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근대 전환기 민간 불교경험의 양태와 유산: 대한불교진각종과 대한불교천태종을 중심으로

        민순의 ( Min Sun-euy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16 종교문화비평 Vol.30 No.30

        17세기 후반 이후 민간에서는 염불, 관음신앙을 주된 기저로 둔 다라니·진언, 거 사불교(居士佛敎), 치병능력을 갖춘 신승(神僧)/생불(生佛) 숭배, 미륵하생 신앙과 도참사 상의 결합, 나아가 선도(仙道) 수행 혼입 등 다양한 양태의 불교신행을 경험하며 근대로 의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었다. 개항 이후 일제 강점기를 거치는 와중에는 근대성의 시대 사조 속에서 불교지식인들이 불교의 개혁과 대중화를 고민하였으며, 해방 이후에는 전 통 승단을 계승한 비구-대처승 간 분규의 틈바구니에서 `불교재산관리법`이 제정·반포 되어(1962) 조계종·태고종 이외의 신흥 불교종단 건립에 제도적 토대가 마련되기도 하였다. 회당 손규상의 대한불교진각종과 상월 박준동의 대한불교천태종은 그와 같은 역사 적 배경 위에서 일종의 불교진흥 운동이자 불교계 신종교 현상으로 새롭게 등장한 종단 들이다. 이들은 조선후기 이래 민간에서 경험된 염불, 다라니, 관음신앙, 성인(聖人) 치 병능력 등을 공통의 창종 배경으로 공유하면서도, 각각 거사불교적 성격(진각종) 또는 미륵신앙 및 선도수행의 혼입(천태종)이라는 차별성을 가지며, 근현대사회에 걸맞은 신 종교로서의 면모를 부각하거나(진각종) 전통으로 회귀하며 정통성을 발굴하는(천태종) 등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저마다의 종교정체성을 정립해오고 있다. 본고는 진각종과 천태종의 존재가 20세기 한국불교의 평이한 풍경 중 하나가 아니 라, 전통적인 교단질서로부터 완전히 절연돼 있으되 그 탄생의 동력에 있어 오히려 민간 의 불교경험을 다분히 계승하였음을 밝혔다는 데에서 학문적 의의를 찾고자 한다. 여기 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동시대 한국불교의 종단 분파적 존재 양상이 이전 시기의 통불 교 내지 무종단 산중불교의 모습을 완전히 탈각하고 있으나, 정치제도사적 정황이나 그 등장의 시대적 요청 혹은 과제라는 측면에서 더 먼 과거(삼국~고려)의 종파불교와는 확연히 다른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는 사실을 또한 간과하지 않으려 한다. 종단 개념의 현대적 변용과 20세기 한국 종단불교의 시대적 필연성을 천착하는 것은 새롭게 남겨진 과제이다. Since the latter part of the 17th century of Joseon Korea, the folk religions of Buddhism have been changed in terms of its religious experiences and practices. The people`s faiths and the ritual practices have been diversified and their prevalent activities were not based on traditional Buddhist texts or temple initiated practices. They are consisted of 1)the repetitive chanting of `the Buddha and the Bodhisattva names`(yeom-bul-ji-song, 염불지송, 念佛持誦), and `Dharani`(da-ra-ni, 다라니, 陀羅尼) which is the spells/chanting of invoking the mercy of Avalokiteshvara(guan-eum, 관음, 觀音), and 2)the Lay Buddhism practices(geo-sa-bul-gyo, 거사불교, 居士佛敎), the worships of the healing technique, the faith of Maitreya revealed(mi-reuk-ha-saeng-sin-ang, 미륵하생신앙, 彌勒下生信仰), the do-cham(도참, 圖讖), and the syncretic practices for immortality(seon-do, 선도, 仙道). At the opening of Joseon Korea to the outer world and eventually under Japanese colonization, the Buddhist intellectuals have groped for the reforms and trials to popularize the Buddhist practices among the ordinary people. After independence of Korea, the regulations of the Buddhist properties instituted in 1962 did great impacts on Buddhist institutions of forming the sectarian orders. This regulations of property subsequentially paved the grounds for the establishing new Buddhist orders. Except major orders like the Jogye-jong(조계종, 曹溪宗) and the Taego-jong(태고종, 太古宗), the Jingak-jong(진각종, 眞覺宗) and the Cheontae-jong(천태종, 天臺宗) among other minor sects are the newly established Buddhist orders, which have been resulted from the temple property regulations at this period. The Jingak-jong was established by Son Gyu-sang(손규상, 孫珪祥, 1902~1963), and the Cheontae-jong was built by Park Jun-dong(박준동, 朴準東, 1922~1974). These sectarian orders have common practices of faiths and rituals like the repetitive chanting on the name of Buddha and Bodhisattva, Dharani spells for Avalokiteshvara, or healing technique, etc. Meanwhile, they are distinctive in the practice formats and in appealing to the lay people. The Jingak-jong has upheld the ideal of the Lay Buddhism practices and the Cheontae-jong has rather syncretic features of worshipping the living Buddha(saeng-bul, 생불, 生佛), the faith of Maitreya revealed, the do-cham and the practice for the immortal. They have established their own religious identities in their creeds from the starts. The Jingak-jong has eagerly focused on modernizing every aspects of the practices, whereas the Cheontae-jong has mostly based on the traditional ways. I intended to investigate that both of the Jingak-jong and the Cheontae-jong have inherited and succeeded from the Korean folk religious/Buddhist experiences since the latter part of the 17th century on. Obviously, the newly established Buddhist sects are quite different from those in traditional period in terms of their adopting creeds and rituals and its transforming the formats of beliefs. My next tasks after this paper will be developed to the examination of the modern alteration on the concepts of `Buddhist sectarian order` and the investigation of why the appearances of Buddhist sectarian orders in the 20th century in Korea is inevitable.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전기 승인호패제도의 성격과 의미 -중앙집권적 승적관리의 측면을 중심으로-

        민순의 ( Sun-euy Mi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6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6

        고려시대와 달리 조선은 국가주도의 승적관리 업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결국 세종 13~14년(1431~1432) 승려의 이동을 통제하고 제한하려는 목적 하에 官 주도적으로 각 지역 승려들의 승적 제작을 시작하지만, 세종 24 년(1442) 초 경기도 관찰사가 회암사 승려의 도첩소지 및 승적기재 여부를 수색하던 중 사찰 소속승려 몇 사람이 도망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승적관련 법규는 완전히 폐지된다. 이후 승적관리 정책은 끊임없이 재론의 대상이 되었으며, 논의의 핵심은 차차 군적문제로 수렴되는 경향을 보인다. 결국 세조 대에 들어 승적 부활의 문제의식은 자연스럽게 승인호패제의 실시로 이어지게 되었다. 세조 대의 승인호패는 세종 대에 잠시 실시되었다가 폐지된 승적제도와 취지가 맞닿아 있다. 다만 세종 당시의 승적이 승려의 자유로운 이동을 제한 하는 데에 그 일차적인 목적이 있었다면, 세조 대의 승인호패는 전국의 승려 전수에 대한 국가권력의 집권적인 파악과 통제에 보다 큰 목적이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세조 대 승인호패제의 목적에 대해 한결같이 승역도첩의 남발로 인한 승단의 자질 저하를 회복하기 위한 조처였다고 파악해 왔다. 그러나 승인호패는 기본적으로 도첩을 소지한 승려들을 대상으로 발급하기로 되어 있던 것이었으므로, 굳이 도첩과 승인호패라는 이중의 신분확인 절차를 마련함으로써 기능의 중복과 재화용역의 낭비를 초래할 필요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결국 당시의 도첩제도만으로는 파악할 수 없었던 승려 전수의 실태 파악이야말로 승인호패제도 시행에 대한 국가권력의 궁극적인 의도였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뿐만 아니라 승인호패의 작성·발급 과정에서 승려 들의 도첩 소지여부를 확인해야 했기에, 자연스럽게 무도첩승 내지 위람승 추쇄를 진행할 수도 있었다. 승인호패제도는 전국 승려의 전수파악이라는 점에 있어 그 실효성이 확실 했던 것으로 보인다. 승도의 수를 예조에서 헤아려 매년 보고하라는 예종의 전교나, 세조 말년 전국 승려에 대한 전수조사가 가능했음을 시사하는 성종 대의 기사 등이 그 성공에 대한 증거가 된다. This study is aimed to elucidate the Buddhist monastic register(僧籍) system at early Joseon Dynasty. Contrasting to the effective and workable system during Goryeo period, Joseon dynasty did not set up the monk registration system for the government bureaucratic organization. The monk registration system was firstly established between 1431~1432 during King Sejong’s reign(the 4th king of Joseon) to control and survey monks’ residency and whereabouts and let monks to register themselves at local administrations. However, This system of registering monks to the local government fell apart and abolished in 1442, when some monks, belonging to Hoeam temple, were found missing after investigation of the monastic register records and lists of monk permit certificate(度牒). This policy was seriously discussed in connection with the army registration issues, though, afterward. King Sejo(the 7th king of Joseon) inherited this system. However, its operation and the purpose had been changed. Sejo administration intended to survey the monk numbers cross the country and list their whereabouts under the control of whole population policy of the kingdom, while Sejong’s policy was initially to limit free traveling of monks from one place to other place or one temple to another temple. It``s named the Buddhist monastic identity tag system(僧人號牌制). The previous studies on this subject of Buddhist monastic identity tag system have regarded it as a part of the total identity tag(號牌) system for whole population in the nation and a device intended for improving incompetent monks, but the regard can``t explain the possible waste of national resources in the aspect of the maintenance of monk permit certificate system in company with monastic identity tag system. Buddhist monastic identity tag system, therefore, can be interpreted as follows: It``s intended to survey the total numbers and state of monks cross the country and, secondarily, it helped to get rid of no certificate monks and forged certificate holders and self-claimed monks, that is to say, unofficial monks not approved by national power(私度僧) and pseudo-monks(僞濫僧) who were free travellers against kingdoms’ policies because monk permit certificate was necessary for issuing the monastic identity tag(僧人號牌).

      • KCI등재

        조선전기 도첩제도의 내용과 성격 -『경제육전』 체제와 『경국대전』 체제를 중심으로-

        민순의 ( Min,Sun Euy ) 한국사상사학회 2016 韓國思想史學 Vol.0 No.53

        조선전기에 국가가 운용한 도첩제도(度牒制度)는 국가공인 불교교권의 통제와 교단 핵심부의 인적자원 재창출을 의도하여 기획되었다. 태조 6년(1497)에 제정된 『경제육전』은 단종 대(내지 세조 초)까지 지속되었으며, 이 체제 하에서 도첩제도는 태종과 세종 대를 중심으로 꾸준히 내용상의 정비가 이루어졌다. 이 시기 도첩발급의 대상은 양반층으로 국한되었으며, 정전(丁錢)의 납부를 위주로 하는 발급조건이 마련되었다. 도첩발급의 절차는 출가지원자의 보호자가 국가행정력의 말 단단위에 보고하면, 지방관청의 하급단위→지방관청의 상급단위→예조→왕의 재가를 통하여 국가기관의 승인을 마치고, 마지막으로 예조에서 정전을 징수한 후 도첩을 발급하는 것이 근간이 된다. 세조 대에 초안이 만들어져 성종 대에 최종 반포된 『경국대전』 체제하에서 도첩제도는 이전 시기와는 상당히 달라진 양상을 보인다. 도첩의 발급대상은 공사노비와 같은 사회의 최하위층에게까지 확대되었고, 발급조건에서 정전의 가격이 대폭 낮추어진 대신 시취(試取)의 기능이 강화되었다. 결정적으로 도첩발급의 순서가 ``도첩발급 후 출가``에서 ``출가 후 도첩발급``으로 변경되어, 이에 따라 승단 입문자에게는 도첩을 발급받기까지 최장 1년까지의(최종 단계에서 3개월로 고정) 유예기간이 제공되었다. 『경제육전』과 『경국대전』 체제를 통틀어 도첩제도의 변천에서 가장 역동적인 변화를 보이는 부분은 위반자 추쇄 및 처벌과 관련된 부분이다. 조선개국 당시 형법은 『대명률』을 따르게 되어 있었지만, 도첩제도에 관한 한 시대와 상황에 따라 변칙 적용되며 조선 특유의 형벌체계가 마련되었다. 특히 세종 24년(1442)에 처벌대상, 처벌내용, 추쇄방식 모두에서 그 수위가 크게 강화되었으며, 이 내용이 『경국대전』의 「형전」``공노비`` 조와 「호전」``잡령`` 조에 반영되었다. 다만 세조 대에 사찰 수색 및 승려 검문검거 시 왕에게 계문하는 과정이 추가됨으로써 현실적으로 무도첩자에 대한 수색이 어려워지게 된 것이 사실이다. The national approval system for the buddhist monk`s certificate (do-cheop, 도첩, 度牒) was projected for the control of the Buddhist Order and the recreation of the core monks in the early Joseon period. Since Gyeong-je-yuk-jeon(『경제육전(經濟六典)』), the first code of laws of Joseon, was published in the 6th year(1397) of the reign of the king Tae-jo(the 1st king of Joseon), the contents of the buddhist monk`s certificate system would have been altered especially in the reign of king Tae-jong(the 3rd king of Joseon) and king Se-jong(the 4th king of Joseon). Under the Gyeong-je-yuk-jeon system, the buddhist monk`s certificate was issued only to yang-ban(양반, 兩班, the upper classes of Joseon) paying some cloth for their ransom(jeong-jeon, 정전, 丁錢, the cost for the monk`s certificate). The steps for issuing the buddhist monk`s certificate were as follows : report to the lower local government office (like county or prefectures) → report to the upper local government office (like province) → report to the Ministry of Culture and Education(ye-jo, 예조, 禮曹) in the central government → sanction of the king → paying for the ransom → issuing the certificate. Since the start of Gyeong-guk-dae-jeon(『경국대전(經國大典)』) system, the second code of laws of Joseon which was drafted in the reign of king Se-jo(the 7th king of Joseon) and then confirmed and promulgated in the reign of king Seong-jong(the 9th king of Joseon), the contents of the buddhist monk`s certificate system would have been changed quite a bit. The certificate could get issued to all the people including the slaves. The test of several basic buddhist canons(shi-chui, 시취, 試取) was emphasized instead of the ransom or the cost for the monk`s certificate. Most important of all was the reverse of the issuing procedure. It was changed from ‘monk`s entering the priesthood after nation issuing the certificate’ to ‘nation issuing the certificate after monk`s entering the priesthood’. The newcomer to the priesthood could have the time of a year(finally 3 months) for obtaining the monk`s certificate that was the guarantee of the official monk approved by the national power(gong-do-seung, 공도승, 公度僧). The punishment for disobedience exhibited the most dynamic variance in the buddhist monk`s certificate system over Gyeong-je-yuk-jeon system and Gyeong-guk-dae-jeon system. The Criminal Law of Joseon was to follow Grand Ming Code (Dae-myeong-liul, 『대명률(大明律)』), but other detailed criminal laws were applied exceptionally to the buddhist monk`s certificate system. King Se-jong intensified the punishments for all kinds of disobediences around the buddhist monk`s certificate system. His decision about the punishments would influence the variety of provisions of Gyeong-guk-dae-jeon. However, king Se-jo decided anew that the arrest of monks needed the assent of the king, and his decision made it more difficult to search for the unofficial monks without the certificate (sa-do-seung, 사도승, 私度僧) or even pseudo monks(wi-ram-seung, 위람승, 僞濫僧).

      • KCI등재후보

        송광사 새 발견 연희대본(演戱臺本)에 대한 검토 ― 『목련극각색(目連劇脚色)』의 분석을 중심으로 ―

        민순의 ( Min Sun-euy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9 한국불교사연구 Vol.16 No.-

        전라남도 순천 송광사 성보박물관에서 2018년 1월부터 약 1년 동안 진행된 소장 유물 전수 조사 및 정리 과정에서 펜글씨로 필사된 한권의 책이 새롭게 발견되었다. 백지를 노끈으로 철하여 만든 가로 19.3cm, 세로 26.3cm 크기의 책자로서, 그 안에는 팔상극과 목련극의 연희(演戱) 대본 두 편이 적혀 있다. 본고는 이 중 목련극각색에 대한 검토를 시도하는 바, 먼저 책자 안에 실린 두 편의 대본을 모두 분석의 대상으로 하여 가능한 한 상세히 서지적 소개를 하고(1장), 다음으로 두 편의 대본 중 제목이 확실하고 비교 대상이 될 만한 다른 문헌 자료가 존재하는 목련극 대본에 한정하여 제작 및 유통시기, 공연의 실제, 대본의 내용 등을 중심으로 소개와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2~4장). 마지막으로 이상의 분석을 통하여 송광사 새발견 연희대본이 지니는 불교문화사적 의의와 가치를 점검하며 글을 맺고자 한다(5장). 여기에서 우리는 송광사 새 발견 『목련극각색』이 세속화되어 연극의 형태로 행해진 목련존자 이야기의 설행 양식이며, 전근대시대에서부터 이미 존재하였던 대중적불교 공연극의 전통을 계승한 것임을 알 수 있다. The Buddhist museum of Songgwangsa in a southern province of Korea checked and arranged its own relics for a year in 2018. In this course, it newly found a book handwrited by the pen. The book is made of white papers, bound by strings and sized 19.3cm width and 26.3cm height. The book also includes two play scripts, one of which is ‘Eight scenes of Buddha’s whole life’ and the other of which is ‘Drama of Moggallana the filial’. This essay examines the latter ; first, bibliographical examine is tried of all the two play scripts (1st chapter) : second, the analysis of ‘Drama of Moggallana the filial’ is tried centering around the publishing time, the actual state and the contents (2nd~4th chapters) : finally, the Buddhist cultural significance and value is considered of the play scripts newly found in Songgwangsa (5th chapter). ‘Drama of Moggallana the filial’ newly found in Songgwangsa is made for secularized performance presented to popular Buddhists and the kind of performance has been since premodern period in east Asia countrie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조선 초 불교 사장(社長)의 성격에 관한 일고(一考)

        민순의(Min, Sun-euy) 한국역사민속학회 2016 역사민속학 Vol.0 No.50

        조선 세종 30년(1448) 처음 등장하는 불교의 사장(社長)은 민간주도 내지 교민(敎民)합동의 특징을 지닌 고려시대 향도(香徒)의 성격을 계승하며, 반승반속(半僧半俗)/비승비속(非僧非俗)의 측면에서 고려시대 수원승도(隨院僧徒)의 이미지도 아우른다. 조선시대에 들어 기존의 향도가 점차 향촌 중심의 두레집단으로 변화되어 간 것에 대한 대응으로 사장은 그 고려적 특성을 유지하며 종교공동체로서의 성격을 담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조선 초 공적 업무영역에 대한 기능직 승려들의 적극적인 참여나 연화승들의 활발한 모연활동은, 승단 내의 정식 수계승(受戒僧) 뿐 아니라 사찰에 인위적으로 종속되어 주로 노역 등의 업무에 투입되었던 기존 수원승도 중 일부 유능한 인사도 공공업무나 모연활동 등에 참가했을 가능성을 노정한다. 이렇게 능력이 검증된 수원승도 일부나 환속승려 등을 중심으로 고려시대의 향도보다 한층 세련된 불교신행 공동체가 조직되었으며, 이 공동체의 우두머리 또는 공동체 전체가 차차 사장으로 개념화되고 그 이미지 역시 새롭게 형성되어 갔던 것이다. 이들은 조선 전기 민간에 작지 않은 영향을 미친 종교적 카리스마 세력으로 성장한다. The term sajang 社長 first appear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specifically in the 30th year (1448) of the reign of King Sejong (the 4th king of Joseon). At that time, it had two meanings: one was the manager of an official grain-warehouse called sachang 社倉 in provinces, and the other was a kind of Buddhist communit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meanings has not yet been revealed, but this research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the two meanings are connected. The sajang as a Buddhist community seems to have inherited the hyangdo 香徒 institution of Goryeo, an association of Buddhist priests and laypersons, as well as the suwon seungdo 隨院僧徒, a group of lowly monks belonging to temples where they performed a variety of chores with strong lay characteristics. While the hyangdo had changed to merely a local community organization in Joseon, the sajang can be regarded as a continuation of the “religious community” aspect of the Goryeo hyangdo. Also, it is possible to presume that the yeonhwaseung 緣化僧 were connected with the sajang. The yeonhwaseung was a kind of technical monk (jingneungseung 職能僧) who was supposed to collect funds for a variety of Buddhist affairs. Moreover, other technical monks working in the official bureaucracy or able persons of the suwon seungdo class could take some roles in the sajang community. The sajang would have grown into a significant, charismatic religious community that influenced the people.

      • 교회자원을 활용한 호스피스의 실제

        민순,주애란,정영주,Min, Sun,Ju, Ae-Ran,Jeong, Yeong-Ju 한국호스피스협회 2002 호스피스 학술지 Vol.2 No.2

        Hospice can not only help the dying persons to maintain the high quality of life and facing the death in comfortable and peaceful state, but also the bereaved family to relieve the grief and sufferings. We investigated the work of hospice performed by church base from March 2000 until recently and reported the results dividing them into three parts. 1)The application of resources in church to administration, education, nursing delivery of hospice in the aspects of management. 2)Spiritual and postmortal management relating hospice nursing and funeral in hospice practice. 3)Case report of hospice and the patients situation(5 in average a month). The expected effects of hospice practice using the resources in church are as follows. 1)Hospice practice can provide the highly qualified persons with the opportunities to do voluntary services and find their lives worth living. Consequently hospice contributes to the spreading of the volunteering culture. 2)The volunteers in hospice can grow mature spiritually and ge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the volunteers. Doyle. D., Geoflrey.W.C., & Macdonald. N.(1988). Oxford Textbook of Palliative Medicine(2nd e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Woodruff. R.(1996). Palliative Medicine(2nd ed). Melburn: Asperula Pty Ltd. 3)Through the hospice activity, church can practice and show the moral. 4)The volunteers in hospice can make a organization with a hope to be a beautiful community in church. 5)Th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can enjoy the high quality of life through the holistic care provided by 33 nursing practical items of hospice. 6)'Hospice newsletter' can be a useful vehicle to provide readers with hope and encouragement through the stories of the patient and the volunteers. The persons unaware of the hospice can be contacted with hospice by this 'Hospice newsletter'. 7)Irrespective of the economic status, all patients are served equally that hospice can contribute to dying with dignity and the equality of human being.

      • KCI등재

        여말선초의 승군(僧軍) 개념 - 국가권력의 승단 관리와 승도의 개념 및 범주의 관점에서 -

        민순의 ( Min Sun-euy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0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4

        전통시대의 승군(僧軍)은 일반적으로 승려 신분의 군인, 또는 군무(軍務)를 맡은 승려로서 받아들여진다. 또 많은 이들이 승군에서 의병으로서의 모습을 발견하기도 한다. 그런데 『조선왕조실록』에 처음으로 기록되는 승군은 왕실 원찰인 함경남도 안변(安邊) 석왕사(釋王寺) 서쪽에 궁(宮)을 짓던 인력을 지칭하는 말이었다. 뿐만 아니라 조선 개국 후 임진왜란 발발까지『실록』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승군은 영선(營繕), 제요(制窯), 제방(制防), 축릉(築陵)등에서 요역(徭役)을 담당했던 것으로 묘사된다. 『실록』과『고려사』의 많은 경우 승군은 승도(僧徒)라는 개념과 혼용된다. 그렇다면 우리는 승군이라는 용어에 투영된 군사적 이미지에 대해 재고하고, 나아가 승군과 승도에 관한 개념적 혼효로부터 그 당시 승군의 의미를 재정립해야 하는 것이 아닐까. 본 고의 문제의식은 여기에서 시작된다. 조선 초의 불교 승단은 변화의 시간을 겪고 있었다. 교단이 고려시대에 누렸던 국가권력으로부터의 자율성은 상당 부분 제한되고, 이미 고려시대부터 있었던 그 준-관원적(準-官員的) 성격이 부각되어 기능적인 입장에서의 관리가 강화되고 있었다. 따라서 국가권력과 법제의 직접적인 통제 하에서 승려의 개념 내지 승단의 범위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였을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승려 개념 내지 승단 범위의 인식에 있어 승군의 개념에 대한 새로운 시각에서의 탐색과 규정은 유의미할 것으로 보이며, 한편으로는 이를 위하여 고려 말과 조선 개국 이후의 승군 개념의 연속성 여부에 대해서도 탐색하는 작업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고는 국가권력의 승단 관리와 승도 개념 변화의 관점에서 여말선초의 승군 개념을 재고해 보았다. 그 결과 본고는 전근대 시기, 적어도 여말선초의 ‘승군’에서 군사(軍士)적 이미지, 즉 군무(軍務)를 담당하는 병사(兵士)로서의 이미지를 거두어낼 것을 주장한다. 당시의 승군은 마치 공역군 즉 역군으로 사용된 병종과 같이 국가가 요구하는 비군사적 업무에 투입된―그러나 원칙적으로 교단에 소속되어 있던― 노동력이었으며, ‘군’이라는 이름과 달리 노역에 동원된 하급의 일반 승도와 차별적으로 간주되지 않았다. 승군은 노역에 동원된 승도의 다른 이름이었으며, 신역(身役)에 따라 민과 군의 경계를 넘나들며 생산 활동과 국가의 행정적 쓰임에 부응하던 세속의 일반 백성과 마찬가지로 교단 내에서도 하층에 위치하여 교단 안팎의 노역을 담당하던 자들이었다. 그들이 국가가 요구하는 공적 노역에 종사했을 때 때로는 그저 승도로, 또 때로는 승군으로 불렸던 것이다. 나아가 승군은 승도라는 개념에 대한 중층적 이해의 지평을 열어준다. 즉 교단 내 승군의 출신성분이라 할 수 있는 수원승도 또는 유수승도에 주목함으로써, 교단 위계의 최하위에서 교단의 경제력을 담당한 계층에 대한 주목과 함께 승단의 범위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수반될 수 있다. 승도라는 용어가 단순히 하급의 노동 인력 승려들 내지 승군을 배출하는 승단 내 하위 계층을 가리키며 좁은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는 사실은, 전국의 승려 인구를 전 국민의 3할로까지 보았던 당시 지식인층의 진술과 더불어, 여말선초 승단의 계층 피라미드를 짐작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물론 그럼에도 불구하고 승도라는 용어는 이후로도 승단 내의 다양한 인원군을 지칭하며 복합적인 의미로 사용되었다. 다만 여말선초 협의의 승도 개념 용례의 증가와 승군의 비군사적 성격으로부터 당대 승단의 지형을 폭넓게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임을 다시 한 번 밝힌다. Seung-gun (僧軍, Buddhist monks troops) of the traditional times is thought as the soldiers or the military troops composed with Buddhist monks that had duties of military affairs. Many people also consider Seung-gun as the army of Buddhist monks in the cause of justice in the wartime. By the way, Sillok (the Choseon dynasty annals) recorded the first Seung-gun as the monks who worked in the official construction site. And there are many other similar records of the monks working in the official construction site over time. Over more Sillok and Goryeosa (the Goyeo dynasty annals) used Seung-gun mixed with just Seung-do (僧徒, crowd of Buddhist monks). Therefore we need to reconsider the concept of Seung-gun. In the Period of Early Choseon, the Buddist orders and Sangha (僧團) was being changed because their identity had been restricted by the new official/national power and they were imposed the role like a pseudo government official. In such circumstances the concept of Buddhist monk and the range of Sangha might be changed also together. Conclusively we seems to be able to remove the image of the military affairs from Seung-gun. Seung-gun was a labor force from a standpoint of official/national power and the name was used as a just a monk or the crowd of Buddhist monks (僧徒) in many cases in the Period of Late Goryeo and Early Choseon. Furthermore the existence of Seung-gun shows us the broader and multilayer understanding over the range of Seung-do. The native status of Seung-gun was chiefly Su-won-seung-do (隨院僧徒, crowd of Buddhist monks obedient to a temple) of Goryeo and Yu-su-seung-do (遊手僧徒, crowd of Buddhist monks devoid of the official job) of Choseon. They were the lowest status in Sangha, and so we can see the crowd of Buddhist monks in the broaderand multilayer range. In other words we can understand the pyramid of Sangha in the Period of Late Goryeo and Early Choseon. The establishment of the pyramid was accelerate by the official system of Do-cheop (度牒, buddhist monk's certificate) that was a official/national project for the classification of the official monks approved by the national power (gong-do-seung, 公度僧) and the unofficial monks not approved by the national power (sa-do-seung, 私度僧).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