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벼 도열병 단일 저항성 유전자를 이용한 도열병균의 병원형 분류

        김양선,강인정,심형권,노재환,Kim, Yangseon,Kang, In Jeong,Shim, Hyeong-Kwon,Roh, Jae-Hwan 한국식물병리학회 2017 식물병연구 Vol.23 No.3

        벼 도열병은 벼를 재배하는 지역에서는 가장 중요한 병 중 하나이다. 특히, 벼 도열병균은 기주인 벼와 Gene-for-Gene 상호작용이 적용 가능한 대표적인 모델 식물병원성 곰팡이다. 우리나라는 1980년 이래로 벼 도열병균의 레이스를 분석하기 위해 8개의 판별 품종을 이용한 시스템을 구축하여 분류하였다. 그러나 이 판별 품종이 어떤 저항성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지에 관해 명확한 정보가 없어 새로운 레이스의 출현이나 병 저항성 붕괴 등에 대하여 과학적인 분석이 어려웠다. 최근 병원균의 레이스와 벼의 저항성 유전자의 상호작용 이해를 돕기 위해 LTH 품종에 단인자 저항성 계통을 각각 다르게 도입한 판별시스템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1995년부터 2015년까지 분리된 4개의 다른 레이스 KI101, KI201, KI401 및 KJ101로부터 총 50개 균주를 선발하여 LTH 품종에 기반한 단인자 저항성 계통에 접종하여 그 결과를 이전 레이스와 비교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한국형 판별시스템으로 분류된 동일 레이스내의 균주들이 단인자 계통에서 서로 다른 반응을 보였다. 이 결과 동일 레이스에 속하는 균주들이 서로 다른 비병원성 유전자를 지닌 것을 의미하며, 더 나아가 새로운 저항성 벼 품종 육종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어려울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 연구 결과 현재의 판별시스템과 더불어 단인자 저항성 품종을 통한 판별시스템 도입이 요구되었다. 이 연구 결과는 향후 한국의 판별시스템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rice blast fungus is a representative model phytopathogenic fungus in which Gene-for-Gene interaction with host rice is applicable. After 1980, eight differential varieties have been constructed and classified to analyze the race of rice blast isolates in Korea. However, since there is limited information about the genetic background of rice blast resistance genes within the Korean differentials, scientific analysis on the emergence of new race or resistance break down was difficult. Recently, a differential system has been developed using monogenic resistance lines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s of pathogen race and rice resistance genes. In this study, a total of 50 isolates were selected from four different races isolated in Korea, and they were inoculated into monogenic lines. As a result, the isolates in the same race classified by the Korean differential system reacted differently in single monogenic lines. This suggests that the isolates categorized as the same race group contains different avirulence genes and furthermore, it is presumed that the Korean differential system is difficult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breeding program. For this reason, introduction of differential system using monogenic resistance lines is required in addition to the current system.

      • KCI등재
      • KCI등재

        기온, 강수량, 이산화탄소농도 변화에 따른 CERES-Barley 국내품종의 종실수량 반응

        김대준 ( Dae Jun Kim ),노재환 ( Jae Hwan Roh ),윤진일 ( Jin I Yun ) 한국농림기상학회 2013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5 No.4

        주어진 작물모형이 기후요소 중 어떤 것에 얼마만큼반응하는지 상대적인 민감도를 모르는 상태에서 계산 결과만으로 미래 전망을 내리는 것은 적절치 않을 수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래기후전망에 근거한 국내 보리 품종의 민감도 변화 실험을 통해 기온, 강수량, 이산화탄소 농도의 변화가 작물의 생산량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을 분석하였다. 주요 보리 품종(올보리-수원, 알보리-밀양, 새쌀보리-익산, 삼도보리-진주)에 맞게 품종모수가 조정된 CERES-Barley를 RCP 8.5 시나리오의 2071-2100 기후변동범위(1981-2010 기준 기온-1oC~+8oC, 강수량 -50% ~ +50%, CO2 농도 330ppm~ 900ppm)에 근거한 99개 처리조합에 의해 구동하였다. 이들 처리조합에 의해 생성된 11,880개 종실수량계산결과를 토대로 각 기후요소의 변화에 따른 종실수량의 민감도를 분석한 결과 이산화탄소농도 변화에 가장 민감한 반응을 보인 반면 강수량 변동에 대한 반응이 가장 무디었고, 온도변화에 대해서는 기준온도 대비 상승, 하강 모두 감소하는 경향이었지만 품종 별로 차이가 뚜렷하였다. CERES-Barley는 우리나라에서 농업부문 기후변화 영향평가에 널리 사용되므로 실험설계 시 이러한 모형의 민감도를 감안하여야 현실성 있는 생육모의가 가능하다. Our understanding of the sensitivities of crop responses to changes in carbon dioxide, temperature, and water is limited, which makes it difficult to fully utilize crop models in assessing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future agricultural production. Genetic coefficients of CERES-Barley model for major domestic cultivars in South Korea (Olbori at Suwon, Albori at Milyang, Saessalbori at Iksan, and Samdobori at Jinju) were estimated from the observed data for daily weather and field trials for more than 10 years by using GenCalc in DSSAT. Data from 1997-2002 annual crop status report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were used to validate the crop coefficients. The sitecalibrated CERES-Barley model was used to perform crop growth simulation with the 99 treatments of step change combinations in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with respect to the baseline climate (1981-2010) at four sites. The upper boundary corresponds to the 2071-2100 climate outlook from the RCP 8.5 scenario. The response surface of grain yield showed a distinct pattern of model behavior under the combined change in environmental variables. The simulated grain yield was most sensitive to CO2 concentration, least sensitive to precipitation, and showing a variable response to temperature depending on cultivar. The emulated impacts of response surfaces are expected to facilitate assessment of projected climate impacts on a given cultivar in South Korea.

      • KCI등재

        2015년 국내산 저장 옥수수에서의 후자리움 독소 오염 및 감염 곰팡이 조사

        김양선,강인정,신동범,노재환,허성기,심형권,Kim, Yangseon,Kang, In Jeong,Shin, Dong Bum,Roh, Jae Hwan,Heu, Sunggi,Shim, Hyeong Kwon 한국식물병리학회 2017 식물병연구 Vol.23 No.3

        옥수수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는 곡물 중 하나이며 중요한 식량자원이다. 생산 된 옥수수는 수확 및 건조 후에 저장되는데 저장 옥수수의 질을 떨어뜨리는 곰팡이 감염 및 곰팡이 독소는 생육 시기부터 저장기간 내내 발생한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2015년 수확하여 1년정도 저장한 옥수수를 대상으로 옥수수의 크기와 변색 정도에 따른 감염 곰팡이 종과 독소검출을 조사하였다. 데옥시니발레놀과 제랄레논이 아플라톡신, 오크라톡신, 푸모니신, 티투독소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었는데 특히, 데옥시니발레놀 경우 작은 낱알에서 $1200{\pm}610{\mu}g/kg$로 검출되었는데, 이는 이보다 큰 낱알에서 검출된 독소 함량에 비해 4배에서 6배까지 많은 양이 검출되었으며, 변색된 낱알의 혼입으로 인해 데옥시니발레놀, 제랄레논 및 푸모니신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곰팡이의 경우 Fusarium, Aspergillus 그리고 Penicillium 속 등 총 10종이 분리되었다. 이중 F. graminearum은 정상적인 낱알에 비해 변색 된 붉은색 낱알과 갈색 낱알에서 60%와 40%로 높은 빈도로 검출되었다. 따라서 수확 후 변색 또는 손상된 옥수수 낱알이 정상 낱알에 섞여 보관될 경우, 손상된 낱알에 오염되어 있던 병원균이 정상 낱알을 감염하여 진균 독소의 발생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오염 낱알의 제거가 곰팡이 및 독소의 오염 예방에 도움이 될 것이다. Maize is one of the most cultivated cereals as a staple food in the world. The harvested maize is mainly stored after drying, but its quality and nutrition could be debased by fungal spoilage and mycotoxin contamination. In this study, we surveyed mycotoxin contamination fungal infection of maize kernels that were stored for almost one year after harvest in 2015. The amount of deoxynivalenol and zearalenone detected were higher than the other mycotoxin, such as aflatoxin, ochratoxin, fumonisin and T-2 toxin. In particular, level of deoxynivalenol was detected as $1200{\pm}610{\mu}g/kg$ in small size kernels, which was four to six times higher than the large and the medium size kernels. Moreover, the amount of deoxynivalenol, zearalenone, and fumonisin were increased with discolored kernels. 10 species including Fusarium spp., Aspergillus spp. and Penicillium spp. were isolated from the maize kernels. F. graminearum was predominant in the discolored kernels with detection rates of 60% (red) and 40% (brown). Our study shows that the mycotoxin contents of stored maize can be increased by discolored maize kernels mixed. Therefore elimination of the contaminated maize kernels will help prevent fungal infection and mycotoxin contamination in stored maize.

      • KCI등재

        곰팡이 독소 오염 경감을 위한 옥수수 재배법

        김양선,강인정,신동범,노재환,정진교,허성기,심형권,Kim, Yangseon,Kang, In Jeong,Shin, Dong Bum,Roh, Jae Hwan,Jung, Jingyo,Heu, Sunggi,Shim, Hyeong Kwon 한국식물병리학회 2017 식물병연구 Vol.23 No.3

        살충제와 살균제 처리가 옥수수의 독소 오염을 경감시키는데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그 효과를 관찰하였다. 데옥시니발레논(DON)과 제랄레논(ZEN)은 약제처리시 높은 경감효과를 보였으나, 아플라톡신(AFT), 오크라톡신(OTA), 푸모니신(FUM)과 티-2(T-2 toxin)은 약제처리에 의한 효과가 없었다. 약제처리는 Fusarium verticillioides, F. graminearum, 그리고 F. equiseti 같은 병원성 곰팡이의 생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옥수수 수확 시기에 따른 곰팡이 독소의 검출량을 비교하였는데,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DON과 ZEN의 검출량이 증가하였고, Fusarium 속의 병원균 또한 높은 함량으로 검출되었다. 옥수수 종자의 주요 영양성분은 수확 시기에 따라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옥수수의 곰팡이 오염을 줄이기 위해, 살균제와 살충제의 약제처리가 필요하며 수확시기를 늦추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밝혀냈다. The effects of insecticide and fungicide treatment were investigated to reduce mycotoxin contamination of corn (Zea mays L.) seeds. Deoxynivalenol and zearalenone contents were reduced in the treated seeds, but aflatoxin, ochratoxin A, fumonisin, and T-2 toxin were not effective by chemical treatments. The chemical treatment did not affect the growth of saprophyte, but inhibited the pathogenic fungi such as Fusarium verticillioides, F. graminearum and F. equiseti. Myotoxin contents at different harvesting time were compared. As the harvest time was delayed, both levels of deoxynivalenol and zearalenone and frequency of Fusarium spp. increased. However, the major nutrient contents of corn seeds were not affected by harvesting period. These results show that chemical treatments are necessary to reduce the fungal contamination of corn and harvest without delay is important as well.

      • KCI등재

        참깨의 비닐피복 기계화 일관작업 체계 연구

        강철환,이병규,안병옥,박충범,노재환,이성우,이승택,홍종태,이선호,김석현,이상철,김완석,Kang, Chul-Whan,Lee, Byoung-Kyu,Ahn, Byoung-Ok,Park, Choong-Bum,Roh, Jae-Hwan,Lee, Seong-Woo,Lee, Seung-Tack,Hong, Jong-Tae,Lee, Sun-Ho,Kim, Seok-Hyeon 한국작물학회 1997 한국작물학회지 Vol.42 No.5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and investigate integrated mechanization system on polyethylene(P.E.) film mulching culture in sesame. Field trials were carried out to develop optimum mechanics for each step of manual operation in sesame culture and demonstrated those developed mechanics of sesame dibbling vinyl mulcher, sesame binder, sesame thresher and sesame grader at the farmer, s field of Hwasong (Kyunggi-do) in 1994 and 1995. Newly developed sesame dibbling vinyl mulcher brought saving manpower 280 hrs /ha for sowing and P.E. film mulching with it's 98% of labour saving for the harvesting operation of sesame. Sesame Binder showed 93% labour saving for cutting and binding with only 22 hrs /ha compared to 330 hrs /ha that of conventional. Sesame thresher was appeared to have 85% effects of labour saving for threshing with completely dry sesame bundles at one time by 23 hrs /ha compared to 151 hrs /ha that of conventional. Sesame grader was appeared to have 72% effects for sesame grain grading with 12 hrs /ha compared to that of conventional 54 hrs /ha. Grain yield of integrated mechanization culture system showed 6% higher than that of coventional. Integrated mechanization culture system (sesame dibbling vinyl mulcher + sesame binder + sesame thresher + sasame grader) showed 62% of labour saving effects through whole steps of sesame culture by 472 hrs /ha compared to that of conventional 1, 230 hrs /ha.

      • KCI등재

        충청지역 농경지의 외래잡초 발생조사

        최봉수(Choi, Bongsu),송득영(Duk Young Song),노재환(Jae Hwan Roh),구연충(Yeon Chung Ku),이철원(Chul Won Lee) 韓國雜草學會 2009 Weed&Turfgrass Science Vol.29 No.2

        본 연구는 농경지에서 발생하는 외래잡초의 종류 및 발생정도를 조사하여 경작지 분포현황과 확산 등에 관한 잡초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충청지역의 경작지 및 과수원 214지점에서 잡초조사를 수행하였다. 충청지역 종경지에 발생하는 외래잡초는 총 16과 38종을 확인하였으며, 과별로는 국화과가 10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명아주과, 화본과, 현삼과 등의 순이었다. 충청지역의 밭에서 발생정도가 높은 초종은 개망초, 망초, 흰명아주 순이었으며, 과수원은 개비름, 흰명아주, 개망초 순이었다. 지역별 농경지 발생 외래잡초는 충북지역의 밭은 13과 26종이 발생하여 개망초, 흰명아주, 개비름 순이었으며 과수원에는 9과 13종이 발생하여 흰명아주, 개비름, 서양민들레 순으로 확인하였다. 충남지역의 밭 발생 외래잡초는 15과 28종으로 개망초, 망초, 흰명아주 순으로 많았고, 과수원은 12과 22종이 발생하여 개비름, 망초, 흰명아주 순으로 우점하였다. The distribution of exotic weed species in the agricultural lands of Chungcheong region, Korea was surveyed to provide on effective information of weed management. In the surveyed sites, 38 exotic weed species of 16 families were found in the upland fields and the fruit farms. The exotic weeds were mainly identified as Erigeron annuus, Conyza canadensis and Chenopodium album var. album in the upland fields and Amaranthus lividus, Chenopodium album var. album and Erigeron annuus in the fruit farms. In Chungbuk province, the exotic weed species were found in 26 and 13 species in the upland fields and the fruit farms, respectively. The most dominant exotic weeds were Ergeron annuus, Chenopodium album var. album, Amaranthus lividus and Conyza canadensis in the upland fields and Chenopodium album var. album, Amaranthus lividus, Taraxacum officinale and Rumex crispus in the fruit farms. In Chungnam province, the exotic weed species were found in 28 and 22 species in the upland fields and the fruit farms, respectively. The most dominant exotic weeds were Erigeron annuus, Conyza canadensis, Chenopodium album var. album and Amaranthus lividus in the upland fields and Amaranthus lividus, Conyza canadensis, Chenopodium album var. album and Erigeron annuus in the fruit farms.

      • KCI등재

        충남북지역의 밭작물 재배 유형별 잡초발생 현황

        최봉수(Choi Bongsu),송득영(Duk Young Song),노재환(Jae Hwan Roh),구연충(Yeon Chung Ku),이철원(Chul Won Lee) 韓國雜草學會 2009 Weed&Turfgrass Science Vol.29 No.2

        충청지역 밭작물 재배지에서 발생 잡초는 총 36과 124종을 확인하였으며, 발생초종은 국화과 25종, 벼과 16종, 방동사니과와 십자화과가 각각 7종, 마디풀과, 메꽃과, 콩과가 각각 6종 순이었다. 이 지역의 최우점 잡초는 바랭이이며, 다음으로 돌피, 참방동사니, 중대가리풀, 깨풀 순이었다. 식용작물 재배지에서는 바랭이, 돌피, 참방동사니, 중대가리풀, 깨풀 순으로 우점하였고, 다른 작물 재배지보다 잡초의 발생빈도와 밀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원예작물 재배지의 우점잡초는 바랭이, 중대가리풀, 참방동사니, 쇠비름, 망초 순으로, 특용작물 재배지에서는 바랭이, 중대가리풀, 쇠비름, 참방동사니, 돌피 순이었다. 과수작물 재배지에서는 바랭이, 깨풀, 개여뀌, 주름잎, 쇠비름 순이었으며, 다른 작물 재배지의 우점종과 다소 차이가 있었다. 지역별로는 충남지역에서 33과 107종을 확인하였고, 우점잡초는 바랭이, 돌피, 쇠비름, 참방동사니, 중대가리풀 순이었다. 충북지역에서는 34과 97종의 잡초를 확인하였고, 바랭이, 참방동사니, 돌피, 중대가리풀, 깨풀 순으로 우점하여 지역간 차이를 알 수 있었다. The weed survey was conducted at upland fields in Chungcheong region of Korea. Weed species identified in Chungcheong region were totallu 124 species of 36 families, including Asteraceas of 25 species, Poaceae of 16 species, Cyperaceae of 7 species and Brassicaceae of 7 species. 107 weed species of 33 families were identified in Chungcheongnam-do and 97 weed species from 34 families were identified in Chungcheongbuk-do. Digitaria ciliaris was shown most frequently among weed species, followed by Acalypha australis, Mazus pumilus, Cyperus iria, and Erigeron annuus. And weed species of dominant density were Digitaria ciliaris, Echinochloa crus-galli, Cyperus iria, Centipeda minima, and Acalypha australis in Chungcheong region. Weed species in food crops were identified more than other cultivated crops. Although the place number of survey in food crops in smaller than horticultural crops which of the cultivated crops, Weed species identified in each cultivated crops were 105 species from 32 families on food crops, 94 species from 33 families on horticultural crops, 29 species from 81 families on industrial crops and 27 species from 87 families on fruit farms.

      • KCI등재

        금강과 삽교천 유역에 발생하는 잡초 종과 분포

        최봉수(Bongsu Choi),송득영(Duk Young Song),노재환(Jae Hwan Roh),이철원(Chul Won Lee) 韓國雜草學會 2009 Weed&Turfgrass Science Vol.29 No.4

        충남지역의 하천변에서 실시한 잡초조사에서 총46과 206종의 잡초를 확인하였으며, 국화과 잡초가 35종으로 발생종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벼과 28종, 마디풀과 17종, 콩과 14종순으로 높았다. 그 중 국화과를 비롯한 광엽잡초류는 전체 발생잡초(205종) 중 166종으로 81.0%를 차지했으며, 벼과류는 28종으로 13.7%, 사초과류는 11종으로 5.4%로 나타났다. 하천별 발생잡초는 금강으로 유입하는 하천에서 42과 168종이었고, 삽교천으로 유입하는 하천에서 36과 128종, 서해안으로 유입하는 하천에서 42과 150종이었다. 확인한 잡초를 생활사별로 분류하면 일년생 잡초는 90종, 다년생은 75종, 월년생은 40종이었다. 이 지역에서 외래잡초는 17과 54종을 확인하여 전체 발생잡초 205종의 1/4(26%) 수준이엇으며, 국화과가 15종으로 가장 많았고, 콩과 5종, 명아주과 4종순으로 발생종이 많았다. 이들 외래잡초는 금강으로 유입하는 하천에서 44종, 삽교천으로 유입하는 하천에서 31종, 서해안으로 유입하는 하천에서 34종이 확인되었다. 외래잡초 중 소리쟁이, 토끼풀, 망초, 방가지똥, 달맞이꽃은 발생빈도가 8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weed survey was conducted in the basin of the Geum and Sabgyo Rivers, Chungcheongnam-do. Weed species identified in the survey area were totally 205 species of 46 families, including Asteraceae of 35 species, Poaceae of 28 species, Polygonaceae of 17 species and Fabaceae of 14 species The total annual growth weed found 90 species while perennial and biennial weeds were 75 and 40 species, respectively in terms of life cycle of weeds. The weed species were from found in 168, 128 and 150 species in the Geum and Sabgyo Rivers, and other streams, respectively. In the studied sites, 54 exotic weed species of 17 families were found including Asteracea of 15 species, Fabaceae of 5 species, and Chenopodiaceae of 4 species. The exotic weed species were found in 44, 31 and 34 species in the Geum and Sabgyo Rivers, and other streams, respectively. The dominant weeds of occurrence frequency in the studied sites were Acalypha australis L., Artemisia princeps Pamp., Digitaria ciliaris (Retz.) Koel., Rumex cripus L. and Lactuca indica var. laciniata, while exotic weeds were Rumex crispus L., Trifolium repens L., Sonchus oleraceus L., Oenothera biennis L. and Conyza canadensis (L.) Cronq.

      • KCI등재

        연구보문 : 자연과학 ; 올보리 품종의 출수기 및 수량형질의 지역 안정성

        성병열 ( Byung Ryeol Sung ),김정곤 ( Jung Gon Kim ),노재환 ( Jae Hwan Roh ),이혜림 ( Hye Rim Lee ),김대준 ( Dae Jun Kim ),윤진일 ( Jin Il Yoon )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14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26 No.1

        우리나라 보리 품종 중, 농가에 40년 이상 보급되고 있는 올보리 품종에 대하여 출수기 및 정곡수량의 안정성을 전·답리작별 5개 지역에서 검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올보리 품종의 평균출수기는 전작재배에서 진주가 4월 23일로 가장 빠르고, 밀양 4월 25일, 대구, 대전이 각각 4월 28일, 4월 30일이며, 수원이 5월 4일로 늦었다. 답리작재배에서 평균출수기는 밀양이 4월 24일로 빠르고 진주, 익산, 대구는 4월 26 ~ 27일, 대전이 5월 1일로 늦었다. 2. 정곡수량의 총 평균은 10 a당 전작 444 kg, 답리작 363 kg으로서 전작에서 답리작보다 81 kg 증수되었다. 전작재배에서 10 a당 평균수량 이상의 지역은 진주 488 kg, 대구 469 kg이었으며, 가장 적은 지역은 밀양의 385 kg이며, 수원과 대전은 평균정도의 수량을 얻었다. 답리작 재배 역시 진주에서 425 kg으로 수량이 높은 반면, 익산은 307 kg으로 가장 적었다. 3. m2당수수는 지역별로 거의 비슷한 경향이며, 전작에서 평균 567개로 답리작의 529개보다 38개 많았다. 4. 평균 1수립수는 전작에서 48립으로 답리작의 44립보다 4립 정도 많고, 천립중의 평균은 전작 33.9 g으로 답리작 33.2 g과 비슷하였다. 5. Stroike and Johnson(1973)의 모델을 분석한 결과, 올보리 품종의 환경지수는 -60에서 +60으로서 지수의 폭이 매우 작아 전 지역에서 안정적이며, 회귀계수 및 회귀에 기인하는 평균편차 평방화는 지역간에 다소의 차이가 있었다. 진주와 대구는 회귀계수가 1미만이고 표준편차 평방화도 적어 적응력이 높은 지역으로 나타났다. 6. Finlay and Wilkinson(1983)의 모델을 이용하여 안정성을 검정한 결과에서도 진주가 가장 적응력이 높은 지역인 반면, 전작의 밀양과 답리작의 익산은 안정성이 비교적 낮았으며, 다른 지역은 평균 안정성 지역으로 나타났다. 7. 올보리 품종의 5개 지역에서 정곡수량에 미치는 수량구성요소의 기여도는 중북부 지역인 수원, 대전과 답리작의 대구, 익산에서 m2당수수의 기여도가 매우 높았으며, 천립중은 낮았다. 전·답리작 5개 지역의 평균은 m2당수수 > 1수립수 > 천립중 순서로 높았다. Barley cultivar “Olbori” has been cultivated for more than 40 years in Korea. Here, we report heading date, yield stability of “Olbori” that has been evaluated in five locations of both upland and paddy fields. Models were based on the Stroike and Johnson analysis and Finlay and Wilkinson regression to analyse multi-environmental trials. The mean heading date of “Olbori” is earlist at upland in Jinju (April 23) and followed by Milyang (April 25), Daegu (April 28), Daejeon (April 30), and Suwon (May 4) the latest. The total main point quantity averages for cultivation in upland and paddy field were 444 kg/10 a and 363 kg/10 a, respectively. For upland cultivation, Jinju and Daegu showed 488 kg/10 a and 469 kg/10 a, respectively. These numbers are above the average. Milyang recorded the lowest main point quantity average. Suwon and Daejeon showed around the average. For cultivation on paddy field, Jinju recorded the highest, i.e., 425 kg, whereas Iksan showed the lowest, i.e., 312 kg. According to the analysis for Stroike and Johnson model, the environmental index for “Olbori” was between -60 and +60. This means, for all area, “Olbori” is quite stable to cultivate. The average deviation for squared partial correlation due to regression coefficient and regression, it showed some deviation depending on the area. Jinju and Deagu showed the highest adaptability. According to the stability analysis using Finlay and Wilkinson model, Jinju turned out to be most adaptable, whereas Milyang (for upland cultivation) and Iksan (for paddy field cultivation) showed relatively low stability. Other areas showed average st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