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추체 전방에 발생한 골연골종으로 인한 연하곤란: 증례 보고

        민학진,김진수,김종호,Min, Hak-Jin,Kim, Jin-Soo,Kim, Jong-H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2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8 No.1

        56세 여자 환자로 약 8주 전부터 시작된 연하곤란과 2주 전부터 발생한 발성 장애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방사선 및 연하 검사상 제 4-5 경추체 전방에 위치한 종괴로 인한 식도 및 후인두 후벽의 압박 소견이 관찰되었다. 수술적 치료로 종괴의 완전 절제를 시행하였고 술 후 임상 증상에서 완전히 회복되었다. 본 증례는 골연골종이 비교적 발생이 드문 경추체 전방에 발생하여 연하 곤란 및 발성 장애를 유발한 예로 저자들은 문헌고찰과 더불어 보고하는 바이다. A 56 year-old female presented with dysphagia 8 weeks ago and newly developed dysphonia 2 weeks ago. The radiology study and swallowing difficulty evaluation study revealed the esophagus and the posterior wall of the laryngopharynx to be severely compressed by the mass of the anterior $4^{th}$ and $5^{th}$ vertebral body of cervical spine. En bloc excisional biopsy of the bony mass was performed, which completely resolved the clinical symptoms. We report a rare case of osteochondroma occurring at the anterior portion of cervical spine leading to dysphasia and dysphonia with a review of relevant literature.

      • 종골에 발생한 내연골종: 증례 보고

        민학진,윤의성,서재성,김진수,백승엽,Min, Hak-Jin,Yoon, Ui-Seoung,Seo, Jae-Sung,Kim, Jin-Soo,Baek, Seung-Yub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0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6 No.2

        내연골종은 주로 수부에 발생하는 양성 골 종양으로 족부에 발생하는 경우는 흔하지 않다. 족부에서 발생할 경우에도 대개 족지나 원위 중족골이며 종골에서는 발생이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개월간 지속된 좌측 종골 부위 통증으로 내원한 44세 남자 환자에서 시행한 방사선 검사에서 내연골종 의심되어 골 소파술 및 골 이식술을 시행하였고 최종 병리검사에서 확진되었다. 이에 본 저자들은 종골의 내연골종을 1예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 하는 바이다. Enchondroma is a benign tumor mainly developed in the hand and uncommon in the foot. Even if it is in the foot, most are in the phalanges and distal metatarsals of the foot. Enchondroma in the calcaneus is very rare. A 44-year-old male suffered from left heel pain for several months, authors treated it with curettage and bone graft, it was histologically confirmed as an enchondroma in the calcaneus. The authors presented a rare case presentation of an enchondroma in the calcaneus with pain.

      • KCI등재
      • KCI등재
      • 외상성 반월상 연골 파열의 관절경적 절제술 후 장기 추시 결과

        서재성,민학진,윤의성,김희선,김윤종,김유미,Seo, Jae-Seong,Min, Hak-Jin,Yoon, Ui-Seong,Kim, Hee-Seon,Kim, Yoon-Jong,Kim, Yoo-Mih 대한관절경학회 2005 대한관절경학회지 Vol.9 No.2

        Purpose: To study the long-term outcome of arthroscopic meniscectomy with regard to clinical symptoms and radiographic signs of osteoarthritic change. Materials and Methods: The materials for the investigation consisted of 79 individuals among 144 patients who underwent knee arthroscopy due to an isolated meniscal tear from October 1990 to September 1992 in our hospital. Those 79 individuals were followed up for $10{\sim}15$ years after the knee arthroscopy and were took clinical examination through the review of knee radiographies obtained with weight bearing. 52 of the 79 patients were men, and the mean age of the total materials was 34.6 years old (in the range $17{\sim}48$). Results: At follow-up, radiographic changes including Fairbank changes and joint space narrowing were seen from 45 of the 79 patients (56.2%). In other calculation, radiographic changes were seen in 23 out of 54 patients (42.6%) who had a partial meniscectomy, but were presented in 22 out of 25 patients (88.0%) who had a total meniscectomy. As a result, more radiographic changes were seen after total meniscectomy (p=0.03). In clinical results, 39 out of 54 patients (72.2%) after partial meniscectomy were satisfactory, and 14 out of 25 patients (56.0%) after total meniscectomy were satisfactory, therefore, more percentage of patients were satisfactory in partial meniscectomy group than in total meniscectomy group, but the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absent (p=0.24). Conclusion: The frequency of radiographic changes in $10{\sim}15$ years after meniscectomy was related to the quantity of the meniscus removed, but the differences of these changes were low and had little influence on activity and knee function. 목적: 관절경을 이용한 반월상 연골 절제술 후의 슬관절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10월부터 1992년 9월까지 반월상 연골의 손상으로 본원에서 슬관절의 관절경적 시술을 시행 받은 144명의 환자 중 $10\sim15$년 뒤 장기 추적이 가능했던 7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평가와 체중 부하 슬관절 방사선 촬영을 시행하여 그 변화를 관찰하였다. 79명 중 52명은 남자였으며, 평균 연령은 34.6세$(17\sim48)$였다. 결과: 추시 결과, Fairbank 변화와 관절강 협소를 포함한 방사선학적 변화는 부분 절제술 후 54예 중 23예(42.6%), 전 절제술 후 25예 중 22예(88.0%)에서 발생하여 전 절제술 후 많은 변화를 보였다(p=0.03). 임상적 결과는 부분 절제술군에서 만족이 54명 중 39명(72.4%), 전 절제군에서 25명 중 14명(56.0%)으로 부분절제술 후 만족도가 높았으나 통계적 의의는 없었다(p=0.24). 결론: 반월상 연골 절제술 후의 평균 12년 후 추시 결과, 방사선적 변화는 전 절제술시 크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변화는 슬관절 기능과 활동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무지 외반증에서 Mitchell 절골술과 중족골 근위 dome 절골술의 결과 비교

        김용훈,김근우,민학진,윤의성,이장호,Kim, Yong-Hoon,Kim, Keun-Woo,Min, Hak-Jin,Yoon, Eui-Sung,Lee, Jang-Ho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01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5 No.2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results of Mitchell osteotomy and proximal metatarsal dome osteotomy in hallux valgus deformity.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1993 to June 2000, 28 cases (17 patients) with hallux valgus deformity who underwent Mitchell osteotomy were categorized as group I, 26 cases (16 patients) who underwent proximal metatarsal dome osteotomy were categorized as group II. We analyzed clinical results according to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clinical functional analysis and objective comparison of correction angle between two groups. Results: The average hallux valgus correction in the Mitchell osteotomy group went from $36^{\circ}$ to $11^{\circ}$, and in the proximal metatarsal dome osteotomy group, the hallux valgus angle was reduced from $32^{\circ}$ to $6^{\circ}$. The intermetatarsal angle in the Mitchell osteotomy group was corrected from $13^{\circ}$ to $9^{\circ}$, and in the proximal metatarsal dome osteotomy group the intermetatarsal angle was reduced from $14^{\circ}$ to $7^{\circ}$. Although, proximal metatarsal dome osteotomy group have shown better correction angle and radiographic results in the correction of hallux valgus angle and intermetatarsal angle but, all patients in the Mitchell osteotomy and proximal metatarsal dome osteotomy groups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clinical functional results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In our studies, the proximal metatarsal dome osteotomy applied to. hallux valgus deformity was found as a good radiographic results than Mitchell osteotomy,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operations in terms of functional satisfaction.

      • KCI등재후보

        슬관절 전 치환술 후 발생한 자발성 혈관절증

        김희선(Hee Seon Kim),민학진(Hak Jin Min),윤의성(Ui-Seoung Yoon),서재성(Jae Seong Seo),김윤종(Yoon Jong Kim),김진수(Jin Soo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7

        슬관절 전 치환술 후 발생하는 자발성 혈관절증은 매우 드문 합병증으로 알려져 있고 국내에는 아직 보고된 바 없다. 저자들은 퇴행성 관절염으로 슬관절 전 치환술을 시행 받은 60세 여자 환자에서 수술 후 10개월에 발생한 자발성 혈관절증에 대해서 관혈적 활액막 제거술로 치유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Spontaneous hemarthrosis of the knee after a total knee arthroplasty is a rare complication, and there is no report is available in Korea. We report a case that was cured with an open synovectomy in the spontaneous hemarthrosis, which developed 10 months after the total knee arthroplasty for degenerative osteoarthritis in a 60-year-old woman.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슬관절 전치환술 후 조기 실패 분석

        김희선(Hee Seon Kim),민학진(Hak Jin Min),윤의성(Ui Seoung Yoon),서재성(Jae Sung Seo),김윤종(Yoon Jong Kim),임병호(Byung Ho L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3

        목적: 슬관절 전치환술 후 5년 이내의 조기 실패 원인 및 평균기간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8월부터 2003년 5월까지 시행한 786예의 일차 슬관절 전치환술 중에서 5년 이내에 조기 실패로 재치환술을 시행한 3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여자가 36예, 남자가 2예였고 재치환술시 연령은 평균 66세였다. 원인 질환은 퇴행성 관절염이 36예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결과 분석을 위해서 후향적으로 조기 실패의 원인과 기간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조기 실패를 보인 환자의 재치환술까지의 기간은 평균 2년이었고 조기 실패의 원인으로는 폴리에틸렌의 마모가 18예(47.4%)로 가장 많았으며 수술 후 치환물의 부정렬, 특히 경골의 절골각이 평균 5.1˚ 내반이었고 3˚ 이상의 내반을 보인 경우가 14예(82.4%)였으며 좌식생활, 재래식 화장설의 사용 등 슬관절을 과도하게 굴곡하는 일상생활을 하고 었었다. 그 외 감염이 16예(42.1%), 슬관절 불안정성이 2예(5.3%)였으며 무균성 해리 및 슬개골 삽입물의 해리가 각 1예(2.6%)였다. 결론: 슬관절 전치환술후 조기 실패로 재치환술을 시행한 경우는 38예 4.8%였고 실패의 가장 큰 원인은 폴리에틸렌의 마모와 감염이었다. 수술 후 치환물의 부정렬과 슬관절을 과도하게 굴곡하는 환경이 삽입물의 조기 마모와 관련되어 있을 것이라 사료되며, 당뇨병이나 장기간 스테로이드 복용 등이 감염과 연관되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analyze the cause of failure and average period in patients who had revision surgery with¬in 5 years of their primary total knee arthroplasty (TKA). Materials and Methods: 786 total knee arthroplasties were performed between August 1994 and May 2003. During the period, there were 38 cases, 36 females and 2 males, of revision surgery within 5 years. The mean age was 66 years. The most common causes of disease in revision were degenerative arthritis. We analyzed the reasons for early failure retrospectively. Results: Revision TKA were performed at average 2 years after primary TKA. The causes of revision were polyethylene wear in 18 cases (47.4%), deep infection in 16 (42.1%), instability in 2, and aseptic loosening in 1, dissociation of patella component in 1. The degree of varus in tibial cutting was 5.1˚ in average in polyethylene wear group. The obliquity of the tibial joint line was more than 3˚ varus in 14 cases (82.4%). Most patients had their knee in hyperflexion and squatting position dur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Conclusion: Thirty eight cases (4.8%) were performed revision surgery within 5 years of primary TKA. Polyethylene wear and deep infection were the common causes of early failure of primary TKA. The component malalignment, hyperflexion and squatting position dur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may be related to polyethylene wear. Diabetes mellitus and long term steroid application, may be related to infection.

      • KCI등재

        고관절의 비구와에 발생한 결절종 -증례 보고-

        윤의성 ( Ui Seoung Yoon ),민학진 ( Hak Jin Min ),김진수 ( Jin Soo Kim ),오현석 ( Hyun Seok Oh ),정인화 ( In Hwa Chung ),박기홍 ( Ki Hong Park ),서재성 ( Jae Sung Seo ) 대한고관절학회 2011 Hip and Pelvis Vol.23 No.3

        결절종은 수근관절과 수부에 가장 많이 발생하며, 슬관절, 족근관절 및 족부에도 발생한다. 간혹 고관절에서의 발생을 보고한 예는 있으나 비구와에서 발생된 결절종은 보고된 증례가 매우 드물다. 저자들은 고관절의 비구와에 발생한 결절종을 1예 경험하였기에 치료 결과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Ganglions commonly occur on the hand, wrist, knee, ankle and foot, with occasional development around the hip joint. Ganglion in the acetabular fossa is rare. We present a case of a ganglion in the acetabular fossa of the hip with trea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