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흰쥐 삼차신경감각핵에서 $P2X_3$와 TRPV1의 공존에 관한 연구

        문용석,류창현,조이슬,김홍태,박매자,백상규,문제일,김윤숙,배용철,Moon, Yong-Suk,Ryoo, Chang-Hyun,Cho, Yi-Sul,Kim, Hong-Tae,Park, Mae-Ja,Paik, Sang-Kyoo,Moon, Che-Il,Kim, Yun-Sook,Bae, Yong-Chul 한국현미경학회 2008 Applied microscopy Vol.38 No.3

        삼차신경계에서 $P2X_3$와 TRPV1 면역양성 일차들신경섬유는 통각정보의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삼차신경절 및 삼차신경꼬리핵에서 $P2X_3$와 TRPV1 면역양성 신경세포의 형태학적 특성 및 투사양식을 이해하기 위하여, 흰쥐 삼차신경절 및 삼차신경꼬리핵에서 $P2X_3$와 TRPV1에 대한 항체를 사용하여 형광면역염색법 및 형태계측학적인 기법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P2X_3$ 면역양성 신경세포중 77.4%의 신경세포에서 (1,401/1,810) TRPV1이 동시에 발현되었으며, TRPV1 면역양성 신경세포중 51.9% (1,401/2,698)의 신경세포에서 $P2X_3$와 공존을 보였다. $P2X_3$와 TRPV1에 동시에 면역양성반응을 보이는 신경세포는 중간크기의 신경세포에서 주로 관찰되었으며, $P2X_3$ 혹은 TRPV1 면역양성 신경세포중 아주 작거나 큰 신경세포에서는 공존하지 않았다. 삼차신경꼬리핵에서 $P2X_3$ 면역양성 신경섬유 및 신경종말들은 제1층과 제2층에 분포하는데 주로 제2층의 안쪽부위에서 밀도가 높게 관찰되었으며, TRPV1 면역양성 신경섬유 및 신경종말들은 제1층과 제2층의 바깥쪽에서 밀도가 높게 관찰되었다. $P2X_3$와 TRPV1이 공존하는 신경섬유 및 신경종말들은 제2층의 안쪽과 바깥쪽의 경계부위에서 관찰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P2X_3$와 TRPV1을 동시에 발현하는 신경세포는 구강안면영역에서 통각정보의 처리에 독특한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Trigeminal primary afferents expressing $P2X_3$ or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vanilloid 1 (TRPV1) are involved in the transmission of nociceptive information. In order to characterize $P2X_3$- and TRPV1-immunopositive neurons in the trigeminal ganglion (TG) and trigeminal caudal nucleus (Vc), we performed immunofluorescence experiments using anti-$P2X_3$ and anti-TRPV1 antisera and a morphometric analysis. 77.4% (1,401/1.801) of all the $P2X_3$-postive neurons coexpressed TRPV1 and 51.9% (1,401/2,698) of all the THFV1-immunopositive neurons also costained for $P2X_3$ in the TG. Immunoreactivity for both $P2X_3$ and TRPV1 were present in medium-sized neurons but not in small- and large-sized neurons. $P2X_3$ and/or TRPV1-immunopositive fibers were observed in the primary afferents and their associated axons in the Vc. These fibers and terminals were distributed in the superficial lamina of Vc: $P2X_3$-immunopositive fibers and terminals were distributed in the lamina I and II, expecially in the inner part of lamina II (lamina IIi), whereas TRPV1-immunopositive ones were densely detected in the lamina I and outer part of lamina II (lamina IIo). Immunopositive fibers and terminals for both $P2X_3$ and TRPV1 were observed on the border between lamina IIi and IIo. These results suggest that terminals coexpressing $P2X_3$ and TRPV1 are involved in specific roles in the transmission and processing of orofacial nociceptive information.

      • KCI등재

        산성토양에서 내산성 종속영양세균과 나프탈렌분해세균의 분포 및 특성

        문용석,주광일,김종설,Moon Yong-Suk,Chu Kwang-Il,Kim Jongseol 한국미생물학회 2004 미생물학회지 Vol.40 No.4

        울산석유화학공단과 인접한 지역(선암)및 농촌지역(대암)의 산림토양에서 내산성 종속영양세균 및 나프탈렌분해세균의 분포와 특성을 조사하였다. 토양 pH의 평균은 선암과 대암에서 각각 3.8과 4.6으로 측정되었다. 종속영양세균과 나프탈렌분해세균을 최확수치(MPN)법으로 계수하였으며, 선암의 경우 pH 7.0과 pH 4.0에서 생장하는 종속영양세균 수의 중앙간은 각각 $5.3{\times}10^7\;3.3{\times}10^7$ MPN/dried Soil g이었고, 나프탈렌분해세균 수의 중앙간은 pH 7.0과 4.0에서 각각 $5.6{\times}10^4$ 와 $4.0{\times}10^5$ MPN/dried soil g이었다. 대암에서 측정한 종속영양세균수의 중앙간은 두 pH 모두 선암에서보다 많았으나 나프탈렌분해세균의 농도는 선암이 대암보다 높았다. MPN시험관과 농화배양으로부터 17개의 나프탈렌분해세균을 분리하였으며, 이들은 Sphingomonas paucimobilis, Brevundimonas vesicularis, Burkholderia cepacia, Ralstonia pickettii, Pseudomonas fluorescens, Chryseomonas luteola 등으로 동정되었다. 분리한 17개 균주 중 6개는, 최소배지에서의 나프탈렌분해 활성이 PH 7.0에 비해 PH 4.0에서 더 높았으나 영양배지에 접종하였을 때의 생장정도는 pH 4.0이 pH 7.0보다 더 크지 않았다. 배지의 pH가 분리한 세균의 세포막 지방산 조성을 변화시켜 나프탈렌분해 활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acidotolerant heterotrophic and naphthalene-degrading bacteria were investigated in two forest areas, one near Ulsan petrochemical industrial complex (Sunam) and the other in countryside (Daeam). Average values of soil pH at Sunam and Daeam were 3.8 and 4.6, respectively. When het­erotrophic and naphthalene-degrading bacteria were enumerated by most probable number (MPN) procedures at Sunam, the median values of heterotrophs growing at pH 7.0 and pH 4.0 were $5.3{\times}10^7\;and\;3.3{times}10^7$ MPN/g, whereas those of naphthalene-degraders were $5.6{\times}10^4\;and\;4.0{times}10^5$ MPN/g, respectively. While the medians of heterotrophs at Daeam were larger than those at Sunam, the concentrations of naphthalene-degraders were higher at Sunam compared to those at Daeam. From the MPN tubes and enrichment cultures, we obtained 17 isolates of naphthalene-degraders which were identified as Sphingomonas paucimobilis, Brevundimonas vesic­ularis, Burkholderia cepacia, Ralstonia pickettii, Pseudomanas fluorescens, and Chryseomonas luteola. Among them, 6 isolates showed higher naphthalene-degrading activity on minimal media of pH 4 compared to pH 7, whereas the extent of growth was not greater at pH 4 than at pH 7 when they were inoculated on nutrient-rich media. It is plausible that the pH may affect naphthalene-degrading activity of the isolates by changing fatty acid composition of bacterial membrane.

      • KCI등재

        흰쥐의 턱끝혀근 지배 운동신경원에 대한 억제성 및 흥분성 신경종말의 분포 양식

        Yong-Suk Moon(문용석) 한국생명과학회 2011 생명과학회지 Vol.21 No.1

        턱끝혀근은 호흡을 위해 상부기도를 확보하는 중요한 근육이지만 정상적으로 수축하지 못하면 상부기도를 폐쇄함으로써 호흡장애가 생길 수있다. 이것은 턱끝혀근을 지배하는 운동신경원의 연접입력 이상으로 생각하고 있으나 이러한 연접입력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흰쥐의 턱끝혀근을 지배하는 운동신경원과 연접하는 억제성 및 흥분성 신경종말의 분포 양식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신경추적자인 HRP를 주입하여 턱끝혀근 지배 운동신경원을 표식하고, 운동신경원을 세포체와 가지돌기의 근위부, 중간부 및 원위부로 구분한 후, 전자현미경용 연속절편을 제작하여 GABA, glycine 및 glutamate 항체를 사용한 postembedding immunogold histochemistry를 시행하였다. 정량적 분석은 3개의 턱끝혀근 운동신경원에 연접한 622개의 신경종말 중 157개는 세포체에서, 188개는 14개의 가지돌기 근위부에서, 181개는 35개의 가지돌기 중간부에서, 96개는 28개의 가지돌기 원위부에서 각각 연접 양상을 분석하였다. 관찰한 신경종말의 71.9%에서 사용된 3종류의 아미노산에 대한 면역양성반응이 나타났는데 이 중 32.8%는 GABA 또는 glycine에 대한 면역양성반응을 보였고, 39.1%는 glutamate에 대한 면역양성반응을 보였다. GABA 또는 glycine에 대한 면역양성 신경종말 중 14.2%는 glycine에만 면역양성반응을 보였고, 13.3%는 glycine과 GABA에 동시에 면역양성반응을 보였으며, 5.3%만이 GABA에만 면역양성반응을 보였다. 억제성 아미노산에 면역양성반응을 보인 신경종말에는 납작하거나, 타원형 또는 둥근 형태의 연접소포가 함유된 반면, 흥분성 아미노산에 면역양성반응을 보인 신경종말에는 구형의 소포와 약간의 큰 치밀연접소포가 함유되어 있었다. 억제성 신경종말과 흥분성 신경종말의 분포 비율은 가지돌기 원위부에서 각각 23.9% 대 43.8%로 가장 높았지만, 세포체(35.7% 대 38.2%), 가지돌기의 근위부(34.6% 대 37.8%), 및 중간부(33.1% 대 38.7%)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억제성 신경종말의 synaptic covering (%)은 세포체에서 가지돌기 원위부로 갈수록 감소되었지만, 흥분성 신경종말의 synaptic covering (%)은 각 부위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턱끝혀근 지배 운동신경원은 세포체와 가지돌기의 부위에 따라 GABA, glycine 및 glutamate를 함유하는 전운동신경원들에 의해 서로 다른 양식의 제어를 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운동신경원의 부위에 따른 이러한 억제성 및 흥분성 연접입력 양식의 차이는 유연한 혀운동의 제어기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The genioglossus muscle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intaining upper airway patency during inspiration; if this muscle does not contract normally, breathing disorders occur due to closing of the upper airway. These occur because of disorders of synaptic input to the genioglossus motoneuron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it. In this study, the distribution of GABA-, glycine-, and glutamate-like immunoreactivity in axon terminals on dendrites of the rat genioglossus motoneurons, stained intracellularly with horseradish peroxidase (HRP), was examined by using postembedding immunogold histochemistry in serial ultrathin sections. The motoneurons were divided into four compartments: the soma, and primary (Pd), intermediate (Id), and distal dendrites (Dd). Quantitative analysis of 157, 188, 181, and 96 boutons synapsing on 3 soma, 14 Pd, 35 Id, and 28 Dd, respectively, was performed. 71.9% of the total number of studied boutons had immunoreactivity for at least one of the three amino acids. 32.8% of the total number of studied boutons were immunopositive for GABA and/or glycine and 39.1% for glutamate. Among the former, 14.2% showed glycine immunoreactivity only and 13.3% were immunoreactive to both glycine and GABA. The remainder (5.3%) showed immunoreactivity for GABA only. Most boutons immunoreactive to inhibitory amino acids contained a mixture of flattened, oval, and round synaptic vesicles. Most boutons immunoreactive to excitatory amino acids contained clear and spherical synaptic vesicles with a few dense-cored vesicles. When comparisons of the inhibitory and excitatory boutons were made between the soma and three dendritic segments, the proportion of the inhibitory to the excitatory boutons was high in the Dd (23.9% vs. 43.8%) but somewhat low in the soma (35.7% vs. 38.2%), Pd (34.6% vs. 37.8%) and Id (33.1% vs. 38.7%). The percentage of synaptic covering of the inhibitory synaptic boutons decreased in the order of soma, Pd, Id, and Dd, but this trend was not applicable to the excitatory boutons. The present study provides possible evidence that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inhibitory and excitatory synapses are different in the soma and dendritic tree of the rat genioglussus motoneurons.

      • KCI등재후보

        피부 각질화세포와 편평상피암세포에서 자외선 조사에 유발된 적응반응과 세포자멸사

        문용석(Yong-Suk Moon) 대한해부학회 2007 Anatomy & Cell Biology Vol.40 No.4

        적절한 자외선 조사가 정상 피부 각질화세포인 HaCaT 세포주와 편평상피암세포인 KUMA3 세포주에 미치는 영향을 세포생존율, 세포자멸사 비율 및 poly(ADP-ribose) polymerase (PARP)의 발현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량에 대한 세포생존율은 HaCaT 세포주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세포자멸사 비율은 KUMA3 세포주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HaCaT 세포주의 경우 5 J/m2의 자외선을 전처리한 후 50 J/m2의 자외선을 처리한 군은 50 J/m2의 자외선을 단독으로 처리한 군에 비하여 세포생존율이 12% 정도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자외선 조사에 대한 적응반응을 보였다. 반면, KUMA3 세포주에서는 5 J/m2의 자외선을 전처리한 후 50 J/m2의 자외선을 처리한 군이 50 J/m2의 자외선을 단독으로 처리한 군에 비하여 더 높은 세포자멸사의 비율을 나타내었다. PARP 항체를 이용한 면역세포화학 염색에서 HaCaT 세포주는 자외선 조사에 대하여 대부분 양성반응을 보였지만 KUMA3 세포주는 50 J/m2의 자외선을 조사한 군부터 음성반응을 보이는 세포들을 관찰할 수 있었다. Western blot 분석에서 HaCaT 세포주는 50 J/m2의 자외선을 조사한 군부터 85 kDa의 PARP 단백질 분절이 나타났지만 116 kDa의 본래의 PARP 단백질 발현이 강하게 유지되는 반면, KUMA3 세포주는 50 J/m2의 자외선을 조사한 군부터 85 kDa의 PARP 단백질 분절이 강하게 발현되기 시작하였고 그 이상의 조사량에서는 116 kDa의 본래의 PARP 단백질은 사라지고 85 kDa의 PARP 단백질 분절만 발현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적절한 자외선 조사가 편평상피암세포의 세포자멸사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제시한다. The present study was investigated that the effects of suitable ultraviolet (UV) irradiation to the cell viability, apoptosis and expression of poly(ADP-ribose) polymerase (PARP) in HaCaT and KUMA3 cell lines that are skin keratinocyte and squamous cell carcinoma, respectively. The cell viability of UV irradiation dose appeared high in HaCaT cell line, and the percentage of apoptotic cells appeared higher in KUMA3 cell line. The cell viability in HaCaT cell line pretreated with 5 J/m2 UV and subsequently treated with 50 J/m2 UV was higher than that only treated with 50 J/m2 UV. On the other hand, the percentage of apoptotic cells in KUMA3 cell line only treated with 50 J/m2 UV was higher than that pretreated with 5 J/m2 UV and subsequently treated with 50 J/m2 UV. Immunocytochemical stain using PARP antibody, the most cells show positive reaction of UV irradiation in HaCaT cell line, but some negative reaction cells observe from treated with 50 J/m2 UV in KUMA3 cell line. The expression level of PARP by western blot analysis, concomitant with generation of the 85 kDa fragment in HaCaT cell line from treated with 50 J/m2 UV though the 116 kDa band was still retained. On the other hand, the 85 kDa fragment appeared in KUMA3 cell line from treated with 50 J/m2 UV but the intact PARP of 116 kDa disappears in more doses. These results present that suitable UV irradiation can be effective to apoptosis in squamous cell carcinoma.

      • KCI등재

        포름알데히드가 흡입된 흰쥐 코안 점막의 복합당질 특성

        문용석(Yong-Suk Moon),김홍태(Hong-Tae Kim) 대한해부학회 2008 Anatomy & Cell Biology Vol.41 No.4

        포름알데히드가 흡입된 흰쥐 코안 점막의 복합당질 특성을 조사할 목적으로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를 사용하여 30 ppm의 포름알데히드를 하루에 3시간씩 3일간 흡입시키고 5주까지 회복시켰다. 코안 점막을 후각점막과 호흡점막으로 구분하여 포름알데히드에 의한 형태적 변화를 비교하였고, PSA, UEA I, PHA-L, BSL I, PNA, MAL I, DBA, BSL II 및 sWGA의 9가지 렉틴을 이용한 렉틴조직화학을 실시하여 복합당질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포름알데히드 흡입 후 후각상피는 후각신경세포가 소실되어 상피의 높이가 감소되는 퇴행성 변화를 보였지만 호흡상피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대조군에서 후각상피의 후각신경세포는 PSA, UEA I, PNA, DBA, BSL II 및 sWGA에서, 지지세포는 PSA, PHA-L, PNA, MAL I, DBA, BSL II 및 sWGA에서, 그리고 후각샘은 모든 렉틴에서 양성반응이 관찰되었다. 실험군에서는 후각신경세포는 UEA I과 DBA에서, 지지세포는 PHA-L, MAL I, DBA 및 UEA I에서, 그리고 후각샘은 UEA I, BSL I 및 MAL I을 제외한 모든 렉틴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반응성이 증가하였다. 대조군 호흡상피의 술잔세포는 UEA I과 MAL I에서, 섬모원주세포는 PSA, UEA I, PHA-L, BSL I, DBA, BSL II 및 sWGA에서, 그리고 코사이막샘은 UEA I을 제외한 모든 렉틴에서 양성반응이 관찰되었다. 실험군에서 술잔세포는 UEA I, MAL I 및 PNA에서 양성반응이 관찰되었고, 섬모원주세포와 코사이막샘은 대조군에 비하여 일부 렉틴에서 반응성이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포름알데히드에 노출된 후각점막의 복합당질양상은 대조군에 비하여 많은 변화를 나타내었지만, 호흡점막에서는 일부분의 미양한 변화들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포름알데히드 흡입이 코안 후각점막과 호흡점막의 복합당질 양상을 변화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glycoconjugate properties of the nasal mucosa in the rat after inhalation of formaldehyde. Sprague-Dawley male rats were inhalated 30 ppm formaldehyde for 3 times with 3 hours exposure. The olfactory and respiratory mucosa in the nasal mucosa were taken from the animals on 3, 6, 9 days and 2, 3, 4, 5 weeks after inhalation of formaldehyde. The properties of glycoconjugate of the olfactory and respiratory mucosa were investigated using nine biotinylated lectins (PSA, UEA I, PHA-L, BSL I, PNA, MAL I, DBA, BSL II or sWGA). In experimental groups, the degenerative changes of the olfactory epithelium were observed until 3 weeks after inhalation of formaldehyde, but the respiratory epithelium was no change. In control group, the olfactory cells in the olfactory epithelium reacted with PSA, UEA I, PNA, DBA, BSL II, sWGA, and the supporting cells reacted with PSA, PHA-L, PNA, MAL I, DBA, BSL II, sWGA, and Bowman’s glands reacted with all the lectins. In experimental groups, the olfactory cells reacted with UEA I, DBA, and the supporting cells reacted with PHA-L, MAL I, DBA, UEA I, and the positive reaction of Bowman’s glands was increased. In control group, the goblet cells in the respiratory epithelium reacted with UEA I, MAL I, and the ciliated columnar cells reacted with PSA, UEA I, PHA-L, BSL I, DBA, BSL II, sWGA, and the septal nasal glands reacted with all the lectins except UEA I. In experimental groups, the goblet cells reacted with UEA I, MAL I and PNA. Conclusively, the olfactory mucosa was shown a lot of changes in the properties of glycoconjugates following inhalation of formaldehyde, but respiratory mucosa was shown feeble chang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were different sugar residues of glycoconjugate in the olfactory and respiratory mucosa following inhalation of formaldehyde, respectively.

      • KCI등재

        Bio-Oss와 β-TCP를 이용한 토끼 상악동 거상술 후의 조직학적 비교 연구

        문용석(Yong-Suk Moon) 한국생명과학회 2018 생명과학회지 Vol.28 No.10

        본 연구는 토끼의 상악동에 Bio-Oss와 β-TCP를 이식한 후 골 재생 과정을 조직학적으로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12마리의 수컷 토끼를 4마리씩 3군으로 구분하였다. 토끼의 양쪽 상악동 점막을 거상한 후 한쪽은 Bio-Oss를 이식하였고, 다른 쪽은 β-TCP를 이식한 후 본래의 골편으로 창을 봉합하였다. 2주, 4주 및 8주 후에 토끼를 희생시키고 조직절편을 만든 후 Bio-Oss군과 β-TCP군의 골 재생 양상을 비교하였다. 조직계측학적 분석을 위하여 각각의 조직절편에 hematoxylin-eosin, Masson trichrome 및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염색을 하였고,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PCNA), type I collagen 및 osteocalcin의 발현 양상을 비교하기 위하여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하였다. 광학현미경 시야에서 계측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계측하고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Bio-Oss군과 β-TCP군 모두 2주군에서 초기 골 형성이 시작되었고, 4주군에서는 각 이식재 입자의 표면에 형성된 다량의 신생골이 관찰되었으며, 8주군에서는 신생골의 골량이 더 증가되어 있었고 층판골과 골수조직도 관찰되었다. 신생골의 양은 4주군까지 두 군이 비슷하였으나, 8주군에서는 β-TCP군에서 유의한 증가가 계측되었다. 이식재의 양은 4주군부터 8주군까지 β-TCP군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파골세포의 수는 4주군에서 8주군까지 β-TCP군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 PCNA에 대한 면역반응성은 8주군에서 감소되었지만 두 군간의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Type I collagen의 발현은, 2주군에서는 β-TCP군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지만, 8주군에서는 Bio-Oss군에서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다. Osteocalcin에 대한 면역반응성은 8주까지 증가되었으며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조직학적 결과들은 임플란트를 위한 이식재의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면 Bio-Oss와 β-TCP는 모두 검증된 이식재 이지만, 토끼의 상악동 거상술에서는 β-TCP가 좀 더 우수한 골 재생 결과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animal study was to evaluate, by histological analysis, bone regeneration in rabbit maxillary sinuses with an anorganic bovine graft (Bio-Oss) and a β-tricalcium phosphate (β-TCP) grafting. Bilateral sinus augmentation procedures were performed in 12 adult male rabbits. Rectangular replaceable bony windows were made with a piezoelectric thin saw insert. In the Bio-Oss group, Bio-Oss was grafted and in the β-TCP group, β-TCP was grafted and covered by replaceable bony windows.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t 2, 4, and 8 weeks after the surgical procedure. The augmented sinuses were evaluated by histomorphometric analysis using hematoxylin-eosin, Masson trichrome, and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stains and also by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PCNA), type I collagen, and osteocalcin content. Histologically, new bone formation was found on the surface of Bio-Oss and β-TCP particles from 2 weeks and continued to 8 weeks. Significant higher new bone formation was revealed in the β-TCP group than in the Bio-Oss group at 8 weeks. The amount of graft material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β-TCP group and the number of osteoclast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β-TCP group from 4 to 8 weeks. Immunoreactivity to PCNA was reduced at 8 weeks. The expression of type I collage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β-TCP group at 2 weeks, bu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Bio-Oss group at 8 weeks. Immunoreactivity to osteocalcin was increased from 2 to 8 weeks. These histological results can help in the selection of graft materials for implants. Both Bio-Oss and β-TCP are proven graft materials, howev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β-TCP showed better bone regeneration results in rabbit maxillary sinus augmentation.

      • KCI등재

        혀인두신경 또는 혀밑신경을 절단한 흰쥐 미각샘의 형태학적 변화와 렉틴조직화학

        문용석(Yong-Suk Moon) 한국생명과학회 2013 생명과학회지 Vol.23 No.12

        부교감신경 또는 교감신경섬유가 흰쥐 혀 미각샘의 구조와 분비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할 목적으로 성체 흰쥐의 양쪽 혀인두신경 또는 혀밑신경을 절단한 후 혀 미각샘의 형태학적 변화를 3일부터 21일까지 관찰하였고, PSA, UEA I, GSL I B4, ECL, DBA, SBA, HPA, SJA 및 sWGA의 9가지 렉틴을 이용한 렉틴조직화학을 실시하여 미각샘의 복합당질의 특성과 분비양상을 비교하였다. 혀인두신경을 절단한 혀 미각샘은 3일군부터 장액샘꽈리에서 세포질 공포가 나타났으며 10일군에서는 공포가 매우 커지고 미각샘의 구조가 급격히 퇴화되었다. 반면, 혀밑 신경을 절단한 혀 미각샘의 구조는 대조군에 비하여 형태학적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렉틴조직화학의 결과 대조군에서 혀 미각샘은 α-D-galactose, N-acetyl-D-galactosamine 및 N-acetyl-D-glucosamine oligomer 성분의 복합당질을 합성하였고, 혀인두신경을 절단한 10일군부터 그 양은 급격히 감소하였다. 그러나, 혀밑신경을 절단한 혀 미각샘의 복합당질 양상은 21일군까지 대조군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부교감신경섬유를 포함한 혀인두신경이 흰쥐 혀 미각샘의 구조 유지와 분비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and secretory function of the von Ebner’s gland in parasympathetic or sympathetic nerve innervation. Sprague Dawley rats were sacrificed 3, 7, 10, 14, and 21 days after bilateral glossopharyngeal or hypoglossal nerve axotomy, respectively. The circumvallate papilla portion of the tongue was dissected and we observed morphological changes in the von Ebner’s gland. The properties of glycoconjugate in the von Ebner’s gland were investigated using nine biotinylated lectins (PSA, UEA I, GSL I B4, ECL DBA, SBA, HPA, SJA, or sWGA).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cytoplasmic vacuoles appeared in the serous acini of the von Ebner’s gland in the 3-day group, and the serous acini were significantly vacuolized and degenerated in the 10-day group after glossopharyngeal nerve axotomy.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von Ebner’s gland did not change after hypoglossal nerve axotomy. In the control group, the von Ebner’s glands secreted glycoconjugates containing α-D-galactose, N-acetyl-D-galactosamine, and N-acetyl-D-glucosamine oligomer, and the amount of the secretion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10-day group after glossopharyngeal nerve axotomy. However, the amount of the glycoconjugate secretion did not change after hypoglossal nerve axotomy.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glossopharyngeal nerve containing parasympathetic nerve fibers is important for maintaining the structure of and secretory function in the von Ebner’s gland in rats.

      • KCI등재

        자일렌이 흡입된 흰쥐 후각점막에 대한 조직학적 연구

        문용석(Yong-Suk Moon) 한국생명과학회 2018 생명과학회지 Vol.28 No.9

        자일렌이 흡입된 흰쥐 후각점막의 구조와 복합당질 특성을 조사할 목적으로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를 사용하여 300 ppm의 자일렌을 하루에 5시간씩 5일간 흡입시키고 30일까지 회복시켰다. 자일렌 흡입에 대한 후각점막의 형태적 변화를 비교하였고, PSA, UEA I, PHA-L, GSL I B4, GSL I, PNA, ECL, SBA, GSL II 및 sWGA의 10종류 렉틴을 이용한 렉틴조직화학을 실시하여 복합당질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자일렌 흡입 후 20일까지 후각상피는 상피세포의 수와 상피의 높이가 감소되는 퇴행성 변화를 보였다. 대조군에서 후각상피의 후각신경세포는 PSA, UEA I, PNA, SBA 및 sWGA에서, 지지세포는 PSA, PHA-L, GSL I, PNA, ECL, SBA, GSL II 및 sWGA에서, 그리고 후각샘은 10종류의 모든 렉틴에서 양성반응이 관찰되었다. 실험군에서 후각신경세포는 PSA, PNA 및 SBA에서 반응성이 감소하였고, 지지세포는 PSA, PNA, SBA 및 GSL II에서 반응성이 감소하였으며, 후각샘은 PSA, UEA I, GSL I 및 sWGA에서 그 반응성이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자일렌에 노출된 후각점막은 구조와 복합당질양상이 대조군에 비하여 많은 변화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후각점막의 복합당질 당잔기가 자일렌흡입 후에 변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and the glycoconjugate properties of the olfactory mucosa in the rat after inhalation of xylene. Sprague-Dawley male rats were inhalated 300 ppm xylene for 5 times with 5 hours exposure. The olfactory mucosa in the nasal cavity was taken from the animals on 5, 10, 15, 20, and 30 days after inhalation of xylene. The properties of the glycoconjugates in the olfactory mucosa were investigated using 10 biotinylated lectins: (PSA, UEA I, PHA-L, GSL I B4, GSL I, PNA, ECL, SBA, GSL II, and sWGA). In the experimental groups, degenerative changes of the olfactory epithelium were observed until 20 days after inhalation of xylene. In the control group, the olfactory cells in the olfactory epithelium reacted with PSA, UEA I, PNA, SBA, and sWGA, the supporting cells reacted with PSA, PHA-L, GSL I, PNA, ECL, SBA, GSL II, and sWGA, and the Bowman’s glands reacted with all 10 lectins. In the experimental groups, the reactivity to PSA, PNA, and SBA in the olfactory cells were decreased, and the reactivity to PSA, PNA, SBA, and GSL II in the supporting cells were decreased. And in the Bowman’s gland, the reactivity to PSA, UEA I, GSL I, and sWGA were decreased. Conclusively, the olfactory mucosa was shown a lot of changes in the structure through degenerative process and in the properties of the glycoconjugates after inhalation of xylen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ugar residues of the glycoconjugates in the olfactory mucosa can be changed by xylene inhalation.

      • KCI등재

        피부 편평상피암 세포주에서 p53 유전자의 특성

        김욱(Yu Jin),문용석(Yong-Suk Moon),정효순(Hyo-Soon Jeong),장성익(Sung-Ik Jang),최인장(In-Jang Choi) 대한해부학회 2004 Anatomy & Cell Biology Vol.37 No.3

        p53 종양 억제 유전자의 변이는 원발성 종양에서 발견된 유전자변이 중 가장 흔하다. 같은 종류의 종양이라도 가지고있는 p53 유전자의 세부적 특성에 따라 종양의 발생과 진행 양상 그리고 약제에 대한 반응이 다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면역세포화학법, PCR-SSCP, 염기서열분석 및 Western blot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4개의 피부 편평상피암 세포주에서 p53 유전자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4개의 세포주 중 3개의 피부 편평상피암 세포주에서 돌연변이가 검출되었다. 즉, KUMA3 세포주의 codon 176에서 T가 A로, codon 281에서 G가 A로, KUMA4 세포주의 codon 241에서 CC가 TT로 그리고 KUMA6 세포주의 codon 266에서 G가 T로의 치환이 관찰되었다. p53 유전자 codon 72의 단일염기 다형태에서는 KUMA3과 KUMA4 세포주는 Arg/Pro 이형접합체로, KUMA5 세포주는 Arg/Arg 동형접합체로 그리고 KUMA6 세포주는 Pro/Pro 동형접합체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다양한 편평상피암종의 p53 유전자 연구에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The mutation of p53 tumor suppressor gene is the most common genetic variation of primary malignant tumors. The occurrence, progression and reaction for medical management of cancers can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p53 gene, even if they are same kinds of malignant tumors. In this study, the property of p53 gene in 4 kinds of squamous cell carcinoma cell lines were investigated by using immunocytochemistry, PCR-SSCP, sequencing and Western blot methods. As a result, p53 mutation detected in 3 kinds of squamous cell carcinoma cell lines. Namely, it is found that T in codon 176 changed to A, and G in codon 281 changed to A in KUMA3 cell lines; CC in codon 241 changed to TT in KUMA4 cell lines; G in codon 266 changed to T in KUMA6 cell lines. In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of codon 72 of p53 gene, the genetic variations are Arg/Pro heterozygote in KUMA3 and KUMA4 cell lines; Arg/Arg homozygote in KUMA5 cell lines; Pro/Pro homozygote in KUMA6 cell lines. These results will provide useful data for p53 gene researches of various squamous cell carcinomas.

      • KCI등재

        암세포주의 p53 단백질 발현에 대한 웅담의 영향

        김 욱(Yu Jin),문용석(Yong-Suk Moon),정효순(Hyo-Soon Jeong),최인장(In-Jang Choi) 대한해부학회 2005 Anatomy & Cell Biology Vol.38 No.1

        본 연구는 세포자멸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p53 단백질 발현에 대한 웅담(bear bile)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Western blot 분석과 RT-PCR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p53 유전자 특성이 서로 다른 암세포주를 대상으로 p53 단백질 발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p53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있는 HaCaT, KUMA3, KUMA4 및 KUMA6 세포주에서는 웅담처리에 의해 p53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였으나, 돌연변이가 없는 HCT116과 KUMA5 세포주에서는 p53 단백질 발현의 변화가 없었다. 또한, 모든 세포주에서 웅담처리에도 불구하고 p53 mRNA의 양적 변화는 관찰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웅담처리에 의한 p53 단백질의 증가가 단백질 합성의 증가가 아니라 단백질 안정성의 증가를 유도하였음을 추측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웅담에 대한 종양세포의 감수성은 p53 유전자의 특성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웅담처리는 p53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있는 세포주의 변이형 p53 단백질에만 영향을 주었다. The effects of bear bile on the expression of the p53 protein in cancer cell lines were investigated by Western blot and RT-PCR methods. The p53 protein expression was increased after addition of bear bile in HaCaT, KUMA3, KUMA4 and KUMA6 cell lines that carried mutations in the p53 gene, but it is not increased in HCT116 and KUMA5 cell lines with the normal p53 gene as determined by Western blot method. The level of p53 mRNA was not altered in all cell lines after the treatment of bear bile as determined RT-PC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crement of the p53 protein after addition of bear bile was caused by increase in the protein stability but not by increase in protein synthesis. It can be concluded that bear bile affects positively only in the cell lines which have genetic variation of the p53 gene, and does not affect in the cell lines which have wild-type p53 gene, on the other h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