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두대간 보호지역 내 아고산 침엽수종(분비나무, 구상나무, 가문비나무)의 분포 현황과 임분 변화 특성

        박고은,김은숙,정성철,윤충원,김준수,김지동,김재범,임종환,Park, Go Eun,Kim, Eun-Sook,Jung, Sung-Cheol,Yun, Chung-weon,Kim, Jun-soo,Kim, Ji-dong,Kim, Jaebeom,Lim, Jong-Hwan 한국산림과학회 2022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11 No.1

        백두대간 보호지역 내에 서식하는 분비나무(Abies nephrolepis), 구상나무(A. koreana), 가문비나무(Picea jezoensis)의 분포 현황과 쇠퇴 및 갱신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산림청의 전국 고산 침엽수종 실태조사 자료와 국립산림과학원의 아고산 침엽수종 생육 모니터링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했다. 그 결과, 백두대간 보호지역 내의 분비나무, 구상나무, 가문비나무 분포면적은 전국 분포면적의 약 74%(8,035 ha)를 차지하고, 백두대간 내 아고산 칩엽수종 임분은 대부분이 백두대간 핵심지역에 분포하여 백두대간 지역이 아고산 침엽수종의 보전과 복원의 핵심적인 지역임을 확인했다. 그러나 주요 산지 내 아고산 침엽수종의 입목쇠퇴도는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4년간 태백산 분비나무는 77.3%, 덕유산 분비나무 29.6%, 지리산 천왕봉 구상나무 45.2%, 지리산 천왕봉 가문비나무는 2년간 47.8% 증가)를 보이고 새로 유입된 어린나무의 양이 소실된 어린나무 양보다 적어서 해당 숲의 존속에 문제가 있음을 확인했다. 한편 지리산 세석지역과 천왕봉에서는 일부 성목의 건강이 회복되고 어린나무 출현 빈도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과거 어린나무 출현빈도가 적고 성목 쇠퇴도가 높았으나 현재 쇠퇴도가 회복된 지역에서 어린나무 출현빈도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성목의 쇠퇴도가 치수량의 변화와 상호 관련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고산 침엽수종의 보전전략 수립 및 이행시 고려할 요인들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Data from an investigation of vulnerable conifer species in the subalpine zone in Korea obtain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in 2017-2018 and monitoring research conduc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since 2014 were used to analyze the status of distribution and growing condition of three major conifer species (Abies nephrolepis, Abies koreana, and Picea jezoensis) in the subalpine zone in the Baekdudaegan protected area. The distribution area of the studied species in the Baekdudaegan protected area was ca. 74% (8,035 ha) of the total distribution area in Korea, indicating that Baekdudaegan is a core area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subalpine conifer species. From decline index [A. nephrolepis in Mt. Taebaeksan and Mt. Deogyusan increased by 77.3% and 29.6%, respectively; A. koreana in Mt. Jirisan (Chunwangbong Peak) increased by 45.2% in four years; and P. jezoensis in Mt. Jirisan (Chunwangbong Peak) increased by 47.8% in two years] and seedling frequency (lower frequency of newly recruited seedlings than dead seedlings) results, the studied species are expected to face difficulties in sustainability. In contrast, at Mt. Seseoksan and Chunwangbong Peak in Mt. Jirisan, the health of trees and seedling frequency showed a partial tendency to recover and increase. In addition, we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cline index and seedling frequency. These results will support the implementation of conservation strategies for vulnerable conifer species in the subalpine zone.

      • KCI등재

        색채와 음계의 감각적 연관성을 반영한 직관적 악보 기입법 개발 연구 -먼셀의 10색상환을 중심으로-

        박고은 ( Park¸ Go-eun ),이준서 ( Lee¸ Joon-seo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6 No.-

        본 연구는 음악의 구조와 패턴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악보 기입법을 제안 하고자, Munsell의 10가지 색상환을 활용한 설문 조사를 통해 색조/채도/명도와 음계의 감각적 연관성을 반영한 36음계들의 색깔 시스템을 만들었다. 새로운 악보 기입법을 활용해, 기존 악보; '엘리제를 위하여 (Für Elise, Beethoven, 1810)' 번역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유용성과 한계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새로운 악보 시스템은 사람들이 색깔과 음계를 직관적으로 연결시켜, 악보를 이루는 음계의 높낮이를 보다 쉽게 인식할 수 있게 한다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반복되는 리듬과 음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명료하게 보여줄 수 있었으며, 원의 크기의 차이로 강약을 쉽게 구분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음계 하나 하나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어렵고, 색조/채도/명도 그리고 원의 크기가 모두 강약을 나타낼 수 있어, 혼란을 만들 수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색을 단순한 과학적 측정을 통한 물리적 수치에 따른 색체계가 아닌 인간의 보편화 감각에 따른 지각적 결과에 기반 한 감각적 색 체계를 고려하여, 색/음계 시스템을 구축하였다는 점. 이를 통해, 악보가 단순한 매뉴얼의 기능을 넘어서, 심미적 가치를 가질 수 있게 하고, 나아가 악보 안에 존재하는 음악의 구조와 패턴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사용자 친화적인 악보 기입법을 제안하였다는 점에 핵심 의의가 있다. This study has been focused on developing an music notation system, to make users understand the pattern and system of the music in a Intuitive way. Focusing on the Munsell Color Chart (1930), the research creates 36 notes color system by utilizing the sensible relationship between the notes and Hue/Chroma/Lightness. The research transcribed Für Elise, Beethoven, 1810 and examine the accomplishments and limitations of the new notation system. As a result, the new notation system can helps people understand the change of the music tone easily, sense the repetition and variations of the rhythm by the structure of patterns, distinguish the strength/weakness of the notes by the size of each circle. As a limitation, it could be hard to recognize detail of the notes and, among chroma, lightness and size, it is confusing to determine which ones is the criteria of strength/weakness of each note.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is that it suggests the intuitive way of transcribing the structure and pattern of the complex music by developing sensible color-music tone system.

      • KCI등재

        보상의 크기와 지연되는 시간에 따른 ADHD 아동의 지연혐오 동기

        박고은 ( Go Eun Park ),홍창희 ( Chang Hee Hong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4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0 No.1

        본 연구는 ADHD 아동들과 ADHD 성향 아동들이 보이는 지연혐오 동기가 보상의 크기 및 지연되는 시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실험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대상 아동들은 부산과 경남 지역의 초등학교 1∼6학년에 재학 중인 ADHD(n=20), ADHD 성향(n=20), 정상통제(n=20) 아동 60명이었다. 측정도구로는 보상의 크기와 지연되는 시간을 세분화시킨 수정된 선택-지연과제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보상크기 조건에서는 보상의 크기와 관계없이 ADHD 아동들과 ADHD 성향 아동들의 지연혐오 동기가 뚜렷하였다. 지연시간 조건에서는 10초정도 지연되는 경우에는 세 집단의 아동들 모두 기다려서 좀 더 많은 보상을 받는 쪽을 선택하였지만 20초 이상 지연되는 경우에는 ADHD 아동들과 ADHD 성향 아동들 모두 지연되는 상황을 참지 못하고 이러한 상황을 회피하며 즉각적인 보상을 받는 쪽을 선택하였다. 이는 ADHD 아동들과 ADHD 성향 아동들이 보상의 크기와 지연되는 시간에 매우 민감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우선적으로 지연혐오 동기를 뚜렷하게 보이는 ADHD 아동에게는 보상과 시간에 대한 민감성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겠다. 또한 이들의 동기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행동수정 기법에 활용한다면 더욱 효과적인 치료나 학습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This work is comprised of experiments to look into how the motivation of delay aversion, which appears to children with ADHD and ADHD tendency, changes according to the size of compensation and delay time. The study subjects of this work were 60 children who were in the 1st to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s in Busan and Gyeonggnam. Of them, ADHD(n=20), ADHD tendency (n=20), normal control(n=20). As a measurement tool, Choice .Delay Task-Revision which includes more subdivided compensation size and delay time was used. As a result, in condition of compensation size, delay aversion motive of children with ADHD and ADHD tendency was marked in comparison of children with normal control without reference to size of compensation. In condition of delay time, children of all three groups tended to choose waiting and then receiving much more compensation in case of delaying 10 seconds, but children with ADHD and ADHD tendency cannot have suppressed delay situation, so evaded such situation and chosen immediate compensation in case of delaying more than 20 seconds. Such result implied children with ADHD and ADHD tendency are very susceptible to size of compensation and delay time in comparison with children with normal control. Therefore, if someone intervenes in children with ADHD showing delay aversion motive distinctly to ease susceptibility about compensation and time, it will be big help. Also, if children with ADHD`s motivational characteristic is used to technique for behavior modification, more effective treatment or study will be possible.

      • 일본잎갈나무 조림지, 침활혼효림, 천연활엽수림 토양의 물리, 화학적 특성 비교

        박고은 ( Go Eun Park ),박병배 ( Byung Bae Park ),이영근 ( Young Geun Lee ),성주한 ( Joo Han Sung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는 임상별 물질 생산 및 순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일환으로써, 가리왕산 내 각 임상별 즉, 일본잎갈나무 인공 조림지, 침활혼효림, 천연활엽수림 토양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밝히기 위해 수행하였다. 토양 층위별 깊이를 비교한 결과, 일본잎갈나무림, 침활혼효림, 활엽수림 간에 유기물층(O층), B층의 깊이 차이는 없었으나, A층에서는 특히 일본잎갈나무림(31.73±2.29 cm)에 비해 침활혼효림(25.60±2.39 cm), 천연활엽수림(33.68±2.48 cm)의 깊이가 더 깊게 발달하였다. 이는 침활혼효림과 활엽수림의 낙엽분해가 낙엽송림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졌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일본잎갈나무림, 침활혼효림, 천연활엽수림에서 조사한 O층 건중량의 2분의 1을 탄소량으로 산출한 결과, 천연활엽수림의 O층에 축적된 탄소량(6.48±0.76 ton ha-1)이 가장 적었다. 이는 낙엽의 유입량 및 분해율과도 관련한 결과인데, 특히 비교적 낙엽분해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일본잎갈나무림과 침활혼효림에 비해, 천연활엽수림 낙엽의 분해가 더 활발히 이루어진 결과라고 유추해볼 수 있겠다. 토양의 화학적인 특성을 살펴본 결과, A층과 B층의 경우, 토양산도가 pH 4.9~5.2로 임상별 차이가 없었고, A층에서는 칼륨이온, 유효인산 함량의 차이가, B층에서는 유기물함량, 전질소, 칼륨 이온 함량에서 차이를 보였다. 임상별 물질 생산 및 순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본 연구 결과에 더하여 낙엽유입량의 차이가 얼마나 나는지 장차 모니터링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il in Larix kaempfri stand, mix forest, and natural broad-leaved forest. While depths of O layer and B layer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ree types of forest, depth of A layer in L. kaempfri stand showed the highest value (31.73 ± 2.29 cm). Carbon stock in natural broad leaved forest (6.48 ± 0.76 ton ha-1) was the lowest. It might refer that litter decomposition in natural broad leaved forest was vigorous than other forests. In case of chemical properties, soil acidity of A and B layers ranged from pH 4.9 to pH 5.2 and did not show differences among forest types. Concentration of potassium and available phosphoric acid in A layer showed differences and organic matter contents, total nitrogen, and potassium concentration in B layer showed differences among forest types.

      • KCI등재

        치과위생사에 대한 예비치과의사의 인식 조사

        박고은 ( Go Eun Park ),이윤미 ( Yun Mi Lee ),이전규 ( Jun Gyu Lee ),전현선 ( Hyun Sun Jeon ) 한국치위생학회(구 한국치위생교육학회) 2015 한국치위생학회지 Vol.15 No.3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ird and forth year dental students’ perception towards dental hygienists as professionals.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602 dental college students in Korea after receiving the informed consent. Except incomplete answers, 217 data were analyzed.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ree questions of the general perception towards dental hygienists, four questions of the cooperation relationship to the dental hygienists, four questions of oral health education, five questions of preventive dental health care, five questions of dental treatment cooperation, and five questions of dental health care management.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ASW Statistics 18.0(SPSS Inc., Chicago, IL, USA). Results: Most of the dental college students viewed the dental hygienists as professionals. However, they did not exactly know the professional job of dental hygienists within the current national medical services system and they often viewed the dental hygienists as a medical assistant. The dental college students thought that the key role of the dental hygienists is the dental assisting. Only a small fraction of the participants recognized oral health promotion, preventive cares, and hospital management as professional roles of dental hygienists. Conclusions : Dental college students’ perception towards dental hygienists as professionals needs to be improved. Understanding the job description of dental hygienists clearly is a crucial part of dental students’ learning process and future practice.

      • 토양수분, 초본밀도, 동물섭식이 초기 소나무 갱신에 미치는 영향

        박고은 ( Go Eun Park ),박병배 ( Byung Bae Park ),이영근 ( Young Geun Lee ),성주한 ( Joo Han Sung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는 2008년 모수림 작업이 시행된 이후 소나무 천연갱신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강원도 평창 가리왕산 163임반에서 야생동물침입방지용 토양수분, 초본밀도, 야생동물의 섭식이 소나무종자의 발아 및 유묘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지 내에 중소형포유류 침입 방지 울타리 설치, 배수 처리를 달리한 후 종자를 직파, 이후 제초 빈도(1, 2, 3 회/년)를 달리하여 소나무 종자의 발아율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 6월에 발아하였으며, 제초빈도에 따른 시기별발아율과 울타리 유무에 따른 발아율의 차이가 없었다. 배수처리에 따른 고사율 차이가 없었으나, 시기별 제초 작업에 따른 생존율에는 차이가 있었다. 특히 7월 제초작업을 수행한 이후 고사율이 감소했다. 또한 중소형포유류의 침입방지를 위해 울타리를 설치한 구역에서 고사율이 증가했는데, 이는 울타리 내에 그늘로 증가한 초본류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갱신 초기 소나무 유묘의 고사원인은 병(모잘록병 등), 곤충의 섭식, 설치류 굴, 초본과의 경쟁 등이 주 요인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soil moisture, vegetation density, and animal feeding on germination and survival of red pine seedling in Mt. Gariwang, stand #163 where red pine has not been well-regenerated naturally since seed-tree cutting method was implemented in 2008. After sawing red pine seeds in the study site, three treatments including fence, drainage, and weeding frequency (once, twice, and thrice /yr) were applied and germination ratio and survival ratio were monitored. As a result, most of seeds were germinated on Jun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monthly among neither weeding frequency nor fence treatments.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s of survival ratio under drainage treatments, significant difference were shown along the different weeding frequency. Particularly, after weeding on July, mortality of red pine seedlings was decreased. The reason why seedling mortality increased under fencing is expected that herbs increased under shadow affected seedlings. At the initial stage of regeneration, disease, insect attack, rodents holes, and competition with other vegetation were investigated as limiting factors of red pine seedling survival.

      • KCI등재

        표준보육과정에 나타난 영아권리에 대한 분석 및 보육교사의 인식

        박고은(Go-Eun Park),장명희(Myung-Hee Jang)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9 교육과학연구 Vol.50 No.2

        이 연구는 표준보육과정의 영아권리에 관한 내용을 분석하고, 영아권리에 대하여 보육교사들이 인식하는 중요도와 실천정도는 어떠하며, 이들의 배경 특성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표준보육과정 영아권리 내용을 분석하고 문헌고찰과 내용분석 결과를 활용한 설문조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설문조사는 서울시와 경기도 소재 어린이집의 영아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무선 표집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53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21.0을 활용하였으며, 빈도분석과 집단간 차이분석(t검정 및 one-way ANOVA), 사후검정( Scheffe"s test)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표준보육과정에 반영된 영아권리에 대한 내용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생존권 6개(13.6%), 보호권 6개(13.6%), 발달권 26개(59.2%), 참여권 6개(13.6%)의 총 44개로 분석되었으며, 발달권의 내용 분석 결과가 다른 3개 권리에 비해 4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표준보육과정에 반영된 영아권리 인식 중요도는 생존권에 대한 권리인식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격과 경력, 보육시설 유형에 따라 중요도 인식에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보육교사의 표준보육과정에 반영된 영아권리 실천정도는 중요도 인식수준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 학력, 전공, 경력, 보육시설 유형에 따라 실천정도 인식에 차이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에서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infant rights in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examine the importance of infant rights that childcare teachers recognize and their in the curriculum, and find out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e characteristics of places where they work. The content of infant rights in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was analyzed, and a survey tool utilizing literature reviews and analysis results was developed. A random sampling was conducted targeting infant teachers of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Korea. 4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353 of these were used for the analysis. SPSS 21.0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and between-group gap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and post-hoc(Scheffe’s test) wer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analysis of infant rights reflected in standard child-care showed that there was a total of 44 infant rights ―6 rights to live (13.6%), 6 rights to be protected (13.6%), 26 rights to develop (59.2%) and 26 rights to participate. The right to develop was four times higher than the other three rights. Second, in terms of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infant rights reflected in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the right to live was found to be highest, and the teac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each righ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ir qualifications, career, and the type of places where they worked. Third, the child-care teachers’ level of practice in infant rights reflected in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was lower than their level of awareness, and their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practice differed according to age, educational background, major, career and the type of place where they worked. The study results can help with understanding infant rights reflected in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for child-care teachers, and follow-up studies on content analysis, expansion of research subjects, and diverse variables ar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