개폐형 비가림하우스의 최적 파이프 규격

        염성현(Sung Hyun Yum),윤남규(Nam Gyu Yun),김경원(Gyeong Won Kim),이성현(Sung Hyoun Lee),조용호(Yong Ho Cho),박서준(Seo Jun Park),박문균(Mun Kyun Park)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5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4 No.2

        본 연구는 기존 비닐하우스 아연도 강관을 사용한 하우스 폭 3.6m와 5m 천창개폐형 대립계 포도 비가림히우스에 대한 구조적 안전성을 검토하고, 인장강도 400Nㆍ㎜?²(SGH400 등) 이상의 파이프를 사용하는 조건에서 하우스 폭 5m인 천창개폐형 대립계 포도 비가림하우스에 대하여 구조적으로 안전한 최적 파이프 규격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주기둥 3m×서까래 60㎝인 천창개폐형 3.6m 비가림하우스의 경우, 적설심 35㎝에서는 구조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측면 및 전후면 풍속 35mㆍs?¹에서는 불안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일 주기둥과 서까래 간격을 갖는 천창개폐형 5m 비가림하우스의 경우에는 적설심 35와 풍속 35mㆍs?¹에서 모두 불안전하여 구조보강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동일 주기둥과 서까래 간격을 가지나 인장강도 400Nㆍ㎜?² 이상을 갖는 파이프를 사용하는 조건에서 천창개폐형 5m 비가림하우스의 최적 파이프 규격은 지붕높이 1.6m(아치형)와 지붕높이 1.8m(복숭아형)에 대하여 동일하게 두 경우로 규격화할 수 있었다. 즉, 안전풍속 35mㆍs?¹와 안전적설심 40㎝에서 구조적으로 안전한 서까래 규격은 φ31.8 × 1.5t@600이었으며, 안전풍속 30mㆍs?¹와ss 안전 적설심 35㎝에서는 서까래 φ25.4 × 1.5t@600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덕면으로부터 곡부보까지의 높이는 안전적설심보다는 안전풍속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처마를 높임에 따라 측면풍속에 대해서는 방풍벽파이프(측벽서까래)를, 전후면 풍속에 대해서는 마구리기둥의 규격을 강화하여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1) analyze structural stability of representative rain-sheltering greenhouses for large-grain grapevine cultivation with widths of 3.6 m and 5 m in case of using the existing pipe for agriculture; (2) present the optimum specification of pipes in the greenhouse with a width of 5 m under the condition of using the pipe of which ultimate strength has been above 400 Nㆍ㎜?²; (3) evaluate stability and also present the optimum specification of pipes as eaves height was augmented. The above analyses were done for greenhouses with roof vents and also with a main-column interval of 3 m and a rafter interval of 60 ㎝, First, the existing 3.6 m greenhouse with a rafter of φ25.4 × 1.5 t@600 was stable for a snow-depth of 35 ㎝ but unstable for a wind velocity of 35 mㆍs?¹. Meanwhile the existing 5 m greenhouse with the same rafter was not stable for a wind velocity of 335 mㆍs?¹ as well as a snow-depth of 35 ㎝. This meant that existing greenhouses had to be reinforced to secure stability. Second, the specification of pipes, especially rafter, could be classified as two cases. One had a structural stability at a safe wind velocity of 35 mㆍs?¹ and a safe snow-depth of 40 ㎝ for which stability the rafter had to be φ31.8 × 1.5 t@600, and the other had a stability at 30 mㆍs?¹-35 ㎝ at the specification of rafter φ25.4 × 1.5 t@600. Finally, eaves heigh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afe wind velocity. But it had little influence on safe snow-depth.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pecification of side-wall pipes had to be reinforced for the safe side velocity according to the increment of eaves height and similarly the specification of fore-end post for the safe fore-end velocity.

      • KCI등재

        대립계 포도 천창개폐형 비가림하우스의 최적 파이프 규격

        염성현(Sung Hyun Yum),윤남구(Nam Gyu Yun),김경원(Gyeong Won Kim),이성현(Sung Hyoun Lee),조용호(Yong Ho Cho),박서준(Seo Jun Park),박문균(Mun Kyun Park)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7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6 No.4

        본 연구는 기존 비닐하우스 아연도 강관을 사용한 하우스 폭 3.6m와 5m 천창개폐형 대립계 포도 비가림하우스에 대한 구조적 안전성을 검토하고, 인장강도 400Nㆍ㎜?²(SGH400 등) 이상의 파이프를 사용하는 조건에서 하우스 폭 5m인 천창개폐형 대립계 포도 비가림하우스에 대하여 구조적으로 안전한 최적 파이프 규격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주기둥 3m×서까래 60 ㎝인 천창개폐형 3.6m 비가림하우스의 경우, 적설심 35㎝에서는 구조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측면 및 전후면 풍속 35mㆍs?¹에서는 불안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일 주기둥과 서까래 간격을 갖는 천창개페형 5m 비가림하우스의 경우에는 적설심 35와 풍속 35mㆍs?¹에서 모두 불안전하여 구조보강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동일 주기둥과 서까래 간격을 가지나 인장강도 400Nㆍ㎜?² 이상을 갖는 파이프를 사용하는 조건에서 천창개폐형 5m 비가림하우스의 최적 파이프 규격은 지붕높이 1.6m(아치형)와 지붕높이 1.8(복숭아형)에 대하여 동일하게 두 경우로 규격화할 수 있었다. 즉, 안전풍속 35mㆍs?¹와 안전적 설심 40㎝에서 구조적으로 안전한 서까래 규격은 Ф31.8×1.5t@600이었으며, 안전풍속 30mㆍs?¹와 ss 안전적설심 35㎝에서는 서까래 Ф25.4×1.5t@600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덕면으로부터 곡부보까지의 높이는 안전적설심보다는 안전풍속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처마를 높임에 따라 측면풍속에 대해서는 방풍벽파이프(측벽서까래)를, 전후면 풍속에 대해서는 마구리기둥의 규격을 강화하여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1) analyze structural stability of representative rainsheltering greenhouses for large-grain grapevine cultivation with widths of 3.6 and 5 m in case of using the existing pipe for agriculture; (2) present the optimum specification of pipes in the greenhouse with a width of 5 m under the condition of using the pipe of which ultimate strength has been above 400 Nㆍ㎜?²; (3) evaluate stability and also present the optimum specification of pipes as eaves height was augmented. The above analyses were done for greenhouses with roof vents and also with a main-column interval of 3 m and a rafter interval of 60㎝ First, the existing 3.6m greenhouse with a rafter of Ф25.4 × 1.5 t@600 was stable for a snow-depth of 35 ㎝ but unstable for a wind velocity of 35mㆍs?¹, Meanwhile the existing 5 m greenhouse with the same rafter was not stable for a wind velocity of 335 mㆍs?¹ as well as a snow-depth of 35㎝. This meant that existing greenhouses had to be reinforced to secure stability. Second, the specification of pipes, especially rafter, could be classified as two cases. One had a structural stability at a safe wind velocity of 35 mㆍs?¹ and a safe snow-depth of 40㎝ for which stability the rafter had to be Ф31.8 × 1.5 t@600, and the other had a stability at 30 mㆍs?¹-35㎝ at the specification of rafter Ф25.4 × 1.5 t@600. Finally, eaves heigh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afe wind velocity. But it had little influence on safe snow-depth.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pecification of side-wall pipes had to be reinforced for the safe side velocity according to the increment of eaves height and similarly the specification of fore?end post for the safe fore-end velo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