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영화 스토리텔링의 공포감 창출에 관한 복합연구

        박건용(Park, Gun Yo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7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0 No.-

        본 연구는 Z축과 공포감의 연관성에 대한 분석에서 시작 되었다. 화면 깊이 감의 미학적 함의에 대한 연구는 바쟁의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에 대한 선각자적인 연구가 대표적인데 그는 전경과 후경의 분리된 정서가 화면의 “모호함”을 창출한다고 분석 했다. 화면의 깊이 감에 관여하는 Z축과 조명은 전경과 후경을 명확하게 분리해 원근법과 미장센의 복합적 의미창출에 기여 하고 있다. Z축은 조명, 공포증(Phobia)적 대상과 결합하여 호러영화 스토리텔링의 극적 긴장감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더불어 최근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콘텐츠의 경향 역시 Z축 중심 이동(Z-axis blocking)을 활발하게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원근법 기반의 깊이감 창출을 위한 시각적 요소들에 대한 연구에 비해 Z축의 깊이감이 직접적으로 창출하는 공포감과 스토리텔링에 대한 기여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지 못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Z축과 조명을 활용한 공포감 창출과 이를 활용한 호러영화 스토리텔링 기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우선 〈컨저링〉의 Z축을 깊이감 구성에 기여하는 미장센 요소를 중심으로 분류한 후 Z축과 조명이 창출하는 공포감에 대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한다. 연구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레임 속의 프레임 특히 문(doorway)를 활용한 공포창출을 분석하고 둘째, Z축 위의 “그늘과 그림자”와 공포증(Phobia)적 대상의 함의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Z축 중심 이동과, 소스의 긴장감 공식(T = H vs F)과의 상관성을 분석한다. 문(doorway)의 활용은 등장인물의 행동과 시선을 유발하는 “Air of expectancy”가 발견되었고 Z축 위의 공포증(Phobia)적 대상은 “그늘과 그림자”와 결합되어 “자동반사적 공포감”과 “고등 인지적 공포감”으로 분류되어 나타난다는 것이 발견 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소스의 긴장감 공식을 결합하여 Z축의 극적 긴장감 창출에 대해 결론에 도식화 하였다. 본 연구가 조명을 활용한 Z축의 환영과 공포효과 기법, Z축에 함의된 공포심리 연구와 Z축을 활용한 공포영화 스토리텔링 기법과 이를 활용한 창의적 콘텐츠 제작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began with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Z-axis and fear. A study on the aesthetic implication of the depth of screen sense is Bazin’s pioneering study of Italian neo-realism. He analyzed that the separate emotion of the foreground and background creates the “ambiguity” of the screen. Z-axis and illumination deeply involved in the depth of the screen clearly separate the foreground and background, contributing to the combined meaning of perspective and mise-en-scene. The Z-axis, combined with the lighting and phobia objects, contributes to the dramatic tension of the horror film Storytelling. In addition, recent tendency of virtual reality content is also actively using Z-axis blocking. Unfortunately, research on the contribution of Z-axis to fear and storytelling is not active compared to the study of visual elements for creating depth, based on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horror movie storytelling technique using Z–axis and lighting. For this purpose, this paper first classifies the elements of mise-en-scene constituting the depth sense of the Z- axis of 〈The Conjuring〉 After the classification, study Z-axis and the fear that the illumination generates by the following method. The contents and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we analyze fear creation using frame in frames, especially the doorway, Secondly analyze the implications of “shade and shadow” on the Z-axis and phobia objects. Finally, we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Z-axis blocking and Soth’s tension factor (T = H vs F). The use of the doorway found the “Air of expectancy” that caused the characters to behave and gaze, and the Phobia object on the Z-axis combined with “Shade and Shadow” are categorized as “Auto Reflex Fear” and “High intellectual fears”. In conjunction with the Soth’s tension formula, as a results of these studies, it is plotted the creation of a dramatic tension using Z- axi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Z–axis illusion and fear effect technique using illumination, horror psychology research implicated in Z–axis and horror movie storytelling technique using Z-axis and producing of creative contents.

      • KCI등재

        영화 스토리텔링의 상호텍스트성에 함의된 가족상에 관한 연구

        박건용(Park, Gun Yong),변민주(Byun, Min Ju)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6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5 No.-

        본 연구는 데이비드 린치, <블루벨벳>의 상호텍스트적 스토리텔링 분석을 통해 <블루벨벳>에 함의된 오이디푸스적 가족상과 데리다의 차연적 관점의 가족상에 대한 분석에 그 목적을 둔다. 연구의 내용 및 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1986년 첫 상영 이후 <블루벨벳>에 대한 평가는 다양한 양상을 보였다. 많은 관객이 린치의 사적인 판타지에 대한 칭송을 하였고 이와 동시에 수많은 사람들이 역겹다 말했다. 이러한 극단적 반응에도 불구하고 그의 영화는 지금까지도 수많은 관심과 인기를 지속하고 있다. 선(先) 텍스트로 부터의 차용을 발견하고 텍스트와 텍스트 사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 하는 상호텍스트적 측면에서 <블루벨벳>에서 발견되는 특이성은 다양한 혼성 장르적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해 스토리텔링을 구성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본 작품은 탈장르적 성격을 보이고 있다. 다음으로 그 상호텍스트성이 조롱적 기능으로 활용된다는 점이다. 기괴한 이야기와 대조적으로 본 작품의 상호텍스트성에는 다양한 가족상이 함의되어 있다. 미술적 배경의 느와르 스타일과 기이한 인물 성격과는 모순적으로 미국 중산층 가족 중심의 코미디 영화를 주로 만든 프랭크 카프라 영화와의 상호텍스트성 역시 발견된다. 가족영화를 대표하는 감독인 오즈 야스지로 영화의 구조적 특성을 보드웰은 대칭, 평행, 순환의 관점으로 해석 하였고 등장하는 가족의 모습은 탄생, 이별, 결혼, 방문, 질병, 죽음의 순환 고리를 따라 간다고 제시 하였는데 이러한 순환성을 지닌 캐릭터들의 상호텍스트성 또한<블루벨벳>의 등장인물에서 발견 된다. 본 연구가 데이비드 린치 연구와 콘텐츠 제작시 상호텍스트성과 가족상을 활용한 스토리텔링 기법에 도움 되기를 희망한다. The aim of this study about intertextuality storytelling analyze David Lynch, <Blue Velvet> family images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the theory of Jacues Derrida, ‘to differ’ and ‘to defer’ and Oedipal narrative pattern. Summary of the contents of research and results are as follows. When <Blue Velvet> was premiered in 1986, the audiences’ responses were extremely different. Many people enjoyed watching the director"s fantasy, whilst just as many people found it disgusting. Despite the different responses to this film, it has maintained its popularity among the audiences. Analyzing various quotations from pre-text and finding differences between the texts which can be found the characteristic point of this film is intertextuality of mixed genre constructing story structure. As a result of this fact, this film tends to break bound of genre categories. Furthermore, the function of ridicule using intertextuality can be found inside of story. Intertextuality of family images which is antithetical to the grotesque story can be found in various scenes. Moreover the intertextuality from Capra-style family comedies exist which is antithetical to the overall noir mood in production design and hideous crime characters. According to Bordwel’s observation about representing director of family film Ozu Yasujiro, the striking peculiarity of his structure containing symmetry, paralle, circulation. Futhermore the family images following circulation of ring which includes birth, farewell, marriage, visit, disease and death. Intertextuality of characters which are following circulation of ring also can be found in <Blue Velvet>. It might be expected this research will devote study of David Lynch itself and further production works which are related on intertextuality and storytelling of family feature.

      • KCI등재

        소품을 활용한 공포영화 스토리텔링 복합 연구

        박건용(Park, Gun Yo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8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5 No.-

        본 연구는 영화 소품과 공포감 형성의 연관성에 대한 분석에서 시작되었다. 개봉 당시 비인기 공포 장르임에도 흥행수익 1위를 차지한 〈곤지암〉의 소품이 창출하는 공포감 형성 분석을 통해 이를 활용한 다양한 스토리텔링 기법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고어 영화에서 발견되는 피, 고름, 등의 소품들에 비해 〈곤지암〉은 탁구공, 인형, 실험도구, 가발, 손전등과 같은 일상생활에서 발견되는 친숙한 사물을 활용해 낯선 두려움, 아쿠스마틱 음향, ‘비체화’, Z축 형성에 이바지하며 공포감을 창출한다. 소품의 특성상 미술을 구성하는 가구, 벽, 과는 다르게 특정 대상의 소유물인 경우가 많은데 사람의 소유물인 경우 캐릭터의 본질과 공간의 의미를 설명하는 도구로 적극 활용되며 스토리텔링에 기여하고 있지만 공포영화 소품에 관련된 연구는 활발하지 못하다. 더불어 소품인 인형을 스토리텔링 한 〈애나벨: 인형의 주인〉은 전편과 속편으로 지평을 확산하며 3억 달러 이상의 수입을 거두고 있지만 이에 비해 인형을 스토리텔링에 활용한 국내 영상 콘텐츠 제작의 활성화는 요원하다. 소품의 활용을 통한 스토리텔링 기법을 분석하는 본 논문이 공포영화 스토리텔링 기법과 다양한 공포 장르 콘텐츠 양산에 기여하기를 희망한다. This study began with an analysis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lm props and fear 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various storytelling techniques and that utilize this analysis through the formation of fear using the props. Horror film 〈Gonjiam〉 was occupied the first place at the time of opening. even though it was unpopular genre in the box office. Compared to the blood, pus, and other items found in Gore Film, 〈Gonjiam〉 uses familiar objects found in everyday life such as table tennis balls, dolls, experimental tools, wigs, and lanterns. Futhermore these props creat fear through the formation of Acousmatic, Abjection, Unheimlich, Z-axis. Unlike furniture, wall, that make up art, props are possession of certain objects. In the case of possession of a person, props actively utilize it as a tool to explain the nature of the character and the meaning of space. Despite this importance, research on horror movie props is not active yet. 〈Annabel: Creation〉, spreading its horizons with sequel and prequel, has been earning more than $ 300 million in worldwide. Despite the importance of storytelling using props, the production of domestic contents using dolls is not active. I hope that this study that analyse storytelling techniques using props will contribute to horror movie storytelling techniques and produce various horror genre content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