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학,문화 : 디지털 시대 도시의 생태학적 전망

        이경래 ( Kyung Lae Lee ),박규현 ( Kyou Hyun Park ),조연정 ( Yeon Jung Cho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2 비교문화연구 Vol.26 No.-

        City`s Ecological Landscape in the Digital Age Lee Kyung-Lae, Park Kyou-Hyun, Cho Yeon-Jung We all know how beautiful our wild and it`s importance to our living planet Earth. But did you realise the speed at which man himself is damaging it`s unique natural habitat. We are well on our way to destroy our forests, plants, wetlands. We are polluting our oceans and seas. This way, we`re driving numerous animal species, plant species and many others into extinction. Everyone should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our natural environment. We live in the period of echocide. Why we need nature to survive and how we can deal with the environmental problems we face. This paper has the purpose to reform city`s environment. Because, Metropolis and megalopolis are the principal cause of environmental disruption. To reform the city is needed to consider digital technology in our age. In the face of economic and cultural globalization, many have argued that we live an increasingly placeless world. However, as a growing number of cities participate and compete in key marketplaces of advanced capitalism, the spectacle of the city is more than ever a significant medium of communication in its own right. In doing so, this work is focused specifically on the dimension of city`s media environment. To that end, the paper examined U-City and U-Eco city. In this study, we will introduce the study on model of U-Eco City as one way for the eco-freindly future cit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모리스 블랑쇼 , ' 마지막 말 ' 의 추구로서의 글쓰기 : 타자에로의 열림

        박규현(Kyou Hyun Park) 한국불어불문학회 2001 불어불문학연구 Vol.47 No.-

        L`e´criture est un des the`mes principaux de presque tous les de´bats litte´raires et philosophiques de notre e´poque. En effet, pour bien comprendre les grands penseurs du vingtie`me sie`cle, comme Nietzsche, Freud, Jung, Foucault, etc, nous devons savoir quel sens ils donnent a` l`e´criture. L`essentiel, a` ce propos, resterait l`acte d`e´criture qui nous entraine dans l`espace du langage cryptique et dans l`absence de pre´sent. En ce qui concerne le terme e´criture, nous avons aborde´ la pense´e de Blanchot, romancier et critique, qui ne cesse de parler de l`expe´rience de l`oeuvre comme celle du dehors. Et nous avons aussi e´tudie´ le point de vue de Woolf qui est semblable aux ide´es de Blanchot Nous avons examine´ l`e´criture comme un mouvement qui nous faire vivre l`expe´rience de l`oeuvre. Selon Blanchot, celle-ci s`accomplit par la passivite´ du mourir qui prive le pouvoir du sujet. Blanchot s`interesse surtout a` l`e´criture autobiographique, pour affirmer non pas le pouvoir de la cre´ation du sujet, mais la disparition du sujet : l`absence d`histoire autobiographique et de psychologie personnelle. Il voit dans le fond de l`e´criture autobiographique un langage pur a` la place du sujet. Blanchot l`appelle l`expe´rience du dehors, et Woolf, la re´alisation de la poe´sie. Pour eux. l`acte insense´ d`e´crire consiste a` revivre l`expe´rience de l`oeuvre. L`e´crivain meurt continuellement dans sa passivite´ et n`arrive jamais au fond de l`oeuvre. Car ce fond n`existe pas. La tour babe´lienne finit toujours par s`effondrer. Le moment de son effondrement est celui du dernier mot qui n`est pas un mot, mais l`il y a. Le dernier mot n`est le dernier mot que pour ce qu`il re´serve de silence. L`e´criture n´est autre que la recherche perpe´tuelle de ce dernier mot. D`apre`s Blanchot, le dernier mot indique la relation infinie avec l`autre dans une autre temporalite´ : l`absence de pre´sent. Dans l`absence de pre´sent, le sujet devient un espace vide ou` se constitue l`e^tre-en-commun par le on. Le sujet doit donc essayer d`entrer dans la vie de l`oeuvre qui se saisit comme une sorte d`espace politique qui pre´existe a` toute politique de´termine´e, en prenant le risque de se perdre. Par la`, la ta^che de l`espacement infini du sujet lui-me^me se montre chez Blanchot par le terme re´volution. En de´finitive, nous pouvons conside´rer l`acte insense´ d`e´crire comme l`ouverture vers l`Autr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모로코 베르베르계 유대인의 정체성 고찰: 다큐멘터리 영화 <팅히르-예루살렘, 멜라흐의 메아리>를 중심으로

        박규현 ( Kyou-hyun Park ) 한국비교문학회 2021 比較文學 Vol.- No.85

        본 연구는 모로코의 유대문화유산 창조의 주체였지 이제는 이스라엘로 이주한 유대인들의 정체성에 관심을 가졌다. 이를 위해 모로코의 역사에서 유대인 공동체의 흔적을 되짚고 그곳을 떠나 이스라엘로 이주한 이들에게 그들의 정체성을 묻는 다큐멘터리 영화 < 팅히르 - 예루살렘, 멜라흐의 메아리Tinghir-Jérusalem: Les Échos du mellah >(2011, 카말 하츠카르Kamal Hachkar 감독)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다큐멘터리 형식의 이 영화는 실제 인물들이 과거부터 현재까지 직접 보고 듣고 겪은 일들을 들려주는 것을 그대로 담아내는 구술 채록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현재까지 문헌 자료로는 구하기 힘든 팅히르 유대인 공동체의 역사를 알려주는 이 영화는 모로코 굴곡의 역사를 증언하는 역사 영화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기도 하다. 본 연구는 우선 영화 속에 나타나는 화자의 장소 이동과 그와 관련된 질문과 주요 내용을 따라가며 모로코의 베르베르인, 유대인 공동체 ‘멜라흐(Mellah)’, 모로코 유대인의 이스라엘 이주에 관련된 역사를 고찰하였으며, 다음으로 영화 속의 대사를 중심으로 이스라엘로 이주한 자들과 모로코에 남겨진 자들의 기억과 향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모로코 작은 마을의 유대인 공동체 역사를 고찰한 본 연구는 현재 모로코-이스라엘 외교 관계 진전의 밑거름 중 하나가 무엇인지 짐작하게 해준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identity of Jews who were once the creators of the Jewish cultural heritage in Morocco and now immigrated to Israel. The research analyzes the documentary film < Tinghir-Jérusalem: Les Échos du mellah > (2011, director Kamal Hachkar), which follows the traces of the history of the Jewish community in Morocco and asks about the identity of Moroccan Jews living in Israel. This movie is an oral narrative that captures what people have experienced in their lives. The film, which shows the history of the Tinghir Jewish community, therefore functions as a historical testimony that tells Morocco’s troubled history. First of all,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y of the Moroccan Berbers, Jewish community ‘Mellah’, and Moroccan Jews’ migration to Israel by tracing the narrator’s move. And then it elaborates the memories of Moroccan Jews living in Israel and those left behind in Morocco through the film. Also, this study, examining the history of a small Jewish community in Morocco, implies what the basis for the current Moroccan-Israel diplomatic relations is.

      • KCI등재

        카뮈의 첫 작품 『안과 겉』과 마지막 작품 『최초의 인간』 비교연구

        박규현(Park, Kyou-Hyu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과학연구 Vol.0 No.48

        본 연구는 프랑스문학에서 성장문학의 한 예로 카뮈의 작품을 선택하여, 그의 최초의 단편집과 마지막 소설을 비교․연구하였다. 애초에는 자전적 측면에 관심을 두고 카뮈의 작품들 중 말 그대로 가장 자전적 소설이라 볼 수 있는 사후유고집 최초의 인간을 연구대상으로 정하였으나, 작가와 작품의 관계에 좀 더 관심을 기울여 카뮈의 초기 사유가 점차 어떻게 발전해 갔는가를 살펴보면서, 카뮈의 첫 작품으로 간주되는 『안과 겉』에도 함께 주목하게 되었다. 이와 더불어 카뮈가 십대 후반에서 이십대 초반에 노트 형태로 써놓은 단편적인 글들을 참고하였다. 본 논문은 우선 『안과 겉』의 재판(再版)에 실린 서문의 중요성에 주목하였다. 이 서문은 카뮈가 22세에 쓴 작품을 거의 20년이 다 되어서야 재판을 허용하며 쓴 글이다. 이 글이 출판된 이듬해인 1960년에 그가 생을 마감했다는 점을 염두에 둔다면, 그리고 그가 1959년에 『최초의 인간』을 집중적으로썼다는 사실을 염두에 둔다면, 이 글은 그의 문학에 대한 최종적인 소견을 담고 있을 뿐만 아니라 마지막 작품과 상당히 긴밀한 유기적 관계를 맺고 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이 서문의 가장 핵심적인 내용은『안과 겉』에 카뮈의 내면의 핵심과 예술가로서의 원천이 담겨있다는 것이며, 이 작품을 다시 쓰지 못한다면 자신은 아무 것도 쓰지 않은 것이 된다는 그의 고백이다. 결국 그는 이 작품을 다시 쓰기 시작했으니, 그것이 『최초의 인간』이라 할 수 있다. 이 마지막 소설은 1960년 자동차 사고로 갑작스럽게 죽음을 맞이했을 당시 원고뭉치로 남아 있다 문학교사 출신인 그의 딸 카트린이 원고 정리를 마쳐 그가 죽은 뒤 30년 이상이 지난 후에 발표된 것이다. 우리는 카뮈가 첫 작품을 다시 쓰리라 고백했듯이 마지막 작품 최초의 인간에는 그의 사유의 핵심과 정수가 담긴 안과 겉의 내용을 충분히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특히 첫 작품 안과 겉이 카뮈의 삶과 사유를 이해하는 데 있어 어떠한 단초들을 제공하고 그것이 반복되고 변주되어 마지막까지 어떠한 모습으로 고집스럽게 남아있는가에 초점을 두었다. 다시 말해 카뮈의 작품들에 나타나는 사유의 발전뿐만 아니라 그의 사유에 일종의 정체성처럼 남아있는 내재적 일관성에 대해서도 커다란 관심을 두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역사 다시 쓰기의 가능성 : 최인훈의 『태풍』과 세제르의 『어떤 태풍』에 대한 비교 연구

        박규현 ( Park Kyou-hyun ) 한국비교문학회 2019 比較文學 Vol.0 No.78

        본 연구에서 비교한 두 작품 최인훈의 『태풍』과 세제르의 『어떤 태풍』은 한국과 아프리카의 피식민 역사를 직간접적으로 담고 있으며, 셰익스피어의 『태풍』을 정전으로 삼고 있다. 세제르의 작품은 탈식민주의·반제국주의적 관점을 취하고 있는 반면, 최인훈은 과거의 역사를 되짚어본 후 화해의 전망을 제시하고 있다. 세제르나 최인훈의 이러한 관점들은 피식민지 경험을 지닌 국가들에서 나타나는 여러 잠재적 심층구조들 중의 일부가 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식민지배자의 입장에 있다고 볼 수 있는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패러디한 두 작가의 작품을 분석·비교하며, 지속적인 역사 다시 쓰기의 가능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여러 관점의 역사 다시 쓰기의 가능성과 문학의 관계를 생각하고, 여전히 피식민지의 심층구조 속에 남아 있는 역사에 대한 끊임없는 문제 제기의 필요성을 논해보고자 하였다. 여기서 역사 다시 쓰기의 가능성이란 새로 발굴된 역사적 증거물을 통해 역사를 새로 서술함을 가리키지 않는다. 세제르나 최인훈의 작품을 통해서 생각해보려는 역사 다시 쓰기의 가능성이란 문학적 상상력을 통해 역사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가능성을 열어두고자 함이다. The two works compared in this study, “Taepoong” by Choi In-hoon and “Some Typhoon” by Cesaire, directly or indirectly contain the history of predators in Korea and Africa, and Shakespeare’s “Taepoong” is the original work. While Cesaire’s work takes a de-colonialism and anti-imperialim’s perspective, Choi In-hoon offers a prospect of reconciliation that has put past history behind it. These points of view by Cesaire and Choi In-hoon can be seen as some of the potential deep structures that appear in countries with colonized experience. This study analyzed and compared the works of two authors who parodied Shakespeare’s works, which could be seen as being in the position of colonialists, and examined the possibility of continuous rewriting of history. Through this, we wanted to think about the possibility of rewriting history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to discuss the need to raise the constant problem of history that remains in the deep structure of the colonized people. The possibility of rewriting history here does not refer to a new description of history through newly discovered historical evidence. The possibility of rewriting history to think through the works of Cesaire or Choi In-hoon is to leave open the possibility of various perspectives on history through literary imag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