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State space representation of the general Wiener-Hopf controller

        박기헌,최군호,Park, Ki-Heon,Choi, Goon-Ho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8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Vol.4 No.3

        이 논문에서는 다항식 서로소 인수로 표시되는 위너-호프 제어기의 계산상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상태공간 변수 공식이 개발되었다. 위너-호프 인수 행렬을 이용하여 주어진 다항식 서로소 인수로부터 안정 유리행렬의 서로소 인수를 구하였으며 이 결과를 이용하여 위너-호프 제어기의 공식을 유리행렬의 서로소 인수로 표현한 후 이를 이용하여 상태공간 계수를 구하였다.

      • KCI등재후보

        지적도면상의 건축물 등록을 위한 건축도면 활용 방안

        박기헌(Park Ki Heon),정성용(Jung Sung Yong) 한국지적정보학회 2009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11 No.1

        현재 우리나라에서 토지소유권의 수평적 한계를 표시하는 지적도에는 모든 건축물이나 구조물의 경계가 표시되지 않아 많은 어려움을 격고 있다. 그래서 지적도 활용시 필지 경계내의 건축물 위치 식별이 어렵고, 현황측량에 따른 많은 비용과 시간을 소요하고 있다. 또한 3차원 지적 구축을 위해서 가장 먼저 선행되어야 할 과제 역시 건축물 등록임이 틀림없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항공사진측량과 지상측량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으로 건축물의 지붕선이나 처마선이 아닌 지적측량에서 기준이 되는 지상 외벽 경계선을 등록하기 위해 방법으로 건축도면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해당 건축물의 공적장부에 등록된 바닥면적과 동일한 경계선을 동시에 등록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건축도면을 활용한다면 지적재조사사업에서 지상측량에 따른 건축물 등록의 시간과 경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을 것이며, 3차원 지적 구축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We have noticed that it is very difficult for us to get a position of the building and facilities by cadastral map. Because there is not displayed the boundary of it on the cadastral map which represents a horizontal boundary of land ownership. Therefore, it has been a waste of time and expense in the cadastral surveying and has got a inconvenience in the recognizing of the positions of it on the cadastral maps without it. Also building registration should be the first subject to construct for 3D-cadastre. Accordingly, this study have presented to the application of architectural drawing in order to register the line of an outer wall, which is the rule in cadastral surveying. In stead of the line of a top wall in photogrammetry and surveying. And also it can be registered the ground area in the meritorious service register as well. Consequently, it is possible for a application of building registration on the cadastral maps using architectural drawings to cut down for the time and cost in the cadastral re-survey, and make a foundation of 3D-cadastre.

      • KCI등재

        건축도면을 활용한 지적도상의 건축물 등록 자동화 기술 개발

        박기헌(Park Ki Heon),엄정섭(Um Jung Sup) 한국지적학회 2008 한국지적학회지 Vol.24 No.1

          현행 지적도에는 건축물 위치가 표시되지 않아 지적도 활용 시 건축물 위치 식별이 어렵고, 현황조사 측량에 따른 비용과 시간의 소요와 불편을 격고 있다. 실제로 실무분야에서는 건축물이나 구조물의 위치를 지상측량에 의한 성과만 제시되고 있을 뿐 지적도에 등록하여 관리하고 있지는 않다. 또한 반드시 지상측량에 의해서 건축물과 구조물을 등록하기에는 시간적, 경제적으로 큰 낭비를 초래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연구에서 고려되지 못한 지붕선이나 처마선이 아닌 지적측량에서 기준이 되는 지상 외벽 경계선을 등록하기 위해 건축도면을 이용한 자동화 등록 기술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자동 등록 기법으로 건축도면을 이용하여 지적도상에 건축물을 등록함에 있어 지상측량을 보완할 수 있었으며, 또한 3차원 지적 구축을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 지적재조사사업에서 건축물 등록의 시간과 경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을 것이다.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position of buildings by using a cadastral map, because there remains unmarked positions of building. In addition to the waste of time and the inconvenience of land surveying, conflicts and suits caused by invasion of building boundary are happening. Also, registering the position of buildings and facilities under a cadastral surveying causes a severe waste of time and money. This study have developed to the automatic registration technology through the architectural drawing, in order to register the line of an outer wall, which is the rule in cadastral surveying. Consequently, it is possible for the automatic technology of building registration on the cadastral maps using architectural drawings to cut down for the time and cost in the cadastral re-survey, and make a foundation of 3D-cadastre.

      • KCI등재

        퇴계전서에 나타난 토지용어의 유형 연구

        박기헌(Park, Ki Heon),장은숙(Jang, Eun Suk) 한국지적학회 2016 한국지적학회지 Vol.3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퇴계전서에 나타난 토지용어의 실태를 조사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토지용어의 유형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시간적으로는 퇴계가 출생한 1501년부터 사망한 1570년까지로 하고, 공간적으로는 국내로 하며, 내용적으로는 퇴계전서 제1책과 제2책의 시로 한정하였다. 조사방법으로는 문헌조사법과 인터넷조사법을, 분석방법으로는 비교분석법과 기술적 분석법(記述的 分析法)을 병행하 였다. 분석결과, 토지용어는 크게 산(山) 천(川) 전(田) 집(家)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집 유형의 토지용어는 집의 크기 지붕의 재료 집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밭 유형의 토지용어는 모든 경작지를 전(田)이라 하고, 전은 수전(水田)과 한전(旱田)으로 분류되었으며, 논과 밭이 구분되지 않았다. 밭의 면적은 밭이랑(畝)의 수로 나타났다. 산 유형의 토지용어로 봉(峯)은 산의 정상을, 록(麓)은 봉의 아래 산기슭을, 원(園)은 규모가 작고, 집으로부터 가까운 산을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 유형의 토지용어로 渠(거)는 도랑을, 계(溪)는 작은 시내를, 천(川)은 보통크기 하천을, 강(江)은 큰 하천을, 소 (沼)는 작은 웅덩이를, 담(潭)은 규모가 큰 웅덩이를 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in-depth condition of land terms described in Toegye’s collected works while presenting the pattern of land terms from that point of view. To this end, the study was focused on temporal background from 1501 when Toegye was born to 1570 when he died; physical background was limited to our country; and the content was limited to the poem in Volume I and Volume II in Toegye’s collected works. Literature survey and internet search were carried out as a survey method while both comparative analysis and descriptive analysis were adopted as an analytic method. The findings support that land terms are mainly categorized by four patterns as “mountain”, “stream”, “field” and “house”. The land term of “house” is patterned in different ways depending on the house size, roof materials and the location of the house. The land term of “field” is patterned in such a way that all farmlands are simply called as “field” and then the “field” is again classified into “Paddy-field (Sujeon)” and “Dry-field (Hanjeon)”. However, neither field nor rice paddy was defined. The field area was expressed in the number of plowed rows in a field. The land term of “mountain” is patterned in such a way that “Bong” is defined as the peak of mountain; “Rok” is defined as the foot of mountain under “Bong”; and “Won” is described as a small mountain near to house. The land term of “stream” is patterned in such a way that “Geo” defines ditch; “Gye” as small stream; “Cheon” as ordinary stream; “Gang” as river; “So” as small puddle; and “Dam” as a large puddle.

      • KCI등재

        드론을 이용한 지적재조사사업의 건축물 경계 관리에 관한 연구

        박기헌(Park, Ki Heon) 한국지적학회 2017 한국지적학회지 Vol.33 No.1

        최근 지적재조사사업이 완료된 지역에서는 일필지 조사를 통한 필지경계와 건축물의 경계선 등을 새로운 지적공부에 등록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재조사사업 지역 에서 드론을 활용하여 건축물의 지붕 및 처마와 같이 구조물의 실제 경계를 취득하여 가칭 건축물 경계 점표지등록부에 사진의 형태로 등록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지적재조사측량 결과도의 건축물 경계선과 드론 영상의 건축물 경계선에 대한 위치정확도를 분석하였다. 드론으로 제작된 정사영상과 지적재조사측량 결과도의 건물 현황선을 중첩하여 실제 지붕선 및 처마의 경계선과 지상의 외벽 경계 선과 비교 분석한 결과 위치정확도는 X축으로 RMSE가 0.832m로 나타났고, Y축 RMSE가 0.809m로 나타났다. 지적재조사사업 대상지역이 군단위의 농촌지역인 경우 한옥형태의 단독주택들이 많아 지붕 선과 처마선이 지상 외벽선과 차이가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그러한 현상을 반드시 공부에 등록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가칭 건축물 경계점표시등록부라 칭하는 공부의 작성안을 제시하였고, 향후 지적재조사사업이 완료된 후 지적측량을 수반하지 않고 건축물의 실제 지붕선이나 처마선까지도 확인이 가능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Recently, in the area where cadastral resurvey project was completed, a variety of information is offered through the newly registered cadastral record using parcel survey such as the decision of parcel boundary and building boundary. This research presented the way that the real boundary of architecture such as the roof and eaves is registered in the tentatively named building boundary monument record as the form of pictures by using Drone at the area of cadastral resurvey project. The study analyzed the position accuracy of the building bounding in the result map of cadastral resurvey and drone orthophoto. According to the analyzed result between the boundary of the roof and eaves and ground building boundary by overlaying orthophoto produced by Drone with building boundary of the result maps of the cadastral resurvey, position accuracy shows that RMSE is 0.832m as X, 0.809m as Y. In the case of county farming villages as the target area of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 there are a lot of differences between boundary of roof, eaves and ground boundary of building because of the many detached houses of Hanok style. Furthermore, this phenomenon should be registered in the record and managed. Therefore, this survey suggests the recording plan called building boundary monument record. It also provides the possible method to confirm the roof boundary and eaves without the cadastral surveying after cadastral resurvey project is completed.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지적재조사 필지경계선과 도시계획선 연계방안 연구

        박기헌(Park, Ki Heon),민관식(Min, Kwan Sik) 한국지적학회 2019 한국지적학회지 Vol.35 No.3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public announcement of topographical drawing, this study seeks to improve the correction and change procedures based on the latest land boundary in the change procedure by the cadastral announcement map based on the land boundary according to the boundary of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 Also, after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 was completed, we suggested that the changes of the parcel boundary could be applied to various topographical notices, and to be applied to the urban or Gun management planning. Lastly, the latest land boundary changes resulting from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 will be reflected in the urban or Gun management planning to minimize the inconvenience of the people and contribute to the protection of property rights. 본 연구에서는 기존 지형도면고시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지적재조사 사업의 경계 확정에 따른 토지경계를 기반으로 지적고시도면에 의한 변경 절차에 있어 최신의 토지경계를 기준으로 경정 및 변경절차의 개선 방안을 모색 하였다. 또한 지적재조사 사업이 완료된 이후 필지경계선의 변경사항을 각종 지형도면 고시 업무에 연계 활용하는 방안과 도시·군 관리계획 수립에 신속하게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지적재조사 사업에 따른 최신 토지경계의 변경사항을 신속히 도시·군 관리계획에 반영하여 국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재산권 보호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KCI등재

        지적재조사사업의 경계결정 유형분석 : 경산시와 달성군을 사례로

        박기헌(Park, Ki Heon),박진평(Park, Jin Pyoung) 한국지적학회 2015 한국지적학회지 Vol.31 No.1

        지적재조사사업의 진행에 있어서 소유자간의 경계설정 및 경계확정에 가장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3년도 사업지구 중 경상북도 경산시와 대구광역시 달성군 두 곳의 지적재조사사업 지구의 경계결정 유형을 분석하여 지적재조사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문제점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두 곳의 사업지구에서 국 공유지의 면적을 감하여 경계결정을 수행하였으며, 전체적인 면적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흥산지구의 경우 토지형상 정형화가 56%를 차지했고, 북리지구의 경우 건축물 저촉 해소가 51%를 차지하였다. 따라서 사업시행 전 해당 사업지구의 지목별 분포와 경계결정 연관성을 파악하고 민유지와 국 공유지의 면적 분포를 파악하여 사전에 전체적인 면적 증감 여부 를 분석함은 물론 토지형상의 정형화, 건축물 저촉 해소, 지상경계의 현실화 등을 고려해 합의경계 위주로 사업이 진행되어야 사업추진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e progress of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 it takes too much time and manpower to determine the parcel boundary among owner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boundary determination types of the projects, especially Gyeongsan City and Dalseong-Gun, among the districts in 2013. Furthermore, it drew several problems and implications in order to push ahead with the successful project. In the two districts, this study carried out the boundary determination with the decrease of the area of the national/public lands and consequently, the whole area became declined. In the case of Heungsan, standardization of land shape has captured 56%, and settlement of building conflict took up 51% in Bukri. Therefore, we should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stribution of land category and the boundary determination in that district before the started it. Moreover it is necessary to search for the area distribution of the private lands and the national/public lands and the gain and loss of the whole area. Besides, if the project based on the mutual agreement boundary such as standardization of land shape, settlement of building conflict, realization of ground boundary is operated, the efficient cadastral Re-survey project can be carried forward.

      • KCI등재

        지적재조사사업 완료 지구의 연속지적도 정비 방안에 관한 연구

        박기헌(Park, Ki Heon) 한국지적학회 2018 한국지적학회지 Vol.34 No.4

        본 연구에서는 지적재조사사업 완료지구의 확정도면을 기존 연속지적도에 정확히 정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Helmert 좌표변환방법의 역변환 방법과 2차원의 이동회전변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정확한 연속지적도 정비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지역은 대구광역시 검단지구와 경산시 흥산지구의 확정도면을 대상으로 실험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속지적도 정비 정확도 비교·분석을 위해 Landy-1 좌표변환 프로그램을 이용한 역변환 결과와 AutoCAD를 이용한 2차원 이동회전변환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두 지역 모두 Helmert 변환식에 의한 역변환 방법 보다 2차원의 이동회전변환 방법이 더 정확한 결과를 나타냈다. 평면위치오차로 각각 0.50m, 1.93m에서 0.07m, 0.58m로 더 정확한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면적분석에서 2차원의 이동회전변환의 경우 대상지역의 전체 필지의 면적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결과를 나타냈다. 지적재조사사업 완료지구 연속지적도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정비 방법으로 2차원 이동회전변환 방법을 이용한다면 정확도 향상 뿐만 아니라, 나아가 국민의 재산권 보호 및 토지의 효율적 관리에 상당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in order to propose a method to accurately fix the confirmed map of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 completion district to the existing continuos cadastral map, the inverse transformation method of the Helmert coordinate transformation method and the two - dimensional rotation transformation method were performed, And suggested a improvement method. Experimental and analytical studies were conducted on the confirmed maps of Daegu Metropolitan City Geomdan district and Kyungsan City Heungsan district. In order to compare and analyze the accuracy of continuous cadastral maps, we used the Landy-1 coordinate transformation program and the two-dimensional rotation transformation method using AutoCAD. As a result, the two - dimensional rotation transformation method showed more accurate results than the inverse transformation method using Helmert transformation in both regions. Plane position errors of 0.50m, 1.93m, 0.07m and 0.58m, respectively. Also, in the area analysis, the result of 2 - dimensional mobile rotation transformation has no effect on the total area of the parcels in the target area. Completion of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 If the two-dimensional rotation transformation method is used as a maintenance method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district continuous cadastral map, it can be expected not only to improve the accuracy but also to have a considerable effect on the protection of the property rights of the people and the efficient management of the land.

      • KCI등재

        지적재조사 측량에 적용을 위한 반사시트 타깃 토털스테이션 측량의 정확도 평가

        박기헌(Park, Ki Heon),홍성언(Hong, Sung Eon) 대한공간정보학회 2014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2 No.4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의 구조적 다양성에 따른 토털스테이션 측량과 GPS 측량의 어려움을 보완하고, 무 프리즘 토털스테이션 측량의 건물 재질에 따른 오차 문제를 보완할 수 있는 측량으로 반사시트 토털스테이션 방법을 이용한 건축물 경계 측량의 정확도를 분석하여 지적재조사 측량에서의 활용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반사시트 타깃을 거리에 따른 반사각도별로 실험한 결과, 반사각도가 90°에서는 RMSE가 1.2㎜에서 2.8㎜로, 60°에서는 2.2㎜에서 4.0㎜로, 30°에서는 2.5㎜에서 4.4㎜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실제 건축물의 경계측량을 실험 해본 결과 기존 프리 즘과 반사시트 타깃과의 오차는 X축의 RMSE가 0.043m, Y축의 RMSE가 0.038m로 나타났다. 이러한 오차의 발생원인은 프리즘 소자 뭉치를 건축물의 모서리에 정확히 부착하지 못하는데서 일어나는 오차로 판단된다. 따라서 지적재조사 측량에서 건축물의 경계를 측정할 때 반사시트 타깃을 동시에 활용한다면 건축물의 구조적 문제로 인한 시준의 한계 및 오차 발생에 있어서 상당한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research, we would try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in cadastral resurvey surveying by analysing the accuracy of building boundary surveying using the reflective sheet total station surveying. When we analyse it, we refer the reflective sheet which can supplement not only the difficulties of total station surveying and GPS surveying caused by the diversity of the building structure but also the errors of non prism total station caused by material of the object. Each reflected angles 90° and 60°, 30° of RMSE results were analyzed by RMSE between 1.2㎜∼2.8㎜ and 2.2㎜∼4.0㎜, 2.5㎜∼4.4㎜ for each distance. The result of X RMSE was analyzed to be 0.0043m in a boundary surveying for existing building between prism surveying and reflective sheet surveying, and also Y RMSE was 0.038m. The source of error is estimated that the body of the prism can not be exactly attached to the edge of a building. Therefore, it will be very helpful to use a reflective sheet surveying with a prism in both the limit of collimation and error reductions as a building boundary measurement in cadastral resurvey survey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