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원위 쇄골 골절에 대한 금속판 고정술 이후 발생된 견봉하 충돌 증후군 - 증례보고 -

        문규필,강민수,최성종,Moon, Kyu-Pill,Kang, Min-Soo,Choi, Sung-Jong 대한관절경학회 2011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5 No.1

        Clavicle Hook pate was commonly used in the injury around distal clavicle such as fractures, acromio-clavicular joint injury. We experienced a case of impingement syndrome following operation of distal clavicle fracture using Clavicle Hook plate. So we report this case with a reiview of current literatures. 갈고리형 금속판(Clavicle Hook Plate)은 원위 쇄골 골절 및 견봉 쇄골 관절 손상 등 쇄골 주변부 손상에 대해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내고정물이다. 저자들은 원위 쇄골 골절에서 갈고리형 금속판을 이용한 내 고정술 후 발생된 견관절 충돌증후군 1 예를 경험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고관절 반치환술 후 흡입 배액관 투관침에 의해 발생한 혈관 손상 -증례 보고-

        문규필 ( Kyu Pill Moon ),강민수 ( Min Soo Kang ),김경택 ( Kyung Taek Kim ),박원로 ( Won Ro Park ),박원석 ( Won Seok Park ) 대한고관절학회 2013 Hip and Pelvis Vol.25 No.4

        고관절 치환술에서 혈관계 합병증은 비교적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고, 주요 혈관의 의인성 손상이나 혈전 형성이 주를 이룬다. 흡입 배액관 유치와 관련된 혈관 손상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본 증례 보고는 대퇴 경부 골절에 대해 양극성 반치환술을 시행한 72세 남자 환자에서 발생한 흡입 배액관투관침에 의한 외측 대퇴회선동맥 분지의 손상에 대한 것으로, 저자들은 유사한 합병증을 방지하고자 문헌 고찰과 함께 본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Vascular complication of hip arthroplasty is relatively rare, and usually involves iatrogenic injury or thrombus formation of main vessels. No case of vascular injury associated with closed suction drainage has been reported. The current report describes an injury of a branch from the lateral circumflex femoral artery caused by a trocar of closed suction drainage in a 72-year-old man who had been treated with bipolar hemiarthroplasty because of a femoral neck fracture. We report on this case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in order to avoid similar complications.

      • KCI등재

        내시경적 수근관 감압술 후 임상 증상과 신경 전기생리학적 검사 소견의 장기 추시 변화

        천상진(Sang Jin Cheon),문규필(Kyu Pill Moon),임종민(Jong Min L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6 No.6

        목적: 특발성 수근관 증후군으로 내시경적 수근관 감압술을 시행받은 환자군에서 수술 전과 수술 장기 후의 임성 및 신경 전기생리학적 검사 소견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단일 입구를 이용한 내시경적 수근관 감압술을 시행한 48명의 특발성 수근관 증후군 환자, 88예 손목에서 수술 전과 수술 평균 3년 5개월의 장기 추시 후에 Boston 수근관 설문지를 이용하여 임상 증상 및 기능을 평가하고 Bland 평가법을 이용하여 신경 전기생리학적 검사소견을 평가하여 그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전 Bland 등급이 2, 3, 4, 5, 6인 경우 장기 추시시 변화된 정도는 임상 증상이 각각 1.38, 1.68, 2.40, 1.61, 1.28이었으며, 기능이 각각 0.60. 1.34. 1.58. 0.93, 0.88이었다. 장기 추시시 임상 증상은 수술 전 Bland 등급이 2, 3, 4, 5일 때 의미있게 호전되었고, 기능은 모든 Bland 등급에서 의미있는 호전을 보였다. 장기 추시 신경 전기생리학적 검사상 운동신경의 원위부 잠시와 감각신경의 전도속도 및 진폭이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호전을 보였다. 수술 전 Bland 등급이 2, 3, 4, 5, 6일 때 호전되는 등급의 정도는 장기 추시시에 각각 0.60, 0.75, 2.17, 2.87, 4.25로 나타나 3, 4, 5, 6등급에서 의미있는 호전을 보였다. 최종 추시시 Bland 등급과 입상 상태와는 의미있는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 내시경적 수근관 감압술 후 장기 추시 결과 임상적 상태 및 신경 전기생리학적 상태가 유의하게 호전되었다. 수술 전 Bland 3, 4, 5등급에서 장기 추시시 임상 증상과 기능, 신경 전기 생리학적 검사 모두에서 의미있는 호전을 보였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linical symptoms and function and the nerve electrophysiological changes between the pre-operative and long-term post-operative states of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with endoscopic release of the carpal tunnel for idiopathic carpal tunnel syndrome.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was performed in 48 patients and 88 wrists with idiopathic carpal tunnel syndrome All patients were treated with endoscopic carpal tunnel release using a single portal. The preoperative and the 3 years 5 months long-term postoperative clinical symptoms and function were evaluated using the Boston carpal tunnel questionnaire. The nerve electrophysiological status was evaluated using the Bland grade system. Results: When the preoperative Bland grade was 2, 3, 4, 5, and 6, the range of the change of the symptom severity score was 1.38, 1.68, 2.40, 1.61 and 1.28, respectively, and the range of the change of the functional status score was 0.60, 1.34, 1.58, 0.93 and 088, respectively, at the long-term follow-up The clinical symptom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t the final follow-up when the preoperative Bland grade was 2, 3, 4 and 5 The function was significantly improved for all the preoperative Bland grades On the nerve electrophysiological study, there was statistical improvement of the distal motor latency of the motor nerve and the nerve conduction velocity and amplitude of the sensory nerve. When the preoperative Bland grade was 2, 3, 4, 5 and 6, the extent of improved grade was 0.60, 0.75, 2.17, 2.87 and 4.25, respectively, at the long-term follow-up, and the Bland grade was significantly improved when the preoperative Bland grade was 3, 4, 5 and 6.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Bland grade and the clinical state at the long-term follow-up. Conclusion: The clinical and nerve electrophysiological stat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t the long-term follow-up after endoscopic carpal tunnel release. When the preoperative Bland grade was 3, 4 and 5, the clinical symptoms, function and the nerve electrophysiological stat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t the long-term follow-up.

      • KCI등재

        슬와부의 경골 신경에 발생한 신경 내 결절종

        서정탁 ( Jeung Tak Suh ),문규필 ( Kyu Pill Moon ) 대한슬관절학회 2009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1 No.2

        Intraneural ganglion is a relatively rare clinical entity that is commonly found in the peripheral nerves in the upper and lower extremities. It is commonly manifested by motor deficits, pain and sensory changes due to nerve entrapment and compression of the involved nerve. An intraneural ganglion of the tibial nerve is very rare. We present here a rare case of intraneural ganglion of the tibial nerve in the popliteal fossa and the patient had a neurologic deficit, and this was all treated successfully. We review the clinical course of the patient and the relevant issues are discussed together with a thorough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

      • KCI등재

        고령의 대퇴 전자간 골절에서 근위 대퇴 골수정 삽입술 후 보행 회복에 미치는 인자

        김진완(Jin Wan Kim),문규필(Kyu Pill Moon),황연수(Youn Soo Hwang),송준연(Joon Yeon Song),채정훈(Jeong Hoon Cha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2 No.5

        목적: 65세 이상 고령 환자에 발생한 대퇴 전자간 골절에서 근위 대퇴 골수정 삽입술 후 1년 보행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9월부터 2015년 9월까지 동의의료원에 내원하여 대퇴 전자간 골절을 진단받은 총 152명의 환자 중 7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술 후 1년 보행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로 수상 전 보행 능력, 성별, 연령, 골절 양상, 동반 기저 질환,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ASA) 등급, 치매, 술 후 합병증 여부를 조사하여 다변량 선형회귀분석 및 단계 선택법을 통해 유의한 예측 인자를 연구하였다. 결과: 술 후 1년 보행 악화는 68%, 보행 유지는 32%였고, 술 후 1년 보행 회복에 대하여 수상 전 보행 능력이 가장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SA 등급, 술 후 합병증 또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나타났다. 결론: 65세 이상 고령에서 발생한 대퇴 전자간 골절의 대퇴 골수정 삽입술 후 1년 보행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 인자는 수상 전 보행 능력, ASA 등급, 술 후 합병증과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affecting ambulatory recovery at one-year after the fixation of intertrochanteric fracture with proximal femoral nail (PFN) of elderly patients over the age of 65 year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September 2008 and September 2015, 152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femoral intertrochanteric fracture in Dong-Eui Medical Center. Of these patients, 75 were available in this retrospective study.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a stepwise selection method,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one-year postoperative recovery of ambulatory status, such as pre-injury ambulatory status, gender, age, fracture type, associated underlying disease,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ASA) grade, dementia, and complication. Results: A decrease in the one-year postoperative ambulatory status was 68% and pre-injury ambulatory status was regained in 32% of patients. The pre-injury ambulatory status was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 of one-year postoperative recovery of ambulatory status. The ASA grade and complication were also predictors of recovery of ambulatory status. Conclusion: Pre-injury ambulatory status, ASA grade and complication were prognostic factors associated with one-year postoperative recovery of ambulatory status after fixating the intertrochanteric fracture using PFN in elderly patients over the age of 65 years.

      • KCI등재

        주관절 일차성 골관절염 환자에서 관절경적 전방 구획 변연 절제술 및 후방 구획 최소 절개 절제술과 관절경적 전 · 후방 구획 변연 절제술의 임상적 결과의 비교

        천상진(Sang Jin Cheon),문규필(Kyu Pill Moon),서한얼(Han Eol Seo),강준호(Jun Ho Ka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2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7 No.1

        목적: 중등도 이하의 주관절 일차성 골관절염 환자의 수술적 치료 방법 중 관절경적 전방 구획 변연 절제술 및 후방 구획 최소 절개 절제술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관절경적 전 · 후방 변연 절제술과 임상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주관절 골관절염으로 진단되어 관절경적 전방 구획 변연 절제술과 후방 구획 최소 절개 절제술 또는 관절경적 전 · 후방 변연 절제술을 시행 받은 46명 중 27명을 최종 대상으로 선정하여 관절경적 전방 구획 변연 절제술과 후방 구획 최소 절개 절제술을 받은 16명의 환자를 1군, 관절경적 전 · 후방 변연 절제술을 시행한 11명을 2군으로 구분하여 의무기록 조사를 통해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수술 전과 수술 후 최종 추시에서의 주관절 굴곡 및 신전관절 운동 범위(range of motion, ROM), 시각통증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 메이요 팔꿈치 성능 점수(Mayo Elbow Performance Score, MEPS)를 이용하여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추시 기간은 21개월(15-32개월)이었으며, 임상적 지표인 ROM, VAS, MEPS는 1, 2군 모두 수술 후 유의하게 향상되었고(p<0.05), 두 군의 비교에서는 굴곡(p-value=0.001) 및 전체 ROM (p-value=0.011)가 1군에서 좀 더 유의한 증가폭을 보였으며 신전, VAS, MEPS는 유의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결론: 주관절 일차성 골관절염 환자에서 시행한 관절경적 전방 구획 변연 절제술 및 후방 구획 최소 절개 절제술은 수술 후 임상적 결과가 우수하였으며, 특히 굴곡 및 전체 ROM 향상에 도움이 되는 유용한 술식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arthroscopic anterior compartment debridement with posterior mini-open debridement in patients with mild or moderate primary elbow osteoarthritis (OA). The clinical results of arthroscopic anterior compartment debridement with posterior mini-open debridement were compared with that of arthroscopic both compartments debridement.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10 and December 2016, 46 patients diagnosed with elbow OA underwent arthroscopic anterior compartment debridement with posterior mini-open debridement or arthroscopic anterior and posterior compartments debridement arthroscopic surgery. Of these, 27 patients were finally includ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retrospectively from the medical record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surgical procedure: group 1 (n=16) received arthroscopic anterior compartment debridement with posterior mini-open debridement surgery, and group 2 (n=11) received arthroscopic anterior and posterior compartments debridement surgery. The elbow flexion-extension range of motion (ROM), visual analog scale (VAS),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MEPS) were analyzed for the clinical outcome before surgery and the last follow-up visit after surgery. Results: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21 months (15-32 months). All clinical outcomes (ROM, VAS, and MEPS) were improved after surgery compared to those before surgery (p<0.05) in both groups. Group 1 showed further improvement in flexion (p=0.001) and total ROM (p=0.011) than group 2.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xtension, VAS, and MEPS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In patients with primary elbow OA, arthroscopic anterior compartment debridement with posterior compartment mini-open technique produced an excellent clinical outcome after surgery and was particularly helpful in increasing flexion and the total ROM.

      • KCI등재

        뇌졸중이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술 후 예후에 미치는 영향

        황연수(Youn Soo Hwang),문규필(Kyu Pill Moon),김경택(Kyung Taek Kim),박원석(Won Seok Park),송준연(Joon Yeon Song),채정훈(Jeong Hoon Cha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1 No.4

        목적: 65세 이상 고령 환자에 발생한 대퇴골 전자간 골절에서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을 비교하고, 뇌졸중이 술 후 1년 사망률 및 보행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대퇴골 전자간 골절 환자 중에서 근위 대퇴골 골수정 삽입술을 시행하고 수술 1년 후 추시가 가능하였던 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술 후 1년 사망률과 보행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뇌졸중, 나이, 성별, 동반 기저 질환,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ASA) 등급, 골절의 불안정성, 치매 유무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술 후 1년 사망률은 28.8%였으며, 뇌졸중을 동반한 경우 술 후 1년 사망률은 42.9%였다. 뇌졸중, 높은 ASA 등급, 불안정 골절에서 술 후 1년 사망률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술 후 1년 보행 악화는 50.9%였으며, ASA 등급이 III 이상인 경우 술 후 1년 보행 악화 비율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뇌졸중은 보행 악화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술 후 1년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 인자는 뇌졸중, 높은 ASA 등급, 골절의 불안정성이며, 보행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 인자는 ASA 등급만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 prognosis and evaluate the influence of stroke on one-year postoperative mortality and recovery of ambulatory status in elderly patients over 65 years old with femoral intertrochanteric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ncluded 80 patients who were followed-up for one year after proximal femoral nailing for femur intertrochanteric fracture between January 2008 and December 2013.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among the one-year postoperative mortality, recovery of ambulatory status and the associated factors (age, gender, associated underlying disease,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ASA] grade, comminution of the fracture, dementia). Results: The one-year postoperative mortality rate in all patients and patients with stroke was 28.8% and 42.9%, respectively. The one-year postoperative mortality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stroke, high ASA grade, and unstable fracture. Decrease of the one-year postoperative ambulatory status was 50.9% in all patients and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grade III or IV ASA rating.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observed between the one-year postoperative recovery of ambulatory status and stroke. Conclusion: Stroke, ASA grade, and unstable fracture were prognostic factors associated with one-year postoperative mortality following intertrochanteric fracture. ASA rating was the only prognostic factor affecting one-year postoperative recovery of ambulatory status.

      • KCI등재

        점액낭측 회전근개 부분 파열에서 관절경적 제 위치 봉합술 시행 후 임상 결과와 구조적 연속성에 대한 비교 : 퇴축형과 비퇴축형

        천상진(Sang Jin Cheon),문규필(Kyu Pill Moon),강준호(Jun Ho Kang),서한얼(Han Eol Seo) 대한정형외과학회 2023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8 No.6

        목적: 점액낭측 회전근개 부분 파열을 퇴축형과 비퇴축형으로 분류하여 관절경적 제 위치 봉합술 후 임상 및 구조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7월부터 2020년 5월까지 Ellman grade III 이상의 점액낭측 회전근개 부분 파열로 진단되어 관절경적 봉합술을 시행 받고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5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파열된 힘줄의 종단의 위치에 따라 33예의 퇴축형군(retracted group)과 18예의 비퇴축형군(non-retracted group)으로 분류하였고, 두 군의 수술 전과 최종 추시에서 The shoulder rating scale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 (UCLA score), Constant-Murley score, 시각적 통증 척도를 이용하여 임상적 기능과 통증을 평가하였다. 수술 6개월 이후 촬영한 자기공명영상에서 Sugaya 분류법을 이용하여 봉합한 회전근개건의 구조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직전 마취 하에 측정된 견관절 운동범위는 퇴축형군에서 전방 거상 145.2° (110°–150°; ±11.22°), 외전 143.1° (80°–150°; ±17.34°)였으며, 비퇴축형군에서는 전방 거상 136.5° (80°–150°; ±19.67°), 외전 125.7° (80°–150°; ±37.84°)로 두 군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orward elevation, p=0.015; abduction, p=0.019). 수술 후 UCLA와 constant score는 퇴축형군에서 각각 13.04점, 20.70점, 비퇴축형군에서는 13.39점, 26.51점으로 모두 향상되었다(UCLA retracted, p=0.012; nonretracted, p=0.007; constant score retracted, p=0.018; non-retracted, p=0.018). 수술 후 임상적 기능 점수에서 두 군 간에 유의한 통계학적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UCLA, p=0.774; constant score, p=0.331). 수술 6개월 이후 시행한 자기공명영상 평가상 양 군에서 각각 2예의 재파열 소견이 관찰되었다. 퇴축형군과 비퇴축형군의 Sugaya 분류법을 이용한 술 후 회전근개 건의 연속성 평가상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118). 결론: Ellman grade III 이상의 점액낭측 회전근개 부분 파열에서 건의 퇴축된 정도에 관계없이 봉합 나사못을 이용하여 관절경적제 위치 봉합술을 시행했을 때 최종 추시에서 만족스러운 기능적 개선과 구조적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Purpose: Patients with bursal side partial thickness rotator cuff tears (PTRCTs) were divided into a retracted group and a non-retracted group. The clinical and structural outcomes after arthroscopic in situ repair were compared.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ly 2008 to May 2020, 51 patients diagnosed with an Ellman grade III bursal side PTRCT and underwent arthroscopic in situ repair and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two years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irty-three cases were classified as the retracted group according to the degree of retraction of the torn edge of the tendon, and eighteen cases as the non-retracted group. The shoulder rating scale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 (UCLA score), Constant-Murley score, and visual analogue scale were used to assess the clinical outcomes before surgery and at the final follow-up. The structural outcomes of the repaired tendon were compared and analyzed using Sugaya’s classification in a postoperative 6-month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Results: The range of motion of the shoulder measured under anesthesia immediately before surgery was 145.2° (110°–150°; ±11.22°) in forward elevation and 143.1° (80°–150°; ±17.34°) in abduction in the retraction group and 136.5° (80°–150°; ±19.67°) in the forward elevation and 125.7° (80°–150°; ±37.84°) in abduction in the non-retraction group, whic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2 groups (forward elevation, p=0.015; abduction, p=0.019). After surgery, the UCLA and constant scores were improved to 13.04 and 20.70 points in the retracted group and 13.39 and 26.51 points in the non-retracted group, respectively (UCLA retracted, p=0.012; nonretracted,p=0.007; constant score retracted, p=0.018; non-retracted, p=0.018).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2 groups in the postoperative clinical scores (UCLA score, p=0.774; constant, p=0.331). Postoperative 6-month MRI showed 2 re-tears in each group.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ssessing the postoperative structural integrity of the cuff tendon using Sugaya’s classification between the retracted and non-retracted group (p=0.118). Conclusion: Arthroscopic in situ repair using suture anchors can lead to satisfactory clinical and structural outcomes regardless of the degree of retraction of the Ellman grade III bursal side PTRCT.

      • KCI등재

        주두 골절을 동반한 척골의 분절 골절 치료

        김명수(Myoung Soo Kim),문규필(Kyu Pill Moon),조형준(Hyung Joon Cho),배정연(Jung Yun Bae),서근택(Keun Tak Suh) 대한정형외과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5 No.6

        전완부에 다발성 골절과 탈구가 발생한 환자에서 드물게 발생한 주두 골절과 척골의 간부 분절 골절을 치료하는 데에 있어서 추천할만한 치료 방법은 주두부의 해부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합병증을 최소화하는 긴장대 강선 고정술과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로 사료되어 이를 시행하고 좋은 결과를 얻어 보고하고자 한다. We would like to report a case of treating a segmental fracture of ulnar shaft, with a concomitant olecranon fracture. The patient was treated using tension band wiring and intramedullary nailing procedures Based on the nature of the olecranon, we believe this should be a recommended treatment method that minimizes complications for the patient that has multiple fractures and a dislocation of the forearm.

      • KCI등재

        흉추부를 침범한 판형 경막 외 수막종

        강민수(Min Soo Kang),문규필(Kyu Pill Moon),김경택(Kyung Taek Kim),박원로(Won Ro Park),박원석(Won Seok Park),이경신(Kyoung Shin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9 No.5

        척수 경막 외 수막종은 보고된 바가 적고, 전이성 병변과의 감별도 중요하다. 저자들은 흉추부에 발생한 경막 외 수막종 1예를 수술적 제거 후, 1년간 추시 관찰하여 재발 없이 양호한 결과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Reports of extradural spinal meningioma are rare, and differentiation from a metastatic lesion is important. We treated a case of thoracic extradural meningioma with surgical excision and obtained a favorable outcome without recurrence during one-year follow-up. Thus, we report on a case with review of the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