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이성 뇌암 환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문도호,최화숙,Moon, Do-Ho,Choe, Wha-Sook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5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8 No.1

        목적: 치료에 관계없이 뇌전이는 예후가 불량하다. 본 연구는 뇌 전이로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받았던 환자를 대상으로 적절한 돌봄을 받았는지를 알아보고 임상적인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3년 3월부터 2005년 3월까지 본원의 호스피스 병동에서 뇌전이로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받았던 40명의 말기 암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조사하였다. 결과: 대상자 중 남자 20명(50%), 여자 20명(50%)이며 연령의 중간값은 64세 였다. 가장 많은 암은 폐암으로 22명(55%)이고 다음으로 위암 5명(13%), 유방암 3명(8%) 순서였다. 원발암에 대한 전치료는 전혀 치료를 하지 않은 환자가 16명(40%)이고 항암치료는 20명(50%)를 받았다. 뇌전이 때의 증상은 두통 12명(30%), 의식변화 10명(25%), 국소 약화 9명(23%), 경련 4명(10%) 순서였다. 호스피스 병동의 입원 이유는 의식변화가 13명(33%)으로 가장 많았고 통증이 9명(23%)였다.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받게 된 이유로 환자와 가족이 원한 경우가 14명(35%), 의사가 의뢰한 경우가 1명, 그 나머지 25명(62%)은 본원에서 보존적인 요법을 받던 중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받게 된 경우이다. 호스피스 병동에서 입원기간의 중간값은 19일이었으며 호스피스 완화의료로 전원 후 생존기간의 중간값은 41일이었다. 뇌전이 진단 후 중간 생존기간은 87일이었다. 결론: 전이성 뇌암 환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기간은 환자를 돌보기에는 충분하지 못하였다. 효과적인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위해서는 의사와 환자, 가족에 대한 지속적인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과 홍보가 필요하리라고 생각된다. Purpose: Regardless of treatment, brain metastases are associated with a poor prognosis. We aime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ancer patients with brain mestastases they after admission into a hospice unit and knowing they have received appropriate hospice and palliative care.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in 40 cancer patients with brain metastases they after admission into a hospice unit from March in 2003 to March in 2005. Results: There were 20 males (50%) and 20 females (50%), and the median age of the patients was 64 years. The most common cause of brain metastases was lung cancer (22 patients, 55%), followed by stomach cancer (5, 13%) and breast cancer (3, 8%). Sixteen patients (40%) have never been teated and 20 patient have received the chemotherapy for the primary cancer. The most common symptom of cancer patients with brain metastases is headache (12 patients, 30%), followed by mental change (10, 25%), focal weakness (9, 23%) and convulsion (4, 10%). The most prevalent cause for admission was mental change (13 patients, 33%), followed by pain (9 patients, 23%). The reasons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were through recommendation of physician (1 patient, 3%), patient and family self (14, 35%) and the others (25, 62%). Twenty five of the others has been referred to hospice and palliative care during conservative management after referral and enrolled at hospice unit. The median hospitalization was 19 days and median survival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was 41 days. The median survival was 87 days from the day when the cancer patients have been diagnosed as brain metastases to death. Conclusion: The duration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was not enough to care the cancer patients with brain metastases. We suggest physicians, patients and family need the education and promotion for effective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KCI등재

        완화적 시술을 받은 악성 위장관 폐색 말기 암환자의 임상적 예후인자

        문도호,최화숙,Moon, Do-Ho,Choe, Wha-Sook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5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8 No.2

        목적: 악성 위장관 폐색 환자에서 완화적 시술이나 수술은 폐색의 다양한 증상을 조절할 뿐만 아니라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 본 연구는 완화적인 시술을 받았던 악성 위장관 폐색 말기암 환자의 임상적 특징과 예후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2년 5월부터 2005년 5월까지 본원에서 악성 위장관 폐색으로 진단받아 완화적인 시술을 받았던 48명의 말기암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완화적인 암절제 환자는 제외하였다. 임상적 특성과 시술내용을 조사하였고 예후인자는 log-rank test를 이용한 단변량 분석을 하고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인자는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을 사용하여 다변량 분석을 하였다. 결과: 연령의 중앙값은 65세이고 남자가 25명(52%), 여자가 23명(48%)이었다. 가장 많은 암은 대장직장암으로 26명(55%)이고 다음으로 10명(21%)의 위암이었다. 치료를 전혀 받지 않았던 환자는 25명(58%)이었고 20명(42%)은 치료를 받았으며 이 중 18명은 항암 치료를 받은 과거력이 있었다. 가장 흔한 증상은 통증으로 15명(31%)이었다. 활동도 1점 혹은 2점이 23명(48%), 3점 혹은 4점이 25명(52%)이었다. 가장 많은 완화적인 시술은 대장루술로 19명이 받았다. 완화적 시술로 인한 사망은 없었다. 단변량과 다변량 분석에 의해서 전체 생존기간과 무증상 생존기간에 대하여 활동도 만이 의미있는 독립 예후인자였다. 전체 중간 생존기간은 150일이었으며 무증상 중간 생존기간은 90일이었다. 결론: 완화적 시술을 받은 악성 위장관 폐색 환자의 전체 중간 생존기간과 무증상 중간 생존기간에 대하여 활동도만이 유일한 독립 예후인자였다. Purpose: Palliative procedures or surgical interventions not only manage various symptoms of malignant gastrointestinal obstruction, but als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We investigat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ognostic factor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with palliative procedures for malignant gastrointestinal obstruction.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48 terminal cancer patients with palliative procedures for malignant gastrointestinal obstruction at Sam Anyang hospital from May in 2002 to May in 2005. We excluded patients with palliative tumor resection. We analyzed prognostic factors in symtom-free survival and overall survival using Kaplan-Meier method,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is. Results: There were 25 males (52%) and 23 females (48%), and median age of 48 patients was 65 years. The most common cause of malignant gastrointestinal obstruction was colorectal (26 patients, 55%), followed by stomach (10, 21%). Twenty patients (42%) received previous treatment (chemotherapy, surgery, and radiotherapy) and 28 (58%) never received any. Eighteen of 20 had received chemotherapy. The most common symptom was pain (15 patients, 31%). Twenty three patients (48%) had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ECOG) performance status of 1 or 2 score and 25 patients (52%) 3 or 4 score. The most common palliative procedure was colostomy and there was no mortality concerning the palliative procedures. By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is, performance status was the only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in overall survival and symptom-free survival. Overall survival was 150 days and symptom-free survival was 90 days. Conclusion:. We confirmed that perftatdormance status is significant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in terminal cancer patients with palliative procedures for malignant gastrointestinal obstruction.

      • KCI등재

        말기암 환자의 악성 장 폐색

        문도호,최화숙,Moon, Do-Ho,Choe, Wha-Sook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4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7 No.2

        목적: 말기암 환자의 장 폐색은 예후가 비교적 나쁘다. 의사들도 삶의 질 측면에서 완화적인 시술이나 수술을 고려하고 있으나 결정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있다. 본 연구는 말기암 환자의 장 폐색 진단 후 임상적 특징, 완화적 시술이나 수술을 받았던 환자에서 생존 기간과 예후 인자를 조사하여 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2년 5월부터 2004년 5월까지 본원을 방문한 말기암 환자로 장 폐색 진단을 받았던 40명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남자가 21명(53%), 여자가 19명(47%)였고 나이의 중간값은 $64.1{\pm}1.58$세였다. 장 폐색의 가장 많은 원인은 대장직장암이 18명(45%)이였으며 위암 11명(28%), 췌장암 4명(10%), 기타 7명(19%) 순이였다. 장 폐색 진단 시 가장 많은 전이는 복막전이가 14명(35%) 가장 많았고 다음이 간 전이가 13명(33%)였다. 폐색 시 증상은 구토가 15명(38%)로 가장 많았고 복부통증 10명(25%), 변비 6명(15%), 복부 팽만 5명(13%) 이였다. 일상수행능력(ECOG)은 3점이 20명(50%0, 2점 16명(40%), 4점(10%)였다. 완화적 시술이나 수술을 받았던 군이 30명이였고 받지 않았던 군이 10명이였다. 완화적 시술이나 수술을 받았던 군에서 치료를 받았던 시점에서 중간생존기간은 142일로 받지 않았던 군의 장 폐색 진단시부터 중간생존기간 30일에 비하여 유의하게 중간 생존기간이 길었다. 예후 인자로는 생활수행능력상태 2점과 하부 장 폐색과 대장암에 의해서 폐색이 있는 경우에 유의하게 생존기간이 길었다. 결론: 말기암 환자의 장 폐색은 적응증이 될 경우에 적극적인 완화적 시술이나 수술을 고려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As for the malignant bowel obstruction of terminal cancer patient, a prognosis is relatively bad. Physicians consider palliative procedures or surgery for the quality of life, but sometimes it is hard to decide. After diagnosis of a malignant bowel obstruction in terminal cancer patients, we investigat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the prognostic factors and the survival of patients with palliative procedures or surgery.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in 40 malignant bowel obstruction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as terminal cancer from May in 2002 to May in 2004. Results: There were 21 males (53%) and 19 females (47%), and median age of patients was $64.1{\pm}1.58$ years. The most common cause of malignant bowel obstruction was colorectal cancer (18 patients, 45%), followed by stomach cancer (11, 28%), pancreatic cancer (4, 10%), others (7, 19%). Metastases were carcinomatosis peritonei (14 patients, 35%), liver (13, 33%). During a bowel obstruction, symptoms were vomiting (15 patients, 38%), abdominal pain (10, 25%), constipation (6, 15%), abdominal distension (5, 13%). Performance status (ECOG) was 2 score (16 patients, 40%), 3 score (20, 50%), 4 score (4, 10%). Palliative procedure group were 30 patients, the others 10. Median survival in palliative procedure group was 142 days, that of no palliation group 30. Median survival time of palliative procedure group from palliative procedures or surger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o palliation group from diagnosis of malignant bowel obstruction. Prognostic factors of palliative procedure group were PS, site of obstruction and primary cancer. Median survival in PS 2, lower GI obstruction and colorectal cancer was higher than PS 3, upper GI obstruction and others, respectively. Conclusion: we recommend aggressively palliative procedures or surgery in malignant bowel obstruction patients diagnosed with terminal cancer if palliative procedures or surgery could be performed effectively.

      • 말기 암 환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의사들의 태도

        문도호,이명아,고수진,최윤선,김수현,염창환,Moon, Do-Ho,Lee, Myung-Ah,Koh, Su-Jin,Choi, Youn-Seon,Kim, Su-Hyun,Yeom, Chang-Hwan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6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9 No.2

        목적: 본 연구는 말기 암 환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의사들의 태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과 경지지역의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전문의를 대상으로 호스피스 완화의학 연구회에서 자체 개발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말기 암 환자에서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였다. 설문지는 총 1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실수, 중앙값과 백분율로 분석되었다. 결과: 총 81명(남자 46명, 여자 35명)이 설문지에 응답하였으며 나이의 중앙값은 35세였다. 내과가 36명(44.4%)으로 가장 많았다. 전문의 경력의 중앙값은 4년이었다. 1주일에 진료를 하는 환자 수는 거의 환자를 보지 않는 경우가 43명(53.2%)으로 가장 많았다.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정확한 정의를 알고 있는 의사수는 37명(45.6%)이었다.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필요성에 대하여 80명(98.8%)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이 중에 73명(91.2%)이 완화의학 전문의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말기 암 환자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의뢰하겠는가에 대한 질문에 55명(67.9%)이 그렇게 하겠다고 응답하였으며 이 중 17명(30.9%)은 주저한 경험이 있는데 이유로 가족의 반대가 6명(35.3%)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환자를 포기하는 것 같아서'로 응답한 의사가 4명(23.5%)이었다. 적극적으로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의뢰하지 않은 22명(27.2%)에 대하여 이유로 '환자를 포기하는 느낌'과 기타 사항으로 '절차를 모른다'가 각각 6명(27.2%)으로 가장 많았다. 37명(45.7%)의 의사가 임종 전 3개월에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받는 것이 가장 좋다고 응답하였으며 가장 도움을 받는 것은 정신적, 심리적 조절이라고 응답한 의사가 58명(71.6%)으로 가장 많았다. 결론: 대부분의 의사들이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으나 말기 암 환자에 대한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의뢰하는 적극적인 자세는 부족하였다. 의사들에게 지속적인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교육과 정보, 홍보가 필요하리라고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understand the doctor's attitude toward hospice and palliative care for terminal cancer patients. Methods: Specialists who work at general hospital were surveyed with questionnaires about hospice and palliative care for terminal cancer patients. The questionnaires comprise 17 items.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Results: Eighty one doctors responded. Their median age was 35 years old. Thirty six doctors (44.4%) were from internal medicine. The median of specialist's experience was 4 years. Forty three respondents (53.2%) have rarely examined and treated cancer patients even a week. Thirty seven respondents (45.6%) knew the exact definition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Eighty respondents (98.8%) felt that hospice and palliative care is necessary, and 91.2% of them responded the necessity of palliative medicine specialist. As to the question 'Do you positively referred terminal cancer patient to hospice and palliative care?', 55 respondents (67.9%) responded 'Yes' and 22 (27.2%) 'No'. Among the 'Yes' respondents 17 (30.9%) had an experience of hesitation for referring patients to hospice and palliative care; the most common reason was the disagreement of family members (6, 35.3%). As for the reasons of responding 'No', 6 doctors (27.2%) did so because of their 'feeling of abandoning the patients' and the other f for the 'lack of information on the referral procedure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Thirty seven specialists (45.7%) thought it is most desirable for the patients to have hospice and palliative care for 3 months before death. Fifty eight specialists (71.6%) responded that hospice and palliative care help controlling the patient's psychological symptoms before all. Conclusion: While most doctors recognize the need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for patients with terminal ranter, their attitude toward hospice and palliative care was rather reserved. We suggest that continuing education, information and promotion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hould be provided for doctors.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말기 위암 환자의 임상적 특성과 예후 인자

        김수재,문도호,이춘섭,이정호,김태균,박중철,이지은,Kim, Soo-Jae,Moon, Do-Ho,Lee, Choon-Sub,Lee, Jung-Ho,Kim, Tae-Gyun,Park, Jung-Chul,Lee, Ji-Eun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7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0 No.4

        목적: 위암은 각종 암 중에서 발생률, 사망률이 높은 암으로, 이런 말기 위암 환자에 대한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호스피스 병동에서 임종한 말기 위암 환자의 임상적 특성과 생존기간에 관련된 인자들을 조사하였다. 방법: 2004년 5월 1일부터 2007년 8월 31일까지 일개 종합병원 호스피스 병동에서 말기 위암으로 임종한 9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실수와 백분율, 빈도와 중간 값으로 제시하였으며 호스피스 완화의료 동안의 생존 기간은 SPSS 13.0의 Kaplan-Meier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99명의 말기 암 환자 중 남자 62명(63%), 여자 37명(37%), 연령의 중간 값은 60.9세이었으며 간 전이가 38명(38%)으로 가장 많았다. 입원 당시 증상은 전신쇠약이 97명(98%), 식욕부진이 85명(86%)이며, 검사실 소견상 저알부민혈증은 87명(88%), 저나트륨혈증이 60명(61%), 빈혈이 72명(73%)에서 있었다. 장폐색이 있었던 환자는 27명(27%)이었으며 이중 완화적 시술을 받은 사람은 17명이었으며 스텐트 삽입법이 11명으로 가장 많았다. 입원 당시 수행능력점수(ECOGPS)가 낮은 경유(P<0.001), 호흡곤란이 있는 경우(P=0.017)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생존기간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호스피스 병동 입원한 기간 중간간은 20일이었고, 전원 시부터 사망하기까지 생존기간의 중간값은 22일이었다. 결론: 보다 더 효율적이고 적절한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제공하기 위해서 말기 위암 환자의 생존기간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에 대해 더 많은 표본에서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대한 지속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Purpose: The prevalence and mortality of gastric lancer is high. We studied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ognostic factors of the advanced gastric canter patients who had died in the hospice care unit. and our study is the basic report for efficient hospice and palliative care for the terminally ill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99 advanced gastric cancer patients who had died in a hospice rare unit from May 2004 to August 2007. The survival days during the hospice and palliative care were analyzed using Kaplan-Meier method of SPSS version 13.0. Results: There were 62 males (63%) and 37 females (37%). Median age of patients was 60.9 years and liver metastasis was as high as 38 patients (38%) of all. The most prevalent symptom of admission was general weakness (97%) and poor or intake (86%). There were also bypoalbuminemia (88%), anemia (73%), and hyponatremia (61%). Palliative procedure was performed on 17 (63%) out of 27 patients with intestinal obstruction. Of these stents were inserted to 11 patients. The stores of ECOGPS and dyspnea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length of survival. The duration of median survival and hospitalization in the hospice and palliative care was 22 days and was 20 days respectively. Conclusion: We need to study more about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dvanced gastric rancor patients to predict the length of survival for an effective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말기 대장직장암 환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홍영화,이춘섭,이주리,이정호,김유진,이태규,문도호,Hong, Young-Hwa,Lee, Choon-Sub,Lee, Ju-Ri,Lee, Jung-Ho,Kim, You-Jin,Lee, Tae-Kgyu,Moon, Do-Ho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7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0 No.1

        목적: 결장직장암은 우리나라 암 사망 원인 중 4번째를 차지하는 암으로, 현재 지속적인 증가추세에 있다. 본 연구는 호스피스 병동에서 임종한 말기 결장직장암 환자의 임상적 특성과 호스피스 생존기간 및 치료 내용에 대한 고찰을 통해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3년 4월부터 2006년 11월까지 샘 안양병원 호스피스 병동에서 말기 결장직장암으로 임종한 7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조사하였다. 결과: 78명의 말기 결장직장암 환자 중 남자가 45명(58%), 여자가 24명(42%)으로 남자가 1.36배 많았으며 평균연령의 중간값은 59.6세였다. 호스피스 등록 이전에 진통제를 복용하고 있던 환자는 48명(62%)이었으며 이 중 31명(65%)은 마약성 진통제를 복용하고 있었다. 가장 흔한 증상은 통증으로 70명(90%)이 호소하였으며 가장 많은 입원 이유 역시 통증으로 38명(49%)이었다.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기간의 중간값은 22일이었고 호스피스 전원 시부터 사망하기까지 생존기간의 중간값은 36일이었다. 장폐색이 있었던 환자는 38명(49%)이었으며 이중 완화적 시술을 받은 사람은 27명(71%)이었다. 완화적 인공관 삽입이나 수술을 받은 완화적 치료 군에서 중간 생존기간이 47일, 비 치료 군에서 19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완화적 치료 군에서 생존기간이 증가되었다. 결론: 말기 결장직장암 환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에서 이전의 연구들과 비슷하게 호스피스 완화의료 기간이 짧았다. 적절하고 효과적인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위해서는 의사와 환자, 가족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관심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으로 해석되었으며 adhesion은 firmness와 부(負)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5 MeV 광자빔에 대해 AP, PA방향 각각 -0.5%와 7.3%의 낮은 선량차이를 보였다. Zubal팬텀에 의해 계산된 선량환산인자는 ICRP74에서 제공하는 값과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수정된 MIRD팬텀은 Zubal팬텀의 값에 준하는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수정된 MIRD팬텀은 기존에 사용되던 선량환산계수의 수정에 사용될 수 있으며 수학적팬텀의 장점을 살리면서 실제 인체에 근접한 선량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서는 생육(生育)이 불가능(不可能)하였으나 홍삼정(紅蒙精)의 기준수분함량(基準水分含量)(36.0${\pm}$1.0%)보다 4%정도 상향조정(上向調整)한 40.0${\pm}$1.0%로 적정수분함량(適正水分含量)을 설정(設定)하는 것이 유통과정(流通過程) 중의 점도(粘度)의 증가(增加) 등의 문제점을 다소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s의 순으로 유의한 크기차이를 보였다(p=0.00). Sinotubular junction의 둘레 길이는 대동맥 판륜의 길이보다 9.3% 작았고 sinotubular junction이 aortic annulus에 대해 좌후측으로 기울어져 있었다.된 종이 발생하였을 것으로 사료된다. 실측 유량자료 분석에 의하면 홍수기 최대유량 변화는 크지 않으나, 갈수기 최소유량은 크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고, 대다수 어류의 산란기인 봄철(5월, 6월) 최소유량은 증가하였으나, 최대유량은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어류생태계에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이 있으며, 향후 Purpose: Colorectal ranter is the 4th leading cause of cancer death in Korea and the prevalence is increasing continuously. This study was aimed to figure out the problems through the clinical consideration about terminal colorectal ranter patients who had died in hospice unit.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in 78 patients with colorectal ranter who had admitted, received palliative care, and died in a hospice unit between April 2003 and November 2006. Results: The median age of patients was 59.6 years with 45 men (58%) and 24 women (42%). The median survival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was 36 days. The median hospitalization was 22 days. The most prevalent reason for admission was pain (38 patients, 49%), and the most common symptom was also pain (70 patients, 90%). Forty eight patients (62%) took analgesics before hospice referral. Twenty seven patients (65%) of 45 patients with intestinal obstruction have been performed palliative procedures. Median survival of patients with palliative procedure was higher than that of no palliative procedure group (47 days vs 19 days, P-value=0.005). Conclusion: The duration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was not enough to care the terminal colorectal cancer. Therefore, we suggest that proper education and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to physician,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for effective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일개 호스피스 병동에서 임종한 말기 폐암 환자의 임상적 고찰

        김유진,이춘섭,이주리,이정호,홍영화,이태규,문도호,Kim, Yu-Jin,Lee, Choon-Sub,Lee, Ju-Ri,Lee, Jung-Ho,Hong, Young-Hwa,Lee, Tae-Gyu,Moon, Do-Ho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7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0 No.2

        목적: 본 연구는 오늘날 증가추세에 있는 폐암 환자에게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호스피스 병동에서 임종한 말기 폐암 환자의 임상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방법: 2003년 3월 1일부터 2006년 12월 31일까지 샘 안양병원 호스피스 병동에서 말기 폐암으로 임종한 12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실수와 백분율, 빈도와 중간 값으로 제시하였으며 호스피스 완화의료 동안의 생존기간은 SPSS 13.0의 Kaplan-Meier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129명의 말기 암 환자 중 남자 93명(72%), 여자 36명(28%), 연령의 중간 값은 68세(범위 $37{\sim}93$세)이었다. 진통제를 복용하고 있었던 환자는 82명(64%)이었으며 그렇지 않은 환자는 47명(36%)이었다. 입원 이유는 호흡곤란이 47명(36%)으로 가장 많았고 이는 일반적으로 말기 암환자의 입원이유가 통증인 것과 다르게 나타났다. 호스피스 병동 입원 후 120명(93%)의 환자에게 마약성 진통제를 사용하였고 주사용 모르핀(103명, 80%)이 가장 많이 처방되었다. 진정제를 사용한 환자는 87명(67%)이었으며 미다졸람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68명, 53%). 호스피스 완화의료 동안의 생존기간의 중간 값은 35일, 입원 일수의 중간 값은 24일이었다. 결론: 말기 폐암환자에서 호흡곤란의 조절은 매우 중요하며 말기 폐암 환자에 대한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기간이 짧아서 효과적인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위해서는 가족과 환자에게 지속적인 교육과 홍보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Purpose: The prevalence of lung cancer is increasing continuously these days. We studied clinical characters of the terminal lung cancer patients who had died in hospice units and our study is the basic report for efficient hospice and palliative care to the lung cancer patient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129 terminal lung cancer patients who had died in Sam Anyang Hospice Unit from March 2003 to December 2006. The survival days during the hospice and palliative care were analyzed using Kaplan-Meier method of SPSS 13.0. Results: There were 93 males (72%) and 36 females (28%), and median age of patients was 68 years (range $37{\sim}93$). Eighty two patients (64%) took analgesics, the others 47 (36%) not. The most prevalent reason for admission was dyspnea (47 patients, 36%) and it was different from the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being hospitalized because of pain. And the most common symptom was general weakness (103 patients, 80%). One hundred twenty of the paitents (93%) were administered opioid analgesics, and IV morphine shots were mostly used (103 patients, 80%). Sedation was used in 87 patients (67%), and midazolam was mostly used (68 patients, 53%). The median survival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was 35 days and the median hospitalization was 24 days. Conclusion: It is very important to manage dyspnea in terminal lung cancer patients. The length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for the terminal lung cancer patients is still short. Therefore continuous education and promotion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is needed for an effective care for the patients, their families and doctors.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