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다문화가정 학생의 자아인식, 가정생활 및 학교생활에 대한 인식 조사

        류상희 ( Ryu Sang-hee ),이은주 ( Lee Eunjoo ),박윤경 ( Park Yun-kyo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문화연구 Vol.22 No.5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 학생의 자아인식, 가족생활 및 학교생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그 사이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14년 8월부터 9월 사이에 우편 조사 및 방문 조사의 방법으로 충북지역 3개시 및 9개 군에 위치한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가정 학생 20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학생의 자아인식에 대한 반응은 전체 평균 3.78로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었다. 하지만 외모 만족 및 모임의 대표 자격에 대한 반응은 다른 문항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긍정적이었다. 둘째, 가정생활에 대한 인식은 전체 평균 3.79로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었지만, 부모 관계에 비해 가정에서의 지원에 대해 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학교생활에 대한 인식은 평균 3.69로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었다. 친구관계(3.82)와 교사관계(3.77)에 비해 학업(3.46)에 대한 인식이 가장 덜 긍정적이었다. 넷째, 다문화가정 학생의 인구사회학적 배경 중에서 성별로는 남학생, 그리고 학업성취수준이 높은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자아인식, 가정생활, 학교생활에 대한 인식이 더 긍정적이고, 어머니의 학력이 대졸인 경우에 학교생활에 대한 인식이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다문화가정 학생의 자아인식과 가정생활, 자아인식과 학교생활, 가정생활과 학교생활에 대한 인식 사이에는 각각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학생 지원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1) to investigate the perceived self-concept, family life and school life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2) to examine how these three variables were correlated with each other. For this purpose, the data collected in 2014 was used. The research subjects were 206 students enrolled at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Chungcheongbuk-do. The results revealed that 1) the students had positive perceptions of self-concept, family life and school life in general. 2) Sex and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level had significant effects on students` perception of self-concept, family life and school life, and mother`s education leve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s` perception of school life. 3) perceived self-concept, family life and school life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all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to provide educational supports for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실과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문제해결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류상희(Ryu Sang-Hee),남현욱(Nam Hyun Wook)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0 교육논총 Vol.4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실과 만들기 활동에 적용한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문제해결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비교집단에는 교과 중심의 만들기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문제해결력과 창의성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통계 기법은 t-test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의 만들기 활동에 적용한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문제해결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하위 요인에서는 대안 탐색 및 분석과 행동 및 행동에 대한 반성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었다. 둘째, 실과의 만들기 활동에 적용한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창의성을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하위요인에서는 유창성, 융통성, 내재적 동기의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메이커 교육을 실과교육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메이커 교육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이론적 연구와 아울러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실천적 연구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a practical arts-based maker education program on the problem-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fifth grader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s. Maker education programs were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curriculum-oriented making classes were provided to the comparative group. The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problem-solving and creativity between the group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aker education program applied to the practical arts making activities had a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the problem-solv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regard to the subfactors, the maker educa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exploring and analyzing alternatives and in improving the ability to reflect on behavior. Second, the program had a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the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erms of the subfactors, the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fluency, flexibility, and intrinsic motiva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o apply maker education to practical education, theoretical research that explores the applicability of maker education and practical research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maker education programs must be conducted simultaneously

      • KCI등재

        실과 수업에 적용한 실천적 추론 교수학습법이 초등학생의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류상희(Ryu, Sang Hee) 한국실과교육학회 2007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effect of practical reasoning teaching strategy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oblem solving action in practical arts instruction. For this purpose, two fifth grade classes from K Elementary School were selected and each made a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Practical reasoning teaching strategy was applied to experiment group, but conventional lesson was applied to control group.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 group which received classes through practical reasoning teaching strategy improved the ability in information collection and self-confidence in problem solving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cond, according to the pre-test and post-test on the experiment, practical reasoning teaching strategy had positive effect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oblem solving action.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생의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류상희(Ryu, Sang-Hee) 한국실과교육학회 2021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4 No.2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진로성숙 정도,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진로성숙과 하위요인 간의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충북 소재의 초등학교 5~6학년 300명을 편의표집하였고,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 t-검증, Pearson 상관분석에 의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진로성숙 수준은 보통 정도였다. 하위요인에서는 자신의 진로 선택을 주체적으로 하는 태도인 독립성 요인에 가장 높은 평균을 보였고, 진로 선택에서 현실적인 요소보다 내재적인 요인을 더 선호하는 것과 관련된 목적성 요인에 가장 낮은 평균을 보였다. 둘째, 초등학생의 진로성숙은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하위요인인 목적정과 확신성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목적성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평균을 보였으나 확신성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평균을 보였다. 셋째, 초등학생의 진로성숙은 5학년이 6학년보다 높게 나타났다. 하위요인인 목적성과 확신성에서도 5학년의 평균 점수가 6학년보다 높게 나타났다. 넷째, 진로교육을 받은 경험의 유무도 초등학생의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수였다. 하위요인에서는 목적성과 독립성에서 진로교육을 경험한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진로성숙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진로성숙은 하위요인들과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성을 가지고 있었다. 결정성은 진로성숙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확신성, 독립성, 준비성, 목적성은 보통 정도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는 질적 연구를 수행함과 동시에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variables affecting career matur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maturity and sub-factors to provide basic data for organizing career education programs. For this purpose, 300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fifth to sixth grade in Chungbuk were selected.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moderate. In the sub-factors, the highest average was shown for the independence factor. Second, gender was not a significant variable affecting the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However, the sub-factors, objectivity and certainty, differed by gender.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mean score than male students in the objectivity. Male students showed higher mean score than female students in the certainty. Third, the career maturity of fifth graders was higher than that of sixth graders. The average score of fifth graders was higher than that of sixth grader in the objectivity and certainty. Fourth, career education experience was a significant variable that influenced the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average score of students who experienced career educ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hose who did not in the objectivity and independence. Fifth, career matur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follow-up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develop career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verify their effectiveness.

      • KCI등재
      • KCI등재

        아동의 자아개념 관련 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류상희(Ryu Sang Hee) 한국실과교육학회 2001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14 No.2

        This study was to designed to synthesize quantitatively the master’s theses and doctoral dissertations focusing on children’s self-concept. This task was accomplishing by utilizing the meta-analysis technique of research integration. After review of 103 studies, 10 positive independent variables and 6 negative independent variables were chosen. These 16 independent variables were categorized 3 different groups according to living province such as personal factor, home factor, school factor. Among the positive variables proposed in this study, inner regressive nature variable showed the highest average effect size(1.120). Among the negative variables proposed in this study, children’s problematic activity variable turned out to highly affect self-concep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