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라타 망게슈카르(Lata Mangeshkar)의 가창에 드러난 현대 인도음악의 정체성 탐구

        류은주(Eunjoo Ryu) 한국인간과자연학회 2022 인간과자연 Vol.3 No.1

        라타 망게슈카르(Lata Mangeshkar)는 인도의 영화음악산업 내에 작업량과 음악적 영향력 면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녀의 목소리를 연구한 해외의 논문에서는 주로 가녀린 목소리 톤과 높은 음역이 상징하는 바를 여성성과 관련해 논하고 있다. 하지만, 그녀의 목소리 음색 자체보다도 주어진 작곡선율을 좌우상하로 오가는 독특한 음장식 기법과 그것을 토대로 선율을 재탄생해내는 가창 스타일은 서구화가 상당히 진행된 인도음악의 양식에서도 단연 돋보이는 지역적 특색이다. 이에 영미 팝에서 흔히 접할 수 있을만한 대중음악과 닮은 양식으로 진화한 현대의 인도음악이 지역성을 지킬 수 있었던 핵심 요소로서의 음 장식 기법 가마까(gamaka)를 분석하고자 하며, 본 연구가 음악적 전지구화에 대항하는 사례이자 방안으로서 시사하길 바라는 바이다. Lata Mangeshkar has a unrivaled position in numerous works and musical influence within the Indian film and music industry. Overseas researches that have studied her voice have been discussing femininity mainly in terms of slender tone and high-pitched tone. However, her unique tone technique that moves the compositional melody from left to right and up and down from her voice timbre itself and the vocal style that reproduces the melody based on above things which are distinctive feature in the style of Indian music that has been highly westerni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usical ornamentation, gamaka, which is the key element that contemporary Indian music becomes more like western popular music. And I would like to point out this as an example and a countermeasure.

      • KCI등재

        인도음악의 서구화와 중용적 표현에 대한 연구- 사르감(sargam)의 사용 분석을 중심으로 -

        류은주(Eunjoo Ryu),김동문(Dong Moon Kim) 한국문화융합학회 2017 문화와 융합 Vol.39 No.5

        문화와 음악의 전지구화 현상 속에서 인도의 음악 또한 영향권에 진입하였다. 영화음악으로 점유되고 있는 현대의 인도음악 양식은 서구적 관점으로 해석해도 큰 무리가 없는 형식으로 변모하였다. 신시사이저를 바탕으로 한 팝 음악 풍미를 느낄 수 있는 사운드 구성과 BPM으로 계산 가능한 규칙적인 템포 등이 변화의 중심이 되었다. 화성이 단순하고, 선법적으로 강한 색채를 드러내며, 독특한 선율 전개를 통해 그나마도 전통성을 유지하였었던 형태도 이제는 위태롭다. 본 논문에서는 전통적으로 인도음악 선율이 지니는 특징을 탐구해보고, 그러한 선율들이 현대의 음악 속에서 어떠한 형식으로 서구화가 진행되었는지 살펴보고, 나아가 선율의 서구화가 지니는 함의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분석을 위한 작품으로는 21세기 전후에 인도의 모차르트라 불리는 음악감독 A. R. 라만 작품 중에서 “루카 추피(Luka Chuppi)”, “카리예 나(Kariye na)”, “테레 빈나(Tere Bina)”를 선정하였으며, 이에 표현된 절제된 미분음을 통한 세계성과 사르감 가창을 통한 전통성의 혼용이 시사하는 바를 드러내고자 한다. In the globalization of culture and music, Indian music has also entered into influence. Contemporary Indian music style, which is occupied by film music, has been transformed into a form that does not seem to be large enough even if it is interpreted from a Western point of view. The composition of the sound that can feel the western pop music flavor based on synthesizer and the regular tempo that can be calculated by BPM became the center of change. It is now at stake for harmony to maintain simple, preconceived colors, and maintain its traditional style through unique melody development. In this research, we will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Indian music melodies traditionally then examine how these melodies westernize within contemporary music, including the implications of westernization of melody. The works for analysis include “Luka Chuppi”, “Kariye na” and “Tere Bina” among the A. R. Rahman works of music director ‘Mozart’, India, before and after the 21st century. Also, this dissertation is shown the implication of the mixture of the world through the tempered differential sound expressed in this way and the traditionality through the sargam singing.

      • KCI등재

        K-Pop의 한류 지속을 위한 소셜 미디어 활용 방안에 대한 고찰 : 방탄소년단의 활동 패턴 분석을 중심으로

        류은주(Eunjoo Ryu),변정민(Jungmin By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19 문화와 융합 Vol.41 No.3

        1990년대 후반 국소적으로 일본, 대만, 중국 등에서 한국 드라마가 인기를 얻으며 시작되었던 1세대 한류로부터 약 30년의 세월이 흘렀다. 이제는 드라마, 음악, 예능뿐만 아니라 뷰티, 음식, IT 등 다양한 분야가 유럽 및 미주지역까지 확대되어 K-Culture라는 이름의 한류가 소비되거나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연일 화제가 끊이지 않는 K-Pop의 방탄소년단이 있다. 빌보드뮤직어워즈(BBMAs)에서 3년 연속 톱소셜아티스트상을 수상하였고, 비틀즈 이후 처음으로 1년 내에 3개의 앨범을 빌보드 차트 1위에 올려놓은 방탄소년단에 대해 ‘방탄 효과’ 라는 용어가 생길 만큼 음악, 엔터테인먼트 등의 문화산업 관련 업계가 주목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학계에서도 경제학, 사회학, 인문학, 철학 분야 등에서 연구되고 있다. 그들이 성공할 수 있었던 요인에 대해 분석한 여러 연구 결과에서는 일반적으로 그들의 실력, 음악 세계, 외모, 퍼포먼스, 소셜 미디어 마케팅 전략 등이 주요 요인이라 설명된다. 그 중에서도 전세계 곳곳에서 활동하고 있는 팬덤 ‘아미’가 형성할 수 있었던 계기, 그리고 팬들 간의 또는 스타와 팬 간의 수평적 연대를 통한 ‘소통’이 가장 주목되기도 한다. 이에 방탄소년단의 ‘소통’ 방식을 알아보기 위해 최근 앨범 <MAP OF THE SOUL> 발매시기를 기점으로 활동하는 패턴을 분석한다. 기간은 앨범에 대한 첫 트레일러가 공개된 2019년 3월 27일부터 활동을 마치고 월드투어를 시작할 무렵인 2019년 5월 16일까지의 활동 패턴을 관찰하였고,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빈도를 조사한다. 유튜브(YouTube), 페이스북(Facebook), 인스타그램(Instagram), 트위터(Twitter), 브이라이브(V-Live)를 통해서 그들이 노출하는 횟수와 콘텐츠의 형식 및 소재를 살펴보면서 한국의 다양한 K-Pop 가수들의 그들의 계보를 이을 수 있도록 한류 지속방안을 고찰한다. Thirty years have passed since the first generation of The Korean Wave, which was initiated by Korean dramas that became popular locally in Japan, Taiwan, and China, in the late 90s. Now, in addition to drama, music, and variety shows, many other fields such as beauty, food, and IT, have expanded to Europe and America. Currently a Korean Wave named “K-Culture” is being consumed, and becoming an object of interest. At the center of this wave is, of which the center is the BTS(Bangtan Sonyeondan), a constant topic of K-pop. BTS received the Top Social Artist prize at the BBMAs(Billboard Music Awards) 3 years in a row, and they became the second singers who published three albums in one year that were ranked No. 1 on the Billboard Chart since the Beatles has reached the record. They are now garnering the attention of the cultural industry, including music and entertainment with the term “Bangtan Effect” being coined and, are studied by various academic fields such as economics, sociology, humanities, and philosophy.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the main secrets for their success are their talent, musical values, appearance, performance, and social media marketing strategies. What has been receiving the most attention, however, is the trigger for their world-wide active fandom called “ARMY”, and their “communication” through horizontal solidarity between the stars and the fans. Here, we analyze their activity pattern since the release of “MAPS OF THE SOUL” in order to understand BTS’ communication method. The period of observation is between March 27, 2019, when they released the first trailer of the album, and May 16, 2019, when they started the World Tour at the end of their promotion, We also investigate the frequency of their social media use. We look at the frequency of their appearances and contents’ on YouTube, Facebook, Instagram, Twitter, and V-Live, to study how different Korean K-Pop singers could be promoted and their global success sustained so we can keep up the Korean Wave.

      • KCI등재

        인도의 영화음악 발전 양상에 관한 연구

        류은주(Ryu Eunjoo),김동문(Kim Dongmo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4

        본 연구에서는 뮤지컬 형식의 영화로 사랑받았던 인도의 발리우드(Bollywood)에 사용되는 음악이 지닌 시장성과 파급력을 인식하였고, 독특한 영화음악 산업을 형성하게 된 계기를 알아보기 위해 영화음악의 발전 양상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에 힌디어를 제외하고 총 18종 이상의 언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있는 인도 내에서는 언어적인 요소를 제외한 뮤지컬 형식의 영화가 발전할 수밖에 없었던 과거로부터 시작해 시대별로 영화음악 산업을 조사하였다. 1930년대에 ‘인도 영화음악’이라고 말할 수 있는 필미(filmi) 스타일이 탄생하였고, 1940년대에 이르러서는 영화음악의 황금기가 도래하였다. 이때에는 주로 배우 겸 가수로서 활동해야했던 과거의 제한적인 영화 제작 시스템이 개선되어 선 녹음 형태가 가능하게 되었고, 라타 망게슈카르(Lata Mangeshkar) 등의 스타 플레이백 가수가 등장하였다. 이어 2세대 음악가들이 활동했던 1970년대까지의 시대 배경과 영화의 음악적 특징을 다루고, 이른바 카세트 혁명이라고 하는 198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급격하게 성장한 영화음악 산업을 조사하였다. 2000년대 이후부터는 점차 뮤지컬 형태의 영화가 사라졌지만, 여전히 노랫말이 있는 대중음악을 제작하여 영화음악은 경제적인 성과를 내었고, 영화와 음악 산업이 서로 상생하는 형태를 이루고 있었다. 내재적으로는 음악이 서구화가 된 데에 있어 긍정적, 부정적 평가가 있지만, 경제적으로는 꾸준히 시장성을 유지하고 있음이 주목할 만하다. 세계의 다른 영화들도 뮤지컬 영화가 아니더라도 영화에 등장한 음악들이 대중들의 사랑을 받을 수 있도록 인도의 영화음악산업을 본보기로 삼아 경제력을 갖춘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영화와 음악 종사자들이 참고해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developmental aspects of film music in order to recognize the market and the impact of music which loved as a musical style film used in Bollywood and to find out the moment that formed the unique industry of film music industry. For investigating this, we surveyed the film music industry by the age, starting from the past in India where had no alternative but to be developed musical films except for the linguistic elements because of being uses a total of 18 languages as a common language except for Hindi. In the 1930s, the style of filmi, which can be called Indian film music , was born and by 1940 s, the golden age of film music came. At this time, the limited film production system of the past which had to act mainly as an actor and singer improved to the form of pre-recording and appeared to star playback singer such as Lata Mangeshkar. Moreover, we studied the background and the musical features of the period until the 1970s, when led to the musicians in second generation, and investigated the film music industry, which has grown rapidly from the 1980s to the 2000s, the so - called cassette revolution. Since the 2000s, musical forms have gradually disappeared, but still popular songs with lyrics have been produced, resulting in achievements of economic aspect in film music, and the film and music industry are in a form of mutually reinforcing way. Implicitly, there are positive and negative evaluations of music becoming westernized, but it is noteworthy that its marketability is steadily maintained in economy. Other movies in the world, even if it is not a musical film, should be referenced the film music industry in Indian as an model by film and music practitioners so that they can produce contents with economic power and be loved the music in film by the public.

      • KCI등재

        R. 슈트라우스의 오페라 <살로메>에 드러난 음악적 메타포

        방수경(Xiuqing Fang),류은주(Eunjoo Ryu)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4

        R. 슈트라우스는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 유럽에서 가장 중요한 작곡가 중 한 사람이다. 1892년부터 본격적으로 오페라에 발을 들여놓은 R. 슈트라우스의 오페라 작곡 스타일은 바그너 악극의 성격을 계승하면서도 <살로메>를 통해 독자적인 음악적 면모를 드러냈다. 이 극의 음악은 선명한 주제, 풍부하고 변화가 가득한 색채, 복잡한 다층적 짜임새, 그리고 다양한 묘사 수단을 특징으로 하여 상징주의적인 음악적 기법을 시도하며 강렬한 감각을 선사하였다.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음악적 형식에 그치지 않고 극의 전개와 생생하게 맞물리는 묘사와 암시성을 드러내며 19세기 후반의 예술관과 상징주의를 구현해냈다. 화성법은 R. 슈트라우스가 상징성을 추구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R. 슈트라우스는 <살로메>에서 더 많은 부가적인 화음을 사용했으며, 화음의 수직적 구조는 기존 3도씩 쌓아올린 것을 위주로 기존 화음에 반음계적 기법을 더하여 화음 구조를 다양하게 만들었다. 이들 화음은 주로 부가적인 화음, 비화성음, 지속음, 교회선법의 특징음이 있으며 공통화음으로 전조하는 그 밖의 화음까지 기능성을 약화시키는 동시에 색채감을 강조하였다. R. 슈트라우스는 색채적인 화음과 잦은 전조를 추구하였고 조성의 범위를 넓히는 화음 및 화성진행을 사용하면서 조성감이 모호해지는 기법을 구사하여 심층적인 인물의 성격과 서사의 갈등 및 복선을 드러냈다. 본 논문에서는 R. 슈트라우스가 <살로메>에서 색채감을 중심으로 드러낸 낭만주의적이고 상징주의적인 표현을 ‘메타포’의 개념에 적용하고 극의 서사와 적극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음악적’ 메타포로서 기능함을 제시하였다. 색채 중심의 화성과 불협화 된 R. 슈트라우스의 독자적 음악언어는 이후 독일 표현주의에서 조성이 해체되는 것뿐만 아니라 20세기 현대음악에 심대한 영향을 미쳤다. Richard Straus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mposers from late 19th- to early 20th-century Europe. Strauss went into opera in earnest in 1892. His “Salome” showcases the unique musical aspects of his opera composition style; it has also inherited the characteristics of Wagner’s musical dramas. The music in “Salome” draws strongly on the senses; it also attempts symbolistic musical techniques and features distinct themes; rich, ever-changing colors; complex, multi-layered structures; and various means of description. Rather than embodying such superficial musical forms, it manages to embody the late 19th-century’s artistic view and symbolism, revealing that the play’s description and intimation are vividly interconnected with its development. For Strauss, the law of harmony is an important means of pursuing symbolism. In “Salome,” he used many more added note chords, and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structure of chords, he achieved structural diversification by adding chromatic scale techniques to the existing chords based on the harmonizing by triad method. The chords include mainly “additional chords,” “nonharmonic tones,” “sustain notes,” and “character notes of church modal scales.” Those that are in addition to the “other chords modulating with [the] pivot chord” highlight the coloristic sense while weakening functionality. Strauss sought coloristic harmony and frequent modulations, revealed the in-depth personality of characters and conflicts, and double-crossed the descriptions, making use of a technique that blurs the sense of tonality, while using chords and chord progressions to widen the range of tonality. This study applied Strauss’ romantic and symbolic expressions, with a focus on the sense of color in “Salome” and the concept of “metaphor.” The study suggests that these work as a “musical” metaphor by creating an active link with the play’s descriptions. Strauss’ unique musical language with regard to color-oriented harmony and discordance later had a profound impact on modern music in the 20th century and the deconstruction of tonality in German expressionism.

      • KCI등재

        한국 전통춤과 음악에 드러난 중국의 초(楚)문화 양상

        방수경(Xiuqing Fang),류은주(Eunjoo Ryu)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3

        한국 전통 춤은 우선, 심미적 이상으로 ‘대상무형, 천인합일(大象無形, 天人合壹)’의 이념을 추구하고, 심미적 품격으로는 ‘정중유동, 동중유정(靜中有動,、動中有靜)’의 특징을 추구한다. 춤 동작의 방식 면에 있어서는 섬세하고 조화로운 특성을 추구한다. 특히, 숨결과 염력, 지체와 영혼의 조화가 어우러지는 ‘이기대동, 이의대행(以氣帶動, 以意帶行)’을 한국 전통 춤의 특유한 성격으로 구분 지을 수 있는데, 이러한 춤 이면의 이상, 품격, 특징에서 드러난 한국 전통 춤은 특정 문화 정신을 숭상하고 그들만의 예술을 구현해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춤에 있어서 사람들이 추구하는 정신을 반영하거나 삶을 구현할 때, 또는 예술화할 때 초(楚)문화 무속·도선(道禪) 사상을 흡수하여 발현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한국 전통 판소리와 무악(巫樂) 등에서도 중국의 초문화 영향을 찾아볼 수 있으므로 한국 춤과 음악에서 드러나는 한국 고유의 정신과 초문화의 사상들이 어떻게 융합되어 전승되어 오고 있는지 예술사적인 흐름에서 두 문화의 연관성을 해독하는 것이 필요함을 인지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국내에 미비했던 연구 분야인 한국 무용 및 음악을 중심으로 하는 전통예술에서 발견되는 중국의 초문화의 영향력을 역사학적이고 심미적인 접근을 통해 밝혀내고자 한다. 나아가 두 나라의 문화적 가치가 서로 연계되고 융합되었던 과거의 모색을 통해 현재와 미래의 문화예술 발전에 필요한 시사점을 던지고자 한다. Overall, Korean traditional dance has pursued Daesangmuhyeong (大象無形)-the idea that a huge shape is intangible-and Cheoninhapil (天人合壹)-the idea that heaven and people are united-as an aesthetic ideal. On the other hand, it has followed the characteristics of Jeongjungyudong (靜中有動)-the idea that miraculous enlightenment is thoroughly investigated in silence-and Dongjungyujeong (動中有靜)-the idea that serenity is in the movement-in the aesthetic dignity. The delicate and harmonious feature has been chased in its dance motion. In particular, the unique natur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is distinguished as Igidaedong (以氣帶動) and Iuidaehaeng (以意帶行), which means that breath and psychokinesis, as well as body and soul, are in harmony. Korean traditional dance revealed in the ideal, dignity, and characteristics lying behind it has revered the particular cultural spirit and given shape to their intrinsic art. This means that we can see the spirit that people sought as reflected in their dance or was manifested by being fused with the supercultural shamanism and Doseon idea related to geomancy, when people realized or sublimated their lives in art. Since we can also find the effect of Chinese superculture in Korean traditional pansori and shaman music, I recognized the need to interpret the connection between two cultures in the flow of art history, in particular, how the Korean unique spirit and supercultural ideas found in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dance were blended and passed on. Hence,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effect of Chinese superculture, which can be found in Korean traditional art based on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music (domestic research on this is inadequate) using the historical and aesthetic approach. Furthermore, I would like to deduce th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development of the present and future culture and art by searching the past when the cultural value of the two was linked and fused.

      • KCI등재

        현대미술과 K-Pop의 만남 : <Connect, BTS>를 경험하는 너-나-우리의 듀오에스노그래피

        김수진(Sujin Kim),류은주(Eunjoo Ryu)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5

        <Connect, BTS>는 방탄소년단(BTS)의 철학과 메시지에 공감하는 미술 기획자들이 런던, 베를린, 부에노스 아이레스, 서울, 뉴욕의 다섯 도시에 걸쳐서 공동 전시기획을 한 프로젝트이다. 6명의 큐레이터와 22명의 작가가 참여한 이 프로젝트에서 BTS의 철학은 ‘다양성에 대한 긍정’, ‘연결’, ‘소통’, ‘주변에 대한 사랑과 보살핌’ 등으로 제시되었다. 서로 다른 작가들의 작업과 BTS의 콘텐츠는 이 키워드들을 통해 느슨하게 연결되었다. 본 연구는 이 문화 현상을 함께 경험한 미술과 음악 분야를 전공하는 두 연구자가 듀오에스노그래피(duoethnography)라는 연구방법론을 사용하여 본 현상을 탐구하는 과정을 그려냈다. 미술관 교육과 실용음악이라는 상이한 두 연구자의 주요한 연구 분야를 그들의 <Connect, BTS>의 경험과 엮어내면서 서로 배워나가는 대화적 과정을 “‘어울리지 않아 보이는 만남’의 연속”, “상황적 맥락과 전시 경험”,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통한 의미 생성”, “브랜드로서의 ‘BTS’와 선한 영향력”이란 네 대주제로 제시하였다. <Connect, BTS>는 서로 다른 예술 장르의 협업에 대해 하나의 가능한 모델을 제안하였으며, 뮤지엄 관람객 연구에 기여하는 바가 있고, 소셜 미디어를 통한 예술 경험의 공유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있으며, 스타의 선한 영향력에 대한 논의를 가능하게 한다. CONNECT, BTS is a global contemporary art project supporting Bangtan Sonyeondan (BTS)’s philosophy while connecting five cities, London, Berlin, Buenos Aires, Seoul, and New York. Six curators and twenty-two artists have participated in this collaborative curatorial practice. In this project, BTS’s philosophy is described as “support for diversity,” “connection,” “communication,” and “love and care for the periphery.” These concepts loosely create connections among disparate artistic practices. We use duoethnography (a dialogic research methodology) to describe how we have experienced CONNECT, BTS together. S’s research interest focuses on art museum education, while that of E focuses on contemporary music. We chose this methodology as it opens up a platform for us to collaborate while having different research interests. Duoethnography allows us to learn from each other and have transformative learning moments on unfamiliar subjects. We present our dialogic process using four thematic lenses: “Seemingly Mismatched Encounters,” “Situational Contexts and Visitor Experiences,” “Meaning-making via Social Media,” and “BTS as a Brand and Their Good Influence.” CONNECT, BTS is a possible model that enables artistic collaboration among different artistic genres, brings insights into studies on museum visitors, reveals social media users’ meaning-making process, and drives discussions on celebrity influences.

      • KCI등재

        고대 악기의 보존과 활용에 대한 고찰 : 중국 전통 현악기 축(筑)의 역사적 고찰을 중심으로

        방수경(Xiuqing Fang),류은주(Eunjoo Ryu)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0

        축(筑)은 중국 고대 현악기로서 선진 시대에 기원하여 한나라에 융성했으나 송나라 이후 소멸되었다. 2200여 년 간 소멸되었던 축은 1973년에 출토된 중국 호남성 장사시 마왕퇴(馬王堆) 1호 한묘의 채색칠관의 그림을 통해서 발견되었고, 이후 음악고고학자들의 발굴과 연구가 지속되어져 왔다. 그러나 미비한 고대 문헌과 제한적인 출토량으로 축에 대한 형성과 구조, 연주법에 대해 합치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축이 기원되었다고 추정되는 선진시대, 가장 활발히 연주되었던 한나라, 삼국시대 이후의 축에 대한 형상과 구조 및 연주법 대해 각 왕조의 사료들과 출토된 유물을 통해 세부적으로 정리한다. 송나라 시기에 축이 소멸했다고 주장하는 학자들의 의견에 따르면 비파와 같은 외래 악기, 음향이 우월한 양금 등의 악기가 보급되고 당시의 정치적 압력이 축이 연주되기에 부정적으로 작용했을 것이라 제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 외에 축이 소멸된 내재적, 외재적 원인을 고찰한다. 마지막으로 21세기에 축이 복원됨으로써 언론과 사회적 관심을 집중 받았던 시기를 조명하고, 여러 고대의 악기가 복원되고 연주된 사례들과 비교해 보면서 전통악기의 복원과 활용에 대한 가치를 함의해볼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전통음악과 악기가 보존되기 위해 필요한 자세와 사회적 태도에 대해 고찰한다. The zhu was an ancient Chinese string instrument that originated in the early Qin era, prospered in the Han dynasty, and disappeared after the Song dynasty. It disappeared for 2,200 years until it was discovered in a tomb at Mawang Dui, Changsha, Hunan province. Since then, music archaeologists continued to excavate and study, but due to the lack of ancient literary sources and limited excavation, its formation, structure, and playing techniques are still under debate. This study details the shape, formation, and playing techniques through historical sources and excavated artifacts from the early Qin era, where the zhu is thought to have originated in the Han dynasty where the zhu prospered, and after the Three Kingdoms Era. Some scholars argue that zhu disappeared in the Song era due to foreignorigin instruments such as the pipa, instruments with superior sound such as yangqin, and negative political pressure at the time. This study considers other intrinsic and extrinsic causes of the disappearance of zhu. Lastly, this study highlights the period where the zhu attracted media coverage and social attention, compares it with other cases of ancient instrument restoration, and examines the value of restoring and utilizing ancient instruments as well as the social condition to facilitate traditional music and instrument restoration.

      • KCI등재

        현대 음악산업에서의 민족음악 보존에 관한 고찰- 여자 12악방의 활동연혁 및 음악 분석을 중심으로 -

        진곤(Chen Kun),메이유(Li Meiyu),최안군(Cui Yanjun),양몽도(Yang Mengtao),류은주(Eunjoo Ryu) 문학과언어연구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3

        중국 전통음악은 민족 문화의 중요한 구성 부분이다. 전통음악의 태동부터 현재까지 몇 천 년의 역사를 거쳐 발전해 왔다. 중국 음악 발전에서 우수한 민족음악 작품들이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개혁 개방 이후 록 음악과 팝 음악이 신속한 속도로 발전하면서 전통 민족음악의 위치가 흔들리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중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선풍적 인기를 끌었던 민족음악그룹 여자 12악방을 중심으로 민족음악이 대중성을 확보하는 데 있어 가능성과 문제점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그들이 인기를 끌었던 2009년 이전과 주목을 받지 못하고 하향세에 돌입하였던 시기를 부상시대와 추락시대로 나누어 대표곡을 선정하였으며, 이를 분석하여 그 음악적 특징을 파악하고, 그들의 인기가 상승했던 이유와 하락한 이유를 분석하였다. 나아가 민족음악이 대중화되고, 음악산업에서 지속적으로 대중에게 사랑을 받기 위해서 다양한 매력과 민족음악의 제작과 홍보 전략을 통해 민족음악을 보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민족 문화를 선양하는데 기여하기를 바라는 바이다. Chinese traditional music is an important part of national culture. It has evolved through the history of thousands of years since the birth of traditional music. In the development of Chinese music, excellent ethnic music works occupied a very important position. However, the status of traditional ethnic music has been shaken as rock music and pop music have rapidly developed since the reform and opening-up.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possibilities and problems in securing popularity of ethnic music focusing on the ethnic music group, 12 Girls Band, which has gained large popularity in China and Japan recently. Therefore, their representative songs were selected by dividing them into the era of rising where they had attracted a large popularity before 2009 and of falling where they had failed to attract huge audience losing popularity. Analyzing this, their musical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and the reasons behind the rise and fall of their popularity were analyzed. Futhermore, we hope to contribute to promote the national culture by suggesting ways to preserve ethnic music through production and promotion strategies of its attractiveness in order to popularize ethnic music and to make it loved by the music industry continuous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