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80년대와 90년대 북한 고등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체제와 내용 변화-화학 분야를 중심으로-

        노석구,Noh, Suk Goo 대한화학회 2000 대한화학회지 Vol.44 No.4

        본 연구에서는 80년대와 90년대의 북한 화학 교과서의 내용 변화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주된 연구 방법은 관련 문헌을 수집하여 분석하는 것이었으며, 북한 과학교육 체제의 이해를 위하여, 귀순한 북한교육 관련 인사와의 면담도 이루어졌다. 교육과정 편제 수준에 서 80년대와 90년대는 그다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교과서의 외형적 체제와 관련하여 전체적인 쪽수가 매우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교과서의 지질이 매우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화학의 내용 영역별로 교과서 구성 비율을 분석한 결과, '원소와 화합물' 관련 내용 및 '물질의 구조' 관련 내용은 상당히 감소하였으나, '화학적 변화'와 관련 내용은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산${\cdot}$염기 반응 및 산화${\cdot}$환원 반응 등의 내용이 80년대 교과서에 비하여 90년대 교과서에는 더욱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 강조되고 있는 과학-기술-사회 관련 내용의 비율은 80년대에도 미미하였지만 90녀대에 이르러 더욱 그 비율이 낮아지고 있는 바, 구미 각국의 과학 교육사조가 북한에는 거의 영향을 주기 않고 있다고 생각된다. In this study, the changes of contents and formats of science textbooks of North Korean sec-oery much and the quality of papers in the textbooks became worse. The changes of ratios of contents were as follows. While the ratio of 'Chemical Change' was increased especially in the contents of 'Acids and Bases' and 'Oxidation and Reduction', the ratios of'EIements and Compounds' and 'Structure of theMaterials' were decreased. The ratio or 'Science-Technology-Society' which hasbeen stressed very much recently in the science education was low in the eighties, and the ratio is even lower in the nincties. 0n the basis of these facts,it can be concluded that the world-wide recent trends in science education hardly affected North Korean science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에 관한 초등교사의 인식

        노석구 ( Suk Goo Noh ),여상인 ( Sang Ihn Yeo ),장병기 ( Byung Ghi Jang ),임채성 ( Chae Seong Lim ),송민영 ( Min Young Song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02 초등과학교육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irect the 7th national primary science curriculum to be performed properly. The research is based on the questionnaire to investigate the primary teachers` appreciation of the curriculum. The questions are about the general aspect of the 7th curriculum and special treatises on science curriculum.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000 teachers, and 822 teachers answered them.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the teachers` thoughts were as following: First, there must be enough time to develop a new curriculum. It is not desirable to change the old curriculum totally. There should be some continuity between the old and the new curriculum. Second, teachers appreciated that the learning resources and supplements were helpful, and interested students. Teachers thought that IT equipment at class or school was not enough. Third, according to them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science curriculum was appropriate, but the contents need to be improved. Fourth, most teachers restructured the 7th science curriculum to adapt it to the class and school. They cooperated with one another in teaching science, and applied diverse teaching-learning methods according to the curricular contents and the grade levels. Teachers tried to evaluate all aspects of the students with various methods, but they felt it was hard. They were ont active in developing evaluation tools as a team, and in objectifying the information about students. Fifth, teachers felt it was hard to implement the science curriculum according to different levels of the students. Based on the survey of teachers` thoughts, the following can be suggested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and reorientation of the curriculum. First, teachers need learning opportunities to appreciate and adapt the 7th curriculum creatively. Second, they need guidances in implementing the different levels of the curriculum,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appropriate resources for it. Third, we need to control the relative difficulty of the curricular contents, and reduce the hours and quantity of the study. Fourth, we need to improve the school equipment and facilities. Networking and cooperation among education-related institutions are essential for better education. Fifth, it is desirable to develop concrete and diverse learning models.

      • KCI등재
      • KCI등재

        탈북 초등학생의 과학 교육 관련 인지적,정의적 특성

        노석구 ( Noh Suk Goo ),오필석 ( Phil Seok Oh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3 초등과학교육 Vol.3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North Korean immigrant elementary students` cognitive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A total of 68 North Korean immigrant students enrolled in 3 to 6 grades and 133 South Korean students in 4 and 6 grades in 3 South Korean elementary schools participated in the study. A short version of 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GALT) was used to investigate the students` levels of logical thinking, and the Enjoyment of Science Lessons Scale(ESLS) of the Test of Science Related Attitudes(TOSRA) was administrated to examine their attitudes towards science lessons. The statistical analysis of data revealed that the level of logical thinking of the North Korean immigrant elementary students was very low and that this was also the case for the South Korean students. Especially, the mean score of logical thinking of the North Korean immigrant 6 graders was much lower when compared with that of the South Korean counterparts. For both the North Korean immigrant students and South Korean students, the enjoyment of science lessons decreased as they progressed through higher grades. This decreasing trend, however, turned out to be more serious in the South Korean elementary students.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were presented to help successful science learning of North Korean immigrant elementary students.

      • KCI등재
      • KCI등재

        화학 교사에게 필요한 실험 능력

        박현주,정대홍,노석구,임희준,한재영,박종윤,Park, Hyun-Ju,Jeong, Dae-Hong,Noh, Suk-Goo,Lim, Hee-Jun,Han, Jae-Young,Park, Jong-Yoon 대한화학회 2009 대한화학회지 Vol.53 No.6

        이 연구는 중등 화학 교사 전문성 및 지향점 제공을 위한 기초 조사로서, 실험 수업을 성공적으로 진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화학 교사의 실험 능력에 대한 규명을 목적으로 하였다. 문헌 연구, 교과서 실험 분석, 과학 교사 설문 조사의 결과에 기초한 연구팀의 지속적인 논의를 통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화학 교사의 실험 능력 규명을 위하여 수집된 자료들을 정리하여 크게 네 개의 단계(실험 수업 준비, 실험 수행 및 정리, 실험실 관리, 실험실 안전 관리)로 나누고, 각 단계별로 실험 능력에 관련된 소영역과 세부 내용 요소를 선별 ? 수정하여 재배치하였다. 실험실 안전 관리는 실험실 및 실험 활동에서 ‘안전’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별도의 단계로 구분하였다. 화학 교사가 갖추어야 할 실험 능력은 실험 수업 지도를 전제로 하여 교사 스스로 실험 수행을 할 수 있는가에 대한 능력으로, 시약 및 측정기기 사용, 시료 준비, 실험 설계, 바른 실험 습관 및 숙련도, 자료 정리, 분석 및 추론, 그리고 실험실 관리 및 실험실 안전 관리에 관련된 능력으로 특정지어 질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secondary chemistry teachers' abilities to carry-out experiment lesson successfully. As far as the research method is concerned, literature reviews, analyses of abilities to carry-out experimentation from science textbooks, and a survey of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experimental ability were employed along with the progressive discussions among the authors. In order to identify secondary chemistry teachers' abilities to carry-out experimentation, we divided the experiment lesson into three stages of preparation, conduct and arrangement, and management of lab, and added the stage of safety. Each stage is classified into sub-areas, and the sub-area consists of subordinate elements. The safety stage was included separately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safety issue in lab and experimental activities. The secondary chemistry teachers' abilities to carry-out experimentation are the abilities to perform experiments in person, presupposing the instruction of experiment, and can be featured with the use of reagent and measuring instruments, the preparation of sample, designing experiment, correct experimental habit and skillfulness, data processing, analysis and reasoning, and management of lab and safety.

      • KCI등재

        범교과적 핵심역량과 과학핵심역량의 개념적 정의에 대한 국내외 연구 동향의 네트워크적 분석

        채희인(Chae Hee In),노석구(Noh Suk G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7

        본 연구는 미래 사회에서 학생들의 성공적 삶과 사회의 발전에 필수적으로 요구 되는 핵심역량교육의 개념적 정의에 대한 국내외 연구를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활 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범교과적 핵심역량의 정의에 대한 81개의 키워드 를 추출하였으며, 키워드 사이에 1478개의 연결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핵심역량, 능력, 지식, 기술, 개인, 태도, 학습 등의 키워드들은 연결 중심성이 높은 것으로 파 악되었다. 둘째, 핵심역량의 학습 가능성에 대한 공통된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발현되는 핵심역량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었다. 셋째, DeSeCo Project 이후 핵심역량에 대한 연구가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진행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과학핵심역량의 경우 과학적 지식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단순히 탈맥락적인 지식이 아닌 맥락과 문제 상황에서 발현되는 지식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과학핵심역 량교육의 개념적인 기초를 확립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ceptual definition in Cross-Curricular and Science core Competency Education. For this, we selected 47 articles and reports about concept of core competency and we used the network key words analysis program(KrKwic, KrTitle, UciNet and NetDraw).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e found out 81 key words and 1478 links. Second, after the DeSeCo Project, the key words and links was increased. Third, the contextual scientific knowledge was highlighted in science core competency.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that the introduction of Science core Competency Education(SCE) should be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core concepts of science subject and cross-curriculum.

      • KCI등재

        학생 중심의 초등과학수업에서 활용이 가능한 학생 사전질문 확보 방안 - 지구와 달의 운동 단원 중심으로 -

        강헌태(Kang HounTae),노석구(Noh Suk-Goo)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0 교육논총 Vol.40 No.2

        학생 사전질문은 교육의 수요자라고 할 수 있는 학생의 관심과 요구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과학 교수 학습 과정에서 활용되어 학생의 과학교과 역량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이 제시되고 있다. 이처럼 과학 학습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학생 사전질문이지만 교수 학습 과정에서 활용이 가능한 유의미한 사전질문을 확보하는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과학 학습에 활용이 가능한 학생 사전질문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연구로 과학교육 전문가와 초등교사를 포함한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사전질문을 확보하기 위한 전제 조건을 설정한 후, 세 종류의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설문지는 학습목표, 핵심용어, 학습내용을 포함한 세 종류의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설문지는 초등 6학년 3개 학급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각 설문지에 따라 학생 사전질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사전질문은 전문가 집단에서 구성한 사전질문 분류 기준에 따라 활용가능 사전질문, 활용불능 사전질문, 무관련 질문, 오개념 질문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집단의 학생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통해 설문지에 대한 학생의 생각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세 종류의 설문지 특징을 파악하였으며, 과학 교수 학습 과정에서 활용 가능성을 살펴 본 결과 핵심용어 설문지의 학생 사전질문이 양적, 질적인 면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학생 중심 과학 수업을 진행하기 위한 교사의 교수 학습 구성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It has been suggested that students pre-questions can elucidate their interests and needs. Students are the consumers of education and the science teaching-learning process positively affects their ability to develop scientific competence. As such, students’ pre-questions are important in science learning, but research on how to secure meaningful pre-questions that can be used i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has not been conducted.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ways to secure pre-questions for students that can be used for elementary science learning. Three types of questionnaires were produced, covering learning objectives, key terms, and learning content. The produced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three sixth-grade classes, and students pre-questions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pre-questions were classified into available pre-questions, unavailable pre-questions, unrelated questions, and misconception questions, based on pre-question classification criteria established by an expert group. Students thoughts on the questionnaire were investiga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in each group. Through this, three types of questionnaire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ossibility of utilization in the science teaching- learning process, the students’ pre-questions from the key terms questionnaire were found to be the best in terms of quantity and quality. On the basis of this,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eachers’ teaching-learning composition when conducting student-centered science classes.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 : STEAM 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채희인 ( Hee In Chae ),노석구 ( Noh Suk Goo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3 科學敎育硏究誌 Vol.37 No.3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학생들이 과학을 어려워하고, 과학에 흥미가 없으며, PISA 평가에서도 과학적 소양이 하락하고 있는 현실을 개선하고자 과학 교과를 중심으로 한 STEAM 활동이 초등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6학년 실험집단 31명(남자 15, 여자 16), 비교집단 31명(남자 17, 여자 14)의 두 집단을 선정하고, 창의적 설계, 감성적 체험, 내용 통합을 고려하여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사전-사후 실험설계를 통하여 과학탐구능력(TSPS 검사지)과 과학에 대한 태도(과학과 관련된 정의적 영역 평가지)를 검사하였다. 과학탐구능력의 경우 사전검사에서 실험집단이 16.77, 비교집단이 17.81로 비교집단의 평균 점수가 높았으나, 사후검사에서 실험집단이 20.48, 비교집단이 18.00으로 실험집단의 점수가 더 높았으며, 유의미한 수준에서 실험집단의 과학탐구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p<.0.5). 과학에 대한 태도의 경우 사전검사에서 실험집단이 3.13, 비교집단이 3.43 이었으나, 사후검사에서 실험집단이 3.50, 비교집단이 3.33으로 실험집단의 점수가 더 높았으며, 유의미한 수준에서 실험 집단의 과학에 대한 태도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p<.001). 또한, STEAM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조사를 통하여 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이 STEAM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설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STEAM 활동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향상 및 과학에 대한 태도 개선에 효과가 있고, 학생들은 STEAM 활동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STEAM activities affect students``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ce-related attitudes`. For more accurate, we have set 31 sixth-grade students from Gyeong-gi Province as an experiment group, and another 31 as a comparative group. We developed a STEAM program based on the educational concepts: Creative Design and Emotional Touch. Through pre-post experiment design, we have introduced TSPS, and Test of Affective Aspects. For TSPS, the comparative group scored higher average grade before the process. After the process, however, the experiment group exceeded the other. The result was considerable enough to verify that the science process skills were bolstered through the STEAM programtpc.Gi), Similar result was derived regarding the science related attitude. Students in the comparative group originally showed higher degree of interest to science. When the STEAM program was carried out, the standing reverse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science related attitude indicates the program valid(p<.001). Furthermore, when we asked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how they recognized the STEAM activity, we received positive answers: they consider the program efficient and well suited to the class environment. Conclusively, the STEAM program was proven to be effective for improving science process skills and attitude, and was perceived affirma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