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n Analysis of the Social Studies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모경환 ( Kyung Hwan Mo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3 시민교육연구 Vol.45 No.1

        사회과 교사는 사회과교육 실천의 주체이며 교사의 능력이 사회과 교육의 질을 좌우한다. 교사의 전문적 자질은 교사교육을 통해 육성되며 우수한 교사를 양성하는 것이 교사양성 교육기관의 주요 목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 사범대학의 2012년 교과 과정을 비교 고찰하면서 사회과 교사양성 교육과정의 특징을 분석하고 향후 과제를 탐색해보는 것이다. 전국적으로 중등 사회과교사 양성은 사범대학 사회과교육 전공학과, 일반대학의 비사범계 교직이수과정, 그리고 교육대학원의 사회과교육 전공과정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전국 사범대학의 사회교육과 전공 교육과정을 분석해본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과 과제를 가지고 있다. 첫째, 전공 교과과정에서 사회과학 과목들이 사회과 교과교육 과목을 압도하고 있다. 그러나 과거에 비해 교과교육 과목이 늘어나고 있다. 둘째, 교과내용학 영역 내에서는 사회문화 영역이 많고 법 영역의 과목이 상대적으로 적게 개설되어 있다. 법 영역의 과목은 과거에 비해 지속적으로 증설되어왔다. 셋째, 교육실습 기간이 지나치게 짧아 현장 경험을 통해 전문성을 육성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교직과목의 현장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교육실습기간을 연장하여 현장교육의 내실화를 기해야 한다. 사회교사 양성기관이 교사의 전문성을 내실 있게 육성하기 위해서는 교과 내용과 연계된 교과교육학 과목의 추가적인 개발이 필요하다.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a for social studies teacher education in Korea and to seek directions for improvement of the curricula. The present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curricula of sixteen colleges of education through their course catalogues. Their curricula consist of courses in liberal arts, major studies, and ``student teaching.`` Major courses provide prospective social studies teachers with courses in ``social science content knowledge`` and ``social studies education`` (teaching of social stud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jor courses in social studies education departments focus on ``social science content`` knowledge, such as: political science, economics, sociology, anthropology, and law. Thus, more courses in ``social studies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and offered. Second, among the courses in content knowledge, courses in Society & Culture prevail and courses in law are offered less. Third, the duration of the student teaching practicums is too short. The period should be extended in order to enhance the student teachers` competencies as future teachers.

      • KCI등재

        사회과 수업에서의 예술(arts) 활용에 관한 연구

        모경환 ( Kyung Hwan Mo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08 시민교육연구 Vol.4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the importance of and methods of arts and aesthetics in social studies education. Social studies materials deliver their messages mainly through textbooks, so they have limited what students are able to learn. By adding arts and aesthetic materials, social studies educators can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world better and contribute to educational equity. The traditional form of assessment taps only a small portion of human aptitude, thus do an injustice to those who can have done very well, if other options are provided. Utilizing the arts both in instruction and assessment, social studies classes can help those who are more able in arts but poor in conventional types of assessment. A major difficulty lies in assessment procedures in incommensurable outcomes. So, cautions are needed for the criteria for evaluating academic achievements in arts-social studies integrated instructions.

      • KCI등재

        사회과 글로벌 시티즌십 교육의 동향과 과제

        모경환 ( Kyung Hwan Mo ),임정수 ( Jeong Soo Lim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4 시민교육연구 Vol.46 No.2

        본 연구는 한국의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시행되어 온 글로벌 시티즌십 교육의 요소를 평가하고 앞으로의 과제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글로벌 시티즌십 교육의 다양한 접근법들은 인류와 전세계를 상호의존적인 체계로 이해하기, 전지구적 쟁점 이해하기, 다양한 문화와 관점 이해하기, 지역적·전지구적 차원에서의 의사결정력 갖추기, 인류의 역사적 상호의존 파악하기, 간문화적 이해·상호작용·의사소통, 편견 해소 및 도덕 교육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사회과 교육과정의 글로벌 시티즌십 교육은 전지구적 쟁점 이해하기가 가장 먼저 시작되었으며 냉전시대 이후에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 및 상호의존적인 체계로서의 지구 사회 파악, 지역적·전지구적 의사결정 함양을 위해 노력하기 시작하였다. 가장 최근에는 역사적 경험 속에서 인류의 상호의존성을 이해하고 간문화적 자질을 함양하며, 다양성에 대한 편견을 해소하고 약자를 배려하는 도덕 교육적 접근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와 더불어 지구 사회에 대한 인식의 성장, 반공/민족 이데올로기적 접근에서 사회과학적 탐구로의 변화, 국가시민성 중심에서 세계시민으로서의 자각, 상호의존성에 기반을 둔 책임의식의 등장, 수단적 외교에서 목적으로서의 협력으로 변화 등이 나타나고 있다.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has become a main theme in Korean social studies very recently. In the present study, we describe historical changes, current trends, and challenge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Korean social studies education reflected in the national curricula staring the 1946 syllabus. We used the conceptual framework of Merryfield(1998) to analyze the national curricula.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tarted as ‘understanding of global issues’. After the cold war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started to include diverse cultures and multiple perspectives. It also tried to help students acquire knowledges, skills and responsibility required for making choices and taking action as a citizen in an interdependent world. In recent years, social studies education for global citizenship has focused on interdependence and interconnectedness, cross-cultural competence, and prejudice reduction.

      • KCI등재

        사회과 영재교육의 동향과 과제

        모경환 ( Kyung Hwan Mo ),박정서 ( Jung Suh Park ),안보형 ( Boh Hyung Ahn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4 시민교육연구 Vol.4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사회과 영재교육 관련 문헌을 검토하고 한국의 사회과 영재교육에 대한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전통적인 영재교육이 과학이나 수학 위주로 운영 되었던 것과는 달리, 최근 동서양 주요 국가들은 ‘모든 학생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능력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영재교육 목표를 재정립하고 있다. 2003년부터 추진되고 있는 "영재교육 진흥종합계획"에 의하면, 우리나라 역시 "영재성 계발 기회의 확대"를 정책 목표로 설정함으로써 영재교육 영역의 다양화를 꾀하고 있다. 수학, 과학 중심의 영재교육을 사회, 언어, 예술 영역까지 확대한다는 기본 입장의 영향으로, 서울 국제고와 이화여대 영재교육원, 인천국제고 등에서 인문사회 영재교육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사회 영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및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한국의 사회과 영재교육의 방향성을 설정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ERIC과 ProQuest의 검색을 통해 1990년 이후 서구에서 발표된 연구 논문들을 검토하고, 한국의 영재교육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서구의 사회과 영재교육은 간학문적 접근, 문제해결적 접근, 개념주제 단원의 활용, 통합교육과정, AP 과정의 운영, 자기주도학습, 프로젝트 중심학습, 문제중심학습 등 다양한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과 시행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앞으로, 사회과 영재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우리나라와 동서양 주요국가 간의 비교 연구나 사회과 영재교육 시행의 효과 검증과 같은 연구가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rend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in social studies. A recent trend of the gifted education aims at respecting a variety of abilities of all students.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levant research on the gifted education of social studies in South Korea even after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Promotion Act, which pursues a goal of expanding the opportunities for the development of giftedness, began to be implemented in 2003. This study reviews academic works on the gifted education in social studies identified through ERIC and Pro Quest and also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on gifted education in South Korea.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in social studies in Korea and the West is characterized by interdisciplinary approach, problem-solving strategies, integrated curriculum, project-based learning, and problem-based learning. Follow-up studies are expected to conduct comparative research among countries where gifted education is well implemented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gifted education programs of Korea.

      • KCI등재후보

        사회과 다문화교육의 현황과 과제

        모경환 ( Kyung Hwan Mo ),임정수 ( Jeong Soo Li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교육문화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과 사회과 교육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사회과 다문화교육의 실제를 교육과정, 교수-학습, 교사교육의 측면에서 살펴본다. 우선 교육과정 측면에 있어서 2009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은 문화적 다양성, 다양한 문화, 다문화 지역, 다문화 사회로의 진입 등을 내용 요소로 포함하고 있어 이전의 교육과정에 비해 다문화교육에 대한관심이 강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사회과의 다문화 교수-학습 전략 개발은 아직 탐색 단계에 있으며, 앞으로 다양한 교수법 개발 및 그효과에 대한 실증 연구가 요청된다. 사회과의 다문화 교사교육 프로그램은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교사의 태도 개선이나 문화적 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프로그램의 양과 다양성 개선이 여전히 과제로 지적된다. 현재 다문화 교사교육 프로그램은 다문화교육의 목표 및 이론에 대한 개념적 이해에 치중되어 있어, 현장 경험이나 교과 전문성과의 통합 경험을 충분히 제공해주지 못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n social studies, in terms of curriculum, teaching methods, and teacher education programs. First, compared to the 7th national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corporated more content areas regarding cultural diversity, diverse regions, and multicultural phenomena, and textbooks need to be written accordingly. Second, develop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multicultural classrooms is in the very beginning stage. Diverse teaching methods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Third, there are few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the secondary education, while elementary teacher training programs have recently built diverse programs. More preservice and inservice programs are needed for preparing teachers for the 21st century Korean social studies education.

      • KCI등재

        고등학교 ‘통합사회’ 운영 실태와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

        모경환 ( Mo Kyung-hwan ),박형준 ( Park Hyung Joon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1 시민교육연구 Vol.5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상징적 과목으로 신설된 고등학교 통합사회의 운영 실태를 살펴보고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개발에 담겨있는 통합사회의 교과적 의의 및 논리를 고찰하고 교육과정 개발에 참여한 연구자들의 경험을 토대로 현행 교육과정의 특성과 과제를 논의하고자 한다. 또한 한국사회과 교육학회 회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국 일반사회 전공 교사 설문조사를 통해 통합사회 운영실태를 파악하고 향후 2022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통합사회 교육과정의 개발은 다학문적 접근에서 간학문적 접근으로 전환하는 과정이 포함되어 있으며, 통합사회의 핵심개념은 향후 사회과 교육과정 전체의 스트랜드로 발전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일반사회 전공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실태조사 결과, 통합사회의 교과적 의의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가 부족하다는 것이 파악되었으며, 교사들의 교육과정 리터러시를 향상하는 것이 과제이다. 통합사회의 핵심개념 중에서 분과적 성격이 상대적으로 강해서 가르치기 어렵다고 인식하는 내용들은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교사양성 기관에서 통합사회 전문성 육성을 위한 교과과정 개편이 시급하며, 통합사회 교수 전문성을 향상하도록 직무연수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2022 교육과정 개발에서는 수업 방법 및 평가 방법의 안내, 그리고 자료 개발이 확충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implementation of the ‘Integrated Society’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suggest future directions of the curriculum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we examined the curriculum documents and experiences of the curriculum development team. Also,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162 social studies teachers. The curriculum of ‘Integrated Society’ was developed based on interdisciplinary principles. Further, the key concepts of the subject have the potential to serve as strands for future social studies education in Korea. For the 2022 curriculum, content elements of some key concepts should be revised so that they could be more integrated. Teacher literacy of the curriculum should be enhanced and more teaching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Also, in order to successfully implement the revised curriculum, pre-service programs need to change and more effective in-service training should be offered for social studies teachers.

      • KCI등재

        한국 청소년의 시민의식 조사 연구

        모경환 ( Kyung Hwan Mo ),김명정 ( Myung Jung Kim ),송성민 ( Seong Min Song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0 시민교육연구 Vol.42 No.1

        Democratic system and civil consciousness are the main components of a democratic society. In particular, civil consciousness is a critical factor to operate the system authentically. Youths` civil consciousness is a very important indicator which reflects the level of democracy in our society and foretells the future. This research conducted a survey of 1,541 Korean youths on their civil consciousness. It revealed some positive results on such factors as sense of participation, tolerance, political efficacy, law-abiding attitude, and volunteering, but the level of consciousness in them is mediocre. It means that the Korean youths should have more chances to develop their civil consciousness. In order to do that, the school and local society should give them more authentic participatory experiences. Also, the survey revealed that youths` leadership experiences and academic performances influence their level of civil consciousness. The school should provide all youths genuine participatory experiences regardless of their level of academic performances.

      • 다문화 교사 교육과정의 실태와 개선방안

        모경환(Mo, Kyung-Hwan),이혜진(Lee, Hye-jin),임정수(Im, Jeong-Soo)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0 다문화교육 Vol.1 No.1

        교사의 다문화적 역량은 다문화교육의 성공여부를 결정짓는 핵심요인이며, 교사 양성기관은 다문화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교사의 자질 육성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교사양성 기관의 2010년 교과과정을 분석하여 다문화 교사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유아교육, 초등교육, 중등교육으로 나누어 전국 60개 4년제 대학의 유아교육과 교육과정, 전국 13개 초등교사 양성기관의 교육과정, 그리고 전국 42개 사범대학의 교과과정을 대상으로 다문화교육 관련 강좌의 개설 여부 및 내용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전국 사범대학 중 다문화강좌를 개설한 대학은 총 17개교인 것으로 나타나 2009년도 8개교에 비하여 양적 증가가 주목할 만하다. 초등교사 양성 기관은 정부 지원의 영향으로 2009년도와 마찬가지로 13개 교육기관 모두 강좌를 개설하고 있으며, 강좌 개설 주체가 다문화교육센터 및 연구소 등으로 다각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 중등 교사 양성기관의 대다수 강좌는 교양 강좌로 운영되고 있으며, 이해 위주의 개론적 강좌의 성격을 지 니고 있다. 유아교육과의 경우 다문화 강좌가 개설된 곳은 단 4곳에 그쳐 개설률이 매우 저조하다. 이상과 같은 현황을 볼 때 교사의 다문화적 역량 향상을 위한 강좌가 양적으로 확대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그 내용의 심화와 전문화가 요청된다. 또한 학교 현장과의 연계성을 강화하여 현장 실습 경험을 폭넓게 제공해야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mplementations of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in Korea and seek directions for improvement. Curricula of pre-service educat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urriculum offering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pre-school teacher education are minimal. Only 4 out of 60 institutions offer courses in that field. Second, programs in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offer more courses than pre-school teacher education programs. However, programs should be more comprehensive and diverse. Third, 17 out of 42 secondary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offer courses in multicultural education. There are few opportunities to have field experiences. More courses in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in teacher education programs. Also, the courses should include more field work experiences and subject-related topics.

      • KCI등재

        사회과 교육과정과 성취기준

        모경환(Mo Kyung-Hwan),강대현(Kang Daehyu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2 사회과교육 Vol.51 No.2

        7차 교육과정 이래 성취기준은 우리나라 교육과정 문서의 일반적인 진술 방식으로 정착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문서 진술 방식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면서, 사회과 일반사회 영역 성취기준의 특징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과거에 개발된 일반사회 영역 성취기준이 교과 내용, 학생들의 학습 활동 및 결과를 명확하게 표현하지 못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또한 이를 토대로 향후 교육과정 개정에서 어떤 원칙과 방식으로 성취기준을 개발하는 것이 적절한 지에 대해 개선 방안과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연구자들이 2009개정 교육과정 중학교‘사회’과목 성취기준을 개발하면서 적용했던 원칙과 이에 따라 작성한 성취기준 사례를 제시하여 추후 일반사회 영역 성취기준 개발 시에 참고가 될 수 있는 논의를 제공하고 있다. Since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have been established as the mode of representing the national curriculum in social stud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especially the social sciences ares, in terms of achievement standards. This study provides some suggestions for the principles and methods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development. This study criticizes that past achievement standards were not successful describing curricular content and learning activities and outcomes effectively. Thus the authors discuss the principles and examples for achievement standards of social studies using personal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the making of the 2009 national curricular revision. This study would be of help to developing social studies curricula in the future.

      • KCI등재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화와 쟁점

        모경환 ( Kyung Hwan Mo ),강대현 ( Dae Hyun Kang ),은지용 ( Ji Yong Eun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6 시민교육연구 Vol.48 No.1

        이 연구는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에 참여한 연구자들의 경험을 토대로 거시적인관점에서 개발의 방향, 과정 및 절차, 주요 변화 및 특징, 그리고 쟁점 및 과제를 분석하고 있다.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은 크게 창의ㆍ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해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과 역량 중심 교육과정을 개발한다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총론 차원에서는 새로운 문서 체제를 도입하였고, 각론 차원에서는 공통과정 단축의 문제점, 학습량 적정화 문제 등그동안 사회과에 산적했던 여러 과제들을 해결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를 통해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은 제 7차 교육과정 이후부터 제기된 학습량 적정화 문제에서 의미 있는 진전을 이루었고, 총론과 각론 간에 상당한 공조를 이루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각론에 대한 총론의 이해 부족, 교과 간 및 영역 간 통합과 연계 미흡 등의 문제점과 교육과정과 대입제도의 연계성 확보, 교사양성 체제 개편 및 연수, 교사 역할 재정립 등의 과제도 남겨놓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rocess and outcomes of developing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We examined the curriculum documents and experiences of the revision team. Aiming at the development of a liberal arts.natural sciences integrated curriculum and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for raising competent 21st century citizens,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introduced a new document system and reduced the overlapped contents among various areas in the social studies. However, some future tasks should be accomplished in the future revisions of the curriculum. The liaison between the general guidelines and subject curricula should be strengthened. An alignment of the common curriculum with the college entrance exam should be established. Also, in order to successfully implement the revised curriculum,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should be offered for social studies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