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지행동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행복감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류미향 ( Mi Hyang Ryu ),노은호 ( Eun Ho Noh ),김춘경 ( Choon Kyung Kim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2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행복감이 상대적으로 낮은 초등학교 6학년 아동들을 대상으로 인지행동 문학치료를 실시하여, 인지행동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행복감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00시에 위치한 D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행복감 척도 검사를 실시한 결과 행복감이 낮은 학생 24명을 선발하여 문학치료 실시 집단과 비실시 집단에 각각 12명 씩 무선 배치하였다. 문학치료 실시 집단에는 본 연구의 인지행동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비실시 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았다. 본 프로그램은 인지행동 치료와 문학치료의 원리를 종합하여 구성하였고, 주 2회, 1 회기 당 60분씩 총 12회기 실시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프로그램 시작 전에 사전 검사, 프로그램 마지막 회기에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종료 4주 후에 추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인지행동 문학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아동의 행복감과 자아존중감은 증진되었고 추후 검사에서 행복감의 증진은 유지되었으나, 자아존중감의 증진은 그 효과가 유지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gnitive behavior literatherapy on the development of happiness and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in children in a high risk group using the happiness measurement test . The subject group of the study consisted of 30 students who were considered at high risk for unhappin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happiness measurement test. The sample group was taken from 6th grade students of 00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ong-gu of Daegu City. Among the 30 students there were only 24 who expressed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Then, the stude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2 groups, 12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2 i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9 boys and 3 girls.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a cognitive behavior literatherapy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was given nothing. This program consisted of 12 sessions altogether, two times a week, for one hour each time. A pre-test was conducted before the program, a post-test during the final session, and the follow-up test 4 weeks after the program ended.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ly, after the cognitive behavior literatherapy program,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children`s self-esteem. However, its effect was not maintained in the follow-up test which was held 4 weeks after the program ended. The reason why its effect was not maintained is that cognitive behavior literatherapy program is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happiness. In conclusion, cognitive behavior literatherapy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happiness and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self-esteem. but, in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self-esteem, its effect was found to be not maintained.

      • KCI등재

        ‘타자 존중’ 유아 인성교육의 텍스트로서 토미 웅거러 그림책에 대한 연구

        류미향(Ryu, Mi-Hyang)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9 교육혁신연구 Vol.29 No.4

        연구목적: 유아기 인성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오늘날 유아 인성교육의 텍스트로서 활발하게 사용되는 그림책에 담겨 있는 인성교육 관련 가치에 대해 다양한 관점으로 탐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편견과 부조리함을 해학적으로 꼬집으면서 다양성과 차이, 그리고 소수에 대한 배려와 이해를 드러내는 작가인 토미 웅거러의 그림책에 나타난 타자 존중의 의미에 대해 탐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국내에서 출판된 토미 웅거러의 그림책 중 타자 존중이 잘 드러나는 그림책 11권을 선정하고 유형적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해석하였다. 먼저 텍스트와 그림의 상호작용 속에서 타자 존중이 나타난 부분을 표시한 후 드러나는 패턴을 찾고 이후 패턴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토미 웅거러 그림책에서 나타난 타자 존중은 타자가 가진 부정적 특성, 타자와의 차이와 다름, 자신과의 이해관계에 상관없이 실천해야 한다는 것이 나타났다. 또한 타자 존중은 구성원 간 관계를 새롭게 변형시키며 사회적 연대를 형성함이 드러났다. 논의 및 결론: 토미 웅거러 그림책은 타자라는 기호를 능동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새로운 의미를 생성하고 다양한 접속과 배치를 통해 무수한 –되기 과정을 겪을 때 사회적 편견을 넘어서 타자에 대한 존중의 실천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점에서 토미 웅거러 그림책은 동일성의 철학에 따라 화석화된 습관을 만들어 주는 것이 아니라 유아들이 주체적으로 의미를 생성할 수 있도록 독특한 기호를 발산하는 텍스트로서 교육적 가치를 가진다. Purpose: While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is emphasized, studies from various perspectives on the values ​​related to character education represented in picture books are meaningfu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respect for others in the picture book of Tommy Ungerer, an author who reveals diversity and difference, consideration and understanding of minority while humorizing social prejudice and absurdity. Method: Eleven picture books were selected and interpreted using pattern analysis. First, the part that showed respect of the other in the interaction between text and picture was marked, then the pattern was revealed, and 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tterns was analyzed. Results: It was shown that the respect for others represented in Tommy Ungerer’s picture books should be practiced regardless of the negative characteristics of others, the difference from others, and the interests of the self. Respect for others has also been found to transform social relationships among members. Conclusion: Tommy Ungerer s picture books showed that respect for other is possible when we create new meanings through actively deciphering signs of others and continuously experiencing –becoming process from various connections and assemblage. In this sense, Tommy Ungerer’s picture books have educational value as texts that give young children unique meanings, rather than making fossilized habits according to identity philosophy.

      • KCI등재

        영아의 스마트폰 사용실태 및 어머니 인식

        류미향(Ryu, Mi-Hya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4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86

        오늘날 스마트기기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식당이나 마트 등의 장소에서 영아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례가 자주 목격되고 있다. 영아 양육자로서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와 같은 양육관련 심리적 변인들은 어머니의 양육행동, 양육태도와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영아자녀에게 스마트폰 사용을 허용하거나 지도하는 방식과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의 스마트폰 사용실태 및 어머니 인식과 요구를 분석하고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와 같은 양육변인과 영아 스마트폰 사용실태와의 관련성을 탐색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36개월 미만의 영아를 어린이집에 보내는 어머니 312명에게 설문지를 발송하였고 회송된 246부 중 불성실한 응답이 포함된 설문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236부가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75% 이상의 많은 영아들이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었고, 그 중 70%에 가까운 영아가 24개월 이전부터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었다. 어머니들은 영아자녀의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을 지도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고 이와 관련한 교육을 희망하고 있었다.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는 영아의 스마트폰 사용 여부, 시작 시기, 사용시간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이 올바른 미디어 사용에 가장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어머니가 영아의 스마트폰 활용을 올바르게 지도하기 위해서는 어머니에게 영아 스마트폰 사용 지도방법에 대한 교육뿐 아니라 어머니에게 필요한 양육 지식을 교육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양육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는 사회적 지원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actual status of infants’/toddlers’ using smart phones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competence and infants’/toddlers’ using smart phones. For the purposes of the study, a packet of survey was delivered to 312 mothers whose infants/toddlers go to daycare centers in Busan, Korea. More than 70% of the mothers replied that their infants/toddlers use smart phones and some of them reported that their children use smart phones more than 5 hours per week. The mothers also reported that they allowed their children to use smart phones in order to response their children’s requests, soothe their children’s temper tantrums, or let the children not disrupt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competence were found to be the significant variables related to the variables of infants’/toddlers’ using smart phone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at a systematic program to educate young mothers concerning children’s using smart phones and social support to diminish mothers’ parenting stress.

      • KCI등재

        김채원 소설 〈겨울의 환〉의 치유성과 그 작용에 대한 분석

        류미향(Ryu, Mi-Hyang) 한국어문학회 2021 語文學 Vol.- No.154

        본 연구에서는 자전적 고백형 소설의 순금이라 불리는 김채원의 〈겨울의 환〉에 나타난 치유성과 그 작용에 대해 분석해 보고자 한다. 〈겨울의 환〉 에는 작가의 가족사를 유추해 볼 수 있는 여인 삼대의 평범하지 않은 삶이 배경으로 이야기가 펼쳐진다. 작중 화자인 가혜는 당신의 권유로 어머니와 할머니의 삶까지 거슬러 ‘나이 들어가는 여자의 떨림’에 대해 글을 쓴다. 글을 쓰는 작중화자는 할머니와 어머니를 거쳐 자신에 이르는 여인 삼대의 삶을 이야기화 한다. 글쓰기라는 형식 안에서 할머니와 어머니의 삶은 새로 태어나고, 글을 쓰는 주체자인 ‘나’ 역시 삶의 열쇠를 찾은 듯한 지점에 이른다. 치유는 순수한 감정적 카타르시스(catharsis)와 통찰(insight)을 체험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치유적 작용을 일으키는 요소로 먼저 작품 형식적 측면에서 기억하기와 글쓰기를 제시한다. 기억은 소환되어 글쓰기라는 양식을 통해 이야기화 됨으로써 재창조된다. 이러한 과정은 감정의 순화와 통찰을 가져오는 것으로서 〈겨울의 환〉에는 기억하기와 글쓰기를 통한 치유의 과정이 일어난다. 다음으로 작품 내용적 성격으로 환의 세계를 치유적 성격으로 제시하였다. 작품의 근간을 이루는 서사에서 볼 수 있는 운명, 불(火)의 기운, 눈(雪)의 세계, 당신이라는 존재, 삶의 열쇠 등은 실체인 동시에 비실체로서 환(幻)을 이루며, 이것들은 작품 서사에서 정서를 순화하고 환기하며 깊은 통찰과 깨달음에 이르게 하는 치유적 성격으로 작용함을 밝히고자 한다. 작중 화자가 마침내 이르게 되는 삶의 열쇠를 찾은 듯한 깨달음은 환의 세계가 치유적 요소로 작용하였음을 보여준다. In this study, we intend to analyze the healing properties and the effects of Kim Chae-won"s 〈Illusion of Winter〉, which is known as the pure gold of autobiographical confession novels. In 〈Illusion of Winter〉, the story unfolds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extraordinary lives of three generations of women which infers the author"s family history. The narrator, Gahye, writes about "the nervousness of an aging woman," tracking back the lives of her mother and grandmother. In her writing, the narrator tells the story of the lives of three generations of women from passed grandmother, her mother and to herself. In the form of writing, the lives of grandmother and mother are reborn, and "I," the subject of writing, also seems to have found the key to life. The healing allows her to experience the pure emotional catharsis and insight. In this study, remembering and writing are first presen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lements that set up the healing properties. Memories are re-created by being summoned and narrated through the form of writing. This process brings the purification of emotions and insight, and in 〈Illusion of Winter〉, the process of healing through memory and writing takes place. Next, as the content of the work, the world of illusion was presented as a healing element. The fate, the energy of fire, the world of snow, the existence of you, and the key to life, which can be seen in the narrative that forms the basis of work, form an illusion as both real and non-substantial. In the narrative of the work, I would like to state that it works as a healing element that purifies and evokes emotions and leads to deep insight and realization. The realization that the narrator seems to have reached, which is the key to the life, shows that the world of illusion acts as a healing element.

      • KCI등재

        문화수용자와 창조자로서 유아들의 대중문화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자율적 미술활동을 중심으로

        류미향 ( Mi Hyang Ryu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4

        현대 문화를 특징짓는 핵심 주제어 중 하나인 대중문화는 유아들이 세상을 어떻게 이해하고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해 나가는 가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대중문화가 유아들의 ``지금`` ``여기``에서의 삶에서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를 알아보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이 실제로 어떻게 대중문화를 이해하고 경험하고 있는지, 특히 문화수용자와 문화창조자로서 대중문화를 어떻게 체험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M유치원 자연반 만5세유아 34명을 33회 비참여 관찰 하였고, 유아들의 대중문화에 대한 상호작용이 가장 두드러지는 맥락으로 자유선택활동 중에 이루어지는 자율적 미술활동을 중점적으로 해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한 자료는 자율적 미술활동 15회 관찰 전사본, 교사 및 유아와의 면담 전사본, 연구자일지 및 유아의 그림작품을 찍은 사진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주의 깊은 반복적 읽기를 통해 의미 단위로 묶은 후 문화수용자로서 혹은 문화창조자로서의 특성과 관련지어 주제어를 만들어 냈다, 연구결과 자연반 유아들은 자발적으로 그림 그리기 활동에 참여하면서 대중문화에 대한 공통의 지식을 바탕으로 또래집단에의 소속감과 유대감을 강화시키고 있었다, 나아가 유아들은 단순히 대중문화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각자의 취향과 기호를 반영하여 대중문화에 대한 이미지를 다양하게 내면화시키는 적극적인 문화수용자의 모습을 보였다, 더불어 유아들은 능동적인 참여과정을 통해 성인이 만들어 낸 대중문화를 선택하고 해석하고 유희하며, 새롭게 변형하고 창조해 내는 문화 창조자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대중문화 콘텐츠에 내포된 상업주의나 유해성이 유아에게 미칠지 모르는 악영향에 대한 염려를 논하기 이전에 유아들의 문화창조자로서의 역량을 지원해 줄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성인들의 노력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Since popular cultur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how children make sense of the world and forming their sense of self,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what kind of role popular culture plays in children`s existence as children "here" in space and "now" in time. This study examines how young children actually understand and experience popular culture, especially as culture consumers and creators. For this investigation, thirty-four, 5-year-old children and their teacher at the class Ja-Yeon in M kindergarten were observed 33 times, interviews with the teacher and the children were conducted, children`s art works were collected and a transcript made of fifteen instances of children`s interactions during their autonomous arts activities was analyzed. Findings demonstrate that young children actively participated in arts activities based on their shared understandings about popular culture, which strengthen their sense of belonging and their bond with their peer community. In addition, they actively consumed popular culture by internalizing their own image of popular culture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tastes and preferences. As culture creators, they selected, interpreted and enjoyed the contents of popular culture and they, themselves, modified and recreated the contents each time they did so.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in-depth discussion concerning how to support and guide children`s capabilities as positive culture creators and modifiers are needed for adults` roles as supporters and encouragers of such abilities are crucial.

      • KCI등재

        니체의 "어린이의 정신"을 통해 본 놀이중심 유아교육의 방향 탐구

        류미향 ( Mi-hyang Ryu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3

        유아교육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유아의 발달적 특성 및 흥미를 고려한 놀이중심 교육을 표방하고 있다는 점이다. 놀이는 유아들의 개별적 흥미를 존중해 주고 발달적 특성에 가 장 적합한 최적의 교수 매체로 인정을 받고 있지만 놀이중심 교육의 진정한 의미가 무엇인 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다. 이러한 논란의 뒤에는 놀이중심교육에서 놀이가 어떻게 개념화 되고 기능해야 하는지에 대한 다소 혼란스러운 관점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놀이중심 교육의 실천을 위해서는 특히 놀이의 본질적 특성이 지켜지면서도 유아들의 놀이가 ``산만하고 조악 한`` 경험에 머무르지 않고 교육적 성장을 불러일으킬 수 있도록 조직화 하는데 있어서 초점 을 맞추어야 할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고민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놀이중심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탐구하기 위해서 먼저 유아 놀이의 본질적 가치에 대해 탐색하고 이러한 유아 놀이의 가치가 놀이중심 교육에서 어떻게 지원되어야 할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니체의 놀이에 대한 이론을 탐색하고 유아의 실제 놀이상황에서 니체가 이상적인 인간상으로 제시하고 있는 ``어린이의 정신``이 구현되고 있는 장면을 포착함으로써, 유아 놀이의 본질 및 가치를 탐구 하고 진정한 놀이중심 유아교육의 의미에 대해 논의하였다. Early childhood education traditionally advocates play-based education considering children’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their interests and needs. Even though play is recognized as one of the best teaching media because it is suitable for young children’s individual interests an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there is no consensus concerning the real meaning of play-based education. Behind such discord, there exist somewhat confusing perceptions about how play should be conceptualized and what role it should play in play-based educa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rection toward which play-based education should follow, the essential value of play was investigated and discussion concerning how the value should be supported in play-based education was done in this study. For such purpose, Nietzsche’s theory on play was reviewed and the any possible manifestation of Nietzsche’s theory on ‘child-like spirit’ was searched in children’s play. Based on that, this study explored the essence of play and the real meaning of play-based education. In order to search for any manifestation of Nietzsche’s theory in play, the researcher and a research assistant observed free play at two, five-year-old children’s classrooms. Observation was videotaped and then transcribed. The educational values of ‘child-like spirit’ were as follows: (a) creation of freedom to restart, (b) enhanced ability to transform the self, and (c) absolutely affirmative attitude.

      • KCI등재

        교사 자질로서 인간관계 능력에 관한 고찰

        류미향(RYU MI-HYANG),김성숙(Kim Sung Sook) 한국육아지원학회 2013 육아지원연구 Vol.8 No.2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요구되는 교사 자질에 관해서는 오랫동안 다양한 논의가 있어 왔다. 본 연 구는 공감과 소통의 시대인 현대 사회에서 요구되는 교사자질에 관한 논의로서 교사의 인간관계 능력 의 중요성을 환기하고자 하였다. 교사의 인간관계 능력은 가르침의 ‘심미적 영역’에 속하는 자질로 본 연구에서는 공감과 소통의 현 시대적 특성과, 사랑과 돌봄의 미학이 요구되는 유아교육 현장의 특성상 인간관계 능력은 무엇보다도 중요한 자질임을 강조하였다. 동시에 인간관계 능력은 유아교사 및 예비 유아교사들이 교사로의 직무를 어렵고 힘들게 하는 하나의 중요한 원인인 만큼 교사자질로서 인간관계 능력의 신장이 요구됨을 환기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교육기관에 재학 중인 예비유 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인간관계 능력을 비교해 봄으로써 교사양성과정에 교사 자질의 함양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According to the high emphasis on teacher qualification required in the current society, this study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relational ability among aesthetic dimensions of teaching. Aesthetic dimensions of teaching address both the affective and cognitive aspects of teaching. Such dimensions play an important role in how teachers situate themselves in relation to what they teach and how to make relationships with students. Relational ability is essential to any person who lives and works in a society. In addition, such ability can be motive for teachers to create a warm atmosphere of classroom. While focusing on the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s a teacher qualification for aesthetic teaching,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relational abilities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A questionnaire of emotional ability and communication skills was distributed to 535 pre-service teachers. Their relational ability was in a medium level and age wa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to explain difference of interpersonal ability of the pre-service teachers. Based on the findings, we propose that education and training of interpersonal skills are needed especially for younger group of pre-service teachers.

      • KCI등재

        유아 행복 추구를 위한 욕망담론의 고찰

        류미향(Ryu, Mi-Hya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3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78

        인간은 누구나 자신의 욕망 실현을 통해 행복한 삶을 꿈꾼다. 행복에 관한 정의는 다양하지만 궁극적으로 개인이 자신의 존재에 관한 충만감을 느끼고 자아실현을 할 수 있을 때 가능한 것이다. 그런데 유아가 성장하면서 사회적 관계를 맺게 되면서 자신의 욕망뿐만 아니라 수많은 타자의 욕망을 대면하게 될 때 욕망과 행복의 관계는 윤리?사회적 문제와 합쳐지면서 복잡해진다. 과연 개인의 행복한 삶을 위해서 욕망은 충족되어야 할 대상인가 아니면 타자를 고려한 윤리적 문제로 자신의 욕망은 통제되어야 하는가.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진정한 행복 추구를 위해서는 바른 욕망관의 정립이 필요하다는 전제 하에 라캉, 들뢰즈, 불교 욕망담론을 고찰하고 욕망에의 폭넓은 이해를 위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라캉, 들뢰즈, 불교에서는 욕망의 발생이나 성격에 관해서는 다른 관점을 보이고 있으나 공통적으로 인간 삶에서 욕망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욕망의 무조건적 억제가 좋지 않다는 견해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유아의 진정한 행복을 위해서 욕망 자체를 부정하기 보다는 욕망의 생산적인 측면을 긍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혜를 기르는 것이 선행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We, as humans, dream of our happy life through fulfilling our desires. As a young child grows up, his/her desires meet others’ desires and the relations between happiness and desire become complex because of ethical and social causes. Should desire be fulfilled in order to seek for a person’s happiness or be controlled in order to consider others’ desires? This study presents theoretical background for making relations between happiness and desire based on investigation of three theories on desire: Lacan, Deleuze, and Buddhism.

      • KCI등재

        유치원 자유놀이에서 또래 간 "긴장" 경험의 윤리적 의미 탐색

        류미향 ( Mi Hyang Ryu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4

        자유놀이는 유아들이 세계와 관계를 맺어가는 일상적 삶의 맥락으로서 놀이자로서 유아들은 본능적으로 놀이의 즐거움과 생명력을 유지하기 위해서 또래 간 발생하는 긴장을 조율하여 균형과 조화를 이루고자 한다. 긴장을 경험하고 조율하는 과정은 유아들이 다른 유아들과 혹은 기존의 규칙이나 문화와 부딪히면서 사회에 적응하고 사회에 내면화된 윤리적 가치를 배우고 안전한 맥락에서 이러한 가치들을 실험하면서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해 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의 자유놀이 속 또래 간 긴장과 긴장조율의 경험을 살펴보고 이러한 경험의 윤리적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B시의 풀잎유치원 만5세 푸른반 유아 34명을 대상으로, 또래 간 상호작용이 가장 두드러지는 맥락인 실내외 자유놀이시간을 33회관찰하였다. 자료로는 유아들의 자유놀이 중 일어나는 언어적·비언어적 상호작용의 전사본과, 관찰도중 작성한 연구자일지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주의 깊게 반복적 읽기를 하면서 의미 있는 진술을 표시한 후, 관련된 의미 단위들을 중심으로 분류하였고 놀이상황을 이해하면서 다시 읽고 재분류하는 작업을 거듭하였다. 연구결과, 푸른반 유아들은 놀이에서 이기고자 하는 욕망, 놀잇감 소유에 대한 욕망, 놀이참여나 놀이친구 거절에 대한 욕망 등 다양한 욕망의 충돌로 긴장을 경험하고 있었고, 새로운 놀이에의 제안과 같은 예상치 못했던 경험으로 긴장을 느끼고 있었다. 이러한 긴장을 조율하는 방식으로 유아들은 놀이 맥락에 따라 자유롭게 가치를 변형하고 새롭게 창조해 내고 있었고, 특히 유아들이 함께 놀이하는 또래의 마음을 읽는 감성능력을 발휘함으로써 긴장을 해결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유아들의 긴장 경험을 통해서 역할 바꾸기를 통한 능동적인 가치 창조자로서의 유아의 모습뿐만 아니라 타자에 대한 배려의 근거로서 감성능력을 활용하고, 자유로운 해체와 창조를 통해 인성적 가치를 향유하는 유아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더불어 자율적으로 서로 간 부딪힘을 해결해 가는 유아들의 능력이 발현됨으로써 윤리탐구공동체를 만들어 가는데 기여할 수 있는 맥락으로서 자유놀이 속 긴장경험의 윤리적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해 가는 실존적 맥락으로서 긴장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Free play is a part of daily life through which children create relationships with the world. Children form their identities as they encounter various discords between themselves and other people, existing rules, or culture. As players, children innately try to recover balance and harmony by calming down and resolving any dissonance between players to maintain vitality and delight in play.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how children experience tensions during their free play and how they solve such tensions.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thical meanings of tension experiences. For these purposes, 34, five-year-old children were observed for 33 free play at the class “P” in “L” kindergarten. Transcripts of children’s interactions during their free play and the researcher’s journal were used as data. Results revealed that the children experienced tensions because of conflicts stemming from their desires, such as desire to win a game, to obtain play material, or to participate in play. In addition, they felt tension because of challenges to the play or suggestions about new play rules. In order to solve these tensions, children freely modified and (re)created ethical values according to play contexts. Their emotional competence in understanding how their peers were thinking and feeling played an especially important role in solving existing tensions. From this study, the important role of play contexts for young children was reconfirmed. During free play, children showed the possibility of building an ethical community of inquiry by freely creating, modifying, and applying ethical values.

      • KCI등재

        토미 웅거러 그림책 『성냥팔이 소녀 알뤼메트』와 『즐로티』에서 나타난 어린이에 대한 이해

        류미향 ( Ryu Mi-hya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연구 Vol.38 No.4

        본 연구는 어린이 존재의 다양한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기성 사회가 만든 편견을 배제하고 독창적인 주제와 등장인물들을 통해 세계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끌어내고자 한 토미 웅거러 그림책 중 『성냥팔이 소녀 알뤼메트』와 『즐로티』에 등장하는 어린이 등장인물들의 존재적 특성을 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알뤼메트와 즐로티는 사랑받고 보호받고 싶어 하는 어린이의 소망을 간직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삶에 대한 책임과 아픈 할머니를 돌보는 윤리적인 실천을 하며 낯선 존재들과 화합하고 도움이 필요한 타자들의 부름에 응하는 등 성인들의 존재적 특성도 함께 가지고 있는 중층적인 존재였다. 또한 자신이 만나는 다양한 현실적 상황에 대해 주체적이고 능동적으로 사고하고 행동하며 낯선 존재에게 선입견을 배제하고 귀 기울이면서 지속적으로 자신을 재배치 함으로써 끊임없이 되어가는 과정에 있는 존재로서의 특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자신의 되어가는 존재성에 대한 주체로서 어린이가 가진 역량은 새로운 어린이 상을 제시해 줌으로써 어린이의 존재적 특성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확장해 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ntological features of child characters as represented in the picture books of Tomi Ungerer. Ungerer endeavors to exhibit a worldview free of prejudice through the use of creative themes and characters of books. For the research purpose, “Allumette” and “Zloty” were chosen. These are two books that contain verbal and visual narratives produced by Ungerer. This study analyzed the appearance, behaviors, emotions, and characters of the two main characters, Allumette and Zloty. In addition, their relationship with others were analyzed. Finally, the outstanding characteristics of Allumette and Zloty were analyzed in comparison to their original characters: Little Match Girl of Hans Christian Andersen and Little Red Riding Hood of the fairy ta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Both Allumette and Zloty presented multi-level traits displaying childlike characteristics expressing their need for protection and love by adults (e.g., parents), and also grown-up characteristics such as taking care of responsibilities for their own lives or for a sick grandmother. Next, both characters were shown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continuous ‘becoming’ of their being through their own reasoning and actions, and by listening to others without prejudice when encountering new events of life.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to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erms of suggesting new image of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