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기상 변화에 따른 알레르기 유발식물과 알레르기질환 간의 상관관계

        김주화 ( Joo Hwa Kim ),오재원 ( Jae Won Oh ),이하백 ( Ha Baik Lee ),김성원 ( Seong Won Kim ),정혜리 ( Hai Lee Chung ),국명희 ( Myung Hee Kook ),박강서 ( Kang Seo Park ),김봉성 ( Bong Seong Kim ),김자경 ( Ja Kyung Kim ),이동진 ( Do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2014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2 No.1

        Purpose: There are a number of reports suggesting that widespread propagation of weeds and high concentration of weed pollen have been contributed to climate change. We investigated the inte rrelationship between allergenic pollen concentration, allergic symptom and meteorological factor. Methods: We collected data of pollen concentration and meteorological factors in 7 stations nationwide during between 1998 and 2012. We recruited total 297 allergic patients sensitized to weed pollens from each station, conducted a survey about allergic symptom, and calculated symptom index. We surveyed the vegetation area of ragweed and Japanese hop. Based on these data, we performed the long-term trend analysis (X11-ARIMA, 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on regional pollen concentration, and correlation analysis to investigate the interrelation between weed pollen concentration, allery symptom index and meteorological factor. We have also done regression analysis on vegetation area and maximal pollen concentration. Results: Long-term trend analysis showed the increasing trend of pllen concentration in Seoul. Weed pollen concentration, allergy symptom index and each meteorological factor were not correlated significantly.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increase of weed vegetation area results in increase of weed pollen concentration. Through this regression equation, we estimated the vegetation area that can product pollen concentration triggering allergenic risk. Conclusion: Meteorological factors, pollen concentration and allergic symptoms should be consistently assess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factor should be analyzed, considering climate change.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equation for pollen estimation by vegetation area and set up a policy for vegetation control focused on the reduction of allergenic pollen. (Allergy Asthma Respir Dis 2014;2:48-58)

      • 꽃가루 농도와 알레르기 유발과의 연관성 연구

        오영철 ( Yung Chul Oh ),김현아 ( Hyun A Kim ),정지태 ( Jee Tae Cheong ),강임주 ( Im Joo Kang ),김성원 ( Seong Won Kim ),박강서,김봉성 ( Bong Seong Kim ),국명희 ( Myung Hee Kook ),이하백 ( Ha Baik Lee ),오재원 ( Jae Won Oh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09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19 No.4

        목적: 꽃가루와 연관되어 유발되는 알레르기 질환을 화분증(pollinosis)이라 부르며, 최근에는 우리나라에서도 공증화분에 의한 알레르기비염, 천식 및 알레르기성 각결막염 둥 꽃가루연관 질환이 증가하고 있어 알레르기 환자와 일반 국민을 위한 알레르기 예보식 개발이 시급하다. 이에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식물들 종별로 꽃가루 수와 알레르기증상과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우리 나라 고유의 알레르기 지수가 절대적으로 필요하게 되어 이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방법: 2007년 3월 1일부터 2008 10월 3l일까지 8개월간 전국적으로 서울, 구리, 강릉, 충주, 대구, 광주, 부산, 제주 등 8개 지역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대상 건물의 옥상에 지면으로부터 1.5미터 높이에 Burkard seven days Sampler률 설치하여 공중화분을 매일 측정하여 수집된 글리세린 접착 비닐을 Calberla`s fuchsin 용액으로 염색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공중화분을 관찰 동정하여, 평방미터 당 각 공중화분 수를 계산하여 기록하였다. 알레르기성 꽃가루에 대한 감작률올 조사하기 위하여 각 해당 병원에서 알레르기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알레르기 피부시험과 혈액 검사 등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지역별 등으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환자의 증상을 객관적으로 기록하기 위하여 10개 항목의 증상 지수를 이용하여 주 3회 전화 설문으로 증상 중증도를 분류하고, 증상지수와 꽃가루 수를 비교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알레르기 꽃가루에 대한 감작률을 조사한 결과 전체적으로 돼지풀(5.9%), 산쑥(5.8%), 오리나무(4.9%), 자작나무(4.8%) 순으로 감작률이 높게 나타났다. 대상 알레르기 환자들에게 전화 통화를 통해 질문을 하여 발생한 증상에 대해 증상지수를 기록하여 해당일의 꽃가루 수와의 상관관계를 비교한 결과 증상지수와 꽃가루 수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결론: 꽃가루 지수와 환자발생과의 관계를 직접적으로 밝힐 수 있는 방법으로 계절성 알레르기 환자를 지역별로 수집하여 임상증상과 꽃가루 수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바 꽃가루 수와 알레르기 환자의 임상증상 간에 의미 있는 상관성을 나타냈다. 이런 결과를 기초로 하여 우리나라 고유의 알레르기 증상 등급을 개발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꽃가루 예보제를 시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urpose: The distribution of pollens in the air is mainly related to the weather conditions, especially temperature and humidity. This study focused on the evalu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llen count and the outbreak of allergic diseases (symptom index) from allergic patients in Korea in order to determine Korean own allergy risk grade for the pollen forecasting system. Methods: Airborne particles carrying allergens were collected daily in nationwide 8 stations (Seoul, Guri, Daejeon, Daegu, Kwangju Busan, Kangneung, and Jeju) by using 7 day-Burkard sampler in South Korea for 8 months (March 1, 2008-October 31, 2008). They were counted and recorded along with weather factors. Symptom index was calculated and recorded by phone calling to allergic patients 3 times a week. Results: Airborne pollens have 2 peak seasons (May and September) in Korea. In the skin prick test, ragweed was the highest sensitization rate (5.9%), followed by mugwort (5.8%), alder (4.9%), birch (4.8%) and oak grasses among the pollen extracts in Korean school-aged children. There ar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ymptom index of allergic patients and allergic pollen concentrations. Korean own risk grade of pollen allergy was made by using the data from this study. Conclusion: Risk grade of pollens for allergy pollen forecast among each allergic plant was established.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it our result. [Pediatr Allergy Respir Dis (Korea) 2009;19:354-36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