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지역사회 범위에 대한 주관적 인식과 가족친화성 평가: 서울시 거주 미취학자녀 부모를 대상으로

        노신애 ( Shi Nae Noh ),진미정 ( Mee Jung Chin ) 한국가족관계학회 2013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18 No.3

        This study aimed to examine (1) what residents perceived as a community boundary and (2) what association were found between the perception on community boundary and family-friendliness of the community. Data were drawn from a sample of 318 married men and 310 married women who had children under the school age. Descriptive analyses, multinomial logit analysis, and one-way ANOVA were used for analysis. The findings showed that there was a variation in the perception of community boundary: 15.29% of the respondents selected an apartment complex, 30.25% Dong, 41.40% Gu, and 13.06% other categories as a community boundary. Women perceived community boundary in larger scope than men did. Those who lived in multiple houses perceived community boundary in smaller scope than apartment residents. Those who selected Gu as a community boundary had higher scores on the awareness of community service infrastructure than those who selected other community boundaries. Those who selected apartment complex as a community had higher scores both on social capital and family-friendliness of community.

      • KCI등재
      • 서울시민의 가족정책 인지도 및 관련 요인 탐색

        진미정(Meejung Chin),노신애(Shinae Noh),김아영(Ah-Yeong Kim) 한국가족정책학회 2021 가족정책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서울시민 대상으로 가족정책(아동돌봄정책, 가족친화제도, 가족서비스 기관)에 대한 인지도를 알아보고, 인지도와 관련되는 개인적 특성과 정책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만 25~74세 서울시민 1,102명을 대상으로 2018년 9월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빈도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가족친화제도의 인지도가 가장 높았고, 가족서비스 기관에 대한 인지도가 가장 낮았다. 아동돌봄정책 중에서는 국공립어린이집 인지도가 가장 높았으며, 가족친화제도 중에서는 육아휴직 인지도가 가장 높았으며, 가족서비스 기관에 대한 인지도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가장 높았다. 정책 인지도는 정책별로 차이가 있는데 공통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높았고, 미혼자보다 기혼자의 인지도가 높았다. 또한, 미취학자녀나 초등자녀가 있는 응답자가 해당 연령과 관련된 정책 인지도가 높았다. 정책 인지도는 도입시기와는 상관성이 없었으며, 예산이 클수록, 서울시 정책이 아니라 전국적으로 적용되는 중앙정부 정책인 경우 더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가족정책 인지도는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일부 정책은 낮은 인지도를 보였다. 정책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정책 홍보를 통해 인지도를 높이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This study explores awareness of family policies among Seoul citizens, as well as the effects of related factors. The family policies under examination in this study consist of ten types of childrearing, five types for family-friendly workplaces, and five types for family service delivery. Data were first collected from an online survey of 1,102 adults aged 25-74, and then analyzed by means of descriptive statistics, logistic regression,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reveal the proportion of adults who know about each type of family policy and the effect of both individual and policy-related factors on their awareness. The most well-known policies are those for family-friendly workplaces, with participants showing the highest level of awareness for parental leave. However, the least awareness is for family service delivery, among which public childcare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re the best known. Awareness levels are related to gender, marital status, and the budget and scope of the policy. Awareness about some types of family policy is lown, suggesting that public advertisements are needed to raise awareness and for consequent use of family policies.

      • KCI등재

        서울시건강가정지원센터 서울가족학교 아동기 부모교실의 효과성: 2020년 비대면 운영사례 분석

        이재림 ( Lee¸ Jaerim ),노신애 ( Noh¸ Shinae ),박지수 ( Park¸ Jisu ) 한국가족관계학회 2021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6 No.3

        연구목적: 공공영역의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국내의 효과성 연구가 매우 제한적인 상황에서, 서울시 전역의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실시하고 있는 서울가족학교 아동기 부모교실의 효과성을 평가하고, 참여자 특성 및 교육 특성별 효과성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2020년 6-10월에 서울시 14개 자치구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실시한 총 17건의 비대면 아동기 부모교실에 참여했으며, 사전조사와 사후조사에 모두 응답한 213명의 자료를 paired t-test와 mixed ANOV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 참여자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이 프로그램 이전과 비교해 이후에 유의미하게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이 중 양육지식의 효과크기가 가장 컸다. 우울로 분류된 참여자의 변화폭이 그렇지 않은 참여자에 비해 컸으며, 컴퓨터나 태블릿 PC를 사용하여 교육에 참여한 집단의 양육지식이 스마트폰으로 참여한 집단보다 큰 폭으로 향상되었다. 결론: 코로나19로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교육사업이 비대면으로 전환된 2020년 아동기 부모교실의 효과성을 분석했다는 의의가 있으나, 후속연구에서는 무작위 대조군 연구와 장기적 효과성 추적이 필요하다. Objectives: We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the Childhood Parenting Education program, which is part of the Seoul Family School curricula offered at 25 local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throughout Seoul. We also examined whether the effectiveness differed by participant and delivery characteristics. This study is unique because of the focus on online delivery of family life education in public agencies during COVID-19. Method: Our data were collected from 213 parents who attended one of the 17 online parenting classes offered by 14 local centers between June and October 2020, and who also participated in both pre- and post-testing. We used paired t-tests and mixed ANOVA. Results: The participants’ parenting knowledge, efficacy, and stres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attending the program. The effect size was the largest for parenting knowledge. Depressed participants experienced greater changes in all of the effectiveness indicators compared to non-depressed parents. Participants who used computers and tablet PCs to attend the classes reported gaining more parenting knowledge compared to those who used smart phones. Conclusion: This study is a critical step given that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public family life education in Korea is extremely limited. We suggest that future effectiveness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using rigorous methods such as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nd longitudinal evaluation.

      • KCI등재
      • 가족센터 1인가구 프로그램에 관한 1인가구의 요구 탐색

        장미나(Mi-Na Chang),진미정(Meejung Chin),노신애(Shinae Noh) 한국가족정책학회 2022 가족정책연구 Vol.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 가족센터의 1인가구 프로그램의 내용과 운영방식에 관한 1인가구의 요구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지역 가족센터 1인가구 프로그램 참여자 6명과 비참여자 5명을 대상으로 각각 집단면접을 실시하였다. 참여자 집단은 20~30대, 비참여자 집단은 40~50대 1인가구로 구성되었다. 분석 결과, 내용상으로는 생애주기 단계별 이행이나 전환을 원활하게 돕는 프로그램, 외로움을 줄일 수 있는 정서적 지원프로그램, 식사나 취미활동을 매개로 한 공동체 프로그램에 관한 요구가 있었고, 운영상으로는 남녀 모두 참여할 수 있는 주제 기획, 지속적인 회원관리와 홍보, 융통성 있는 참여 요건 적용 및 개인정보보호,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정보 제공 등 요구를 표현하였다. 연구 결과에 토대하여 가족센터 프로그램에 다음과 같은 제언이 가능하다. 첫째, 지역사회 인프라를 활용하여 식사와 취미활동을 매개로 한 공동체 활동 등 1인가구의 요구에 부합하는 프로그램 내용을 기획하고, 둘째, 프로그램 참여 요건을 완화하며, 셋째, 센터의 다양한 사업에 대한 홍보와 노출을 통해 센터 인지도를 높이고, 넷째, 사생활과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보장으로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심리적 문턱을 낮추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information for program development for single-person households delivered at local Family Centers. We conducted two focus group interviews with single-person households, one with center program participants, and the other with non-participants. The participant group consisted of six people in their 20s and 30s, while the non-participant group consisted of five people in their 40s and 50s. The results show that single-person households need programs to facilitate transitions in life courses, reducing loneliness, and social gathering through sharing meals or hubbies. They also need programs for both men and women, a consistent member management, flexible participation requirements, privacy protection, and practical inform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ocus group interviews, we made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program contents need to be planned according to the needs of single-person households, Second, flexibility is needed on the targets and contents of the programs for single-person households. Third, public awareness should be increased regarding Family Centers to attract both men and women. Finally, protection on privacy and personal information needs to be enforc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