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업 설계자 역량에 대한 집단별 요구의 차이에 관한 연구

        문은경 ( Eunkyung Moon ),박인우 ( Innwoo Park ) 한국교육공학회 2016 교육공학연구 Vol.3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변화된 교수-학습 환경에 따라 수업설계자의 역량에 대한 현장 실무전문가와 교육기관 전문가의 인식의 차이와 이러한 인식과 교과과정의 관련성을 분석하는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업설계자의 역량에 대하여 실무 현장 전문가와 교육기관 전문가가 인식하는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 수업설계자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이 수업설계자 역량을 육성하기 위해 관련 교과목의 개설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수업설계자 역량에 관한 요구를 확인하기 위해 IBSTPI의 수업설계자 역량 표준안을 활용하여 중요도와 실행도로 구분하여 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설문도구를 만들었다. 자료 수집을 위해 72명의 현장 실무 전문가와 47명의 교육기관 전문가가 선택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IIPA를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수업설계자 육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교육공학 전공이 개설되어 있는 4개 대학의 학부과정과 10개 대학의 대학원 과정의 교과과정을 수업설계자 역량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이상의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첫째, 수업설계자 역량에 대한 현장 실무 전문가와 교육기관 전문가의 요구 간에는 차이가 있다. 둘째, 교육기관의 교과과정은 수업설계자 역량에 대한 요구가 서로 일치하는 세 영역에 대해서는 부합되도록 구성된 반면, 일치하지 않는 전공기초 영역에 대해서는 교육기관 전문가의 요구에 더 적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요구분석에서는 단일집단보다는 다양한 집단을 고려하여 요구를 분석할 것과, 다양한 집단의 요구를 고려하여 교과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요구를 확인하고, 교과과정에 반영할 수 있을 것임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find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needs of instructional designers competencies while considering the changes in the current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and to analyze the compatibility of courses at educational institutes. In order to fulfill the purposes, two specific study questions were set as followed: 1) Were there differences between the field experts and the experts at educational institutes? 2) Do the educational institutes that bring up the instructional designers provide the appropriste courses to meet the needs being identified by the experts? Based on an extensive review of the studies on instructional designers competencies, the instructional designers competency standard set by IBSTPI in 2001 was selected to develop a questionnaire with the importance-performance scale. Seventy-two field experts and 47 educational institutes experts were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distibuted via email. The data being collected were analyzed by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technique. For the appropriativeness of the courses, courses offered by 4 undergraduate programs and 10 graduate program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Based on analysis of the data being collected, two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needs of instructional designers competencies between the groups of the experts. Secondly, the educational institutes provide the courses appropriately in the area of the competencies that two groups showed the same needs while the courses in the area that the needs were different between groups were more related to the needs of the experts of educational institutes. it was recommended that various gourps should be considered to identify precisely the needs in instructional designers competencies and ro analyze the curriculum of educational institutes.

      • KCI등재

        중등예비교사들의 교원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 분석

        문은경 ( Eunkyung Moon ),신원석 ( Won Suk Shin ),박인우 ( Innwoo Park ) 안암교육학회 2016 한국교육학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예비교사에게 요구되는 교원 핵심역량을 규명하고, 현재 예비교사들의 역량 수준 및 사범대학의 교육과정 만족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예비교사들의 핵심역량 신장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방안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원의 전문성 및 교사역량과 관련된 국내외 문헌들을 고찰하여 교원역량을 구성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학 및 교과교육학 전문가 20인으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의 협의회 및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최종 교원 핵심역량을 확정하였다. 다음으로 교육과정 개선방안을 위한 우선순위를 분석하기 위해서 사범대학 재학생 312명을 대상으로 핵심역량 현재수준 및 사범대학 교육과정 만족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항목별로 대응표본 t-검정으로 그 차이를 분석하였고, 현재수준과 만족도의 평균을 기준으로 하는 2차원 분석틀을 활용하여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원 핵심역량은 교과 전문지식, 전문 소양, 학생과의 관계 형성, 의사소통, 학급 운영 및 관리, 수업계획 및 개발, 수업진행, 평가 및 피드백, 다문화, 세계화, 정보화의 총 11개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예비교사들의 현재 역량수준과 교육과정 만족도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결과, 수업진행 영역의 ICT 활용능력 역량을 제외한 모든 역량들에서 그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핵심역량 현재수준 및 사범대학 교육과정 만족도의 2차원 분석틀을 통해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예비교사들의 핵심역량을 효과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사범대학의 교육과정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eachers` core competence, and analys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their competence and satisfaction of curriculum. Then, the way of reform of curriculum for enhancing pre-service teachers` core competence was proposed. The studies on teachers` expertise and competence were reviewed to draw the core competence of a teacher. The designed teacher`s competence model was used to assess the current status of core competence and the status of support by the college of education. The 312 pre-service teachers responded the survey instrument. An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the current status and satisfaction was performed, and the order of priority was analyzed using two-dimensional analyzing t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1) The teachers` core competence consists of 11 areas such as content knowledge, teaching attitude, teacher-student relation, communication, class management, design and develop lesson, instructional strategies, evaluation and feedback, multi-cultural attitude,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urrent status and satisfaction showed that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low level of supports by college of education generally. Finally, the implications on revising and reformation of curriculum for acquiring teaching certificate were discussed.

      • KCI등재

        유아대상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교수역량

        고은현,문은경,홍찬의,이경희,최순덕,이영석,조정원,Koh, Eun-Hyeon,Moon, Eunkyung,Hong, Chan-Ui,Lee, KyungHee,Choi, Soonduk,Lee, Youngseok,Cho, Jungwon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10

        이 연구의 목적은 유아대상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교수역량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 및 유아교육, 컴퓨터교육, 교육공학 전문가 집단의 3차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여 교수역량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소프트웨어 교육목적·목표 및 교육내용 선정', '소프트웨어 교육과정 계획 및 운영', '소프트웨어 교육과정 평가 및 환류'의 3개 역량군 및 15개 역량이 도출되었다. 그리고 연구결과 도출된 교수역량과 선행연구와의 관련성을 논의하고 결과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분석된 교수역량은 이후 교사교육 및 교육실행 관점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eaching competency for softwa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eaching competency was derived through literature study and Delphi survey of expert groups. The derived competences are composed of 'selection of software education objectives-goals and educational contents', 'software curriculum planning and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nd feedback of software curriculum'. The derived competencies were found to be 15 competencies in a total of 3 competencies group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rived competencies and previous studies was discussed and implications were presented. The teaching competency derived from this study can be used for teacher education and instructional practice.

      • KCI등재

        교육과정 건전성 지표를 활용한 대학 교육과정 운영 평가

        김대영(Kim, Daeyoung),문은경(Moon, Eunkyung),박인우(Park, Innwoo)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6 敎育問題硏究 Vol.29 No.1

        본 연구는 교육과정 건전성 지표를 활용하여, 국내 고등교육기관의 교육과정 운영을 직접 평가하고, 대학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발전적인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제안된 교육과정 건전성 지수를 분석하여 몇몇 지수들의 실효성 문제를 지적하고, 이를 새로운 지표로 대체 하고자 노력하였다. 이 과정에서 교육과정 건전성 하위 지수를 (1) 강좌 당 학생 수, (2) 전임교원 강의담당 비율, (3) 전임교원 1인당 평균 담당 학점 수, (4) 학기 당 적 정 강좌 개설 비율로 수정하여 구성하였으며, 이를 실제 국내 대학들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교육과정 건전성 지수를 산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새롭게 제안된 교육과정 건전성 지수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분석 대상 대학의 재학생들에게 교육과정 운영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와 교육과정 건전성 지수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교육과정 건전성 지수는 기존 지수에 비해 대학 교육과정 운영을 평가하는 도구로 그 타당도와 실효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valuate college curriculum management by using indicator of college curriculum soundness and propose developmental direction for college curriculum management. For achieving this pur pose, we analyze the indicator of college curriculum soundness and revise it for raising the effectiveness. As a result, the indicator for measuring soundness is consisted of main factors from college curriculum management such as students numbers of each class, percentage of classes in charge of each full-time instructor, average credit in charge of each full-time instructor, and classes numbers of each semester. Furthermore we evaluate college curriculum management of 146 universities in Korea, and suggest the direction for curriculum improv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m. Finally we evaluated the indicator’s validity and effective ness.

      • KCI등재후보

        금융회사 내부통제의 의의와 판단기준 - 금융사지배구조법 제24조, 동법 시행령 제19조, 감독규정 제11조의 해석을 중심으로 -

        김홍기 ( Kim Hongki ),문은경 ( Moon Eunkyung ) 한국금융소비자학회 2021 금융소비자연구 Vol.11 No.3

        금융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금융소비자의 피해가 커지면서 내부통제가 강화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지만 내부통제기준 준수 여부에 대한 판단기준이 명확하지 않아서 어려움이 있다. 내부통제장치의 구축과 작동 여부는 금융회사가 직면하는 영업과 위험의 성격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고, 다양한 관련법령의 해석과도 연결되어 있어서, 실제 사건이 발생할 경우에 금융회사나 그 임직원의 내부통제의무의 위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쉽지가 않기 때문이다. 금융회사가 준수해야 할 ‘내부통제기준’의 내용은 금융사지배구조법 제24조, 동법 시행령 제19조, 금융회사 지배구조 감독규정 제11조에 규정되어 있다. 법령에 규정된 내용을 준수하였을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내부통제기준 마련의무를 이행한 것으로 볼 것이나, 금융회사가 법령이 요구하는 내부통제기준을 마련하였는지의 여부는 단순히 형식적ㆍ외형적인 규정이 있다는 사실만으로 판단할 것은 아니고, 관련법령의 문언과 내용, 체계, 해당 내부통제기준의 내용, 입법목적과 취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개별적ㆍ구체적으로 판단해야 한다. 내부통제기준에서 형식적ㆍ외형적인 규정만이 있고 ‘핵심적인 내용’이 빠져있다면 실질적으로는 내부통제기준을 흠결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금융사지배구조법 시행령 제19조 제1항의 내부통제가 “실효성 있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라는 문구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실효적인 내부통제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그러나 다양한 군상이 어우러지고 민감한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 금융시장에서 “실효성 있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이라는 문구가 어느 정도의 기속력을 가지는 것으로 볼 것인지는 별개의 문제이다. 법치국가의 원리와 명확성 원칙, 침익적 행정처분에 대한 엄격한 해석, 수범자의 예측가능성 등을 고려하면, 규제의 내용은 명확해야 하고, 수범자는 법규범의 내용과 법집행의 결과를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형식적ㆍ외형적으로 내부통제규정을 마련했다는 사실만으로 책임을 면할 수는 없지만, 관련법령에 정해진 바에 따라 내부통제규정을 마련하고 신의성실하게 내부통제절차를 이행하였다면, 금융회사나 그 임직원이 결과적인 책임을 지는 상황이 초래되어서는 아니 된다. 구체적인 사안에서 법령이 정하고 있는 내부통제기준을 위반했는지는 금융사지배구조법 제24조, 동법 시행령 제19조 제1항 및 그 위임에 따른 감독규정의 문언과 내용, 규제의 필요성, 수범자에 대한 예측가능성, 명확성, 내부통제원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각 규정별로 개별적ㆍ구체적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As financial accidents occur frequently and damage to financial consumers increases, there is a growing awareness that internal control such as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an internal control system should be strengthened.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internal control devices may vary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business and risks faced by the financial companies, and it is also linked to the interpretation of various related laws. Thus it is not easy to determine whether the duty of control has been violated. The contents of the ‘internal control standards’ that financial companies must comply with are stipulated in Article 24 of the Act on Corporate Governance of Financial Companies(hereafter ‘the Act’), Article 19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and Article 11 of the Regulations on Supervision of Corporate Governance of Financial Companies. It will be considered that the obligation to prepare internal control standards has been fulfilled. Whether or not a financial company has prepared the internal control standards required by the relevant laws is not simply judged by the fact that there are formal and external regulations, but rather the text, content and system of relevant laws, relevant internal control standards, and legislative purpose. It should be judged individually and specifically, taking into account the purpose and purpose of the project. If ‘core contents’ are omitted from the internal control standards, even if there are formal regulations, it should be regarded as a defect in the internal control standards in reality. As Article 19 Paragraph 1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explicitly stipulates that “to ensure that internal control can be implemented effectively,” the importance of effective internal control cannot be overemphasized. However, how much binding force the phrase “to make it effective” in the financial market where various groups are harmonized and sensitive interests are intertwined is another matter. Considering the principle and clarity of the rule of law, strict interpretation of intrusive administrative measures, and predictability of offenders, the content of the regulation should be clear and the financial companies should be able to predict the content of law and the outcome of law enforcement. Internal control must be effective, and liability cannot be avoided just because the internal control regulations are formally or externally prepared. The situation in which the employee or the employee is consequently liable must not be created. Whether or not the internal control standards stipulated by the Act have been violated in specific cases, shall be determined by contents of Article 24 of the Act, Article 19 Paragraph 1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and the text and contents of the supervisory regulations pursuant to its delegation, and the necessity of regulation. It should be judged individually and specifically for each regulation, comprehensively considering predictability, clarity, and internal control principles.

      • KCI등재

        국내 블렌디드 러닝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권회림 ( Hoilym Kwon ),문은경 ( Eunkyung Moon ),박인우 ( Innwoo Park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5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한국에서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수업의 학습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한국의 학술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2015년까지 한국에서 발행된 블렌디드 러닝의 효과성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수집하였다. 최종 학술논문 34편과 학위논문 5편을 분석하였으며, 총 91개의 개별 효과크기 및 학습효과에 대한 전체 효과크기와 조절변인에 따른 효과차이를 CMA(Comprehensive Meta-Analysis)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블렌디드 러닝의 학습효과가 유의미하며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하지 않은 집단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인지적, 정의적 학습 효과영역에 따른 효과크기 분석결과, 두 영역 모두에서 블렌디드 러닝의 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블렌디드 러닝의 효과는 학급규모에 영향을 받으며 학급규모가 증가할수록 학습효과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블렌디드 러닝의 효과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변인들 중학급규모 외의 변인들의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지금까지의 블렌디드 러닝의 효과성에 대한 개별연구들의 현황 및 실태를 정리하고 향후 개별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구체적인 연구결과들은 향후 블렌디드 러닝 수업 설계 및 운영을 위한 처방적인 전략의 근거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learning effects of blended learning in Korea with a meta-analysis. There were 34 journal articles and 5 dissertations being published by 2015 that studied the learning effects of blended learning. 91 individual effects being examined in those studies were identified and the size of each effect and the total effects were calculated with Comprehensive Meta-Analysis (CMA) 3.0. The results were followed: First, the effect size of blended learn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bigger than those without blended learning. Secondly, The effect size of blended learning in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were both significant. Thirdly, the learning effects differed according to the size of class, and the bigger the class size is the more effective. Fourthly, the effect size blended learning was not affected by other variables than class size. Based on these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the blended learning has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 KCI등재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실재감이 학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 분석

        두민영(Doo, Minyoung),권회림(Kwon, Hoilym),문은경(Moon, Eunkyung) 한국교육방법학회 2017 교육방법연구 Vol.2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의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실재감이 학업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메타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국내외 논문검색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2011년 1월부터 2016년 6월까지 발간된 국내외 연구들을 수집하였다. 중복 연구, 주제와 관련되지 않은 연구, 통계 분석치를 포함하지 않은 연구 등을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논문 47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총 150개의 개별효과크기를 도출하였다. 실재감은 사회적, 인지적, 교수적, 감성적 실재감을 분류하 였고 학업 성과는 인지적, 정의적, 메타인지적 영역으로 분류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실재감은 학업 성과에 유의미한 효과를 가지고 있었으며 그 효과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실재감하위영역에서는 인지적, 교수적, 감성적, 사회적 실재감 순으로 효과크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하위영역 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학업 성과별 실재감 하위영역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정의적 영역 및 메타인지적 영역의 효과크기는 큰 편이었으나, 인지적 영역의 효과 크기는 중간 정도였으며, 학업 성과 영역별 실재감의 영향에 대한 차이는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특성에 따른 조절효과 분석결과, 국내 연구물이 해외 연구물에 비하여 효과크기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자기보고 형식으로 학습결과를 측정는 방법이 객관적인 수치를 통한 측정방법에 비하여 효과크기가 유의하게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resence on learning performance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By reviewing 47 studies with 150 effect sizes published between 2011 and 2016, we performed meta-analysis to provide a comprehensive synthesis of recent research findings of presence. In this study, presence has four sub-categories, including social, cognitive, emotive, and teaching presence. Learning performance is classified into 3 areas : cognitive, affective and meta-cognitive domains. The meta-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overall effect sizes for presence on learning performance were larg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agnitude of the effect sizes of presence subcategories on learning performance were found to be large from cognitive, teaching, emotive and social presence in order.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subcategories of presence on learning performance. The effects of presence on different learning performance type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difference. The effects of presence on affective and meta-cognitive learning domains were statistically larger than its effects on cognitive domain. Last, the research findings on moderating variables explained that researches published in Korea yielded larger effect sizes than those published in international academic journals. Also, in terms of measurement of learning performance, research measured learning performance using self-reported survey demonstrated large effect sizes than using test scores.

      • KCI등재

        국내 중등 예비교사 학교현장실습 연구 동향

        이예다나 ( Yedana Lee ),권회림 ( Hoilym Kwon ),문은경 ( Eunkyung Moon ),유현옥 ( Hyunok Ryu ),손승현 ( Seung Hyun Son ) 안암교육학회 2015 한국교육학연구 Vol.21 No.4

        학교현장실습은 예비교사들이 현장에서 발휘할 수 있는 교사 역량 및 전문성을 키우고 성찰할 수 있는 직접적인 기회를 제공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학교 현장에서 교사에게 요구되는 연구기반의 전략들이 제공되어야 하며, 효율성을 기반으로 하는 학교현장실습 프로그램이 구현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15년 8월까지 수행된 예비교사 학교현장실습과 관련된 연구를 분석하였다. 총 40편의 해당 연구들을 주제와 연구 방법, 키워드에 따라 분석함으로써 연구동향을 탐색하고 사범대학에서 실시되고 있는 예비 교사교육에 대하여 고찰해보았다. 분석 결과, 연구의 주제는 총 7개의 대주제, 13개의 중주제, 47개의 소주제 영역으로 분류되었으며, 연구들에서 최종적으로 90건의 소주제를 도출할 수 있었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예비교사와 현장실습에 대하여 다루고 있었다. 주제를 세분화시켜 살펴본 결과 반성적 실천이나 교직 신념을 다루는 교육프로그램과 예비교사의 지식과 신념을 고찰하는 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적용된 연구 방법의 경우, 질적연구가 19편인 47.5%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었다. 연구의 키워드 분석 결과, 총 164개의 키워드가 도출되었으며, ``교육실습``, ``예비특수교사``, ``현장실습`` 등의 단어가 중심에 위치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예비교사 학교현장실습 프로그램을 구축하기 위한 요구분석 및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A pre-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provides a direct chance to foster and reflect the teacher competency and professionalism that can be utilized later in actual teaching at schools. This addresses the needs to create such a program in a way that it delivers research-based strategies for teaching in schools, and guarantees efficient teaching components and activities. Thus, this study intends to review the research trends on pre-service teacher training and examine the current pre-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s in Universities by analyzing 40 papers published from the year 2000 to August of 2015. The primary focus of the analysis is research methods and key words. The findings show that there exists the classification of 7 major themes, 13 subthemes and 47 sub-subthemes, most of which focus on pre-service teachers and school training. Further analysis reveals that most popular themes are about training programs that address reflective practice or a teacher`s creed and also about knowledge and beliefs as a pre-service teacher. As for research methods, qualitative methods are most commonly used and found in 19 papers (47.5%). With regard to key words, 164 units are identified, the most central are "teacher training",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training at school." The findings will be useful for scholars and practitioners to conduct a need analysis and to develop a pre-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Further, it is argued that a theoretical framework should be based on the transformative learning approach, which is essential for adult learning and education, and that a pre-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should be developed to meet a variety of needs from diverse learners.

      • KCI등재

        학교현장실습이 예비교사들의 좋은 수업 행동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신원석(Won Sug Shin),이용진(Yongjin Lee),문은경(Eunkyung Moon) 한국교육방법학회 2018 교육방법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교원양성 교육과정과 학교현장실습의 구체적인 지원 및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예비교사들의 ‘좋은 수업 행동’에 대한 인식을 학교현장실습 전후에 걸쳐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좋은 수업 행동의 중요수준과 실행수준에 대한 인식차이가 학교현장실습 전후에 어떻게 달라지는 지와 수업시연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설문은 서울소재 K대학의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학교현장실습 전후 좋은 수업을 위한 행동들에 대한 중요수준 및 실행수준에 대한 인식을 분석 한 결과, 예비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좋은 수업 행동’에 대한 전반적인 중요도가 실행도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중요도에 비하여 학교현장실습 후에 인식하는 실행도가 유의하게 달라진 것은 20문항 중 8개 문항(학생의 환경 이해, 개별 수준에 따른 기회 제공, 개별 학생 이해, 오개념 파악 및 활용, 수업 목표 도달 파악, 수업 내용 명확히 전달, 수업진도에 충실, 테크놀로지 활용)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실행도 분석결과, ‘집중’면에 3개 항목(학생의 환경 이해, 개별 수준에 따른 기회 제공, 오개념 파악 및 활용), ‘유지’면에 10개 항목, ‘후순위’면에 7개 항목이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수업 시연 정도에 따른 인식변화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문항은 3개 항목(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진도에 충실, 오개념 파악 및 활용)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좋은 수업’을 위한 행동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가 학교현장실습을 기준으로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알아봄으로써 예비교사교육에 대한 함의점을 찾아보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good teaching’ and change of their perception on the basis of teaching practicum. This study tried to confirm whether the perception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he practicum varie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teaching demonstration. Therefore, this study was to provide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and support of the teaching practicum.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pre-service teachers of K university in Seoul through online, and it was about the level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good teaching behaviors before and after teaching practicu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verall importance of pre-service teachers was higher than that of practice. Specifically, eight item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ly different perceptions of perceived performance after school practice compared to their importance. As a result of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ree items were included in the ‘Concentration’ side, ten items in the ‘Keep up the good work’ side, and seven items in the ‘Low priority’ side. There were 3 items with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change according to the class demonstration level. This study have the implications of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by examining how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good teaching’.

      • KCI등재

        유아 친사회적 행동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박유진(Park, Eugene),권회림(Kwon, Hoilym),문은경(Moon, Eunkyu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7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05

        본 연구는 메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유아 친사회적 행동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고,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2005년부터 2015년에 발표된 국내 연구 총 48편을 수집 및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증진 프로그램은 매우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 친사회적 행동의 하위요인 ‘감정이입 및 조절’에 대한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하위영역간의 효과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마지막으로 대상연령, 시행기간, 총 시행 횟수, 주당 시행 횟수에 따라 유아 친사회적 행동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관련 연구들을 종합하여 얻어진 본 연구의 결과는 이후 연구의 질적향상과 효과적인 현장 적용에 시사점을 제공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development program, which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the program. Relevant domestic studies that were conducted between 2005 and 2015 were analyzed, and 48 studies were selected.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programs geared toward improvi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was 1.198, which indicated the size produced huge effects. Empathy and emotional control was also revealed as the highest effect factor among the sub-factors of children’s social behavior. In addition, four variables(i.e., target age, period of implementation, total number of implementations, and number of weekly implementations) had been determined as substantial moderator variables for the effect size of the program on promoti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The findings of the study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study and effective application in the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