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심포지엄 논문(論文) : 한국초등학교 일본어교육의 현황과 과제 -경상,강원,제주지역을 중심으로-

        박강훈 ( Kang Hun Park ) 한국일어교육학회 2010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18

        본고의 목적은, 한국초등학교 일본어교육의 현황과 과제를 밝히는 데 있다. 국제교류기금의 `2006년 해외일본어교육기관조사`의 결과에 따르면, 한국은 일본어학습자가 약 91만 명으로 세계에서 일본어학습자가 가장 많은 나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은 `글로벌 시대에 따른 글로벌 인재 양성`이라고 하는 명제 아래, 한국정부 그리고 교육기관 등이 힘을 쏟은 결과에서 비롯되었다고 생각된다. 그 결과 외국어 교육의 중요성은 점점 강조되어, 그 영향은 고등교육기관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초등교육기관까지 미치고 있다. 종래에 한국교육기관에서의 일본어교육의 현황과 과제에 관한 연구 혹은 조사 보고는, 중학교·고등학교·2년제 및 4년제 대학교를 대상으로 한 것이 거의 대부분으로, 초등학교 일본어교육의 현황과 과제에 관한 연구 보고는 아직까지 이루어진 적이 없다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본고는 한국초등학교 일본어교육의 현황과 과제를 밝힘으로써, 앞으로의 한국초등학교 일본어교육의 발전과 활성화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단, 본고의 조사대상지역은 경상·강원·제주 지역으로 제한한다. 본고의 조사로 알게 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겠다. 먼저, 한국초등학교 일본어교육의 현황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지역에 따라 일본어과목의 개설학교가 편중되어 있다는 점이다. 둘째, 일본어교사 중에서, 다문화가정의 학부모가 많은 점이다. 셋째, 앞으로 초등학교에서의 일본어교육에 대한 전망이 그다지 밝지만은 않으므로, 앞으로 철저한 계획 수립과 그 실행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다음은 앞으로의 과제에 대해서 기술하겠다. 첫째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일본어뿐만 아니라, 일본문화 등이 포함된 교재개발이 필요하다는 점이며, 둘째는, 다문화가정의 일본어교사를 위한 교재 및 교수법 개발이 시급히 요구된다는 점이다. 本稿の目的は、韓國初等學校における日本語敎育の現況と課題についてみることである。國際交流基金の「2006年海外日本語敎育機關調査」の結果によると、韓國は日本語學習者がおよそ91萬人で世界で日本語學習者數がもっとも多い國である。このことは「國際化」という命題の下で韓國政府や敎育機關などが力を注いできた結果であると考えられる。最近においても外國語敎育の重要性はますます强調されてきて、その影響は高等敎育機關だけではなく、初等敎育機關にまで及んでいる。今までの硏究または調査報告は、韓國の中學校·高校·大學校において日本語敎育がいかに行われているのかについてみてきた。しかしながら、管見の限りにおいて今まで初等學校において行われている日本語敎育の現況と課題について述べた硏究はない。本稿は韓國初等學校における日本語敎育の現況と課題についてみることによって、今後の韓國初等學校における日本語敎育の發展と活性化に少しでも貢獻できればと考える。ただし、調査對象は慶尙·江原·濟州地域における初等學校を中心にみてみる。本稿の調査で分かった內容を簡單に述べると次のようである。まず、韓國初等學校における日本語敎育の現況については、(i)地域によって日本語科目の開設學校が偏っている點、(ii)日本語敎師の中で、いわゆる多文化家庭の母親が多い點、そして(iii)今後の日本語敎育の展望がさほど明るいわけではないため、これからきちんとした計?とその實行が必要である點が擧げられる。次に、課題については、(i)日本語だけではなく、日本文化などが盛り入んだ小學生向けの敎材開發が必要とされる點、(ii)多文化家庭の日本語敎師のための敎材·敎授法開發が必要である點が擧げられる。

      • KCI등재

        「밖에」와「しか」의 용법 -일본어 교육의 관점에서-

        박강훈 ( Kang Hun Park ) 한국일어교육학회 2009 일본어교육연구 Vol.17 No.-

        본고의 목적은, 소위 부정극성표현이라고 불리는 한국어의 「밖에」와 일본어의 「しか」의 성질을 일본어 교육의 관점에서 명확히 밝히는 데 있다. 종래에, 한일 양언어의 「밖에」와 「しか」는 수많은 선행 연구를 통해 빈번하게 다루어져 왔다. 또한, 이들 선행 연구는 「밖에」와 「しか」를 완전히 동일한 표현으로 다루고 있어, 지금까지 양 표현의 상이점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 주된 이유는 양 표현이 다음과 같이 통어 및 의미적으로 유사한 특징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i) 「밖에」와 「しか」의 통어적 유사점 ① 부정극성표현으로서의 성질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양 표현은 반드시 부정문에만 나타날 수 있다. ② 숙주 명사구(Host NP)와의 통어적 관계 및 분포상의 자유성 등이 동일하다. (ii)「밖에」와 「しか」의 의미적 유사점 부정사(否定辭)인 「-않다/ない」와의 공기(共起)를 통해서만 비로소 `한정`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선행 연구의 주장에 의거, 일본어 교육 현장에 있어서도 한국어의 「밖에」와 일본어의 「しか」는 서로 일대일 대응하는 표현으로 간주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두 표현을 동일하게 다루었을 때, 서로 일치하지 않는 구문이 존재한다는 문제점을 들 수 있다. 즉, 양 표현이 동일 절 속에서 다른 부정극성표현, 예를 들어 「不定語도/モ」「1-助數詞도/モ」「진술부사(「결코/決して」등)」와 공기된 다중극성표현구문에 있어, 「밖에」는 허용되는 반면, 「しか」는 허용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또한, 반어구문에 있어서도 「밖에」는 허용 가능한 데에 반해, 「しか」는 허용이 불가능하다. 만약 선행 연구의 지적대로, 양 표현이 완전히 동일하다고 가정했을 때, 상기와 같은 상이점이 발생해서는 안 될 것이다. 본고는 지금까지의 선행 연구의 지적과는 달리, 「밖에」와 「しか」는 완전히 동일한 표현이 아니라는 것을 지적하고, 이 점은 일본어 교육 현장에 있어서도 적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다시 말해서, 「밖에」는 「しか」와 달리 다기능(多機能)을 지닌 표현으로, 「しか」뿐만 아니라 종래에 「しか」와 함께 「其他否定」표현으로 분류된 「ほか」「以外」와도 대응된다는 것을 주장한다. 本稿の目的は、いわゆる否定極性表現と呼ばれている韓國語の「밖에」と日本語の「しか」の性質を日本語敎育の觀點から明らかにすることである。從來、韓日兩言語の「밖에」と「しか」は多くの先行硏究において頻繁に捉えられてきた。また、これらの先行硏究は「밖에」と「しか」をまったく同一の表現として扱っており、これまで兩者の相違點について詳しい分析は行われてこなかった。その主な理由はこれらの表現が次のように統語的及び意味的に類似するからであると考えられる。(i)「밖에」と「しか」の統語的類似點①否定極性表現としての性質を持つため、兩者は必ず否定文に現れなければならない點②ホスト名詞句との統語的關係や分布の自由性などが類似する點(ii)「밖에」と「しか」の意味的類似點否定辭である「-않다/ない」と共起してはじめて「限定」の意味を持つ點このような先行硏究の主張により、日本語敎育の現場においても韓國語の「밖에」と日本語の「しか」は互いに一對一對應する表現として敎育されてきたと考えられる。しかしながら、兩者を同一に捉えた場合說明できない構文が存在する。というのは、兩者が同一節內において他の否定極性表現、例えば「不定語도/モ」「1-助數詞도/モ」「陳述副詞(「결코/決して」など)」と共起した多重否定極性表現構文において「밖에」は許容されるのに對し、「しか」は許容されない。その上に、反語構文においても「밖에」は許されるのに對し、「しか」は許されない。もし先行硏究の指摘通り、兩者がまったく同樣であると考えた場合、このような非對稱性は生じないはずである。本稿は今までの先行硏究の指摘と異なり、「밖에」と「しか」はまったく同樣ではないことを述べ、このことは日本語敎育の現場においても適用されるべきであると主張する。すなわち、「밖에」は「しか」と異なり多機能的な表現であり、「しか」だけではなく、從來「しか」と共に「其他否定」表現と呼ばれてきた「ほか」「以外」とも對應すると主張する。

      • KCI등재

        염산테트라싸이클린 적용시간에 따른 GBA 및 RBM 임프란트 표면변화

        박강훈,허익,권영혁,준봉,정종혁,Park, Kang-Hun,Herr, Yeek,Kwon, Young-Hyuk,Park, Joon-Bong,Chung, Jong-Hyuk 대한치주과학회 2006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36 No.3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etracycline-HCl on the change of implant surface microstructure according to application time. Implant with pure titanium machined surface, GBA surface and RBM surface were utilized. Implant surface was rubbed with 50mg/ml tetracycline-HCl solution for ${\frac{1}{2}}$min. 1min. $1{\frac{1}{2}}$min. 2min. and $2{\frac{1}{2}}$min. respectively in the test group. Then, specimens were processed for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1. Both test and control group showed a few shallow grooves and ridges in pure titanium machined surface implants.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 2. In GBA surfaces, control group exhibit many porous depression, and each depression were divided by strict border. Experimental group applied with tetracycline-HCl for 2min. were similar with control group. But when applied for $2{\frac{1}{2}}$min. surface alteration and border breakdown started, resulting enlargement of the porous depression. 3. In REM surface, control group exhibit rough, uneven surface with crater-like depression can be found. The surface alteration started when tetracycline-HCl was applied for 30sec. resulting breakdown of the crater-like depression. Depression became larger as applying time increased.

      • KCI등재

        韓日両言語の方言接触における対照研究 -否定極性表現の場合を中心に-

        朴江訓(Park, Kang-Hun) 한국일본문화학회 2019 日本文化學報 Vol.0 No.82

        This study clarifies the syntactic features of the negative polarity items (NPIs) pakk-ey/ppwun-i ‘only’ in Korean and sika/hoka ‘only’ in Japanese from the viewpoint of dialect contact. These expressions have been treated as similar expressions previously in that they have a semantically restrictive meaning and function as syntactically negative polarity items. In addition, these expressions are similar in that they have an opposing relationship such as ‘standard language (pakk-ey/sika) vs. dialect (ppwun-i/hoka)’. However, this study found that these Korean and Japanese expressions are not similar, on the basis of the following six syntactic environments: whether they can (i) occur in negative constructions only, (ii) occur in multiple negative polarity item constructions, (iii) occur in adversative constructions, (iv) be attached to various items such as postpositions or adverbs, (v) occur in a negative imperatives, and (vi) be attached to nouns without the requirement of the genitive case particle ‘uy/no’. Japanese sika and hoka have mutual distribution, unlike Korean pakk-ey/ppwun-i. In fact, in modern Japanese, sika is more grammaticalized as an NPI, whereas hoka is undergoing degrammaticalization unlike Korean pakk-ey/ppwun-i. In the search for the cause of thes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although further research is needed, this study posits a hypothesis focusing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 and Japanese language policy.

      • KCI등재

        인공신경망 번역 엔진을 활용한 멀티링구얼 문법 교육

        박강훈(Park, Kang-Hun) 한국일본문화학회 2019 日本文化學報 Vol.0 No.80

        This paper aims to provide a Korean, Japanese, and English multilingual grammar education model using Google Translate. This research is conducted as part of a long-term research project called ‘Construction of Korean, Japanese, and English multilingual education models for Korean adult learners, especially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Park (to appear) claims that the algorithm of the neural machine translation system and the multilingual education model are similar based on the following two points: (i) the theoretical background, (ii) transfer learning. Based on these facts, Park (to appear) states that we need to develop teaching methods of multilingual education using neural machine translation engines such as Google Translate in the future.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that Google Translate is applicable to Korean, Japanese, and English multilingual grammar education. Further, marking the first attempt of the same, this paper deals with the grammatical category of ‘tense and aspect’. The study on the multilingual grammar teaching method using Google Translate is being considered for active usage in the future, because this research and Google Translate set the common goal of ‘multilingual use’.

      • KCI등재
      • KCI등재

        方言接觸による文法化をめぐって

        박강훈 ( Kang Hun Park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2 日語日文學硏究 Vol.83 No.1

        In this paper, I investigate grammaticalization from the viewpoint of dialect contact. The main claims will be that dialect contact leads to being degrammaticalized for an expression which has been defeated in a competition and being more grammaticalized for an expression which has won in the competition. Language contact occurs when two or more languages or varieties interact (See Winford (2003), Heine & Kuteva (2005), Frederic et.al.(2009) for more details). Frederic et.al.(2009) argues that when speakers of different languages interact closely, it is typical for their languages to influence each other. Languages usually develop by gradually accumulating dialectal differences until two dialects stop being mutually intelligible, somewhat analogous to the species barrier in biology. This paper shows that we can also find the dialect contact in Japanese. In fact, Kudo (2008) examines aspect markers of three different areas of Japanese dialects which are Western Japanese, southern part of Wakayama Prefecture and Okinawa. Jeong (2011) clarifies systems of tense/aspect/mood between dialect of Jeju island in Korean and one of Okinawa in Japanese. This paper proposes that differences of sika-nai ``only`` and hoka-nai ``only`` in modern Japanese can be also explained by dialect contact.

      • KCI등재

        한일 양 언어의 언어접촉에 의한 언어변화

        박강훈(Park, Kang Hun) 동아시아일본학회 2016 일본문화연구 Vol.0 No.58

        본 연구의 목적은 문법화 이론을 중심으로 한일 양 언어의 언어접촉에 의한 문법구조변화의 양상을 부정극성어 및 부조사라고 하는 문법범주를 토대로 규명하는 것이다. 언어변화의 두 유형인 내적변화와 외적변화로 각각 나눠 내적변화에 대해서는 일본어의 근세후기(18세기 중엽)∼쇼와초기(20세기 중엽) 사이에 이루어진 방언접촉을 중심으로, 그리고 외적변화에 대해서는 한국 갑오경장을 기점으로 그 이전과 이후로 대비되는 일본어로부터의 언어접촉을 중심으로 밝히겠다. 인간 언어의 변화에 있어서 무엇보다 흥미로운 점은 일견 무질서하게 변하는 것 같은 언어가 사실은 규칙적이고 체계적으로 변한다는 것이다. 흥미롭게도 한일 양 언어의 내적변화 및 외적변화는 이와 같은 문법화 이론에 의해 규칙적이고 체계적인 양상을 띠고 있다. 또한 이러한 언어변화의 양상은 한일 양 언어뿐만 아니라 유럽어, 중국어, 대만어 등 많은 언어에서도 유사한 현상이 보인다는 점에서 보편적인 언어현상으로 볼 수 있겠다. This paper explores grammatical changes in Korean and Japanese from the perspective of grammaticalization theory.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grammatical changes of negative polarity items and postpositions in Korean and Japanese. There are two types of language changes: internal and external. Internal changes are clear in Japanese negative polarity items/postpositions, while external changes are clear in those same areas in Korean. Interestingly, universal linguistic phenomena do exist; language changes are basically assigned on a regular and systematic basis.

      • KCI등재

        「不定語モ」와 「1+助数詞モ」에 관한 일고찰

        박강훈 ( Park Kang Hun ) 한국일어일문학회 2020 日語日文學硏究 Vol.114 No.-

        본고의 목적은 일본어 「不定語モ」와 「1+助数詞モ」의 문법적 성질을 밝히 는 것이다. 이 두 표현은 선행연구에서 동일 표현으로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유사점에 대한 상세한 기술을 찾기 어려운 데다가, 본고의 연구 결과 두 표현은 완전히 동일한 것으로 볼 수 없다. 이에 본고는 「不定語モ」와 「1+助数詞モ」 의 유사점과 상이점을 통어론·의미론·형태론적인 접근방식으로 밝히겠다. 특히, 두 표현이 (i)다중부정호응표현구문에서 허용될 수 있는가, (ii)정도부사에 의해 수식될 수 있는가에 있어서 상이한 양상을 보이는 데에 주목하고, 이러한 상 이점이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지 밝히겠다. 요약하자면, (i)「不定語モ」는 전칭 양화사로서의 특징을 지니고 있는 데에 반해, 「1+助数詞モ」는 존재양화사로 서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는 점, (ii)「1+助数詞モ」는 「不定語モ」와는 달리 동일구성소의 숙주명사구가 항상 현재화(顕在化)해서 「1+助数詞モ」를 수식해야 한다는 점, (iii)「1+助数詞モ」는 의미적으로 「不定語モ」보다 강한(strong) 부정호응표현으로서 분류된다는 점, 이상의 세 가지 특징에 기인해 상술한 상이점 이 보이게 되었다는 것을 밝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grammatical properties of “Indefinite+mo” and “1+Classifier+mo” in Japanese. Although both have been frequently taken up as the main focus of previous research, they have been equated without conducting adequate research. This study argues that this should be corrected, and clarifi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Indefinite+mo” and “1+Classifier+mo” through syntactic, semantic, and morphological approaches. In particular, this study notes that both exhibit different behaviors in (i) whether or not they are permitted in multiple NSI(Negative Sensitive Item) constructions, and (ii) whether or not they are modified by an adverb hotondo ‘almost’. In short, (i) “Indefinite+mo” is a universal quantifier, while “1+Classifier+mo” is an existential quantifier, (ii) in “1+Classifier+mo” unlike “Indefinite+mo”, the host noun phrase having the same constituent must always be manifested, and (iii) “1+Classifier+mo” is semantically stronger than “Indefinite+mo”. Owing to these three facts, the above-mentioned differences between “1+Classifier+mo” and “Indefinite+mo” were fou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