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골관절염 환자의 촬영방법에 대한 고찰 : AP-WB(Weight-bearing AP), 촬영법의 MTP(semiflexed) 비교 고찰을 중심으로

        전주섭(Ju Seob Jeon),박환상(Hwan Sang Park),문일봉(Il Bong Moon),문주완(Ju Wan Moon),최남길(Nam Kil Choi),김창복(Chang Bok Kim),은성종(Sung Jong Eun)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5 방사선기술과학 Vol.28 No.2

        목적 : 본 연구에서는 표준인 AP-WB(Weight-Bearing AP) 촬영법과 MTP(Semiflexed or meta-tarsophalangeal) 촬영법을 소개하고 판독 시 중요하게 여기는 관절간격과 신생골 묘출에 따른 항목을 각각 비교 고찰하여 골관절염 환자의 진단율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04년 1월에서 2005년 1월까지 Knee Pain이 있는 환자로 본원의 류마티스내과에 내원한 220명(남:38명, 여:182명, 평균연령:57.3세)의 환자를 대상으로 표준인 AP-WB와 MTP검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MTP검사는 20명의 모의환자로 발의 위치를 확인하며 슬개골이 슬관절부 정중앙에 위치하고, 관절강의 좌우대칭이 일치하도록 하였다. 관절간격과 신생골을0(나쁨),1(보통),2(좋음),3(아주좋음)점으로 구분하여 정형외과의사 3명, 류마티스 내과의사 2명, 방사선과 전문의 3명, 방사선사 5명이 PACS 모니터에서 영상을 Blind test하였다. 장비는 PHILIPS(Buckey Diagnostic-TH)를 사용하였고, 100cm거리에서, 60Kv, 8mAs로 설정하였다. 결과 : 위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MTP 촬영법 : 발을 바깥쪽으로 15°회전하고 무릎을 구부려 카세트 면에 대면 슬개골이 슬관절부의 정중앙에 위치하였고, 관절강의 정렬에 따른 좌우대칭이 일치하였다. 2. 관절간격 점수 : AP-WB 촬영법; 1.32±0.050, MTP 촬영법; 2.51±0.046 3. 신생골 점수 : AP-WB 촬영법; 2.14±0.054, MTP 촬영법; 2.10±0.054 결론 및 고찰 : 이번 연구는 임상적인 판독 방법으로 관절간격과 신생골에 따른 점수를 비교 했을 때, MTP 촬영법이 가장 중요한 관절간격을 영상으로 표출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AP-WB 촬영법보다 훨씬 더 우세하다는 결론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향후 골관절염 환자의 진단율을 향상시키는 데는 MTP촬영법이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knee joint displaying between the anteroposterior weight bearing(AP-WB) View and the metatarsophalangeal(MTP) view for assessing joint space narrowing (JSN) and osteophytes in osteoarthritis patients. Subjects and Materials : Two hundreds of twenty patients(38men) who came rheumatoid caused by knee pain, had both AP-WB and MTP views taken on a day. Radiographs were evaluated independently by 13 experienced observers(3 orthopedics surgeon, 2 rheumatogist, 3 radiologist, 5 radiological technologist) They assessed JSN and osteophytes using by PACS monitor JSN was scored by the optic evaluation to the nearest at the narrowest point in medial compartments of the tibiofemoral joint in both knees. Osteophytes were graded 0 to 3(bad 0, not bad 1, good 2 and very good 3) according to a standard atlas. All exam was using by Philips(Buckey Diagnostic-TH) X-ray material. Exposure condition was 60kv, 8mAs and 100 cm focus to film distance. Results : JSN was scored 1.32±0.050 in AP-WB view, 2.51±0.046 in MTP view. MTP view of JSN score is higher to AP-WB view significantly(p<0.05). Osteophytes scored 2.14±0.054 in AP-WB view, 2.10±0.054 in MTP view. There was no difference(p<0.05) between MTP view and AP-WB view in osteophytes. But MTP view was more reproducible than AP-WB view. Conclusions : Joint space narrowing is most important factor to diagnosis with knee joint Osteoarthritis patients. This study was summarized as follows; In comparision of JSN, MTP view was more widely displayed than AP-WB view. In comparision of Osteophyte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TP view and AP-WB view. It was concluded MTP view was more useful method to diagnosis of knee joint Osteoarthritis patients.

      • CT 조영검사 시 적정한 조영제 온도 설정을 위한 온장고 온도 및 가온시간에 관한 연구

        김민주(Min Ju Kim),최재성(Jae Sung Choi),문주완(Ju Wan Moon),범희남(Hui Nam Bum),전주섭(Ju Sub Jeon),최남길(Nam Gil Choi) 대한CT영상기술학회 2016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Vol.18 No.1

        목적 : 예측 가능한 조영제 부작용 중 하나인 조영제 용액 온도와 관련하여 온장고의 설정 온도와 가온시간을 변화시켜 인체의 온도와 비슷하게 가온되는 각각의 기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조영제 보관시 사용되는 온장고(FINE HNC)를 37℃, 42℃, 47℃ 변화시켜 설정하고 30분 단위로 디지털 온도계를 이용하여 용기 안에 담긴 조영제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먼저, 제조회사가 다르고 요오드 함량이 같은 조영제 Iobrix350 150ml, Xenetix350 150ml, Omnihexol350 150ml, Bonorex350 150ml를 사용하여 온도를 비교 측정 하였다. 두 번째 측정은 요오드 함량이 다른 조영제 Optiray320, Omnihexol350. Pamiray370, Iomeron400을 사용하여 온도를 비교측정 하였다. 세 번째 측정은 Ultravist 370을 보관 용기의 용량을 100ml, 150ml, 500ml 달리 하여 온도를 비교측정 하였다. 마지막 측정은 체온과 비슷한 적정온도의 조영제를 상온 22℃에서 장시간 노출시 온도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30분 단위로 500ml용기에 담긴 조영제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 측정결과 온장고의 설정온도는 42℃로 설정하고, 조영제 온장고 보관시간은 100ml, 150ml용기에 담긴 조영제는 3시간, 500ml 용기에 담긴 조영제는 4시간 지나야 체온 36~37℃와 비슷한 적정 온도에 도달하였다. 적정온도의 500ml 용기에 담긴 조영제의 상온 22℃ 장시간 노출시 1시간이 지나면 3℃ 낮아졌다. 조영제 제조회사별, 요오드 함량별 온도변화 차이는 크지 않았다. 결론 : 체온과 비슷한 조영제 용액의 온도를 맞추기 위해 온장고의 설정 온도 및 가온시간을 적절히 조절한다면 환자의 혈관통 감소 및 고온의 용액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 등을 줄일 수 있어 CT 조영검사의 만족도 향상에 기여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o propose safe and proper standard of storage and use for contrast by measuring time that temperature reaches to 36℃~37℃ when storing contrast media in a contrast warmer, and checking whether the temperature presented in the contrast warmer and the real temperature is same. Material and method : We established the temperatures like 37℃ 42℃ and 47℃ differently using the contrast warmer(FINE HNC) for contrast media which is now using and measured the temperatures for thirty minutes on a case-by-case using a digital temperature indicator. First, temperature were measured and compared in the iodine content of the different maker Iobrix350 150ml, Xenetix350 150ml, Omnihexol350 150ml, Bonorex350 150ml. Second, temperature were measured and compared in the Iodine content of different contrast agents Optiray320, Omnihexol350, Pamiray370, lomeron400. Third, temperature were measured and compared in capacity of the storage containersuch as 100ml container, 150ml and 500ml using Ultravist370. Lastly, We measured temperatures When exposed for a long time at room temperature 22℃, 500ml contrast media which similar to a proper temperature. Result : The temperatures of contrast media were the closest 36℃~37℃ when setting 42℃ by contrast warmer, to use 100ml, 150ml containers in contrast media should be kept before 3 hours, and 500ml should be kept before 4 hours. After 1 hours at room temperature 22℃ when exposed to lower 3℃ in capacity of the storage container 500ml.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iodine content of the different maker and the Iodine content of different contrast agents. Conclusion : The use of contrast media in proper temperature would be very helpful to reduce side effects by providing viscosity and to minimize the impact on the human bo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