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Study on the Framework Development for Context Analysis in Smart Home Environment

        류수민(Ryu, Sumin),김유리(Kim, Yuri),송지원(Song, Jiwon)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09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8 No.2

        현대 사회는 컴퓨터가 우리 주변 곳곳에 내재되어 있고, 그들 간의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유비쿼터스 환경으로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 변화에 따라 스마트 홈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스마트 홈 환경에서는 사용자와 주변 환경, 정보가전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상황 정보와 사용자의 행동패턴이 존재한다. 이에따라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스마트 홈 디자인은 사람들의 생활(life)과 서비스(service)를 디자인 하는 개념 으로 정의 내릴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의 컨텍스트(context:정황, 배경, 환경)파악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 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컨텍스트 관련 연구 중 사용자를 중심으로 하는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며, 대부분 기술 분야에 많은 초점이 맞춰져 있다. 본 연구는 사용자 행동과 의도를 중심으로 컨텍스트를 파악하여 스마트 홈 디자인을 진행할 때 보다 명확한 니즈 도출을 유도할 수 있는 프레임웍을 개발하는 것을 최종 목적으로 한다. 최종적인 프레임웍은 시각화되어 나타내어지며, 이를 활용하면 사용자에게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응용 서비스에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차후 스마트 홈 디자인 연구의 활용 자료로 쓰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한 스마트 홈 이해를 바탕으로 컨텍스트 개념과 요소를 파악하였다. 그 중 Dey의 사용자와 응용 서비스 사이의 상호작용을 강조한 개념과 우운택의 5W1H(Who, What, Where, When, Why, How)개념을 스마트 홈 환경에 맞게 재해석하였다. 둘째, 요소를 유형화하는 단계로서, 추출된 기본 요소를 바탕으로 관찰 조사를 바탕으로 추출된 집안에서의 사용자 행동을 분석하여 행동과 의도, 그러한 의도가 나오게 된 컨텍스트 요소를 분류하여 유형화시켰다. 셋째, 프레임웍을 개발하는 단계로서, 유형화된 요소를 바탕으로 사용자 컨텍스트 중심의 프레임웍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시각화하였다. 본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한 스마트 홈 이해를 바탕으로 추출한 요소를 유형화하고 사용자 행동을 의도에 따라 분석함으로서, 컨텍스트 파악을 용이하게 하였다. 둘째, 유형화된 요소를 바탕으로 사용자 컨텍스트 중심의 프레임웍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시각화하였다. 이는 사용자와 응용서비스간의 복잡한 인터랙션을 단순화 된 시각화로 보여줌으로 요소간의 관계파악이 용이해졌다. 셋째, 시각화 된 자료를 사용자의 행동유형 분류와 의도분석에 따라 웹상에 구현함으로 다른 컨텍스트 연구와는 차별화 되도록 하였다. 이는 프레임웍을 시각화 하는 기존의 연구보다 체계적이며 사용자 행동에 따라 의도를 파악하고 의도분석을 통해 컨텍스트를 파악하는 등 새로운 관점에서 볼 수 있어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signing smart home means designing system, object, and services for the future homes to improve user’s life. To design a smart home to support user’s domestic life, understanding the context of the life is crucial.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omestic context and develop a visualized framework of it so that a designer can apply the analytical framework for future smart home research and design. The analysis and the framework in this study are particularly focused on user’s intention and behaviour. The framework is visualized to provide clear understanding on complex domestic context and dynamic context. We expect that the visualized analytical framework would help the future domestic design by assisting in selection of appropriate service for certain context. This study was proceeding as following: First, we understand the definition and elements of the context based on the prior research in context and smart home. We reselected the elements of the context to fit the domestic environment based on the concepts of Dey and Woo’s 5W1H (Who, What, Where, When, Why, How) concept. Then we classified the elements into physical and user context. Home members, intention and behaviour are Included in the user context. Object, home space, and time are included in physical context. Interaction associates with physical context and user context. Second, we analyzed user behaviour and context elements in the house on basis of observation research on real domestic environments in three Korean homes. Next, we materialized them after classifying the elements of context that make such intention, intention and behaviour come out. Third, we developed user context-centered framework on the basis of element taken a concrete form of and visualized it. In the visualized framework related behaviours came out with emphasis on user’s intention. The main elements of context were able to have access to intention nearly. After approaching the intention of the user, we were able to conclude needs quickly and correctly from an overalleye. On this study, we were in progress of work to visualize it, setting 4 events of visitor invitation, preparation of going-out, family reunion, and caring for babies among various intentions As a result, the visualized data are realized on the web according to intention analysis and classification of types of user behaviour. The element in the center is a person’s intention and invitation. The factors around center are the person’s behaviour according to the intention. The factors very outside the web are context elements. From the context web, we found that the picture of the context is different depending on user’s inten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s of the context. This results are similar to Dourish’s (2004, 23) opinion that context is not stable but an occasioned property. The visualized context analysi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it can be applied to design Smart Home System in the future for revealing dynamic and occasional relationship between user intention, behaviour, and other context elements.

      • KCI등재

        부모교육 프로그램 실태 비교에 관한 질적 연구

        류수민(Ryu, Sumin),이연선(Lee, Younsun),이소민(Lee, Somin),정계숙(Chung, Kai-Sook)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논총 Vol.34 No.-

        본 연구는 교육정책변화 속에서 서로 다른 교육철학과 프로그램을 갖고 있는 유아교육기관이 현장에서 부모교육을 어떻게 실시하고 있는지 그 실태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시내 소재의 생태유아교육기관, 레지오 교육기관, 몬테소리 교육기관과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을 오래전부터 수행하고 있는 국공립 유아교육기관, 10곳을 중심으로 부모교육 연간계획안 및 관련 문서자료들을 수집하고 원장과 교사를 중심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계획, 내용, 실시, 평가 네 부분으로 범주화하여 설문지와 면담을 실시하였다. 부모교육은 각 기관의 원장의 교육신념과 철학에 큰 영향을 받고 있었으며 이와 함께 표준화된 평가기준과 누리과정이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다양성과 각 기관이 갖는 철학적 고유성에 다소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교육의 실시에서 교사들의 과중한 업무무담으로 부모교육은 또 하나의 행사로 자리매김하고 있었으며 부모들에게 현실적이면서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부모교육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실정이었다. 따라서 대부분의 기관에서 연간계획안의 문서상 프로그램과 현장에서의 구현은 상당히 달랐다. 현 실정에 맞는 부모교육에 대한 정책적 이해 및 실행이 절실히 요구되며 기관의 철학적 다양성과 지역적 특수성이 반영될 수 있는 방안이 함께 고려되기를 희망한다. This study compared parent education programs (PEP) and their actual implementations in 10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We focused on four parts: 1)the planning of PEP, 2)the contents of PEP, 3)the implementation of PEP, and 4)the evaluation of PEP. For data collection, annual parent education plans and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The results showed that PEP was affected by the Nuri curriculum. The PEP in public education sectors was regarded as one of the administrative works. However Reggio and Early Childhood Eco Education programs showed us different story. They encouraged parent participation through PEP. PEP was regarded as important way of philosophy reflection. Through this study, we could see the pressure of the Nuri curriculum. Some child care centers come to lose their autonomy of application of their own educational perspectives. Therefore PEP was gradually considered as one of the administrative works that teachers have to write, not implement. We suggest that the Ministry of Education need to think deeply what will be going on in the education fields when everything is standardized.

      • 인터랙티브 TV의 서비스 및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멘탈모델에 관한 연구 : DCATV(Digital Cable TV)와 IPTV(Internet Protocol TV) 비교를 중심으로

        연명흠(Myeong-Heum Yeoun),류수민(Sumin Ryu),한아름(Ahreum Han),천정은(Jeongeun Cheon) 한국HCI학회 200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2

        인터랙티브 TV 시장이 활성화됨에 따라 DCATV와 IPTV의 경쟁이 본격화되면서 사용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인터페이스에 대한 관심도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인터랙티브 TV의 서비스 및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멘탈모델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조사를 통해 인터랙티브 TV의 2가지 유형인 DCATV와 IPTV의 기술적 차이점과 서비스 동향을 파악하였다. 둘째, 헬로우TV, C&M, 브로드앤TV, 메가TV, 마이 엘지TV 등 인터랙티브 TV의 사례들을 비교,분석하였다. 셋째, 헬로우TV를 중심으로 사용성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종합·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DCATV와 IPTV의 서비스 및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멘탈모델이 다르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간으로 방송되는 '케이블TV채널'과 요청에 따라 다운로드되는 'VOD'라는 두가지 서비스는 인터랙션 방식과 제공 단위에 있어서 상이하며, 따라서 개념적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IPTV와 달리 두가지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는 DCATV에서는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2가지의 멘탈모델을 병립시키지 못하고 인지적 혼란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발견점은 차후 인터랙티브 TV의 인터페이스 개발시 컨셉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terests for User Interface directly influencing on usability are also growing as the competition between DCATV and IPTV come to the surface, according to getting activated Interactive TV market. Therefore,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understand mental models of users for Interactive TV service & Interface. The method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he step considering literature study, we compared differences between DCATV and IPTV and caught up the concepts of DCATV and IPTV among some types of Interactive TV. Second, we examinated and analysed Hello TV, C&M, Broad&TV, MegaTV, myLGtv as the step of analysis for examples for Interactive TV. Third, as the step of researches observing users we analysed usability problems caused by differences of mental models between DCATV and IPTV. As a result, we could find there are some differences for mental model of users in Interface & services between DCATV and IPTV Especially, it was found that users feel confused very much regarding perception of real time broadcasting and VOD. We regards this findings can be used as basic for concept makings of Interactive TV, when TV interface is developed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