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령전기 장애 아동 부모와 비장애 아동 부모의 놀이 인식과 놀이 참여 비교 연구

        박다솔(Park, DaSol),이은영(Lee, EunYoung),이선희(Lee, SunHee),박혜연(Park, Hae Yean)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0 재활치료과학 Vol.9 No.1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전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 부모들에게 자녀의 놀이에 관한 포괄적인 설문을 시행하여 놀이 인식을 알아보고 각 부모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놀이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제작된 설문지를 설문요청에 동의한 대상자 700명에게 발송하였다. 미회수및 불성실한 설문을 제외하고 총 596부의 설문지가 분석되었으며 이 중 106부가 장애아동 부모의 설문지 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Window 23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빈도분석과 독립표본 T 검정이 시행되었다. 결과 : 장애 아동 부모는 비장애 아동 부모에 비해 자녀와의 놀이를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자녀와의 놀이에 대한 즐거움 인식은 장애 아동과 비장애 아동 부모 간에 큰 점수 차이를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p=0.053). 자녀와의 놀이 참여시간은 장애 아동과 비장애 아동 모두 부 보다 모와의 참여시간이 많았다. 모의 경우 장애아동의 모가 놀이참여 시간이 더 많았고, 부의 경우 비장애 아동의 부가 더 많았다. 장애아동과 비장애 아동 부모 모두 장난감을 사주는 빈도는 ‘보통’ 정도가 가장 많았으며 두 집단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장애아동과 비장애 아동 부모 모두 놀이 정보를 습득하기 위해 인터넷을 주로 이용하였으며, 놀잇감을 살 때 고려사항은 흥미 유발, 발달수준, 안전 순이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학령전기 장애 아동과 비장애 아동 부모의 놀이 인식 및 참여 실태를 비교할 수있었다. 본 연구를 토대로 부모들이 놀이 시 실질적으로 필요한 부분을 알 수 있고, 추후 아동을 대상으로한 놀이 연구의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comprehensive survey of children s play in parents of disabled and non-disabled children prior to commencing school. This study aimed to further understanding play recognition and to present a specific direction of play necessary to each parent. Methods : A questionnaire based on prior studies was sent to 700 people who had previously agreed to the take part. A total of 596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ncollected and insincere surveys, of which 106 were questionnaires for parents of disabled children, were exclused from analysis. The SPSS Window 23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and the independent sample T test were performed. Results : Disabled children s parents perceived playing with their children as more important than that of non-disabled children s parents(p<0.01).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disabled children and non-disabled children s parents, but there were some differences(p=0,053). Both disabled and non-disabled children had more time to participate with their mothers than with their fathers. Mothers with disabilities had more time to play however, fathers with no disabilities had more time. Both disabled and non-disabled children s parents had the most ordinary frequency of buying toys and there was very littele difference between the 2 groups. Both disabled and non-disabled children s parents primarily used the internet to acquire play information, and consideration when buying fun was followed by interest inducement, development level and safety. Conclusion :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compare the status of play recognition and participation by parents of children with or without disabilities. Based on this study, parents will be able to find out what they really need to play and will be provided as a basis for future play studies for children.

      • KCI등재

        우울 수준에 따른 가상멀미 경험이 가상현실 기반 신경인지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 : 고령집단을 중심으로

        김인하(Kim, Inha)박정훈(Park, Junghun),이서정(Lee, Seojung),민성(Min, Sung),전주영(Jeon, Juyoung),조건우(Cho, Geonwoo),박혜연(Park, Haeyean),박다솔(Park, Dasol)박수현(Park, Soohyun) 한국재활심리학회 2021 재활심리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고령 집단에서 가상현실기반 평가 및 치료를 활용하는데 있어, 주요 장애물이 될 수 있는 가상멀미의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 가운데서도 신경인지과제 수행 시, 우울감의 수준에따라 가상멀미가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만 50세 이상성인 73명이 (1) 가상현실 기반 신경인지과제, (2) 가상멀미 수준과 우울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설문을 완료하였다. 연구 결과, 우울감이 클수록 가상현실 프로그램 시행에 따른 가상멀미 변화량이 커지는 경향을 보이며, 준임상 수준 이상에 해당하는 고우울 집단에서는 가상멀미가 가상현실기반 신경인지과제 수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우울 집단에서는 이러한 영향이 유의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준임상수준 이상의 고우울 집단에서는 지각된 가상멀미 수준이 가상현실기반 신경인지과제 수행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고령의 우울집단에서 가상현실 치료를 활성화하기 위해, 주요 부작용인 가상멀미의 영향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이를 비롯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ffects of simulator sickness, which can be a major obstacle in the use of virtual reality-based evaluation and treatment in the elderly group. Also, the effect of depression level on simulator sickness and a virtual reality (VR)-based neurocognitive task performance was investigated. Seventy-three participants over the age of 50 years completed the (1) VR-based neurocognitive task and (2) self-report questionnaires measuring simulator sickness, and depressive symptoms. The results indicated that depression predicts the severity of perceived simulator sickness, and simulator sick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the virtual reality-based neurocognitive task in a group with sub-clinical or clinical levels of depression.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한국 농촌 독거고령자의 사회관계와 신체 건강 사이의 연관성 연구

        김민성(Minseong Kim),박다솔(Dasol Park),유지형(Jihyeong Yoo),염유식(Yoosik Youm) 한국사회학회 2018 韓國社會學 Vol.52 No.2

        본 연구는 농촌 독거고령자들의 사회연결망 구조(특히, 삼자관계)와 고령자의 신체적 건강 수준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사회적 삶, 건강과 노화에 대한 조사’(Korean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Project: KSHAP)의 1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KSHAP 자료는 인천광역시 강화군 1개 면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고령자와 그 배우자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한 마을의 전체연결망(global network)을 측정한 자료이다. 본 연구는 KSHAP 1차년도 자료 중에서 60세 이상이며 동거인이 없는 독거고령자 98명을 주요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신체적 건강의 측정을 위해서는 건강의 포괄적 측정을 위해 개발된 SF-12 중 신체 건강과 관련된 5개 문항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열린 삼자관계보다는 닫힌 삼자관계가 발달된 농촌 독거고령자의 신체적 건강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닫힌 삼자관계와 신체적 건강 수준 사이의 관계에서 감정적 친밀도의 조절효과가 발견되었다. 나아가 비독거 고령자와의 비교를 위해 추가 분석을 실시한 결과, 독거고령자라 할지라도 일정 수준으로 발달된 닫힌 삼자관계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비독거고령자의 평균 신체적 건강 수준과 유사한 수준의 신체적 건강을 갖는 것으로 나타남과 동시에, 과도하게 많은 닫힌 삼자관계는 오히려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독거고령자가 가지는 건강상의 여러 불리한 점들이 사회연결망을 통해서 상당 부분 극복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ocial network structure especially, the closed triads, and the physical health of living-alone older adults. We used the wave-1 data from the Korean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Project (KSHAP), which measured the global, or complete, social networks among older adults (60 or older) of one entire village in Ganghwa Island. The primary analysis was targeting 98 older adults who were living alone. The physical health was measured by five questionnaire items out of SF-12, which is to measure physical health. The study revealed that among living-alone older adults, people with more closed triads enjoyed better physical health than the ones with open triads. Furthermore it showed that closed triads could help living-alone older adults to overcome the disadvantage of living alone: living-alone older adults with more than two closed triads could maintain better physical health than older adults who had cohabitants, on average.

      • KCI등재

        비정형자료로부터의 평화지수 분석을 통한 한반도 정세 파악 방법

        권오병(Ohbyung Kwon),박다솔(Dasol Park),최지혜(Jihye Choi),이재윤(Jaeyoon Lee) 한국IT서비스학회 2013 한국IT서비스학회지 Vol.12 No.4

        Since acquiring intelligence about political situations around the Korea Peninsular in a direct manner is nearly impossible, it is inevitable for the individuals or companies to rely on open and indirect data such as newspapers. However, since the contents in the newspapers are substantially unstructured and very large, conventional content analysis is time-consuming and hence very costly. Hence, this paper aims to propose a sentimental analysis method which computes daily 'peace index' from unstructured data in the newspapers. From the content analysis, words and phrases which represent the sentiment of a nation are carefully identified. To show the feasibility of the idea proposed in this paper, a prototype system with vocabulary repository about political situations was developed for estimating peace index automatically.

      • KCI등재

        노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SOC전략 수준과 성공적 노화의 차이 및 지역사회프로그램 필요성에 관한 연구

        신가인(Shin, Ga-In),우예신(Woo, Ye-Shin),박다솔(Park, Dasol),박혜연(Park, Hae Yean) 한국웰니스학회 2018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3 No.4

        본 연구는 성공적 노화 수준과 SOC전략을 사용하여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지역사회에서 SOC전략을 기반으로 한 노인의 성공적 노화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응답자들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을 실시하였고 68명의 응답을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을 분석한 결과 SOC전략과 성공적 노화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SOC전략 사용수준은 여행경험에 유의미한 영향을 받는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성공적 노화 수준은 학력, 경제수준, 65세 이후에 운동참여를 하는 응답자, 봉사활동 경험 변수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응답자의 94.1%가 SOC전략을 사용한 성공적 노화에 관련된 지역사회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91.2%가 프로그램에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제시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SOC전략과 성공적 노화 수준을 근거로 체계적이고 실제적인 지역사회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uccessful aging level and factors affecting successful aging by using SOC strategy and to find out the necessity of successful aging program of the elderly based on SOC strategy in the community.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64 individuals who was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old living in the community. 68 surveys were analyzed in the final analysis. In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SOC strategy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ravel experience. Also, the level of successful ag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economic condition and participated in exercise or volunteer activities than those aged 65 years or older. 94.1%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need a community program related to successful aging using SOC strategy, and 91.2% said they would participate in the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ould develop a systematic and practical community program based on the SOC strategy and the level of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living in the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