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네트워크 기반 실내 감시 로봇 시스템 개발

        박근영,허근섭,이상룡,이춘영,Park, Keun Young,Heo, Guen Sub,Lee, Sang Ryong,Lee, Choon Young 대한임베디드공학회 2008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Vol.3 No.3

        Mobile robots can offer services like intelligent monitoring in an indoor environment using network connection with remote users.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developed a networked security robot system with various sensors, such as flame detector, gas detector, sound monitoring module, and temperature sensor, etc. The robot can be accessed through a web service and the user can check the status of the environment. Using ADAMS software, we defined the motor specification for a worst-case condition of climbing over a obstacle. We applied the robot system in monitoring office condition.

      • KCI등재

        ‘이’,‘그’,‘저(뎌)’의 의미 기능 변화

        박근영 ( Park Keun-young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06 언어와 문화 Vol.2 No.1

        This paper explores Korean demonstrative pronouns which change to discourse markers; ‘i’, ‘geu’ and ‘jeo’.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hesive change of meanings and functions of demonstrative pronouns, I introduced the approach of Grammaticalization which is defined as “an increase of the range of a morpheme advancing from less grammatical to a more grammatical status(Kurylowicz, 1965:52)” Demonstrative pronouns, ‘i’, ‘geu’ and ‘jeo’, are grammaticalized in direction of ‘demonstrative pronoun(noun-substitute) >demonstrative article> discourse marker([gap-filler(gaining time)])>[hesitation], or [gap-filler(gaining time)] > [self-repair elaboration])’. Here I suggest the change of Korean demonstrative nouns, ‘i’, ‘geu’ and ‘jeo’, as follow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 KCI등재

        대중가요에 대한 선호 및 인지도의 요인 분석 : 나이와 교육 효과를 중심으로

        박근영 ( Park Keun-young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社會科學論集 Vol.51 No.1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사회과학 분야에서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대중가요에 대한 취향 형성 요인을 탐색하였다. 먼저 개인의 대중가요 취향 형태를 구분하기 위해 14곡의 대표적인 우리나라 대중가요를 선정하여, 개별 노래에 대한 인지도, 선호도, 극단적인 선호와 비선호 등 네 가지 속성을 측정했다. 다음으로 각각의 대중가요 취향 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설명변수들의 효과성을 분석했으며, 이 과정에서 특히 나이와 교육수준의 영향력에 대해 더 집중하였다. 분석 결과 설명변수와 대중음악에 대한 개인들의 취향 간에 다음과 같은 관련성을 발견하였다. 첫째, 사람들이 나이가 들수록 대중가요에 대한 인지도와 선호도, 그리고 극단적으로 좋아하는 노래의 수가 함께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극단적으로 싫어하는 노래의 수는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둘째, 교육수준은 대중가요에 대한 평균적인 선호도와 극단적으로 좋아하는 대중가요 곡 수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대중가요 전반에 대한 인지도나 특정 대중가요를 매우 싫어하는 태도에 대해서는 별다른 효과가 없었다. 셋째, 이러한 결과에 의하면 나이와 교육수준은 분명 대중가요에 대한 취향에 큰 영향을 주는 변수이지만, 또 다른 분석인 다중대응일치분석 결과에 의하면 이들 두 변수와 대중가요의 취향사이에 반드시 선형 관계가 존재한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causal factors that may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a personal taste on Korean popular songs, which have not drawn much attention in social science. To this end, we first identified four types of attributes that define the tastes on popular songs, such as the degrees of awareness and preference, extreme like and dislike, and measured these variables using 14 selected Korean popular songs. Then we classified various explanatory variables that may affect individual popular song tastes. Among them, we particularly focused on how age and education level affect these individual’s popular song taste-related attributes. Consequently the following relationships are found between the two variable groups. First, as people get older, the awareness and the preference on popular songs, and the number of songs they like very much tend to increase together, but the number of songs that they extremely dislike do not change much. Second, the level of education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average preference and the number of songs they are extremely fond of, but it has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egree of awareness or the attitude of aversion toward certain popular songs.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prior analysis, it is obvious that age and education level are very important in shaping the taste of popular music, but the Multiple Correspondence Analysis(MCA) results demonstrate they do not necessarily have a linear relationship with the taste of popular songs.

      • KCI등재

        외국인 교환학생의 온라인과 오프라인 친구관계 형성에 대한 비교분석

        박근영(PARK Keun Young),김지훈(KIM Jee hun) 지역사회학회 2016 지역사회학 Vol.17 No.3

        본 논문은 지금까지 외국인 유학생 연구에서 비교적 소홀히 다루어졌던 유학생들 간 친구관계 형성의 특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유학생들의 친구관계를 오프라인과 온라인 공간으로 나누어 각 공간에서의 특성을 비교분석했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한 대학의 2013년 2학기 교환학생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178명 전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그들이 사용했던 페이스북 기록을 자료화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에 유학 온 학생들 사이의 친구관계에서는 다음 3가지 특징이 발견되었다. 첫째, 오프라인에서 친구 사귀기에 적극적인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온라인 공간에서도 친구 사귀기에 적극적이다. 둘째, 언어는 유학생들 간의 친구관계 형성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데, 특히 한국어를 잘 할수록 오프라인에서 다른 유학생들을 사귀는 데 적극적이었고, 반대로 한국어를 잘 못할수록 페이스북에서 친구 사귀기에 적극적이었다. 셋째, 중국학생들의 경우 오프라인에서의 친구 사귀기에는 소홀한 반면 페이스북에서의 친구 사귀기는 다른 지역 출신의 유학생들에 비해 매우 적극적이었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friendship formation among foreign students, which has been barely dealt with in the studies of international student’s friendship. In particular, it divides the venues of friendships into two spaces, i.e., on- and off-line, and compares the features of friendship formations in each spac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78 foreign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exchange student program in fall 2013, organized by a university located at Seoul metropolitan area. For off-line friendship, a survey has been carried out in order to gather student’s attributes and friendship networks. For on-line friendship, student’s Facebook friendships and activities have been garnered. The analyses of these data reveal the following three. First, foreign students who actively make friends in off-line space are also likely to actively make friends at Facebook. Second, languages are playing a crucial role in forming friendship networks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Especially, those who cannot speak Korean very well tend to more actively make friends at Facebook while those who speak excellent Korean tend to aggressively make other international student friends at off-line. Lastly, Chinese students are active in making Facebook friends while reluctant to make off-line friends.

      • KCI등재

        뉴미디어의 소비가 선거에서 지지후보자 변경에 미치는 영향

        박근영(Park, Keun-Young)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社會科學硏究 Vol.31 No.1

        본 연구는 단일 선거 기간 동안 유권자들이 지지후보자를 변경하는데 영향을 주는 미디어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2014년 서울시장 선거에서 수집된 패널데이터를 이용하여 유권자들의 변심 횟수와 변심 유형을 결정함에 있어 미디어, 특히 인터넷이나 SNS와 같은 뉴미디어가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 세 가지 사실을 시사한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정치관련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도 미디어를 사용하는 평균 시간의 차이나 미디어로부터 얻는 정보량의 차이는 투표에서 유권자들이 변심을 하는 횟수나 변심의 유형을 결정하는데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 둘째, 전통 미디어보다는 뉴미디어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투표에 있어서 유권자의 결정을 바꾸는 데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셋째, 같은 뉴미디어 계통의 매체라 하더라도 속성이 다른 개별 미디어들이 선거에서 부동층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차별적이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influences of media consumption on intra-election floating voters. Using the panel data of the 2014 Seoul mayoral election, it analyzes how the consumption of media, especially, new media such as the Internet and SNS, affects the number and the type of switches regarding individual voters’ favorite candidates. As a consequence, the following three have been found. First, controlling for political as well as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 average media consumption time and the amount of election information from i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type and the frequency of the favorite candidate switches. Second, new media, rather than traditional ones, play more important roles in changing voters’mind. Finally, individual types of media, though they belong to the same ‘new media’ category, have differentiated influences on floating voters depending on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 KCI등재

        한국 문화사회학 연구의 구조와 흐름

        박근영(Keun-Young Park) 한국문화사회학회 2016 문화와 사회 Vol.20 No.-

        본 연구는 지난 10년간 한국문화사회학의 논문 생산의 주체는 누구였으며 그들의 주요 관심사는 무엇이었는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06년부터 2015년까지 발행된 한국문화사회학회의 공식 학술지『문화와 사회』게재 논문의 저자와 키워드를 대상으로 일반 기술통계 및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문화사회학의 논문 생산 주체와 그들의 관심사 변화를 추적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경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초기 『문화와 사회』는 소수 저자들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지만 최근 들어 저자 및 그들 소속 기관의 다양화가 이루어졌다 둘째 초기 『문화와 사회』의 주요 관심사는 문화사회학의 정체성을 정립하려는 몇몇 특정 주제에 상당히 편중된 모습을 보였지만 최근 들어 주제의 집중도는 떨어지는 대신 보다 포괄적인 영역으로 관심사를 확대하는 보습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본 논문은 『문화와 사회』가 학문적인 중심과 정체성을 성공적으로 확립하였으며 전형적인 학술지 설립 초기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안정화의 단계로 진입하고 있다고 평가한다. This research aims at exploring who has been the subjects of thesis production in the KACS (the Korean Association of Cultural Sociology) and what has been their major research topics for the last decade. Applying social network analysis as well as descriptive statistics to ‘authors’ and ‘key words’ of research papers published by KJCS(the Korean Journal of Cultural Sociology, an official journal of KACS) between 2006 and 2015, it traces the changes in research trends and interests of Korean cultural sociology. The results show the following two. First, while the KJCS heavily relied on a small number of authors before 2010, it recently obtained lower level of concentration with regard to authors and their affiliations. Second, before 2010, KJCS stuck to a narrow range of research topics mostly related to its academic identities, it recently extended its topic areas significantly. All these changes consistently suggest that the KJCS has overcome the typical setbacks attached to new academic journals, and developed into a phase of stabilization.

      • KCI등재
      • KCI등재

        한국과 미국의 문화예술교육 관련 양적연구 경향에 대한 비교

        박근영(Keun-Young Park) 한국문화사회학회 2017 문화와 사회 Vol.24 No.-

        본 연구는 최근 들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주제를 연구하는데 있어 다양한 사회과학의 양적방법들이 얼마나 적용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와 미국에서 양적방법을 활용하는 경향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 보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분석을 위해 한국과 미국에서 간행된 문화예술교육관련 학술논문들, 그리고 대규모 양적 데이터를 제공하는 웹페이지의 환경을 비교하였다. 결과는 다음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미국의 문화예술교육관련 학술논문들은 예상보다, 또는 한국에 비해, 양적방법의 활용 비중이 높지 않았다. 둘째, 문화예술교육 관련 대규모 데이터를 제공하고 관리하는 온라인 연구기반은 미국이 상대적으로 더 잘 갖추고 있었다. 셋째, 정부에서 투자해서 만든 서베이 데이터, 또는 공공 데이터를 활용해서 학술논문을 작성하는 경향은 미국 측이 월등히 높았다.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extent to which social scientific quantitative methods are adopted in studies of culture & arts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t also investigates noticeable trends in arts education studies that employed quantitative reasoning in those two countries. In so doing, it compares online websites that provide individual researchers with arts education datasets as well as academic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each country. The findings from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oportion of American research papers in this area, which adopt quantitative method(s), is not as high as the expected (or not higher than the Korean). Second, The US has excellent online infrastructures that create and manage large scale datasets for arts education research. Finally, in this area of topics, the US has higher probabilities that perform studies and publish papers, exclusively relying on survey or public data built by government or other administrative off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