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 후기의 역서(曆書) 간행에 참여한 관상감 중인 연구1

        박권수 ( Kwon Soo Park ) 한국과학사학회 2015 한국과학사학회지 Vol.37 No.1

        The last pages of extant calendars, published in late Joseon period, include the lists of jung’in astronomers who took part in the process of calendar- making at the Bureau of Astronomy (Gwansanggam). This article conducts a comprehensive survey of calendar-makers included in the extant Joseon calendars from 1580 to 1908, and analyzes the information on the jung’in astronomers, such as the numbers of calendar-makers, their official posts, and their official ranks in the royal court. This analysis shows that the number of calendar-makers changed three times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They were 5 from 1580 to 1653. The number increased to 8 from 1654 to 1742, and increased again to 14 from 1743 to 1895. From 1896 to 1908, the number of calendar-makers shows frequent fluctuations between six and fourteen. The lists also show the personal careers of the jung’in astronomers, such as their official posts and ranks. This information allows us to reconstruct their career trajectories in the bureaucratic system of the Joseon dynasty. Finally, the list shows the long-term tendency in the official ranks of the calendar-makers. The official ranks of the most senior official of the calendar-makers tended to become higher after the eighteenth century. This means that the official ranks of the jung’in scientists in the Bureau of Astronomy became gradually higher in late Joseon period.

      • KCI등재

        일반논문 : 여암 신경준의 과학사상

        박권수 ( Kwon Soo Park ) 한국실학학회 2015 한국실학연구 Vol.0 No.29

        본 논문에서 필자는 ‘신경준 과학사상’의 전반적 특징을 한번 규명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우선 신경준의 과학기술 관련 저술들에 포함되어 있지만 기존의 연구자들이 그다지 주목받지 못했던 천문학 활동과 관련된 내용들을 소개 한다. 또한 신경준의 기술관련 저술들과 음운학 저술 등에 포함되어 있는 전통적 인 성리학적 자연철학, 혹은 상수학적 자연철학의 내용들을 보여줄 것이다. 결론에서 필자는 신경준의 과학기술 저술에서 용적이고 실제적인 지식들이 전통적 인 자연철학 지식들과 어떤 식으로 결합되어 있었는지, 그리고 이 두 가지 성격의 지식들은 어떠한 지적인 맥락 속에서 통합되어 있었는지를 보여줄 것이다. 이를 통해 ‘신경준의 과학사상’에 대한 통합적이고 균형감 있는 분석과 평가를 시도 한다. In this article, I examine the general feature of natural philosophy of Shin Kyeongjun. For this purpose, I show the contents of astronomical knowledge contained in his works, and astronomical activities of Shin, which were not paid so much attention before. I also show the traditional aspect of Neoconfucian natural philosophy and Xangshuxue 象數學philosophy contained in the many of Shin’s works related to the technology, phonology and etc. In the conclusion, I discuss the context how the traditional natural philosophy was combined and compromised with the pragmatical knowledges in his works.

      • KCI등재

        『승정원일기』 속의 천변재이 기록

        박권수(Park, Kwon-Soo) 한국사학회 2010 史學硏究 Vol.- No.100

        이 논문에서 필자는『승정원일기』에 수록되어 있는 천변재이 기사들의 전체적 특징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필자는 우선『승정원일기』 속 천변재이 기사들을 크게 세 가지 종류, 즉 ‘매일의 기상기록’과 ‘측후단자를 옮긴 천변재이 기록’, ‘본문 속의 천변재이 관련 기록’으로 나누어서 각 종류의 기록이 생산되고 『승정원일기』에 수록되었던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와 더불어 ‘매일의 기상기록’과 ‘측후단자를 옮긴 천변재이 기록’들에 대한 시기별 비교 작업과 통계적 분석 작업 등을 수행하여 이들 기록들이 당시의 기후 상황을 객관적으로 반영하고 있는지를 검토하고 논의하였다. 『승정원일기』에 남아 있는 천변재이 기록들은 당시 조선에서 생산된 천변재이 기록들의 전부가 아닌 일부만을 수록하고 있다. 또한 ‘매일의 기상기록’들과 ‘측후단자를 옮긴 천변재이 기록’들은 기상과 천변재이 현상에 대한 관측자체가 객관적이며 정량적 방식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대신 관측자의 주관이나 관측지의 국지성에 다분히 영향을 받으면서 이루어졌음을 드러낸다. 한편, 『승정원일기』속의 천변재이 기록들에 대한 통계적 분석의 결과 시대가 내려올수록 천변재이 기록 빈도의 추이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형태로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감소의 경향성은 개별적인 천변재이 현상의 빈도수 변화추이에서도 비슷한 형태로 드러난다. 게다가 특정 왕대에는 개별 천변재이 기록수가 갑작스럽게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이런 모습들은 천변재이 기록의 생산과 수록자체가 왕대별 정치적 상황과 제도적 변화 등에 의해 영향을 받으면서 이루어졌음을 말해준다. 이상의 분석결과와 논의들은 『승정원일기』속의 천변재이 기록들이 당시의 자연(기후상황)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는 객관적인 자료라고 볼 수는 없음을 말해준다. 천변재이 기록들은 당대의 정치적 제도적 변화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으면서 생산되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승정원일기』속의 천변재이 기록에 대한 통계적 분석만을 가지고서 조선시대 기후의 장기적 변화양상을 쉽사리 파악할 수는 없을 것이다. In this paper, I reviewed the general features of weather records and portent records of The Seungjeongwon Ilgi, The Daily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of Joseon Dynasty, with the question whether these records reflect the "nature itself" or the climate situations of their times or not. For this purpose, I examined and analyzed 56,880 records of daily weather and 19,438 records of portent from 1623 to 1782 with statistical method and with trailing to their sources. Through this analysis, I founded that the daily weather records of The Seungjeongwon Ilgi just reflect the climate situations of small region of palace where kings stayed, and the portent records did not cover the whole portent reports produced in the Gwansanggam at that times. The daily weather records and portent records were not produced with the terms of objective and quantitative. The meteorological observations were not performed with objec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 rather influenced by the locality and subjectivity of observers. The statistical analysis show that the frequency of portent records decreased gradually with the time era, but some kinds of portent records increased rapidly. These results of analysis and examination reveal that the production of portent records was influenced by the political situations and institutional changes. Therefore, it will not be able to understand the long-term changes in climate patterns of Joseon period only with the statistical analysis on the weather records and portent records contained in The Seungjeongwon Ilgi. The weather records and portent records of The Seungjeongwon Ilgi cannot be treated as ‘objective data’ reflecting "nature itself" of their times.

      • KCI등재

        조선의 역서(曆書) 간행과 로컬사이언스

        박권수 ( Kwon Soo Park ) 한국과학사학회 2013 한국과학사학회지 Vol.35 No.1

        This paper examines the calendars published in the Joseon period, focusing mainly on the changes in their outward form. The significant changes in the outward forms of Joseon calendars were made twice during about five hundred years of the dynasty. The first change was made after the Japanese invasion in 1592, and the second after the Manchurian invasion in 1637. While examining the causes of the changes, I investigate the material aspects and the basic conditions of the autonomous calendar-publishing by Joseon government. With this examination, I argue that the changes in the outward forms of Joseon calendars were not caused by the developments of calendar calculation method, but caused by the changes in the tributary system that regulated the relation between ``China as a Empire`` and ``Joseon as a Feudal State``. I also argue that if the local science of calendar calculation system had existed in Joseon, the most essential condition that enabled it was the practical demand for calendars that could be met by investing vast resources.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satisfying such demand, the distance between Seoul and Beijing was too far just to wait for the arrival of Chinese calendars. Joseon government had no choice but to study the calendar calculation method independently for autonomous calendar publication.

      • KCI등재

        기업특성을 반영한 가업승계세제의 차별적 적용

        박권수(Park, Kwon Soo),홍기용(Hong, Ki Yong) 한국국제회계학회 2013 국제회계연구 Vol.0 No.52

        현행 가업승계세제는 기업특성을 반영하지 않고 있어 실효성이 낮다는 지적이 있으며, 실제로 이를 이용하는 기업이 많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업특성별 가업승계세제의 차별적 적용을 위한 유효변수를 추출하고, 이해관계자간의 반응분석을 통해 바람직한 가업승계 관련 세제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로 가업승계세제를 기업특성별로 차별 적용함에 있어서 유효변수로는 규모·업종·후계자·고용유지로 분석되었다. 특히 세법에 규모 혹은 업종의 차별화를 두지 않을 수록 이해관계자들은 현행 세제의 수용도/만족도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가업승계세제에서 규모와 업종별 차등을 줄 필요가 있다. 둘째로 이들 변수에 대한 이해관계자간 반응분석에서는 가업승계세제와 관련하여 이해관계자(사업자?비사업자?세무전문가?조세정책관계자) 집단 간 수용도/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업자는 후계자가 있든 없든 현행 가업승계세제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고, 세무전문가와 조세정책관계자는 대체적으로 중립적인 입장인 것으로 실증 확인되었다. 셋째로 정책적 제안으로는 규모구간별 차등화와 전통 문화산업과 전문제조업 등의 차별적 적용을 고려 하면서 후계자 및 고용유지요건도 완화할 필요성을 들었다. 특히 일본 등에서 시행하고 있는 납세유예제도을 비롯하여, 개인기업 및 영농관련 가업승계의 특례에 대해서도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가업승계세제에 대하여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기업특성변수인 규모?업종?후계자?고용유지 요건을 확인하는 실증분석을 하였는데, 이는 선행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다는 점에서 의미하는 바가 있고, 향후 이를 토대로 가업승계세제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The current taxation policy for the family business succession is regarded as less effective in that it doesn‘t reflect the business characteristics, and the reality is that not many businesses use it. Consequently, this study is to extract effective factors to apply the taxation policy for the family business succession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business characteristics, and propose the direction of desirable taxation policy for the family business succession by analyzing the responses of the interested parties. Thi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applying taxation policy for the family business succession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business characteristics, the effective variables are analyzed as the size, the type of business, the successor, and the employment maintenance. Especially, the less difference in the size of business or the type of business the interested parties acknowledge in the tax system, the more they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 in the level of acceptability/satisfaction for the current taxation policy. That is, we need to make a difference in the taxation policy for the family business succession according to the size and the type of business. Second, in the response analysis of the interested parties (business operators, non-business operators, taxation experts, and taxation policy-partaker) to these variables, they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level of acceptability/satisfaction in their opinions on the taxation policy for the family business succession. Especially, the business operator, whether he has his successor or not, is not satisfied with the current taxation policy for the family business succession, while the taxation experts and the taxation policy-partaker in general have a neutral position. Third, our policy proposal will be the necessity of alleviating succession and employment condition while considering differentiation of the size level and different application of traditional industry and manufacturing industry. Especially, we propose the necessity of tax payment postponement system used in Japan and other countries and special exemption of family succession related to private business and agriculture. This study has done an empirical analysis to identify the company characteristics variables targeting the interested parties about taxation policy for the family business succession. And this study has important consequences, because the result has never been dealt with in advanced research, and on the basis of the result, taxation policy for the family business succession needs some improvement in the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17세기 조선왕실의 王陵地 선정 과정과 方外地師의 역할

        박권수(Kwon soo PARK)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5 문화 역사 지리 Vol.27 No.1

        이 논문에서 필자는 17세기 조선왕실의 王陵 선정 과정에서 方外地師의 참여양태와 역할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인조와 효종, 현종 대의 왕릉조성과 관련된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 『山陵都監儀軌』 등의 자료들을 토대로 방외지사가 초빙되는 과정과 방외지사의 신분 및 활동 등을 정리하였다. 방외지사란 한양의 조정에서 벼슬을 하고 있지 않은 이들로서 擇地, 혹은 風水地理 지식에 조예가 깊은 자들이다. 선왕이 승하하고 난 이후 禮曹와 觀象監을 중심으로 능지를 선정할 때에 조정에서는 수차례 방외지사를 초빙하여 산릉 후보지들의 看審과 왕릉지의 최종 결정 과정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조선시대 왕릉택지의 과정에서는 이들 외에도 국왕과 사대부 문관 대신들도 주요한 행위자들로서 참여하였다. 필자는 이들 여러 행위자들이 왕릉지를 선정하면서 논쟁하였던 모습들을 현종대 초기에 효종 寧陵의 터를 선정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당시 방외지사들의 역할이 어떠하였는지를 논의하였다. In this article, I examine the role of 'the invited geomancers', Bangwejisa (方外地師) in the decision process of the site of royal tombs in the 17th century Korea. For this purpose, I analysed The Anals of Joseon Dynasty, The Daily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of Joseon Dynasty, and The Royal Protocols of the Joseon Dynasty (Uigwe) related to the royal funerals in the 17th century Korea. The invited geomancers means the geomancers or Fengshui (風水) expert who had reputation on the knowledge of geomancy, but had not the official position in the royal court. They were invited in the many phases of royal funerals and construction process of royal tombs. They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investigation on 'the candidate sites' with the officer geomancers of Gwansanggam (觀象監), and in the discussion on the appropriate site for royal tombs. I show the invitation process of the them and their social status with the examples of two geomancers, Yi gan and Ban Houi. I also show the King and confucian ministers had participated as major actors in the decision process. I show the dispute on the appropriate site for royal tomb Yeongleung (寧陵) between the King Hyeongjong and his ministers, and examine the roles of invited geomancers in this process.

      • KCI등재
      • KCI등재

        역서(曆書)와 역사(歷史): 조선후기의 상수학적(象數學的) 년대기서(年代記書)와 시헌력(時憲曆)

        박권수 ( Park Kwon-soo ) 동국역사문화연구소(구 동국사학회) 2018 동국사학 Vol.64 No.-

        인간의 역사를 우주론적 시간의 장구한 변화 속에다 배열하여 설명하려는 것을 ‘우주론적 연대기’라고 한다. 본 논문에서는 영조대에 편찬된 우주론적 연대기서인 洪啓禧의 『經世指掌』(1758)과 徐命膺의 『皇極一元圖』(1774)의 내용을 중심으로 조선 후기 우주론적 연대기서의 서술 전통을 살펴본다. 특히 『經世指掌』과 『皇極一元圖』에 이르러 소옹에서부터 신흠에 이르기까지 상수학적 차원, 혹은 역학적 차원에서만 전개되던 우주론적 연대기의 서술 전통이 시헌력을 중심으로 하는 천문학적 지식과 만나서 함께 결합하고 발전하였는지를 보여줄 것이다. 이를 통해 동아시아의 상수학 지식전통과 우주론적 연대기관념, 나아가 천문학 지식 이 18세기 조선에 이르러 흥미로운 방식으로 교차하고 융합되는 모습을 보여주고자 한다. In this article, I examine the tradition of cosmological chronology in the late Joseon period, especially focusing on the representative books of this tradition, Gyeongse-jijang 經世指掌 edited by Hong Gae-hee 洪啓禧 in 1758 and Hwangeuk-Ilwondo 皇極一元圖 published by Seo Myong-ung 徐命膺 in 1774. With this examination, I show that many kinds of knowledge from history, cosmology, philosophy, Xiangshu-xue 象數學, and astronomy were integrated in these two book. I also show the tradition of constructing chronology book was newly innovated and developed in these books with adding the part of calendar tables which were expected to predict the future events. The authors of these cosmological chronology books, Hong Gae-hee and Seo Myong-ung thought that the history and the cosmological change of civilization could be properly understood with the perspectives of astronomical knowled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