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유사배(劉師培)의 중국 전통사상 이해에 대한 고찰

        노병렬 ( Ryul Roh Byung ),천병돈 ( Byung Don Chun ) 동양철학연구회 2012 東洋哲學硏究 Vol.72 No.-

        무정부주의는 19세기 후반 유럽에서 유행했던 정치이념으로, 개인의 절대자유를 최상의 가치로 삼는데, 20세기 초 일본을 통해 중국에 들어왔다. 『신세기』는 1907년 6월 22일 파리에서 창간되어, 1910년 5월 21일 정간되기까지 총 121호가 발행되었다. 그 책의 특징은 첫째, 무정부주의자 소개 및 저서 번역. 둘째, 서양의 근대과학과 이성주의 영향을 받음. 셋째, 폭력과 공포를 선동, 교육을 통한 혁명 보급. 넷째, 무정부주의 혁명과 자본주의 민주혁명의 차이를 봉합하는데 있었으며, 『천의』는 劉師培와 張繼를 주축으로 1907년 6월 東京에서 창간된 반월간 잡지로 총 19期가 발행되었으며, 여기에 속한무정부주의자를 『천의』라는 잡지의 이름을 따서 ``천의파``라고 하며,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첫째, 女權혁명에 치중. 둘째, 무정부주의 사상과 중국 전통문화의 결합. 셋째, 무정부주의 사상과 마르크스 사상을 함께 소개하였다. ``천의파``는 ``신세기파``에 비해 중국 전통사상에 우호적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무정부주의 사상을 중국 전통사상과 절충하고자 했다. 유사배는 중국전통사상에서 양주의 위아설, 허행의 공동경작설 및 계급철폐론, 그리고 장사상이 무정부주의의 평등사상과 비슷하다고 보았다. 그러나 위아설 이외에, 노장사상에 대해서는 상대주의에 함몰되어 노장사상의 핵심인 인간의 절대자유를 잃어버렸고, 허행의 공동경작설 및 계급철폐론을 비판했으면서 정작 유사배 자신이 그린 이상사회는 허행과 마찬가지로 현실과는 괴리된사회가 되고 말았다. 유사배는 중국 전통사상을 무정부주의적 평등사상으로 이해하려고 했다. 다시 말하면 ``평등``을 기준으로 중국 전통사상을 이해했다. 그러나 그 ``평등``은 양적인 평등일 뿐, 질적인 평등이 아니다. 지금까지 유사배 연구는 전체적인 측면에서 연구되었다. 본 논문은 유사배가 중국 전통사상에서 도출하려고 했던 ``평등`` 관점을 기준으로 논지를 전개했다. 이제유사배 사상도 주제별 연구가 진행되어 재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The early part of Anarchism and Chinse Original Thought Anarchism, a famous political term during the late 19th century in Europe, credits personal absolute freedom as the most important values. Therefore, any immoral acts or family structures, religion, traditions that restrain personal freedom are subject to destructions. Through Japan, Anarchism was first introduced in China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Xinshiji(新世紀)』 was first published in June 22, 1907 in Paris and then published total of 121 issues before it was suspended in May, 21, 1910. It has four distinct characteristics; first, introduction of anarchism and its translation. second, influence from the modern western science and nature. Third, instigates violence and terror, spreads revolution through education. fourth, incorporating both anarchism revolution and difference between capitalism and democracy. Central figure of Liushipei(劉師培) and Zhangji(張繼) published the total of 19 issues of the magazine 『Tianyi(天義)』 on June, 1907 in Tokyo and anarchist from this magazine is called ``Tianyi party(천의파)`` that has three distinct characters; first, valuing women` revolution. second, bond of anarchism and Chinese Original Thought. third, introducing both Anarchism and Marxim. Unlike ``modern party``, ``Tianyi party`` has amicable relations toward Chinese Original Thought. For this reason, anarchism was attempted to compromised with Chinese Original Thought. Through Chinese Original Thought, Liushipei saw YangZhu(楊朱)`s Individualism, Xuxing(許行)`s Cooperative Farming Theory and Theory of Abolition of the class system, and Taoism(老莊思想) were similar to anarchism. He saw that individualism valuing individual, Cooperatvie Farming Theory and Theory of Abolition of the class system disavowing interference of society and government, Taoism noting justice for all were able to incorporate with Anarchism. However, except Individualism, Taoism lost its important personal absolute value due to relativism and while criticizing Xuxing`s Cooperatvie Farming Theory and Theory of Abolition of the class system, the painter himself, Liushipei failed to show his painting Utopia, and like Xuxing, it parted away from the reality. As a result, although Liushipei merged anarchism and Chinse Original Thought, the bond was not resulted as a understanding outward appearance, but became as a union, which Anarchism was attached to the Chinese Original Thought. Therefore, one should be also interested in not just the study of Anarchism, but the other minor studies so that Liushipei`s Thought can be reevaluated.

      • KCI등재

        위원(魏源) 『묵고(默고)』「치편(治篇)」의 정치사상 연구

        노병렬 ( Byung Ryul Roh ),천병돈 ( Byung Don Chun ) 한국동서철학회 2015 동서철학연구 Vol.77 No.-

        본 논문은 「치편」의 정치사상을 논하는데 목적이 있다. 『묵고』의 서술 방식은 먼저 자신의 주장을 내세우고, 이어서 이 주장을 사료를 통해 설명하고, 마지막으로 주장과 근거에 알맞은 『시경』 구절을 제시하면서 마무리한다. 편의상 오늘날 용어로 말하면 ``노트필기``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체계적이지 않다.「치편」에서 말하는 정치사상은 다음 크게 국가론·지도자의 자세·인재론·제도개혁·언로개방·민본주의 정치다. 국가론에서는 국가를 망하게 하는 여섯 가지 조짐을 제시한다. 첫째, 정치 지도자의 타락· 둘째, 법령의 복잡함· 셋째, 국가 재정 낭비· 넷째, 부패한 인재 선발· 다섯째, 정부에 대한 민심의 불만· 여섯째, 무능한 국방 경비·지도자의 자세에서는 ``근본``의 확립이 가장 중요함을 주장했다. 근본이란 통치자의 도덕성을 말한다. 도덕성을 바탕으로 백성들과의 소통해야 하는 것도 지도자의 중요한 자세다. 인재론에서는 인재라면 모름지기 국가를 위한 원대한 계획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역설한다. 이런 인재는 큰일이 닥치기 전에 미리 선발해야 하며, 선발한 인재는 능력에 따라 적재적소에 배치해야 한다. 일반 백성들에게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국가에서 행하는 각종 제도다. 위원은 제도의 개혁을 강력히 주장한다. 특히 조세제도·인재선발제도·부역제도는 국민이 편리하게 바꿔야 하는데, 이러한 제도개혁은 민본을 바탕으로 해야 한다· 언론 부분에서는 언로를 개방하고 민의를 최대한 수렴한다. 이상과 같은 내용만 놓고 보면 위원의 개혁적 정치사상은 현대 사회에 그대로 적용 해도 무방하다. 그러나 황제의 존폐 문제, 봉건적 신분질서 유지 등 근대적 개혁의 핵심 내용에 있어서는 봉건적 태도를 답습하고 있다. 그래서 제한적인 개혁론이라고 할수 있다. 현재의 관점에서 보든, 위원 당시의 관점에서 보든, 「치편」에서 주장하는 경세치용적 정치사상은 평가절하 되어서는 안 된다.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political philosophy represented the ``Governance Chapter``. ``Governance Chapter`` described method are as follows: First, It presents his claim. And It presents a historical basis. Finally finish phrases in the Book of Odes. It corresponds to the note-taking. Is configured in such a form is not systematic, because. The contents of the political ideas of ``Governance Chapter`` is as follows: national theory, the attitude of the leader;talent view;institutional reform;unloading opening; democracy. In national theory, It presented the six conditions that destroyed the country. First, Corruption of political leaders. Second, the complicated legislation. Third, the waste of the state fiscal. Fourth, corrupt personnel selection. Fifth, the complaints of the people against the government policy. Sixth, incompetent defense expenses. In The attitude of the leader, He emphasized the establishment of a fundamentalist. Fundamentalist is Morality. Leaders should communicate with the public on the basis of morality. In talent view, The grand plans must have a talent. Talent must be pre-selected before the great things to come. In institutional reform, It claims the reform of Tax system, Talent selection system, Corvee system. In Media, The opening of the asserted unload.

      • KCI등재

        연구논문 : 『중국민약정의(中國民約精義)』의 군민론(君民論)과 그 한계

        노병렬 ( Byung Ryul Roh ),천병돈 ( Byung Don Chon ) 한국동서철학회 2014 동서철학연구 Vol.73 No.-

        『중국민약정의』는 황종희(黃宗羲)의 『명이대방록(明夷待訪錄)』과 마찬가지로 전제군주제의 폐단을 지적하는 저술이다. 황종희가 중국적 정치이론을 제시했다면, 유사배는 ‘민약’ 개념을 중국 문헌에서 찾았다. 전제군주시대에 군주(君)와 백성(民)은 상하(上下)·존비(尊卑) 관계였다. 이런 관계로 백성은 군주의 부속물에 불과했다. 그러나 문헌 속에 있는 군(君)과 민(民)의 관계는 상하(上下)·존비(尊卑) 관계가 아니라 평등한 관계다. ‘군권’이란 ‘군주의 권한’을 말하는데, 전제군주제도 아래서 군권은 무소불위였다. 군주의 무소불위의 권한이 패도(覇道)에서 나왔다고 보았다. 주권은 백성 공공의 권력으로, 백성들이 약속을 통해 군주에게 위임했다. 이것이 군권이다. 따라서 군주는 자연법(自然法) 즉 공리(公理)에 따라 그 권력을 행해야 한다. 백성은 국가의 주체다. 군주는 백성의 권리를 위임받아 실행하는 사람이다. 그러므로 군주와 백성은 상하 관계가 아니라 평등 관계다. 백성이 가지고 있는 권리 즉 민권에는 ‘언로(言路)의 자유’·저항권·단결권 그리고 자유권이 있다. 이러한 백성의 권리가 유지되지 못한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전제군주제 아래서의 군주에게 있다. 그러나 법률이 그것을 보장해주지 못한 측면도 있다. 그래서 유사배는 법의 제도화를 통해 민권의 확립을 주장했다. 그러나 유사배는 말년에 원세개(袁世凱)의 복벽지지로 자기변절을 한다. 이로 인해 『중국민약정의』를 통해 추구하고자 했던 ‘법률을 바탕으로 한 군민평등(君民平等)론’은 퇴색해버리고 말았다.‘법률을 바탕으로 한 군민평등론’을 중국 문헌 속에서 찾아낸 사람은 유사배가 최초다. 그러므로 저자의 변절과 상관없이 『중국민약정의』의 가치 즉 ‘법률을 바탕으로 한 군민평등’ 사상은 높이 평가 받아야 한다. Essence of Chinese Social Contract is a book that described the negative effect of the monarch system as like as Huangzongxi``(黃宗羲) “Mingyidaifanglu(明夷待訪錄)”. Liushipei(劉師培) founded out the concept of "social contract`` in the Chinese literature compared to Huang zongxi`` chinese political theory. Monarch and people are classified as a hierarchic system in the absolute monarch. In this point, people are only subjected to the monarch.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is defined as the equal subjects in the old chinese literature. Under the absolute monarch system, the king enjoys the absolute power. This power comes from the military government politics. The sovereignty is the public power of people, but it is delegated to the monarch. This is the power of monarch. Therefore. monarch should be use his power in guidance of the natural law or public law. People are the main subject of state. Monarch is the person who act his power under the consent of people. In this respect, the relationship between monarch and people is equal. The right of people are defined as the freedom of press, the right of opposition, the right of organization, and that of civil liberty. However, these rights did not maintained by law. Therefore, Liu shipei insists the establishment of people’ right through the institution of law. But Liushipei changed his belief later to the period of Yuanshikai(袁世凱)’ Qing(淸) government. Consequently Liu’s ‘the equality of monarch and people based on law’ in his “Essence of Chinese Social Contract” has been faded out. Liushipei is the first person who founded out the concept of ‘the equality of monarch and people based on law’ in the chinese literature. Therefore, his concept of law regarding with political class should be respected even he changed his belief later.

      • KCI등재

        연구논문 : 청말(淸末) 공자진(恭自珍)의 "변(變)" 사상 연구

        노병렬 ( Byung Ryul Roh ),천병돈 ( Byung Don Chu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5 儒學硏究 Vol.32 No.-

        본 『좌전』이 역사적 사실을 중시하는데 반해, 『공양전』은 역사적 사실의 배후에 숨어 있는 성인의 大義 즉 ‘微言大義’를 중시한다. ‘미언대의’의 핵심은 ‘삼세설’이다. 『춘추』의 ‘異辭說’은 董仲舒에 이르러 ‘三等’의 世를 두게 되고, 何休에 이르러 쇠란 → 승평 → 태평의 순으로 배치되어, 인류 역사의 발전 단계로 확대 해석되었다. 이런 ‘三等說’을 바탕으로 恭自珍은 治世 → 亂世 → 衰世라는 三世說을 주장한다. 기존에 이루어진 대부분의 연구는 恭自珍의 ‘삼세설’에 중점을 두고, 그것이 동중서 혹은 하휴의 그것과 어떻게 다른지에 중점을 두었다. 恭自珍이 비록 三世說을 주장했지만, 삼세설의 궁극적 목적은 만물이 변화하듯이 역사 또한 변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恭自珍의 사상은 ‘變’의 관점에서 재평가되어야 한다. 공양학은 恭自珍 ‘變’ 사상의 뿌리다. 즉 恭自珍은 공양학을 통해 ‘變’을 체득했고, ‘變’ 사상을 통해 衰世에 들어간 淸末의 봉건제도 포함한 사회전반을 개혁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이 개혁의 주체를 성인이 아니라 ‘나’라고 주장한다. ‘나’는 우주의 주체이고 변화의 주체다. 恭自珍의 이러한 사상은 중국사상에서 근대의식을 여는 선구자 역할을 했을 뿐 아니라, 후에 康有爲 梁啓超의 변법사상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恭自珍의 사상을 단순하게 ‘공양학’이라고 단정해서는 안 된다. ‘공양학’이라는 개념으로 恭自珍의 개혁사상이나 ‘變’ 사상을 드러낼 수 없다. 恭自珍은 공양사상에서 ‘變’ 개념을 끌어내어 恭自珍 특유의 ‘變’ 사상을 전개했다. “Zuozhuan(左傳)” focused on historical facts. However “Gongyangzhuan(公羊傳)” will focus on the meaning that is ``Not reveal deeper meaning(微言大義)`` hiding behind the historical fact of the Great Leader. The core of the ‘Not reveal deeper meaning(微言大義)’ is ‘Three Ages(三世說)’. ‘Yici Theory(異辭說)’ of the “ChunQiu(春秋)” was transformed into ‘Sandeng(三等) Theory’ came to Dongzhongshu (董仲舒). Hexiu(何休) was placed in the order of Turbulent times → Stable peace times → Easy Going times. This has been interpreted as expanding the development stage of human history. Based on the ‘Sandeng(三等) theory’, Gongzizhen(恭自珍) was placed in zhishi(治世) → luanshi(亂世) → shuaishi(衰世) called ‘Samse Theory(三世說)’ claim to. The existing research has focused mostly made in Confucius Jin samse settings. And studied the ‘samse Description’ and how it differs from the Gongzizhuan and Dongzhongshu and Hexiu. Although Gongzizhuan argue ‘Samse Theory’, the ultimate goal is that history has also changed, as all things change in the ``Samse Theory``. The ultimate goal of ‘Samse Theory’ are to everything has to change. History also is changing. Therefore, the spirit of the Gongzizhuan should be re-evaluated in terms of ‘Changes ideology’. GongYang school is the roots of Gongzizhuan’s ‘Changes ideology(變思想)’. Gongzizhuan through of GongYang school is learned Changes ideology. Through of ‘Changes ideology’ argues that the need to reform the feudalism. However main agents of reform is not great leader, is ego. Ego is main agents of universe, main agents of Changes. Gongzizhuan thought was a pioneer in opening the modern consciousness in china. Gongzizhuan thought had a significant impact to Kangyouwei(康有爲) Liangqichao(梁啓超) thought. Gongzizhuan though is not simple GongYang school. GongYang school can not reveal Gongzizhuan’s reformation ideology or Change ideology. Gongzizhuan has pulled the Changes ideology concept in GongYang school. Change ideology is a unique philosophy of Gongzizhuan.

      • KCI우수등재
      • KCI등재

        李恒老와 魏源의 時中之道

        노병렬(Roh, Byung-ryul),천병돈(Chun, Byung-don) 한국양명학회 2018 陽明學 Vol.0 No.49

        조선과 청나라는 서양의 압력에 의해 문호를 개방했다. 피동적으로 개방된 국가는 사회 문화적 혼란을 겪는다. 전통적 사회에서 자신들의 문화와 전혀 다른 가치들이 전통적인 문화체계와 가치들을 위협할 때, 그 압박감은 더욱 가중된다. 이항로는 서구문물의 수용을 일체 거부하는 척사위정(斥邪衛正)론으로, 위원은 중체서용(中體西用)론으로 전통적 체제를 수호하고자 했다. 이항로는 우주는 리와 기로 이루어졌고, 불변의 리가 우주의 근본이라고 여겼다. 이항로에게 불변의 리는 주자학(中華)을 계승한 조선(小中華)으로 대체된다. 그러므로 중화를 대체한 불변의 리인 조선은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볼 때, 이항로가 지키고자 했던 조선은 ‘국가로서의 조선’이 아니라, 주자학을 계승한 ‘소중화의 조선’이다. 다시 말하면 조선이라는 국가의 정치적 독립은 이항로에게 있어서 부차적인 문제였다. 결국 이항로가 주장한 위정척사 운동은 배타적이고 보수적이며 반근대적이고 반서양적일 수밖에 없었다. 이에 반해 위원은 세계는 쉬지 않고 변한다고 보았다. 변화하는 세계 속에서 위원은 이항로처럼 변하지 않는 무엇을 찾기보다는, 변화하는 세계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에 주목했다. 서양 제국주의의 압박 또한 변화하는 세계의 한 단면이라고 파악한 위원은 쇄국적인 자세가 아니라, 서양의 장점 특히 과학기술, 정치제도, 중상주의 정책을 적극 수용하자는 태도를 취했다. 물론 위원의 이러한 정책들이 청나라 정부에 수용되지는 않았지만, 훗날 양무(洋務)·변법(變法) 운동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Joseon and Qing dynasties are opened by Western armed forces. A passively open country suffers from very socio-cultural confusion. In traditional society, when their culture and completely different values threaten traditional cultural systems and values, the pressure becomes more and more intense. Hwaseo defended the traditional system with ‘Wijung Chuksa (defending orthodoxy and rejecting heterodoxy)’, which refuses to accept Western artifacts at all. Weiyuan, on the other hand, defended the traditional system with the zhongtixiyong theory(中體西用). Hwaseo thought that the universe was made up of Li and Qi, and the immutable Li was the center of the universe. The immutable Li to Hwaseo is replaced by Chosun (小中華) who succeeded Zhujia. The immutable Li to Hwaseo is replaced by Chosun (small Chinese) who inherited the orthodox Neo-Confucianism (Chinese). Therefore, shipbuilding, which is an immutable Li replacing Chinese, must be observed. From this point of view, Chosun was not ‘Chosun as a nation’ but ‘Small Chinese Chosun’, succeeding orthodox Neo-Confucianism. In the end, Hwaseo’s Wijung Chuksa was exclusively conservative, anti-modern, anti-Western. Weiyuan saw that the world changed without a moment. In a changing world, Weiyuan did not find immutable Li like Hwaseo. Weiyuan focused on how to respond to the changing world. Weiyuan thought that the pressure of Western imperialism was also a part of a changing world. Thus, Weiyuan took an attitude of actively accepting Western science and technology, political system, and mercantilist policy, not a closed attitude.

      • KCI등재

        『중국민약정의』에서의 개인과 국가 -중고(中古)를 중심으로-

        노병렬 ( Byung Ryul Roh ),천병돈 ( Byung Don Chu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4 儒學硏究 Vol.30 No.-

        1911년 신해혁명 이전까지의 중국은 황제가 국가를 대신하는 전제군주 정권이다. 따라서 국가와 국민은 황제의 소유물이었다. 이러한 전제군주제 아래서 개인(民)의 권리를 강조한 사상가들이 있었다는 것 자체가 획기적이다. 유사배는 .중국민약정의.를 통해 중국 中古사상가들의 ‘민주적 사상’을 논평하면서, 자신의 민주 이념을 서술했다. 유사배가 평한 中古사상가들의 ‘민주적 이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중서.태사공.유향.반고.왕부.두예.유종원 모두 백성이 군주보다 중요함을 강조했다. 둘째, 陸淳에 대한 논평에서 군주의 책임을 강조했다. 셋째, 蘇洵蘇軾蘇轍등 三蘇이후 程子(伊川).樓..朱子.陸子(陸象山).王應麟에 대한 논평에서는 백성의 권리를 강조했다. 특히 程子에서는 국민의 단결권을. 陸象山에서는 立法權을 제시한 점이 돋보인다. 유사배는 국가의 주인은 군주가 아니라 국민(民)이라는 관점에서, 禪讓을 반대하고, 무비판적으로 수용했던 忠.大逆無道의 개념도 바로 잡았다. 그러면서 중국에서 전제 군주정치 실행의 원인이 자신들의 권리를 찾지 못한 백성(국민)에게 있다고 보았다. 이것은 전제정치의 유래가 군주(황제)에게 있다는 종래의 관점을 뒤바꾼 것이다. 다만 전제정치 아래서 이처럼 많은 ‘민주적 이념’이 있었지만, 그것이 왜 구체화되지 못했는지에 대한 비판적 고찰이 없다는 점에서 유사배의 논평은 한계가 있다. The period of middle-ancient defined by Liushipei is from the Han Dynasty to the Song Dynasty. At that time China was governed by the autocrat or the Emperor who is equally treated as the nation. In this respect, the people and the nation are belong to the Emperor. This is an epoch-marking event that some of theorists emphasize the right of individual under the regime of autocrat. Liushipei evaluated the Chinese theorists`` democratic thought and described his democratic ideology in his Essence of Chinese Social Contract, as follows. First of all, they emphasized that the people is more important than any the autocrat. Second, they pointed out that the responsibility of autocrat is important in the comment on Luchun(陸淳). Finally, they accentuated the right of people, in particular the right of organize by Chengzi(程子), the legislative power by Lushangshan(陸象山). Liushipei believed that the owner of nation is the people instead of the ruler. In this term, he dissented the concept of ``Sunyang(禪讓),`` which the ruler gives his ruling power to any one. Also, he corrected the concept of ``allegiance to the nation(忠)‘ and ``heinous treason(大逆無道)’ which were adapted by unconditionally. Liushipei saw that the realization of the autocrat politics is caused by the people who has not his political right. This argument changed the existence belief that the power of ruler comes from the Emperor. However, the points of Liushipei have a limit that he couldn``t provide the reason why ``democratic ideology`` did not externalize under the autocrat system.

      • KCI등재

        위원(魏源)의 실사구시 학문관 연구 -『묵고(默고)』의 「학편(學篇)」을 중심으로-

        노병렬 ( Byung Ryul Roh ),천병돈 ( Byung Don Chun ) 한국동서철학회 2016 동서철학연구 Vol.0 No.80

        魏源의 사상은 개량파에 많은 영향을 주었고, 자본주의 사상으로 나아가는 새로운 방향을 개척했다. 그는 관념적인 송대 성리학(특히 주자학)이 서구 열강의 침략과 부패한 청말의 봉건사회를 개혁할 수 없다고 단정했다. 위원은 성리학의 대안으로 劉逢祿으로부터 춘추공양학의 변역 사상을 받아들이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를 개혁하고자 했다. 이러한 사회개혁 사상은 그의 대표적 저서 『默고』에 그대로 드러나 있다. 『묵고』는 「學篇」과 「治篇」으로 구성되어 있다. 『묵고』가 魏源의 대표적 저서임에도 불구하고, 학계에서는 『묵고』의 내용에 대해 커다란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이 논문은 『묵고』만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학편」은 ‘배움’을 논한 것으로 ‘앎(知)’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치편」은 ‘앎’을 정치 사회 제도에 적용하는 것으로 ‘실행(行)’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학편」의 주요 내용은 실사구시의 학문이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학편」은 ‘배움(學)’에 대한 해석으로 시작한다. ‘배움’은 ‘깨닫다(覺)’ㆍ‘본받다(效)’는 의미다. 배움의 주체는 ‘마음(心)’이다. 심은 육체와 정신을 주재한다. 심은 외부에서 들어온 것이 아니라 선천적이다. ‘學’은 오관이 사물을 인식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오관을 주재하는 것이 心이므로 ‘학’의 주체는 心이 된다. 인간은 심을 통해 오관이 인식한 것이 무엇인지 알게(知)된다. 앎은 앎에 그쳐서는 안 된다. 반드시 실행을 통해 검증되어야 한다. 앎의 내용은 만물은 변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變易論이다. 만물은 ‘짝(對)’을 이룬다. ‘짝’은 相反이지만 轉化하면서 相成한다. 상반ㆍ전화ㆍ상성은 ‘정지된 상태(靜)’에서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즉 상반ㆍ전화ㆍ상성은 ‘움직임(動)’을 전제로 한다. ‘상반ㆍ전화ㆍ상성’이란 ‘만물은 변한다(變易)’는 의미다. 인간은 만물의 변화를 능동적으로 이용해야 한다. 만약 피동적으로 변화에 따르기만 하면 개혁이 일어날 수 없다. 개혁은 능동적 어긋남(天道의 현실 사회 적용)에 있다. 이런 관점에서 위원은 실사구시를 추구하는 ‘앎(知)’을 매우 중시했다. 그러나 이 앎은 반드시 현실 생활 속에서 검증되어야 한다. 이처럼 ‘앎’과 ‘실행’ 양쪽 모두를 중시하기 때문에 어떤 변화에도 적응할 수 있다. Weiyuan``s philosophy has influenced on the reformists, and to explore new path for capitalism. He thought that the neo-confucianism of Song dynasty could not reform the last stage of Qing Dynasty, which was corrupted and suffered with the invasion of western countries. Weiyuan suggested the ``change thought(變易思想)`` of Chunchugongyangxue(春秋公羊學) as an alternative of neo-confucianism, and to reform his society with this concept. This thought was revealed on ``Mogu,`` which is one of his famous books. ``Mogu`` consists of ``Learning Chapter`` and ``Governance Chapter.`` Even though the academic does not pay attention to ``Mogu,`` this paper focuses on it as a research subject. While ``Learning Chapter,`` which explains ‘Learning,’ is relevant to ‘Knowledge,’ ``Governance Chapter`` is related with ‘practice,`` which apply ‘Knowledge’ to the political institution. ``Learning Chapter````s main contents are the study of ``Shilsagushi,`` its are as follows. "The ``Learning(學)`` of ``Learning Chapter````means ‘realize(覺)’ and emulate(效).’ The main body of Learning`` is ‘Mind(心).’ Mind presides body and spirit. Mind is made of an innate not from the outside. ‘Learning’ is completed when the five sensory organs sees subjects. The main body of ``Learning`` is Mind because it controls the five sensory organs. Mankind see subjects through Mind. Knowledge should be verified by practice not only just know." Knowledge knows that everything can be changed. All things fulfills with ``pair,`` which is defined to ``both opposite and complementary to each other.`` This definition prerequisites ‘Movement(動).’ All things is changed because of this point. Mankind should use the change of things more actively. No reform happens passively. In this respect, Weiyuan emphasizes ‘Knowledge(知),’ which asks for Shilsagushi. However, this Knowledge should be verified in real life. Therefore, ‘Knowledge’ and ‘Practice’ are important because these can be adjusted in any change. Weiyuan``s thought has been much influenced on the modern Chinese thought.

      • KCI등재

        석천(石泉) 신작(申綽)의 『역차고(易次故)』 연구 - 본체론을 중심으로 -

        천병돈 ( Chun Byung-don ),노병렬 ( Roh Byung-ryul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8 儒學硏究 Vol.45 No.-

        石泉 申綽(1760-1828)의 經學에 대한 조예는 茶山에 비견될 정도로 높다. 석천이 남긴 경학과 관련된 삼대 저서로 『시차고』, 『서차고』, 『역차고』가 있다. 석천은 『주역』을 해석함에 있어서 문자고증, 경서(經書), 제자서(諸子書), 사서(史書) 등 많은 문헌을 인용하여 『주역』을 바르게 이해하고자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음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역전』의 구절과 관련된 훈고를 ‘편집하여 차례대로[編次]’ 인용했는데, 편차의 기준이 없다. 둘째, 『역전』의 본체와 관련된 용어(건도, 도, 신(神), 태극 등)를 풀이할 때, 석천이 인용한 대부분의 자료는 모두 한대(漢代)의 기화우주론 관점에서 쓴 저서다. 이러한 서술은 괘사와 효사 중심의 역학에는 적합할 수 있지만, 유가의 본체우주론을 서술한 의리역학으로서의 『역전』과는 맞지 않는다. 셋째, 석천은 『주역』을 경전의 하나로 보았다. 그래서 사상보다는 字句의 훈고에 중점을 두었다. 넷째, 석천이 『역전』의 자구 고증에 인용한 문헌은 사서, 경서, 역학서, 사전류 등 다양한 종류다. 이는 『역전』의 용어를 해석하는데 다양한 해석을 제공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역차고』는 『역전』의 용어를 해석하는데 많은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역학서로서의 가치가 있다. Sukcheon Shin Jak's (1760-1828) The depth of discipline on Chinese Classics is so high as compared to Dasan. There are three kinds of works related to Chinese Classics left by Jucheon: "Edit poetry's interpretation in order(『詩次故』)", "Edit The Book of the Documents's interpretation in order (『書次故』)", and "Edit The IChing's interpretation in order(『易次故』)". According to the preface "Edit The IChing's interpretation in order(『易次故』)" written by Lee Chung-ik (1744-1816), Sukcheon approached with a very cautious attitude in studying the scriptures. Nevertheless, there are some problems. First, I edited the interpretations related to The IChing's terminology in order, but there is no standard for editing. Second, Sukcheon explains the terms related to the ontology of The IChing's(Qian Tao (乾道), Tao(道), Shen(神), Taiji(太極). Most of the data quoted by Sukcheon at this time are all from Han's dynasty's cosmologic point of view. Such a description is appropriate for constructivism centered around Constructive of Hexagram (卦辭) and Six-line statement (s) (爻辭). However, it does not fit with IChing as Moral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that describes Onto-cosmological of Confucian. Third, Jecheon saw IChing as one of Chinese Classics. So I focused on interpreting letters rather than ideology. Fourth, there are various kinds of documents such as History books, Chinese Classics, IChing related books, and Dictionary. This provides various interpretations for interpreting IChing terms. In conclusion, "Edit IChing's interpretation in order" is valuable as IChing related books in that it provides a lot of information to interpret IChing's terminology.

      • KCI등재

        樗村 沈錥의 주자학

        천병돈(Chun, Byung-Don),노병렬(Roh, Byung-Ryul) 한국양명학회 2016 陽明學 Vol.0 No.43

        저촌 심육은 하곡의 문인으로 하곡이 돌아가신 후 하곡의 행장을 지었다. 행장을 지었다는 것은 하곡의 학문과 행실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저촌의 학술사상을 살펴보면, 그는 하곡이 계승한 양명학이 아니라, 철저한 주자학 신봉자다. 이와 주자학적 저촌의 학술사상을 근거로 할 때, 저촌은 하곡학파가 아니다. 저촌의 주자학적 학술사상은 다음과 같다. 理氣說: 첫째, 理는 氣를 타야(乘) 움직인다. 둘째, 惻隱之心은 氣다. 셋째, 感은 氣, 所以感은 理. 性說: 첫째, 性은 형이상이고, 理이다. 둘째, 만물은 리를 품수 받았으며, 이것이 性이다. 셋째, 주자와 같이 氣質之性은 本然之性이 사물에 내재해 있는 것을 가리킨다. 心說: 心說: 첫째, 心은 氣이다. 둘째, 心은 지각능력이 있다. 셋째, 心의 본질은 虗靈不昧하고 神明不測이다. 넷째, 太極(理)을 가지고 있다. 단 太極은 아니다. 다섯째, ‘求放心’의 心은 氣의 靈으로서의 心이지 맹자의 도덕본심이 아니다. Jeochon is a follower of Hagok. After Hagok passed away, Jeochon wrote his history of the deceased. This means that Jeochon knows his knowledge and behavior better than anyone. However, if we see Jeochon’s thought carefully, he is a follower of the orthodox neo-confucianism not the man, who keeps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 In this respect, Jeochon is not classified as a follower of Hagok school. Jeochon’s thought is as follows; LiQi theory(理氣說): First of all, Li(理) can move when it gets Qi(氣). Second, the natural sympathy is Qi(氣). Finally, the feeling is Qi and the source of feeling is Li. Essence theory(性說): First, the essence is a metaphysics and Li. Second, the universal all nature receives Li, we called it the essence. As Zhuzi(朱子) said, the physical nature means that the human nature of originality(本然之性) is inherent in all things. Mind theory(心說): First, Mind is Qi. Second, Mind has a perception ability. Third, the essence of Mind are ethereal and inscrutable. Fourth, Mind has a Taiji(太極), but Mind is not Talji. Finally, Mind of Jeochon’s thought is the physical mind, not Mencius(孟子)’s moral mi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