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사람들의 사회학으로서의 Ethnomethodology에 대한 탐구

        박동섭 ( Dong Seop Park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3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0 No.-

        이 글에서 나는 Ethnomethodology가 한국의 학계에서 유통되고 있는 번역어인 민속방 법론이라는 직역 대신 ``사람들의 사회학``이라고 의역이 필요하다는 어느 연구자의 문제제기를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검토하는 것을 연구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위해, 나는 먼저 EM의 창시자인 Garfinkel(H. Garfnikel)이 EM이라는 개념을 어떻게 만들었고, 그 개념을 통해 무엇을 밝히려고 하였는지 나아가 EM이 규범주의 사회학과 어떻게 차별화 되는지를 문헌 연구와 나의 경험을 통하여 추적하였다. 둘째, Garfinkel이 수행한 실제 연구를 검토함으로써 EM의 발상에 기초한 연구가 질적 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엿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EM이 일상언어 혹은 개념을 애매하다는 이유로 과학언어 혹은 개념으로 번역해야 한다는 규범주의 사회학에서 나온 수정주의를 지양하는 새로운 사회학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EM의 입장에 섰을 때 질적 연구자는 필드에서 무엇을 연구대상으로 삼아야 하는지를 밝혔다. 셋째, Ethno를 사람이라고 의역하고 EM을 사람들의 사회학 그리고 그 사람들의 사회학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의역할 필요성을 제기한 그 연구자의 시도가 일리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essay, I come to regard the following as a starting point of my research, an issue raised by a researcher, a student of Ethnomethodology, suggesting that the term Ethnomethodology be translated as ``the sociology of Men``, rather than ``Minsokbangbeopron``, the term used by the researchers in Korea. In this work, firstly, I attempted to understand how Harold Garfinkel, who coined the term Ethnomethodology, defined ``ethno``, and ``methodology``, and what the implications of his perspective are to us, and to understand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isting sociology and Ethnomethodology on the basis of the literature and my own experience. Secondly, by examining an empirical study by Garfinkel, I attempted to grasp what implications an empirical study based on EM may give to qualitative research. In this work, firstly I came to identify that EM is a new sociology that rejects the revisionism in which the existing sociology argues that everyday language or concept should be translated into scientific language or concept because it is ambiguous. Secondly, I came to realize what kind of things a researchers should focus on in the field with Ethnomethodology``s perspective. Thirdly, I came to identify some attempts of the researcher who suggested the necessity of translating liberally the term Etho into Men and the term Ethomethodology into the sociology of men and research inquiring into the sociology of men

      • KCI등재

        교육과 배움에 관한 도넛이론 탐구

        박동섭 ( Dong Seop Park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5 초등교육연구 Vol.28 No.4

        본고는 佐伯의 도넛이론에 기초해서 교육과 배움의 고쳐보기 및 도넛이론의 확장의 도모를 연구 목적으로 삼았다. ‘교육과 배움의 도넛이론’은 학습자(I)가 외부세계(THEY)세계에 대한 인식을 넓히고, 그 세계에 대한 인식을 깊게 하려고 할 때에 필연적으로 2인칭적 세계(YOU세계)와의 관계를 경유해야 한다고 보는 교육과 배움에 대한 이론이다.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도넛 이론의 발생배경에 관해서 논의하고, 두 번째 교육과 배움을 설명하는 도넛이론의 구체적인 모습에 관한 소개 및 음미를 시도하고, 세 번째 도넛 이론으로 교육과 배움을 고쳐봤을 때 학교교육과 배움을어떻게 재편성 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고찰하고, 마지막으로 도넛 이론의 확장을 도모하였을 때 우리 눈앞에 새롭게 등장하는 교육과 배움의 모습은 어떤 것이 되어야할지에 대한 고찰을 시도하였다. 바람직한 I와 YOU의 관계는 I가 YOU의 사고방식, 말하는 방식, 느끼는 방식을 전부인 것인 양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고, 양자는 THEY세계를 함께 탐구하는 관계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THEY 세계의 재구축은 교육과 배움을 ‘비용 대 효과’로 논하지 않고, ‘소비자 마인드’로 교육과 배움에 임하지 않는 2인칭적 타자 즉 YOU의 수를 조금씩 늘여나가는 것을 통해 가능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In this essay, I inquire into rethinking on education and learning based upon Saeki’s Doughnut Theory. The Doughnut Theory claims that there are three phases in the process of education and learning: the I-phase, the YOU-phase, and the THEY-phase.The I-phase signifies the learning process of a student. The YOU-phase signifies the interaction with classmates and teacher. The THEY-phase signifies people and cultures in the outer world surrounding the world of I and YOU(WE). To this end, firstly I inquire onf the origin of Doughnut Theory for edcuation and learning. Secondly, I attempt to introduce the concrete aspects of Doughnut Theory, which describes education and learning, while examining it. Thirdly, I inquire possibility of reorganization of schooled-education, when we attempt to rethink and learning based on Doughnut Theory. Finally, I attempt to inquire into what kind of the new aspects onf education and learning, when we aim at extending Doughnut Theory. In conclusion, I found that the a new THEY-WORLD might be reconstructed through lengthening the number of YOU don’t consider education and learning activity as cost performance ratio, and approach to it in consumer mentality.

      • KCI등재

        바흐친의 대화성 개념을 통한 교실 담화분석의 방향 모색

        박동섭 ( Dong Seop Park ) 한국교육인류학회 2008 교육인류학연구 Vol.11 No.1

        이 글에서는 사회·문화·제도 공간의 하나인 교실에서 일어나는 교사와 학생간의 담화 그리고 학생간의 담화를 분석하는데 중요한 분석 도구로서의 함의를 갖고 있는 러시아 기호학자 미하일 바흐친(Mikhail Bakhtin)의 ‘대화성(Dialogicality)’ 개념을 살펴보았다. 또한 그 개념의 확장과 교육실천에의 응용을 도모한 비고츠키(Vygotsky) 학파 심리학자인 워치(Wertsch)의 관점을 매개로 해서 교실담화분석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이러한 논의에 기초해서 다음과 같은 함의를 얻을 수 있었다.첫째, ‘말의 장르’라는 개념은 다름 아닌 교실이 특수한 게임이 벌어지는 특수한 공간이라는 사실을 담화분석가에게 일깨워준다. 둘째, ‘말의 장르’ 개념은 학습에 대한 관점의 변화를 담화분석자에게 요구한다. 셋째, 바흐친의 발화조직원리에 기초해서 교실담화분석이 이루어진다면, ‘상호작용, 상황이 어떠한 방식으로 조직되고 유지되는가’가 분석자의 시야에 들어오게 된다. 넷째, 대화성 개념에 기초한 담화분석은 교실에서의 ‘말의 장르’와 교실 바깥에서의 ‘말의 장르’가 어떻게 다른지를 검토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특정한 ‘말의 장르’의 권력성 그리고 ‘말의 장르’의 이질성으로 인해 생기는 소외와 차별의 문제까지 시야에 넣을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바흐친의 대화성 개념과 관련된 여러 아이디어들은 교사와 연구자 양자 모두에게 자신이 어떠한 담화공동체에 속해 있는지를 자각케 해준다. In this paper, I discuss the Dialogicality of Mikhail Bakhtin, a Russian semiotician. First, I suggest that the notion of the Dialogicality has some important implications for analyzing discourse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among students in classrooms, which is one of the social-cultural-institutional spaces. The Dialogicality, consisting of utterance, voice, "speech genre" and so on is a necessary conceptual tool for analyzing both relation and the social-cultural-historical nature of a discourse. Second, I inquire into directions of classroom discourse on the basis of Bakhtin`s Dialogicality along with the perspective of James Wertsch, a Vygotskyan psychologist, who attempts to expand and apply Bakhtin`s ideas to educational practice. Based on these discussions, I draw the following implications of Bakhtin`s and Wertsch`s ideas for classroom discourse analysis. First, through the notion of speech genre, a discourse analyst realizes that classroom is a kind of special space where a special game occurs. Second, through the notion of "speech genre," a discourse analyst gets to see the need to change his/her perspective on learning. Third, a discourse analyst, applying Bakhtin`s principle of utterance organization to the analysis of classroom discourses, is able to understand how interactions and contexts are organized and maintained. Fourth, a discourse analyst, applying the notion of Dialogicality to the analysis of classroom discourses, is able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between a "speech genre" in classroom and another outside the classroom. Further, he/she may even understand the problems of alienation and discrimination arising due to the power of a special "speech genre" and to the heterogeneity of "speech genres." Finally, teachers and researchers alike are made to see by some ideas related to Bakhtin`s Dialogicality what kind of discourse community they belong to.

      • KCI등재
      • KCI등재

        어느 장애인 청강생을 차별,배제하는 상식적 카테고리화 과정 해독

        박동섭 ( Dong Seop Park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1 교육인류학연구 Vol.14 No.3

        이 글에서 나는 T대학교의 교수회의에서 나타난 어느 장애인 청강생을 차별·배제하는 ``상식적 카테고리화`` 과정을 해독함과 동시에, 그 상식적 카테고리화에 저항하는 그 청강생의 ``자기집행카테고리``를 분석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삭스(Sacks)의 ``성원카테고리화장치``, ``상식적 카테고리화`` 그리고 ``자기집행카테고리``라는 개념을 분석도구로 채용하였다. 그리고 연구목적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나를 포함한 우리들 모두 차별 및 배제의 바깥에 있는 존재가 아니라 일상에서 차별 및 배제하는 존재로 있을 가능성으로부터 결코 자유로울 수 없고, 역으로 차별 및 배제당할 가능성으로부터 마찬가지로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서 첫째, 그 청강희망생을 차별·배제하는 상식적인 카테고리화의 성립 및 달성을 ``잘라내는 배제``와 ``끌어안는 배제``로 분류하였다. 둘째, 이러한 개념화 작업에 기초해서 우리들이 무자각적으로 사용하는 시민사회의 논리라는 담론 안에 장애인을 배제하는 원장치가 숨어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셋째, 차별 연구에 새로운 발상을 가져오기 위해서는 ``왜``라는 담론구성에서 ``어떻게``로의 담론구성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언하였다. 끝으로 차별 및 배제라는 현상을 다루는 데 있어 연구자의 자기응시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analyse the process of common-sensical categorization of discriminating and excluding a disabled student who wants to sit in for a class, and at the same time to study the auditor`s self-enforced categories. To achieve the goals, a hypothesis is formulated: Rather than existing independently of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we would never be free from them in daily routines, and we may fall victim to them. In analyzing the data, first, two types of exclusion, complete exclusion and inclusive exclusion, were introduced to explain the common-sensical categorization of discriminating and excluding the student who is just sitting in for a class. Second, on the basis of the conceptualization, I discovered that there is a raw device that excludes a disabled man within a discourse of the logic of civil society. Third, I suggested that we should change from "why-discourse(why discrimination takes place)" to "how-discourse(how discrimination takes place)" to produce a new idea in studying discrimination. Finally, I suggested that we should consider self-contemplation as a researcher in dealing with phenomena of discrimination.

      • 文化心理学の観点から見た韓国における状況学習論の理解

        朴東燮(Park Dong-Seop),許承姫(Huh Sung-Hee)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7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Vol.- No.-

        Situated learning, which began to draw scholarly attention worldwide in the 1980s, is an epistemological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cognitive psychology regarding learning, development, and cognition. In this paper, I aim to show through Cultural Psychological Perspective how the approach of situated learning or situated cognition has been misunderstood and distorted in Korea. To achieve the goal, I first explore the essential nature of situated learning. In this context, I introduce an epistemological perspective of situated learning; an examination of the radical nature of the approach that situated learning, as compared to the traditional cognitive psychology, took to learning, cognition and activity; and two empirical studies based on the conception of situated learning as an epistemological perspective. Second, I conceptually define Cultural Psychological Perspective as an alternative epistemological stance. Third, through the Cultural Psychological Perspective, I identified the main cause of Korean researchers" misunderstandings of situated learning: they accepted situated learning based on the very frameworks of methodological behaviorism, methodological individualism and traditional dualism that it criticizes and tries to overcome; and employed it as a meta?theory.

      • 젠더 하이브리드 몬스터

        박동섭(Dong seop Park) 신라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2016 젠더와 사회 Vol.27 No.-

        본고에서는 ‘임신과 출산’ 그리고 ‘아이 버리기’ 등과 같은 도시전설에 기초해서 영화 <에어리언>의 설화적 화형을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재조명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삼았다.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임신과 출산’ 그리고 ‘아이 버리기’의 설화적 화형의 구체적인 특징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이 화형에 기초해서 영화 <에어리언>의 설화적 화형을 엄밀하게 검토하는 작업을 하였다. According to Harold Schechter, urban legends consist of two factors: the common imagination and archetype has all the proper time anxiety. The ahistorical or archetype is connected with a historically packaged anxiety, occurs an urban legend dramatic . From this hypothesis, we analyze in this study, one film that makes up the saga Alien Alien by Ridley Scott (1979), Aliens by James Cameron (1986), Alien 3 David Fincher (1992). What interests us is not the archetype remains unchanged through these films, but the grotesque transformation of the status of the heroine. Ripley, heroine of the saga, presented, at first, the feminist dream: Astronaut expert, independent, courageous, and only survivor of the bloody battle with Alien . But at 13, she must die completely bare: no family, no friends, no weapons, no future, no glory, and pregnant with Alien . Where does this fall? We seek the explanation in the misogynist tendency among American men face feminism threaten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