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유주제 : 晩悟(만오) 朴來謙(박래겸)의 使行詩(사행시) 硏究(연구)

        박무영 ( Yeong Ho Park ) 동방한문학회 2015 東方漢文學 Vol.0 No.64

        박래겸은 문안사의 서장관으로 심양을 다녀오고 동지사의 부사로 연경을 다녀왔다. 두 차례에 중국을 왕래하며 연도의 견문과 사행의 체험을 일기와 한시로 남겼다. 본고에서는 그의 사행시를 전반적으로 개관하고 주제별로 분류하여 분석함으로써 사행시의 성격과 특징을 추출하였다. 첫째, 박래겸의 사행시는 별도로 편찬되지 않고 문집 『晩悟遺稿』권1에 분산되어 수록되어 있기 때문에 그 실체를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본고에서 대상으로 삼은 사행시는 사행문학의 영역과 지평을 넓히는 데 유용할 것이다. 둘째, 문안사에서는 24수의 한시를 남겼고, 동지사에서는 207수의 한시를 남겼으니 그의 사행시는 도합 231수이다. 상행일정에서 127수, 체류일정에서 43수, 귀국일정에서 61수를 창작하여 상행일정에서 가장 많은 작품을 창작하였다. 셋째, 사행시의 형식은 전체가 근체시이며, 오언절구 8수, 오언율시 50수, 칠언 절구 81수, 칠언율시 86수, 오언장편 3수, 칠언장편 2수 등이다. 절구보다 율시가 많고 오언시보다 칠언시가 많은 점으로 보면 장편시를 즐겨 창작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사행시를 주제별로 분류하면 새로운 경관과 문물, 이국의 풍속, 인물에 대한 회상, 유적지에서 역사 회고, 나그네의 회포, 고향과 가족에 대한 그리움, 국내 외 인사와의 교유 등이다. 다섯째, 창작 경향을 살펴보면 상행일정에서는 새로운 경관과 문물, 인물 회상과 역사 회고 등이 많고, 체류일정에서는 이국의 풍속, 나그네의 회포, 중국 인사와의 교유 등이 많으며, 귀국일정에서는 고향과 가족에 대한 그리움, 국내 인사와의 교유가 많다. Raekyeom Park made a tour of Simyang as a Seojanggwan of Munansa and made a tour of Yeongyeong as a Busa of Dongjisa. He left the knowledge of Yeondo and experience of Sahaeng as a diary and Hansi while traveling China twice. This paper outlined his Sahaengsi in overall and classified by themes to analyze and extracted the characteristics and features of the Sahaengsi. First, since Raekyeom Park``s Sahaengsi is not compiled separately but dispersedly contained in the anthology 『Manoyuko(晩悟遺稿)』 Vol.1, it is not easy to apprehend its substance. The Sahaengsi this paper targeted will be useful in broadening the area and prospect of Sahaeng literature. Second, since he left 24 Hansi in Munansa and 207 Hansi in Dongjisa, his Sahaengsi includes total 231 poetries. He created 127 pieces in Sanghaeng schedule, 43 pieces in stay schedule, and 61 pieces in return schedule, which means he created the most works in Sanghaeng schedule. Third, as for the form of Sahaengsi, the whole is Geunchesi 8 pieces of Oeonjeolgu, 50 pieces of Oeonyulsi, 81 pieces of Chileonjeolgu, 86 pieces of Chileonyulsi, 3 pieces of Oenjangpyeon, and 2 pieces of Chileonjangpyeon. The number of Yulsi is bigger than one of Jeolgu and the number of Chileonsi is bigger than one of Oensi, we can know he enjoyed creating jangsi(長詩). Fourth, to classify the Sahaengsi by themes, the new landscape and culture, alien custom, recollection on characters, historic remembrance in the historic site, traveler``s thoughts, longing for the hometown and family, association with domestic/foreign personnel. Fifth, to look at the creation tendency, there are many new landscapes, culture, figure recollection, historic remembrance in the Sanghaeng schedule. There are many alien custom, traveler``s thoughts, association with Chinese personnel in the stay schedule. There are many longing for hometown and family, and association with domestic personnel in the return schedule.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홍석주의 지리적 상상력: "노정표" 만드는 사람

        박무영 ( Moo Young Park ) 한국고전문학회 2010 古典文學硏究 Vol.38 No.-

        조선후기는 ``길 위에서의 삶``이 매우 활성화되었던 시대이다. 변화한 삶의 형식에는 그에 상응하는 개인들의 의식 변화가 동행한다. 본고는 그러한 의식 변화를 홍석주를 중심으로, 특히 공간적 상상력의 변화라는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홍석주는 당대 조선인이 경험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현실적인 여행을 경험한 개인이라는 점에서, 그리고 여행과 전통 지리학에 특별한 취미가 있었고 관련저작들을 다수 남긴 인물이라는 점에서, 당대의 가장 대표적 개인으로 선택되었다. 홍석주의 지리학적 저술들에 나타나는 공간적 상상력은 ``길의 상상력``이라고 부를 만한 것이다. 그는 조선 팔도 뿐 아니라 중국의 전역에 이르는 노정을 개척하는 저작들을 남겼고, 그 길을 통한 여행에의 열망을 표현하는 글들을 남기고 있다. 홍석주는 그의 저작들을 통하여 朝鮮八路와 중국 十八省을 한양을 중심으로 하나의 길로 연결하고 있다. 이러한 작업은 인문적 기억의 장소들을 각각의 點으로 파악하는 이전의 공간적 상상력이 지표면의 실제 장소들을 길을 따라 연결하는 線의 상상력으로 바뀌었음을 보여주는 지점이다. 이러한 공간적 상상력의 변화는 미학적 상상력의 변화로까지 이어진다. 홍석주에게서 확인하게 되는 線의 공간 상상력은 당대까지 조선사회가 쌓아온 경험의 총화이다. 그 점에서 홍석주 개인의 것이 아니기도 하다. 또한 본고의 작업은 문학 이전의 지리학적 작업이 주된 대상이기도 하다. 그러나 조선후기 문학적 상상력의 바탕에 이러한 지리적 상상력의 전환이 마련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게 되는 것 또한 본고의 성과이기도 하다. The late Choson period was an era when ``Life on the road`` had been invigorated. A change of a lifestyle accompanies the change of individual`s mind. This study examined this change of individual`s mind from the aspect of alternation of spatial imagination, laying emphasis on Hong Suk-ju(洪奭周). Hong Suk-ju was select for several reasons. He was the one who experienced all kinds of possible actual journeys of his period. He was not only highly interested in travel and classic geography, but also a prolific writer in these fields. Hong Suk-ju`s spatial imagination represented in his geographical works can be defined as "imagining the road." He left works on pioneering the pathway throughout Choson and even China. He expressed his aspiration to travel through those paths in his writings. Hong Suk-ju connected the eight provinces of Choson and the eighteen provinces of China by a path, which was centered in Han-yang(漢陽). His works show that former spatial imagination which perceived each place of cultural memory as a dot transformed into a linier spatial imaginationwhich links each existent place on the earth through the road. This transformation of spatial imagination led to transformation of aesthetic imagination. The linier spatial imagination which we can observe in Hong Suk-ju`s case is the aggregation of Choson society`s experiences till the time. Thus, his imagination cannot be entirely attributed to himself. Furthermore, this inquiry mainly discussed the geographical works before the literature. Nevertheless, confirming that there was the change of geographic imagination behind the late Choson period`s literary imagination is the achievement of this stud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金浩然齋의 생애와 「호연제유고」

        박무영(Park Moo young)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1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 No.3

        This thesis traces and reconstructs the life of woman poet Ho Yeon Jae Kim,(金浩然 齋) who lived from the late 17th century to the early 18th century, and the bibliographical matters of <The Posthumous Works of Ho Yeon Jae>(『호연제유고』) at this present stage. She lived at all over Keong Ki Do and Clung Cheong Do, and she was from the upper classes, the family of No Ron party(老論) at the early 18th century. So the life of Ho Yeon Jae as the writer shows this literary environment in detail. And we can confirm that the transcription was acted by both copying Chinese characters phonetically and translation. We can assume that this kind of transcription was established at the late 18th century through the repeated, continuous copy in women's quarters. This fact shows the way how the Chinese poetry was enjoyed in women's quarters of the aristocratic class at this period. That is, <The Posthumous Works of Ho Yeon Jae> was the joint works of Kim Ho Yeon Jae, the writer and Cheong Song Shim(靑松 沈氏), the transcripter. And through the existence of this work, we can see the concrete situations that Chinese poetry was written and enjoyed at women's quarters of No Ron family all over Keong Ki Do and Chung Cheong Do at 18th century. I will make plans for the future to makes dear che universal shape that the Chinese poetry was enjoyed by women writers ac the late Choseon period.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