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NF-kappaB 프로모터 활성을 억제하는 식물추출물

        박덕훈 ( Deok Hoon Park ),이종성 ( Jong Sung Lee ),정은선 ( Eun Sun Jung ),현창구 ( Chang Gu Hyun ),이지영 ( Ji Young Lee ),허성란 ( Sungran Hur ),고재숙 ( Jae Sook Koh ),이희경 ( Hee Kyung Lee ),백지훈 ( Ji Hwoon Baek ),유병삼 ( 대한화장품학회 2006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2 No.3

        Nucler factor-kappa B (NF-kappaB) 프로모터는 염증성 질환을 유도하는 호염증성 시토카인의 발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전사인자 중의 하나이다. 본 실험에서는 200 여종의 식물추출물들로부터 항염효능이 있는 추출물을 선발하기 위해 NF-kappaB 리포터 실험을 수행하였다. NF-kappaB 리포터 실험결과, 12종의 식물추출물, 즉 개나리, 고추잎, 박하, 뱀딸기, 뽕나무, 삼백초, 솔잎, 양애줄기, 약쑥, 어성초, 왕벚꽃가지, 조릿대 등이 lipopolysaccharide (LPS)에 의해 유도된 NF-kappaB 프로모터 활성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들 12종의 식물추출물이 호염증성 시토카인 발현에도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해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 alpha)와 인터루킨-8에 대한 ELISA실험을 실시하였다. ELISA실험 결과, NF-kappaB 리포터 실험결과와 동일하게, TNF-alpha와 인터루킨-8 생산이 12종 식물추출물 모두에서 감소됨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실험결과는, 12종의 식물 추출물에서 보여지는 호염증성 시토카인 억제효과가 NF-kappaB 프로모터 활성억제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이들 12종 식물은 diphenyl-p-picrylhydrazyl (DPPH) assay를 통해 살펴본 결과 높은 항산화 활성도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12종의 식물 추출물은 염증성 피부질환 전용 화장품 제형에서 항염 및 자극완화 소재로 응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Nuclear factor-kappaB (NF-kappaB) is a critical transcription factor for maximal expression of many of the cytokines that are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inflammatory diseases. In this study, we found that 12 plant extracts among 200 plants, namely, Forsythia koreana, Capsicum annuum L, Mentha arvenis, Duchesnea chrysantha, Morus alba, Saururus Chinenis (Lour) Baill, Pine needle, Zingiber mioga (Thunb.), Roscoe, Houttuynia, Prunus yedoenis, Sasa quelpaertenis, significantly inhibited LPS- induced NF-kappaB activa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dditionally, 12 plant extracts were found to have antioxidant activities in DPPH assay Therefore, we have attempted to determine whether 12 herbal extracts could inhibit the expression of cytokines possessing NF-kappaB promoter in their promoter regions. Consistently 12 herbal extracts inhibited LPS-induced production of TNF alpha and interleukin-8 (IL-8). These results show that 12 herbal extracts suppresses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s through the inhibition of the NF-kappaB signaling pathway, we suggest that 12 herbal extracts can be used as a anti-inflammatory and soothing agent.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추출방법에 따른 개민들레 꽃의 항산화 활성 분석

        이정아(Jung-A Lee),정광선(Kwang-Seon Jung),김명옥(Myeong-Ok Kim),박덕훈(Deok-Hoon Park),정은선(Eun-Sun Jung) 한국화장품미용학회 2015 한국화장품미용학회지 Vol.5 No.2

        The aim of the study to optimize the extraction yield and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rom the Hypocheris radicata flower using four different extraction protocols was carried out. Fresh part hot-water extract, fresh part 70% ethanol extract, dried part hot-water extract and dried part 70% ethanol extract were used for comparison purpose. We evaluated the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in test samples, and antioxidant activity by using 1,2-diphenyl-2-picryl hydrazyl(DPPH)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FRAP). The fresh part hot-water extracts displayed the strongest DPPH and FRAP activity and highest total phenolic and flavonois contents. Moreover, the fresh of hot-water extracts had the highest level of caffeic acid.

      • KCI등재

        피부 주름 평가에 있어서의 피부 거칠기와 진피 치밀도의 상관성 연구

        이희경 ( Hee Kyung Lee ),백지훈 ( Ji Hwoon Back ),고재숙 ( Jae Sook Koh ),박덕훈 ( Deok Hoon Park ),이종성 ( Jong Sung Lee ),정은선 ( Eun Sun Jung ) 대한화장품학회 2006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2 No.2

        건강하고 병력이 없는 피부를 가진 한국인 여성 중 주름이 생성되기 시작하거나 이미 생성된 30대 33명, 40대 56명, 50대 6명 등 총 95명을 대상으로 눈가에 대한 피부 거칠기와 진피 치밀도 및 피부 두께 측정값간에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피부거칠기는 Visiometer를 이용하여 5가지 파라미터(Rl, R2, R3, R4, R5)를 분석하였고, 피부 진피 치밀도는 초음파 영상 장치인 Dermascan C를 이용하여 진피 치밀도(intensity)와 피부 두께(distance)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령에 따라 피부 거칠기와 진피 치밀도 및 피부 두께간의 깊은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피부 주름 거칠기 파라미터 중에서는 R2 (Maximum roughness)가 피부 두께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p < 0.05) 또한, 진피 치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피부 두께는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 < 0.05). 따라서 주름 측정 방법에 있어서 기존의 레플리카를 이용한 피부 거칠기 평가 기술과 더불어 진피층의 변화를 측정하는 진피 치밀도 평가 기술은 주름 평가에 매우 유용한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crow's fret of 95 Korean female by using mechanical assessments; Skin-Visiometer SV 600 and Dermascan C. Transparency profilometry (Skin Visiometer) were using a very thin skin print which allowed parallel light to pass through and was analysed immediately after production. High-frequency (20 MHz) ultrasonography (Dermascan C) enabled non-invasive evaluation in skin thickness and echodensity. We found a correlation between skin roughness and dermal density. Particularly, w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kin roughness (R2) and dermal thickness. Also, we demostrat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dermal density and dermal thickness (p < 0.05). Therefore, the ultrasonography system might be considered a very useful method in wrinkle evaluation with the transparency profilometry. Further study will be required.

      • KCI등재후보

        HPLC를 이용한 p-아니식애씨드와 메칠파라벤의 분리 분석법 개발

        김일현 ( Il Hyun Kim ),류대훈 ( De Hun Ryu ),김영수 ( Young Soo Kim ),정은선 ( Eun Sun Jung ),박덕훈 ( Deok Hoon Park ) 대한화장품학회 2014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0 No.4

        본 연구에서는 합성보존제로 흔히 쓰이는 메칠파라벤과 방부효능을 가지는 천연추출성분인 p-아니식애 씨드를 HPLC를 통해 분리분석 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메칠파라벤과 p-아니식애씨드는 같은 분자량(152.15g/mol)과 비슷한 구조, 같은 최대흡수파장(250 nm)을 보이기 때문에 HPLC로 분석 시 동일한 RT값(13.3 min)을 갖는다. 본 연구 저자들은 아세틸화 반응을 통해 메칠파라벤을 선택적으로 유도체화 한 후 C18 컬럼을 통해 분석했을 때 두 물질이 분리됨을 확인하였다. 아세틸화반응을 거치면서 메칠파라벤의 피크유지시간이 13.3 min에서 23.9 min으로 이동하였으며, 평균값은 23.9 ± 0.1 min, 피크면적 값은 5042882 ± 4778로 일정하게 나타났다. 또한 직선성의 평가에서 결정계수값은 0.9999658로 1에 가까운 값을 보였다. 시료의 검출한계는 1.47 μg/mL이었고 정량한계는 4.44 μg/mL이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분석법은 화장품 분야에서 유사한 구조를 가진 보존제 분석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HPLC method for the separation and analysis of methylparaben and p-anisic acid, which are commonly used as a synthetic preservative and natural preservative, respectively. Methylparaben and p-anisic acid have same molecular weight (152.15 g/mol), similar structure and same maximum absorption wavelength (250 nm), thus they showed same retention time (RT) value (13.3 min) in HPLC experiment. We observed that two substances are separated on C18 column after methylparaben was derivatized selectively through the acetylation reaction. Instead, RT of the acetylated methylparaben was moved to 23.9 min from 13.3 min. The average retention time was 23.9 ± 0.1 min and peak area values was 5042882 ± 4778. In addition it showed a high linearity in the calibration curve with a correlation coefficient (R<sup>2</sup>) of 0.9999658. Detection and quantitation limits were 1.47 μg/mL and 4.44 μg/mL,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developed method can be useful for separation and analysis of preservatives with similar structure in cosmetic fields.

      • KCI등재후보

        제주 자생 식물들에 대한 항비만 효능에 대한 연구

        정은선 ( Eun Sun Jung ),이종성 ( Jong Sung Lee ),정광선 ( Kwang Seon Jung ),김새봄 ( Sae Bom Kim ),허성란 ( Sung Ran Huh ),박덕훈 ( Deok Hoon Park ) 대한화장품학회 2007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3 No.3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에서 자생하는 30여 종의 식물추출물에 대한 항비만 효능을 조사하였다. 항비만 효능은 in vitro oil red-O staining 방법을 이용하여 지방전구세포 3T3-L1에서 분화억제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30여 종의 식물 중에서 약도라지, 호장근, 유근피 등을 포함한 6종의 식물이 지방전구세포 3T3-L1의 분화를 억제하였다.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물질 중 유근피, 약쑥, 호장근, 후박 4종은 우수한 항산화 효능도 동시에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실험에서 확보된 추출물이 항비만 물질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obesity activity of extracts collected from wild plants in Jeju island. The inhibitory effect of plant extracts on the differentiation of preadipocyte 3T3-L1 was examined by oil red-O staining. We found that extracts collected from 6 plants among 31 plants, namely, Aralia elata (Miq.) Seem, Polygonum multiflorum Thunberg, Artemisia asiatica, Platycodon grandiflorum (Jacq.) A. Dc., Polygonum cuspidatum S. et Z., Magnolia obovata Thunb, significantly inhibited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Additionally, 4 plant extracts were also found to have antioxidant activities in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how that 6 plant extracts suppress the differentiation of preadipocytes, suggesting the potential use of 6 plant extracts as anti-obesity agents.

      • KCI등재후보

        Vegetable Peptones의 세포증식 및 콜라겐생성 촉진효과

        정은선 ( Eun Sun Jung ),이종성 ( Jong Sung Lee ),이지현 ( Jienny Lee ),허성란 ( Sung Ran Huh ),김영수 ( Young Soo Kim ),황왕택 ( Wang Taek Hwang ),박덕훈 ( Deok Hoon Park ) 대한화장품학회 2009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5 No.1

        피부노화의 주요 원인으로는 타입 I 콜라겐 생합성 저하 및 피부 진피세포의 증식 활성 감소를 들 수 있다 효과적으로 피부노화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안전하면서도 효능이 우수한 소재를 찾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진은 항노화소재를 스크리닝하였고 완두콩과 밀 펩톤이 성체줄기세포의 세포증식을 증가시키는 효능을 관찰하였다 완두콩과 밀 펩톤을 포함하는 식물성 펩톤은 다양한 크기의 펩타이드와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어 세포배양 시 첨가해 주면 영양공급원이나 growth factor로 세포 성장과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 진피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완두콩과 밀 펩톤이 세포증식 및 콜라겐합성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작용기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세포증식 실험에서 완두콩과 밀 펩톤은 유의성 있게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증식을 유도하였다 또한 인간 COL1A2 프로모터 루시퍼라아제와 타입 I 프로콜라겐 생합성 실험에서 완두콩 및 밀 펩톤이 COL1A2 프로모터의 활성화를 통해 타입 프로콜라겐 생합성을 촉진시키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GF-β1 루시퍼라아제 리포터 실험과 TGF-β1 ELISA 실험에서는 완두콩 및 밀 펩톤이 TGF-β1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한다는 사실을 관찰하였고 이러한 결과를 통해 완두콩 및 밀 펩톤의 콜라겐 생합성 촉진 기전이 TGF-β신호와 관련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즉 완두콩 및 밀 펩톤은 TGF-β1의 발현촉진을 통해 콜라겐 생합성을 유도함을 유추할 수 있다 완두콩과 밀 펩톤을 포함한 로션을 인체피부에 주 동안 도포하여 피부자극을 관찰한 결과 어떠한 부작용도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완두콩 및 밀펩톤이 피부자극이 없으며 피부주름을 개선시킬 수 있는 소재로 사용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Skin aging appears to be principally attributed to a decrease in both levels of Type I collagen and regeneration ability of dermal fibroblasts. It is important to introduce an efficient and safe agent for effective management of skin aging. To this end, we performed screening for anti-ageing agents and then found that vegetable peptones (pea and wheat) promoted cell proliferation of adult stem cells. Vegetable peptones may be considered as useful medium additives because it can supply nutrients, peptides, amino acids or growth factor analogu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effects of vegetable peptones on cell proliferation/collagen production and their possible mechanisms in human dermal fibroblasts. In cell proliferation assay, vegetable peptones significantly promoted cell prolifera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addition, human COL1A2 promoter luciferase and type I procollagen synthesis assays showed that vegetable peptones induce type I procollagen production through the activation of COL1A2 promoter. In both TGF- / β1 luciferase reporter and ELISA assays, vegetable peptones was found to induce TGF- β1 production, suggesting that vegetable peptones induce type I procollagen production through the activation of TGF- β1. When applied topically in a human skin twice a day for an 4-week period of time, vegetable peptones did not induce any adverse reactions. Therefore,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vegetable peptones may be considered as an attractive, wrinkle-reducing candidate for topical application.

      • KCI등재후보

        홍화씨 추출물 유래 세로토닌 유도체의 지방전구세포 분화억제 효능에 대한 연구

        정은선 ( Eun Sun Jung ),김승범 ( Seung Beom Kim ),김무한 ( Moo Han Kim ),신승우 ( Seong Woo Shin ),이종성 ( Jong Sung Lee ),박덕훈 ( Deok Hoon Park ) 대한화장품학회 2011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7 No.2

        N-(p-Coumaroyl)serotonin과 N-Feruloylserotonin은 홍화씨에서 유래하는 특이적인 세로토닌유도체로 주로 식물이 병원균을 방어하기 위해서 만들어내는 hydroxycinnamic acid amides계 물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N-(p-Coumaroyl) serotonin과 N-Feruloylserotonin이 지방전구세포의 지방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oil-red O염색과 triglyceride 양 측정, GPDH 활성 측정 등을 통해 알아보았고, 그 결과 두 물질 모두 유의적으로 지방세포분화를 억제함을 관찰하였다. 효능비교물질로 세로토닌을 처리했을 때 세로토닌 자체로는 지방분화에 유의미한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N-(p-Coumaroyl) serotonin과 N-Feruloylserotonin은 또한 우수한 항산화능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N-(p-Coumaroyl)serotonin과 N-Feruloylserotonin이 지방세포분화억제를 통한 항비만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N-feruloylserotonin (FS) and N-(pcoumaroyl) serotonin (CS), serotonin derivatives, which have been isolated as major and unique phenolics of safflower seed extract (SSE), are member of hydroxycinnamic acid amides and are implicated in the defense against pathogen infection and insect feeding. In this study, we evaluate inhibitory effects of N-(p-Coumaroyl)serotonin and N-Feruloylserotonin on adipogenesis using oil-red O staining, triglyceride and GPDH activity. we found that while serotonin itself did not suppress differentiation of preadipocytes into adipocytes, N-(p-Coumaroyl)serotonin and N-Feruloylserotonin inhibited the differentiation of preadipocytes into adipocyte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addition, they showed antioxidant effects in DPPH assay.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how that N-feruloylserotonin (FS) and N-(pcoumaroyl) serotonin (CS) suppress differentiation of preadipocytes, suggesting the possibility that these serotonin derivatives can be utilized as an anti-obesity agent.

      • 회분과와 두과 작물의 형질전환 방법 체계화에 대한 연구

        김달웅,황영현,박덕훈,현미아,이상엽 경북대학교 유전공학연구소 1992 遺傳工學硏究所報 Vol.7 No.1

        DNA uptake in dry seeds of gramineous and leguminous plants by imbibition in DNA solution was detected by monitoring the stable expression of β-glucuronidase(GUS) gene. Gene expression vector used in this study contained β-glucuronidase reporter gene and neomycin phosphotransferase II (NPT II) selectable marker gene. Putative transformed plants were analyzed by Southern blot hybridization. Southern blot results confirmed that the two reporter genes are stably integrated into the plant gen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