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의 사회적 지원과 운동참여 동기 및 주관적 가치가 운동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인과분석

        민경훈(Kyung Hoon Min),박영기(Young Gee Park) 한국체육교육학회 2010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5 No.4

        이 연구는 경기도내 거주하고 있는 초등학교 아동 530명(남: 282, 여 : 248)을 대상으로 친구와 부모의 사회적 지원, 운동참여동기, 주관적 운동가치와 운동참여 간에 어떤 인과관계가 있는가를 밝히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친구와 부모의 사회적 지원을 외생변인으로 하고 동기, 주관적 운동참여가치와 운동참여를 내생변인으로 한 이론모델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GFI, TLI, CFI 지수 및 χ2/df 값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이 연구에서 설정된 이론모델은 양호한 모델로 나타났다. 세부적 지수를 분석한 결과 친구의 사회적 지원 → 동기, 주관적 가치, 부모의 사회적 지원영향 → 운동참여, 동기, 주관적 가치, 동기→ 운동참여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아동의 운동참여에 부모의 사회적 지원과 유능성 동기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e equation model. This theoretical model were exogenous variables which were constructed parental and best friends` social support, endogenous variables sport motivation of physical activity, subjective values of physical activity, and athletic participation. The subjects were 530 elementary school children(boys: 282, girls: 242) who have live in Kyung-kee province. This study used Fredricks & Eccles(2005)` social support scale, Williams, Ryan, & Deci(2004)`s perceptions of sport motivation, Eccles & Wigfield(1995)` subjective value of physical activity scale, and Sabiston & Crocker(2008)` athletic participation sca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suggest model was a good fit to data(χ2/df= 2.795, GFI=.923, TLI= .905, CFI=.908, RMSEA=.062(.041~.071)), therefore this structural model was testified significant as a theoretical model. In analysis each path significant, the path of friend`s support → sport motivation, values of physical activity, parent`s social support → athletic participation, sport motivation, and values of physical activity, and sport motivation → athletic participation, values of physical activity → athletic participation.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문화예술교육의 현황과 외국의 사례 고찰을 통한 역량 제고

        민경훈 ( Kyung Hoon Min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3 예술교육연구 Vol.11 No.2

        ‘문화예술교육’은 문화와 예술의 교육을 의미하는 용어로 문화교육과 예술교육을 합한 복합명사이다. 우리나라가 문화예술교육에 관하여 학문적으로 심도 있게 연구하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 이후이다. 이같이 역사가 짧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그간 정부가 추진해 온 문화예술교육 정책이 글로벌시대에 창의 인성을 갖춘 문화국민으로서의 역량을 기르기에 적합한가라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한다. 진정한 문화예술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교와 사회가 독립적으로 접근하기보다는 상호 긴밀한 유기적 협력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이러한 국면에서 이 연구는 자국의 문화예술교육의 진흥을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많은 투자와 정책지원을 아끼지 않는 여러 선진국들의 문화예술교육 정책과 우수사례들을 살피고 논의함으로써, 우리나라 문화예술교육이 국민의 행복과 삶의 질을 높이는 사회발전의 척도로서 핵심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시사점을 모색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문화예술교육의 성장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정부가 문화예술교육 성장을 위한 프로젝트에 예술이 생활이라는 개념을 수용하고, 수요를 창출하는 것이다. 또한 시민의 입장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이 일상생활과 괴리된, 즉 자신과 관계없는 것이라는 인식을 버리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문화예술교육이 학교와 사회에서 자연스럽게 정착되기 위해서는 정부, 지방자치단체 그리고 시민 모두가 문화예술교육이 우리 사회의 일상적 양상이고, 문화예술교육의 환경이 우리 주변의 일상생활이라는 인식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Arts and cultural education`` is a compound noun for art education and cultural education as a term that refers to education on arts and cultures. Korea began to study arts and cultural education in-d pth in the 19905. With such hort history of related studies, this study starts with the issue that the government policy on arts and cultural education so far i inadequate to cultivate the copetencies of cultural citizens with creative characters in today`s globalized world. ldeal arts and culhtral education requires establishment of a closely-knit collaborative system between schools and society, rather tian independent approaches. Thus, this tudy will examin and discuss th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and exc lent practices of advanced countries that implemented ubstantial investment and p Licy upport to improv their arts and cultural education. Ba d on the results, this study i intended to explore tile implications for Korean arts and cultural education that will help all citizens use their cor competencies at their best, while the education serves a a yard tick of social d veJopment that can boost th happines and quality of all citizens. To develop arts and cultural education, the government should accept arts as a part of life through projects for arts and cultural education development and create r lated demand. In addition, citizens should eliminate the notion that arts and cultural ducation has nothing to do with their day-ta-day lives and themselves. In conclusion, th govemm nt, local government, and all citizen hould perceive art and cultural education as a day-ta-day aspect of our society and the education environment as Cl part of our daily lives.

      • KCI등재

        음악 교육학에 있어서 교수학과 교수법의 의미

        민경훈(Kyung Hoon Min) 한국음악교육학회 2000 음악교육연구 Vol.19 No.-

        Durch die psychologische bzw. soziologische Forschung haben Wir erfahren, daßdie Vermittlung und die Aneignung von Lerninhalten einen ho¨chst komlpexen Vorgang bilden, der mannigfaltigen Bedingungen unterworfen ist. Die erste der didaktischen Fragen ist die Frage nach dem Was. Die Frage nach dem Was kann gleichzeitig heißen: Welche Lernerfahrung greife ich von diesem Lerninhalt auf, mit welchem sich der Schu¨ler momentan bescha¨ftigt? Um diese Frage zu beantworten und sie mo¨glichst auszuscho¨pfen, beno¨tigt man eine Orientierung. Diese ist durch die Zielformulierung gegeben. An dieser Stelle der Unterrichtsplanung muß sich als brauchbar erweisen, was u¨ber die Zielsetzung gesagt worden ist. Hier bricht die theoretische Kla¨ung in die Praxis ein. Wa¨hrend die Frage nach dem Was den Lerninhalt aufgreift, der zur Lernerfahrung wird, geht es bei der Frage nach dem Wozu um das Kriterium, aufgrund dessen der Inhalt ausgewa¨hlt wurde. In diesem Zusammenhang kann jeder Lerninhalt zu den verschiedenen Perspektiven gebracht werden, unter denen die Zielsetzungen betrachtet worden sind. Die Frage nach Wozu verweist zugleich in eine andere Richtung. Sie zwingt zur Zielformulierung fu¨r den Unterricht, d.h. zum Lernziel, welches erreicht werden soll. Der heutige Gebrauch des Begriffes `Didaktik` als der Lehre vom Unterricht schließt das mit ein, was fru¨here Pa¨dagogen als `Methodik` bezeichneten. Wa¨hrend es bei den didaktischen Fragen um den Inhalt und dessen Begru¨ndung ging, geht es bei den methodischen Fragen um den Weg des Lernens, um den Lernprozess selbst. Es ist deshalb von Nutzen, an der Unterscheidung von Didaktik und Methodik festzuhalten. In Bezug auf die Methodik sind drei Fragen anzufu¨hren, welche zur Strukturierung des Unterrichtes beitragen. 1) Die erste Frage lautet: Wie gestalte man den Lernprozeß, damit er den Schu¨ler mo¨glichst sicher zum gewu¨nschten Lernziel fu¨hre? Die Antworte erhalten Wir: Lernen geschieht durch Nachahmung, Selbstta¨tigkeit, Wiederholung sowie durch Rhythmisierung. 2) Die zweite Frage meint: Welche Deneformen bietet der Musikunterricht im Zusammenhang mit den Lo¨sungen der Aufgabe? Die Antworte erhalten Wir: Zum besseren Versta¨ndnis ist die Unterscheidung zweier Denkformen herangezogen, wie sie in der Kreativita¨tspsychologie u¨blich ist: Konvergentes Denken und Divergentes Denken. 3) Die dritte methodische Frage verweist in die Hilfsmittel: Womit, d.h. mit welchen Mitteln, ist der Lernprozeßzu gestalten? Es ist das, was als Medien bezeichnet wind. Der Musikunterricht kennt verschiedene Hilfsmittel, z.B. Das Orffsche Instrumenarium, Materialien aus dem Rhythmik-Unterricht und Technische Hilfsmittel sowie Materialien zum Zeichnen und Malen.

      • KCI등재후보

        전국 교육대학교 음악교육과의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교과목 모델 제시

        민경훈 ( Kyung Hoon Min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0 예술교육연구 Vol.8 No.2

        교육대학교 음악교육과의 교육과목은 대학생들의 수준과 요구, 국가교육과정에 제시된 학습내용, 현장에서의 수업내용, 교사들의 요구 등 다양한 조사를 바탕으로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접근을 통해 설계 및 개발되어야 한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우리나라의 교육대학교 음악교육과는 초등음악교육의 특성에 맞게 교과목들을 구성하여 운영하는 것이 아니라, 재직 교수의 전공에 맞추어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운영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하여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체 10개 교육대학교 음악교육과 교과목들의 개설 현황을 고찰·분석하고, 종합·정리하여 이를 바탕으로 음악교육과에서 다루어질 수 있는 기본적인 교과목 모듈을 설정·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먼저 10개 교육대학교의 음악관련 교과목 및 내용체계를 분석하고, 그 다음 분석된 자료를 토대로 각 교육대학교 음악교육과의 교과목(심화 과정 포함)으로 적용시킬 수 있는 객관적인 교과목을 추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로서 본 연구자는 ``교과기본능력``, ``교과내용학``, ``교과교육학``의 세 개의 과정영역으로 나누고, 그 다음 ``교과기본능력``과 ``교과교육학`` 영역 아래 각각 2개의 교과목을, 그리고 ``교과내용학`` 영역 아래에 11개의 교과목을 설정하여 모든 교육대학교가 교육과정 편성 시 참고할 수 있는 교과목의 모델로 제시하였다. The program of department of music education in the university of education which commands whether successful or not of the elementary music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suitably for the property of the elementary music education. In other words, it must be designed and developed through the rational and scientific approach based on the various examinations such as the levels and needs of the students of university of education, the presented learning contents in the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teachers` demand about the department of music education etc. But the department of music education in each university of education is not managed by consisting suitably for the property of the elementary music education, but it is tend to consist and operate the education curriculum by the professor`s major in the university.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comprehended and analyzed the details of the curriculum of department of music education in 10 Universities of education in our country, and based on that result, the basic subject module was set and presented by generalizing and arranging the basic curriculums which will be learned in the department of music education. This model of subjec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select the subjects of the department of music education in each university of education as the standard.

      • 창의·인성교육으로서 음악교육의 의미와 실태 분석

        민경훈(Kyung-hoon Min) 한국융합예술치료교육학회 2017 예술과 인간 Vol.3 No.1

        이 연구는 국가가 제시한 ‘창의성과 인성을 갖춘 인재양성’이라는 교육목표에 걸맞은 음악교육을 실현하는데 기여하고자 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먼저 창의·인성교육으로서 음악교육의 의미를 알아보고, 그다음 창의·인성교육과 연관된 음악교육 현장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실태조사는 창의·인성교육과 관련된 초․중․고 음악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현장의 교사들이 음악 창의·인성교육에 대하여 더욱 더 깊이 있게 이해하고 사고할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둘째, 음악 창의·인성교육과 관련된 더 큰 노력과 프로그램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음악 교사들에 대한 연수 기회가 더욱 더 확대되어야 한다.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지 못한다.’는 말처럼, 학생들의 내면에 담겨 있는 창의성과 인성을 ‘음악’이라는 예술 과목을 통하여 발현시키고 발전시켜 창의성과 인성을 갖춘 인재를 길러내기 위해서는 누구보다도 교육에 임하는 교육전문가들의 노력이 필요하다. 이 연구가 창의·인성교육과 관련하여 음악교육을 활성화하는데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ntribute to the realization of music education suitable for the national goal of education such as "cultivation of talent equipped with creativity and charact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actual status and demand of music education related to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in the performance process of this study, it researched opinions of specialists in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among music teachers and core agents of creativity/character for music in each city and province. I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could be suggested like below. First, it would be necessary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teachers in site to more deeply understand/think about music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Second, there should be researches on programs and more efforts related to music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Third, the training chance for music teachers should be more expanded. Just like the words ‘the quality of education cannot exceed the quality of teacher", the education specialists" effort would be the most important thing to cultivate talent equipped with creativity and character by expressing/developing students" internal creativity and character through the art subject of "music".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music education related to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 KCI등재후보
      • 초등학교 음악 활동의 사전 계획에 대한 연구

        민경훈(Kyung Hoon Min) 한국음악교육학회 2002 음악교육연구 Vol.22 No.-

        Meine Arbeit liegt in grundschulischer Musikerziehung. Im heutigen Lehrplan wird das Bildungsideal der `Vervollkommnung der guten perso¨nlichkeit` und die Verwirklichung des individuellen Werts` sowie `Fo¨rderung der kreativita¨t` als grundlegendes Bildungsziel stark hervorgehoben. Dabei muβ das Fach Musik auch zu Hilfe kommen. Die lernbereiche des Lehrplans fu¨r das Fach Musik in der Grundschule sind in vier Kategorlen(Singen, Spielen, Erfindung, Ho¨ren) gegliedert. Mit diesen musiklischen Aktivita¨ten ist die Bewegung fu¨r die Fo¨rderung musikalischer Fa¨higkelt und der Kreativita¨t von Kindern bedeutsam. Musik wirkt bel Kindem ha¨ufig als Bewegungsimpuls, wobel das Geho¨rte direkt in ka¨rperliche Bewegung umgesetzt und so verarbeitet und erlebt wird. In diesem Gesichtspunkt werden meine Arbeit sowohl in vier musikalischen Aktivita¨ten (Singen, Spielen, Erfindung, Ho¨ren) als auch in der Bewebung konzlplert. Im musikalischen Ta¨tigkeiten verstehen sich alle Ideen, Planungen, Spiele, Methoden und Durchfu¨hrungen als Anregungen. die immer wieder abgestimmt werden mu¨ssen auf die Zielgruppe, die Rahmenbedingungen und viele weltere Faktoren. Da Lehrer in der Praxis so gut wie nie auf festgelegte Handlungsschemata zuru¨ckgreifen ko¨nnen, mu¨ssen sie aus dem wa¨hrend ihrer Lehrerausbildung erworbenen Verhaltens- und Handlungsrepertoire stets neu entscheiden, welches Vorgehen sie anwenden werden. Der effektive Musikunterricht wird sicherlich vom Lehrer beeinfluβt. Wir mu¨ssen erkennen, daβ Musik durch ihre kommunikativen und emotionalen Wirkung sowohl die Kreativita¨t des Kindes als auch die soziale Beziehungsfa¨higkeit beeinfluβt. So sollten sich die Lehrer stets mit vielfa¨ltigen musikalishen Angeboten fu¨r die Kinder bescha¨ftigen.

      • KCI등재

        초등학생의 운동 목표내용에 따른 심리적 욕구만족이 운동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인과분석

        민경훈(Kyung Hoon Min) 한국체육교육학회 2011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6 No.4

        이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의 운동 목표내용과 심리적 욕구만족이 운동참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인과관계를 밝힘으로써 초등학교 아동의 운동참여 활성화에 기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1년 현재 광주와 전남에 거주하고 있는 초등학생 1,162명(남: 586, 여: 577)을 대상으로 운동목표 내용척도와 심리적 욕구만족척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변인 간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내적목표내용과 외적목표내용은 모두 심리적 욕구만족인 관계성, 유능성, 자율성 및 운동참여와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 목표내용과 심리적 욕구만족은 운동참여와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변인 간 인과분석 결과 이 연구에서 설정된 운동 목표내용을 외생변인 변인으로 하고, 심리적 욕구만족과 운동참여를 내생변인으로 한 연구모델은 양호한 이론 모델로 나타났다. 세부적 지수를 분석한 결과 외생변인과 내생변인 간 경로인 내적과 외적 목표 → 관계성, 유능성, 자율성, 내적 목표 → 운동참여와 내생변인 간 관계인 관계성 → 유능성, 관계성 → 자율성, 유능성 → 자율성 및 유능성 → 운동참여의 경로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l of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goal content for exercise,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exercise participation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is study constructed structure model which was exogenous variable as the goal content for exercise and endogenous variables were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exercise participation in elementary schol children. This study was to use original GCEQ which was made by Sebire et al.(2008) , PNSC which was made by Cox와 Williams(2008) and it revised for Korea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subjects were 1,162(boys: 586, girls: 577)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y have lived in Gwangju city and Chonnam province now. First, boys showed higher internal and external goal content for exercise, and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than those of girls. Second, in analysis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goal content and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exercise participation, an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nternal goal content and exercise. Third, in analysis structure equation, general goodness index were more than.90.( χ 2= 369.847, χ 2/df = 2.126, GFI =.901, NFI.915, TLI =.919, CFI =.933, RMSEA =.070). Thus this study model was able to use theoretical model. The pathes of internal and external goal content → relationship, competence, autonomous, internal goal content → exercise participation, and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 exercise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ce.

      • KCI등재

        고등학교 선택과목 ‘음악과 진로’와 관련하여 음악 산업에 관한 내용 및 지도 방법의 논의

        민경훈(Min Kyung H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2 No.4

        2009년 개정 교육과정은 진로의 탐색을 강하게 부각시키는 정부의 의지에 따라 고등학교에 새로운 선택과목 ‘음악과 진로’라는 과목을 포함시키고, 2014년도 고등학 교 1학년부터 가르치도록 하고 있다. 특히, 고등학교 시기 청소년들의 인지적 발달의 특성을 고려할 때 고등학생의 수준에는 음악적 현상이나 가치에 대한 비판적 · 분석 적 사고의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시기에 ‘음악 산업’에 관한 효과적인 학습을 통하여 청소년들의 비판적 · 분석적 사고와 음악 산업에 대한 폭 넓은 안목을 이끌어 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다고 본다. 이러한 국면에서 이 연구는 여러 학자들의 이론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고등학교 선택과목 ‘음악과 진로’의 수용적 타당성을 알아보고, ‘음악과 진로’의 수업에서 음악 산업과 관련한 내용들, 즉 음악 산업의 변 천과정 · 음악 산업과 관련된 직업의 종류 · 음반 산업의 구조와 특성 등을 살펴보며, 이와 관련한 효과적인 교수 · 학습 방법들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이러한 음악 산업에 관한 수업은 학생들이 음악 산업과 관련하여 다양한 정보를 습득하고, 더 나아가 음 악 산업과 연관된 다양한 직업을 탐색해 보는 데에 도움을 줄 것이다. The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in 2009 included a new elective subject Music and Career , according to the strong will by the government to emphasize career searching, and made it to be taught to freshmen in high schools since 2014. Especially, considering cognitiv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teenagers in the high school level, critical and analytical process of thinking about musical events or values are necessary in the level of high school students. Hence, inducing to youths critical and analytical thinking and extensive eyes for music industry through effective study about music industry may be very meaningful. In this aspect, this study examined accepting validity of the elective subjective Music and Career based on the revised curriculum by 2009 and the contents related to music industry in the classes of Music and Career , which mean the changing processes, the kinds of jobs regarding to music industry, and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phonographic industry, and discussed the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bout them. These classes about music industry will help students gain different information about music, and also help them search various kinds of jobs related to music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