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가족변동의 역사적 맥락에서 상상한 <마더>의 가족욕망

        문소정 ( So Jeong Moon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0 여성학연구 Vol.20 No.-

        봉준호 감독의 <마더>의 알레고리를 한국 가족변동의 역사적 맥락에 비추어보면, <마더>는 식민지 시기부터 한국사회에서 ‘특별한 기억’으로 전승되어 온 모자 가족의 부활, 신자유주의 시대 양극화과정에서 양산되는 한계 남성(아들)의 지배 복귀와 하층에서 박제화되어 가는 모성의 귀환을 촉구하는 가족욕망을 내장하고 있다. 이러한 가족욕망이 현대 한국사회에서 여전히 욕망으로 존재함은 신자유주의 시대 한계 남성의 가족욕구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사회적 공간에서 실현되기 힘든 부족, 결여로 경험되는 가족이기 때문이다. 또한 <마더>가 내장하는 가족욕망은 신자유주의 시대 여성을 모성이라는 정체성으로 수습하여 윤리성, 인간성, 사회성이 파열된 모성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위험한 어머니를 희생양으로 삼는 신자유주의 가부장적 젠더체계에 입지하고 있다. 이 점에서 <마더>는 오직 위험한 모성의 이야기일 뿐만 아니라 신자유주의 시대 여성, 어머니를 전유하며 지배하는 한계 남성 아들의 이야기이다. 결국 <마더>는 한국의 부계직계 가족규범, 모자가족의 특별한 의미, 신자유주의 가족기획 등 여성을 중층적으로 옥죄는 가부 장제적 가족의 역사를 재생시키는 젠더정치학이다. This paper discusses some postcolonial feminist issues of the < Mother >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Korean family. The family narrative of the < Mother > consists of three plots. These are single-mom families, the disable only son and crazed mothering(very strange word choice).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Korean family, the Family narrative of the < Mother > has a built-in three family desire. Historicalzed this desire of family, that is the resurrection of the single-mother family, dominancy of the son and motherhood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Korean resistant nationalism from the colonial period. And the subject of the family desire of the < Mother > is the marginalized men of deconstructed families under the neoliberalism period of 1990s in Korea. Therefore the < Mother > is not only a narrative of women, but also of marginalized men in the neoliberal times. This has the character of neoliberal patriarchism in globalized capitalism.

      • KCI등재후보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남북여성연대

        문소정 ( So Jeong Moon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5 통일과 평화 Vol.7 No.2

        이 연구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갖고 조직된 초국적 여성연대에서 성취된 남북여성 연대의 경험에 주목하였다. 특별히 다음과 같은 남북여성의 연대 경험에 초점을 맞추었다. 남북여성연대에서 한국과 북한의 연대 주체의 특성과 연대의 시점과 명분,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성격과 해결 방안에 대한 남북한의 입장, ‘아시아여성기금’과 한일기본조약에 대한 남북한의 입장, 2000년 「여성국제법정」에 대한 남북한의 참여방식, 2000년 이후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 운동의 글로벌화 등이다. 연구결과, 첫째,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연대 주체는 한국의 경우 1990년11월 조직된 정대협, 북한은 1992년 8월 출범한 종태위(조대위)이다. 정대협은 한국여성 운동지형에서 ‘진보적’이라고 명명되는 여성단체이다. 종태위(조대위)는 북한의 노동당과 정부의 산하, 외곽단체로서 당의 정책을 수행하는 조직이다. 둘째,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남북여성연대는 1992년 8월, 9월에 정대협의 제안으로 시작되었다. 2000년 「여성국제법정」의 북한의 참여는 한국의 정대협의 제안에 의해 이루어졌다. 2000년 「여성국제법정」 이후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 운동의 글로벌화와 「국제연대협의회」 조직은 북한의 종태위(조대위) 제안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남북여성연대는 2000년 이전에는 한국의 정대협이 선창하고 북한이 화답하는 남창북수(南唱北隨), 2000년 이후에는 북한의 종태위(조대위)가 선창하고 한국이 화답하는 북창남수(北唱南隨)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셋째,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한 사회역사적, 정치적 쟁점인 일본군 ‘위안부’의 용어문제,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성격, 책임자처벌 요구, ‘아시아여성기금’, 한일기본조약등에서 한국과 북한의 입장과 주장은 일치하였다. 이 지점에서 한국과 북한은 탈식민주의적 인식을 함께 갖고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politics of solidarity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 women about the issue of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since the 1990s. Several findings of this research have been the followings. First, solidarity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 women about the issue of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was accomplished by Korean Council for Women Drafted for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in 1992. Second, South Korean women joined with the North Korean women about a few issues, namely using the terms and nature of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asking for “punish those who were responsible.” Further, South Korean women agreed with North Korean women on the point of the ‘Asian Women’s Fund’ and the South Korea-Japan Treaty signed in 1965. Therefore women of North and South Korea met together at postcolonial activism. And Korean Council for Women Drafted for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invited North Korea to join The Women``s International War Crimes Tribunal in the year 2000. North Korean women had a particularly important role to globalize the issue of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and demanded an official apology as well as proper legal reparation from Japan since the 2000s.

      • KCI등재

        동아시아 페미니즘 시각에서 본 한국여성평화운동에 관한 연구

        문소정 ( So-jeong Moon ) 한국사회사학회 2009 사회와 역사 Vol.0 No.84

        이 연구는 1990년대 말에 창립된 한국여성평화운동단체인 ‘평화를 만드는 여성회(이하 평화여성회)’의 인지적 실천에 초점을 맞추어, 인지적 실천을 통해 생산된 생각, 논리, 담론 등의 정치적 성격과 그 딜렘마를 고찰한 것이다. 연구결과, ‘평화여성회’는 한국여성운동의 이념적 지형에서 ‘진보’로 명명되는 여성단체로 한국의 여성평화문제를 한반도적 맥락에 철저하며 동아시아의 글로컬 맥락에서 사유하는 인지적 실천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평화여성회’의 인지적 실천에는 ‘현실과 운동담론’의 ‘불가통념’으로 경험된 딜렘마가 있었다. 그것은 ‘평화여성회’의 인지적 실천이 국가안보, 군사안보에 기초한 반평화적 역설적 한국 현실에서 굴절된 경험이었다. 또한 인간안보, 적극적 평화 개념 등에 기초하여 구성된 ‘평화여성회’의 인지적 실천이 반평화적이고 역설적인 한국 현실을 비판하는 것을 넘어서서 민족과 국가의 경계를 재구성하는 탈식민주의적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비전을 담보하지 못하는 근본적 한계를 발견하면서 갖게 된 경험이었다. 1990년대 탈냉전과 지구화에 의해 글로벌/초국적 여성운동 공간이 열리면서 서구여성평화운동의 의제와 개념, 논리, 담론의 영향에 의해 지역여성운동이 탈지역화, 식민화되는 위험이 항존하는 가운데 ‘평화여성회’가 인지적 실천과정에서 운동담론과 현실의 ‘불가통념’을 발견적으로 경험한 것은 ‘평화여성회’의 인지적 실천이 동아시아 탈식민여성주의 정치학의 단초를 갖기 때문이다. This research seeks to read the politics of cognitive praxis of Korean women’s peace movement in East-Asian context.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t focuses on the cognitive praxis of peace movement of ‘Women Making Peace’(or WMP). Women’s peace movement of WMP in Korea began in the late 1990s aiming at the peaceful re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and the peace in East-Asia. By using the concept of cognitive praxis,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knowledge of WMP’s peace movement so far has been constructed. Knowledge is conceps, ideas and the intellectual activities constructed by WMP’s peace movement. Data are collected of the documents of WMP and oral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 with six women activists of WMP. These women are WMP staff-members. Several findings of this research have been the followings. The objective of WMP’s peace movement aims at peaceful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anti-war disarmament of East-Asia. This objective is defined in the East-Asian postcolonial feminist cognitive praxis. Therefore issue-fighting of WMP’s peace movement has several dilemmas in cognitive praxis. On the one hand, there is militaristic culture embedded in Korean society, in that situation it is impossible to guestion about armed forces and weapons to keep security of Korea from the colonial period. On the other hand, the cognitive praxis of WMP’s peace movement bases on the ideas, concepts and knowledge developed in peace movement and peace studies in the West. Namely, the examples are the conceps of human- security, positive peace, structural and cultural violence and so on. there is difficulties to confirm the relevance of this concepts and discourses to Korea in the post-colonial period.

      • KCI등재

        부산의 일본군 ‘위안부’ 운동의 사이성에 관한 연구 - 부산정대협을 중심으로 -

        문소정 ( Moon¸ So-jeong )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21 항도부산 Vol.41 No.-

        이 연구는 부산에서 거의 30여년간 활동해 온 정신대문제대책부산협의회(이하 부산정대협 약칭)의 일본군‘위안부’운동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이성 개념에 비추어 부산정대협의 등장과 정체성, 활동사례 등이 정대협과의 사이에서 교섭과 전이에 의해 구성되는 점에 초점을 맞추었다. 자료는 문헌자료, 현장조사, 인터뷰와 자문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부산정대협은 정대협보다 1년 정도 늦게 조직되었다. 부산정대협의 등장에는 1980년대 부산여성운동의 전환기에 보수적이라는 여협에서 활동해온 여성들이 여협을 벗어나서 여성단체를 만드는 움직임이 배경으로 드리워져 있었다. 이러한 움직임 속에서 부산정대협은 정대협의 정체성과 다른 조직적, 이념적 이력과 지향을 가진 단체로 출범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산정대협의 정체성, 단체명과 활동방식과 활동사업은 정대협으로부터 자유롭지 않았다. 정대협은 일본군 ‘위안부’문제해결을 위해 국내, 아시아, 글로벌 수준에서 선도적으로 활동하는 전국적 연합조직으로서 그 영향력이 강하였기 때문이다. 그 결과 부산정대협이 구성한 정체성은 정대협의 정체성과 비슷하지만 차이가 있다. 그리고 부산정대협이 구성한 표상된 정체성에는 정대협과의 착시현상을 유발하는 점이 없지 않다. 또한 활동사업과 활동사례에는 부산정대협이 추구한 지역성이 담겨 있다. 이러한 지역성으로 인해 부산정대협과 정대협의 사이에 차이성이 나타나고 있으며, 차이성 속에는 혼종적 성격도 포착된다. 끝으로 부산정대협의 위안부 운동의 이러한 특성이 일본군 ‘위안부’문제해결에 미치는 의미와 한계를 고찰하였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women’s movement for 'comfort women' of Busan Council for Women Drafted for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hereafter BCWDSSJ). For the sake of this research, this article attempts to compare BCWDSSJ with Korean Council for the Women Drafted for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hereafter KCWDSSJ). Until now, KCWDSSJ has conducted the 'comfort women' movement, it has been difficult to break free from the politics of KCWDSSJ. Terefore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space in between BCWDSSJ and KCWDSSJ through the lens of in-betweenness. And this research employs the reports published by BCWDSSJ and the interviews with activists. Some of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ing. it seems to become a member of KCWDSSJ, BCWDSSJ is not a member of KCWDSSJ. In the process of movement for 'comfort women', BCWDSSJ follows KCWDSSJ, but BCWDSSJ is not identical to KCWDSSJ.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iscuss the critical issues of locality, difference and hybridity in the space of in-betweenness of BCWDSSJ and KCWDSSJ.

      • KCI등재

        현모양처/양처현모 정체성을 통해 본 한일 여성의 일상적 삶의 질 비교 연구

        문소정 ( So-jeong Moon ) 한국사회사학회 2002 사회와 역사 Vol.0 No.61

        null According to the theoretical approaches, Numer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provide the definition of ‘quality of life‘(QOL) and so on. In formulating a definition, most specialist agree that the QOL correlated with the objective-subjective dimensions. These two dimensions are important to study of QOL. Nevertheless these two dimensions are insufficient to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f QOL of women. Generally speaking, the QOLA of Japanese women is higher than Korean women`s by the objective indicator of QOL. But taking into account the subjective dimension the QOL of Japanese women is not higher than Koreans. This contention will be verified by the socio-historical and phenomenological approaches. Therefore this study understands QOL of women in Korea and Japan from the socio-historical point of view.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women`s life assignment in the specific-sphere of the family and employment activity that give the fundamental experiences to women in the late-modern society, and to analyze and compare with the politics of wise mother and good wife`s identity between Korea and Japan. In conclusion, Korean women more experienced the dissatisfaction with the inconsistency between progressive thinking and patriarchic influence of the wise mother and good wife`s identity than Japanese women. And that experiences gives the women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imbalances in Korea.

      • KCI등재

        한국가족 다양화담론의 다양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문소정(So-Jeong Moon)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08 아시아여성연구 Vol.47 No.2

        본 연구는 1990년대 이후 한국 사회의 가족이 겪고 있는 변화, 즉 핵가족의 정상성 해체와 가족의 다양성을 거시적으로 접근한 다양화론이 통일되어 있지 않다는 것에 주목하고 그 정치적 성격이 매우 상이한 것에 기초하여 세 가지 한국가족 다양화담론을 재구성하고, 이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재구성한 세 가지 한국가족 다양화담론은 아노미 다양화담론, 해체 다양화담론, 포스트모던 다양화담론이다. 아노미 다양화담론, 해체 다양화담론, 포스트모던 다양화담론은 1990년대 이후 한국가족에서 일어나고 있는 핵가족의 정상성 해체 및 다양성을 대상으로 하지만, 이러한 가족변화를 보는 정치적 입장이나 가족정책이 동일하지 않다. 그 차이성을 가족다양화에 대한 상황정의, 강조하는 다양한 가족유형, 가족다양화의 원인, 가족정책 등의 정치적 쟁점에 초점을 맞추어 비교하였다. 이러한 비교 결과 각각의 한국가족 다양화담론은 한국가족의 양극화 속의 가족들간(families)의 다양한 차이(별)성, 하나의 가족(family)가 내포하는 다양한 차이(별)성을 드러내지 못하는 한계가 없지 않다. 특히 다양화라는 개념은 한국가족변화가 지닌 계급(층)적 차별성을 다원적 의미의 수평적 차이성을 갖는 것으로 채색하는 정치적 효과가 있다. 이러한 다양화담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한국가족의 변화를 양극화 속의 다양성과 특정 가족의 계층별, 성별, 연령별 질적 차이성 및 차별성을 드러낼 수 있는 한국가족 변화론의 재구성이 필요하다. 아울러 이러한 인식의 전환에 기초한 다양한 가족들간, 특정 가족의 계급(층)별, 성별, 연령별에 따른 다양한 차이성이 아니라 차별적 다양성을 규명하는 실증적 연구가 축적되어야 한다. This study examines critically diversity of diversification discourses about Korean family since the 1990s. Consequently, three type of discourses are discovered. Namely, they are anomie diversification discourse, deconstruction diversification discourse and post-modern diversification discourse, which has been suggested since the 1990s. However there is, still, serious differences among three discourses in some family issues. First, anomie diversification discourse interprets the diversity of Korean family as the ‘anomie state'. However, Korean anomie diversification discourse does not accept the post-modern rhetoric in Western family. So, anomie diversification discourse differs from the post-modern discourse. Second, through deconstruction diversification discourse, the diversity of Korean families as the ‘deconstruction' of the modern-nuclear family has bees shown. This discourse suggests that ‘deconstruction' of modern-nuclear family be the crisis of Korean family, which can't be solved without changing Korean political-economic status as part of global capitalist system. Third, post-modern diversification discourse insists the diversity of Korean families be characterized by the post-modernity and be viewed as ‘development'. In conclusion, through those three diversification discourses, we cannot understand the change of Korean family. To solve this problems, it is necessary to build family theories on the polarization of Korean family from the historical context of political-economics.

      • KCI등재

        [연구논문] 이효재 가족연구에 대한 고찰-한국가족ㆍ여성의 정치경제적 맥락과 역사적 발전-

        문소정(So Jeong Moon) 한국가족학회 2004 가족과 문화 Vol.16 No.2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Korean family and women's studies in Hyo Chae Lee from the 1960s to the present to explore the dilemma of researchers in the Third W orid. Three main points are discussed. First, the structural-functionalist approach shifted to post-colonial feminism. Second, some research has been free of Western theories and is instead based upon various theorie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feminist viewpoint in the Third World. Third, there has been a reappearance of family history starting in the 1980s, particularly studies of Korean family history as it relates to the political-economic system.

      • KCI등재

        행동하는 자료관 「WAM」과 일본군 ‘위안부’의 기억정치학

        문소정(Moon, So-Jeong)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7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50

        The primary object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litics of memory of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problems at Women’s Active Museum on War and Peace, known as the WAM. For the purpose of this object, this study focuses the exhibition and signification of the ‘comfort women’ at the WAM from the perspective of transnational feminis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ictures of the women victims of the Japanese military sexual violence(155 women all over Asia during World War II) welcome people who visit the WAM. This exhibition of survivor’s portraits is to free from Korean comfort women. Second, The regular exhibition of the “Comfort Stations” all over Asia is to free from Korean comfort women. Third, the WAM exhibits former soldiers testifying about their crimes in China, Burma, The Philippines, East Timor etc. This exhibition has the effect of showing another face of Japan. Therefore the WAM focuses on the issue of ‘military comfort women,’ those forced to offer sexual service to Japanese soldiers during the Asia–Pacific War. The WAM has been leading political activism against right‐wing nationalists who deny the history of military sexual slavery. But the WAM brings Korean feminist nationalism who tried to clarify the nature of ‘victimihood’ in the context of colonialism political défferance to remember the war and comfort women.

      • 일본의 여성정책과 중고령층 여성의 취업동향

        문소정(So-Jeong Moon) 신라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2011 젠더와 사회 Vol.22 No.-

        이 연구는 일본의 중고령층 여성, 즉 50-60대 연령층의 취업동향과 취업활성화 정책을 살펴보고, 나아가 한국의 중고령층 여성의 취업활성화를 위한 정책수립에 대한 함의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일본 정부기관에서 발행하는 백서, 통계자료 등 문헌연구, 관련 기관에 대한 홈페이지 검색과 이메일 인터뷰, 전화 인터뷰 및 중고령층 여성의 취업과 직업교육 프로그램 등에 대한 총체적인 기획과 구체적인 실태를 알고 있는 동경도 산업노동국 취업추진과 고령자 취업담당자에 대한 면담 인터뷰를 활용한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연구결과 1990년대 이후 지속되는 일본의 경기후퇴 속에서, 특히 2000년대 남성의 경제활동참여율이 극히 불안정해지는 추세를 배경으로 할 때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율의 점진적 증가는 눈에 띄는 현상이었다. 특히 여성의 노동시장동향에서 중고령층 50-60대 여성의 고용 증가에는 남녀공동 참획기본계획과 여성정책, 효율적인 취업활성화 기구 그리고 해당 지자체의 인력수요와 구직요구의 조직적 연계가 뒷받침되어 있었다. 특히 일본에서는 중고령층 여성의 취업활성화를 위하여 해당 지역의 중고령자의 인력수요에 기초하여 산업체 관련 단체, 조직과 협력하고 연계하는 시스템을 통해 적합한 직종 개발, 직업교육과정에 대한 위탁교육, 그리고 이러한 시스템에서 직업교육과정을 수강한 구직자의 대략 70% 정도를 취업으로 연결시키고 있었다. 한국에서도 일본처럼 중고령층 여성의 구직 요구를 산업체 관련 단체와 조직의 현실적인 구인 수요에 바탕하여 직종개발, 교육, 취업 등에서 조직적으로 연계시키는 것은 참조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2000년대, 특히 2005년 일본 여성정책의 초점이 30-40대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에 두면서, 이 연령대 여성의 취업이 점진적으로 향상되면서 반사적으로 보육, 고령자 개호 헬퍼 등 돌봄 영역의 일자리가 늘어나서 중고령층 여성의 취업상승이라는 선순환적인 효과를 발휘하지 않았나 추론된다. 따라서 이 두 연령대의 경제활동참여율 상승은 서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에서도 30-40대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을 지원하는 것이 50-60대 중고령층 여성의 취업을 상승시키는 동반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판단된다. The demographic trend that Korea is destined to be an aged society needs new policies for them. To maintain their working life and improve life quality, both employability improvement and vocational competence education system to support them are definitely necessary. Therefore this research tries to explore for the characteristics of policies to strengthen the employability of middle-old aged women in Japan. In Japan, the government has developed many policy programs in order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of middle-old aged women to the labour market. And these programs give very practical help to middle-old aged women. These Japanese policies is strongly recommendable to Korea in order to help middle-old aged women to become more productive generation. And the government should try to create diverse decent jobs in communities, provide one-stop services and training opportunities for employment of middle-old aged wo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