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적 과업집단에서의 협력 촉진요인에 관한 연구 -속성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형준 ( Hyung Jun Kim ),노명화 ( Myung Hwa Roh ),김학수 ( Hak Soo Kim ),김한얼 ( Han Ui Kim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1 인적자원관리연구 Vol.18 No.1

        최근 경영환경의 불확실성이 증가함에 따라 협력의 중요성은 강조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수평적·유연적 조직형태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단기적인 목표달성을 위한 임시적 과업집단(예를 들어, 프로젝트 팀, T/F팀 등)이 빈번하게 활용되고 있다. 협력을 촉진하는 주요 선행요인은 신뢰이며, 이는 점진적인 시간의 경과에 의해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임시적 과업집단에서는 신뢰의 발전과 유지를 위한 지속적인 관계형성에서 제한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최근, 조직들은 신뢰형성이 어려운 단기적·유연적 조직형태를 추구하면서도 신뢰를 더욱 강조하는 신뢰의 역설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기존의 전통적 신뢰로 임시적 과업집단에서의 신뢰를 설명하는 것은 어려울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속성신뢰 개념을 제시하였고 기존의 전통적 신뢰, 초기신뢰와의 차이점을 개념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임시적 과업집단에서 속성신뢰의 선행변수로서 상사의 능력평판, 부하의 자기효능감, 상사와 부하의 과업상호의존성을 검증하였고, 속성신뢰의 결과변수로서 협력을 검증하였다. 또한, 상사의 능력평판, 부하의 자기효능감, 상사와 부하의 과업상호의존성과 협력간의 관계에서 속성신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속성신뢰에 대해 상사의 능력평판, 부하의 자기효능감, 상사와 부하의 과업상호의존성의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상사의 능력평판, 상사와 부하의 과업상호의존성은 속성신뢰에 정적인 영향을 주며, 속성신뢰는 협력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사의 능력평판, 상사와 부하의 과업상호의존성과 협력간의 관계에서 속성신뢰의 정적인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속성신뢰에 대한 독립변수들의 상호작용효과는 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부하의 자기효능감과 속성신뢰간의 영향관계 및 부하의 자기효능감과 협력간의 관계에서 속성신뢰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ior`s ability reputation, subordinate`s self-efficacy, superior-subordinate task interdependence(independent variable) and swift-trust(mediate variabl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wift-trust and cooperation(dependent variable) in temporary task group. It also tests the mediating effects of swift-trust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Finally, It test the interacting effects of superior`s ability reputation, subordinate`s self-efficacy, superior-subordinate task interdependence on swift-trust. The results showed that superior`s ability reputation, superior-subordinate task interdependence had positive effects on swift-trust, and swift-trust had positive effects on cooperation. Also, mediating effects of swift-trust were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superior`s ability reputation, superior-subordinate task interdependence and cooperation. And interacting effects of superior`s ability reputation, subordinate`s self-efficacy, superior-subordinate task interdependence on swift-trust. But, subordinate`s self-efficacy didn`t have positive effects on swift-trust, and mediating effect of swift-trust wasn`t shown to be significant between subordinate`s self-efficacy and cooperat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as discussed.

      • KCI등재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팀 적응성과 간의 관계 : 공유멘탈모델의 매개효과

        배범수(Bae, Bum Soo),노명화(Roh, Myung Hwa)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6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3 No.1

        팀은 환경변화에 적응하는 중요한 조직의 수단으로 팀제와 관련된 많은 연구들이 팀 효과를 강화하는 요인에 대하여 초점을 맞추어 지면서, 지난 15년간 적응수행은 팀 효과를 강화하는 행위로서 주목을 받아왔다. 팀 적응성과에 있어 많이 적용되고 있는 프로세스적 관점은 실제 적응이 발생하는 메카니즘을 설명할 수 있지만, 다양한 적응과 관련된 행위를 포괄적으로 설명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 는 동적인 과업수행 행위에 초점을 두고 팀 적응성과를 환경변화에 대한 대응으로 발생되는 팀 성과로서 정의하였다. 적응성과를 측정하기에 적합한 액션팀인 특수 임무팀을 대상으로 팀 적응성과의 선행요인으로서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의 효과와 변혁적 리더십과 팀 적응성과의 관계에서 공유멘탈모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군 조직의 89개 특수 임무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65명의 특수 임무팀장들과 497명의 팀원들의 자료를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특수 임무팀에서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팀적응성과 간의 관계에서 팀 공유멘탈모델은 유의한 정적인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팀 구성원들 개인에게 새로운 과업환경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구성원들은 자신의 과업환경의 변화에 적응함으로서 결과적으로 팀 적응성과를 높이는 결과를 가져오게 하며, 동시에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전문성을 가진 다양한팀 구성원들이 사회적 정체성 갖도록 유도함으로서 다양한 정보의 공유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팀장은 외부환경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팀 구성원들이 직무환경에 대한 유용한 정보체계를 공유함으로서 팀의 적응성과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를 실증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 및 실무적 시사점, 그리고 한계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team lead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he team adaptive performance of team members as well as the mediating effects of shared mental models that becomes pronounced as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eam leaders influences the team adaptive performance of team memb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ismatic leadership of team leaders and team efficacy. To this end, we conducted a survey of 89 team leaders and 862 team members working in action and negotiation teams in military services, and analyzed data collected from 65 team leaders and team members, except unreliable responses. As a result of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confirm mediating effects, it was found that shared mental models had a partially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eam leaders and the team adaptive performance of team members. The charismatic leadership of team leaders had a directly effect on the team adaptive performance of team members, as well as the charismatic leadership of team leaders had a indirectly effect on the team adaptive performance of team members through the shared mental model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its academic significance, practical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tasks.

      • KCI등재

        임시적 과업집단에서의 협력 촉진요인에 관한 연구

        김형준(Kim, Hyung Jun),노명화(Roh, Myung Hwa),김학수(Kim Hak Soo),김한얼(Kim, Han Ul)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1 인적자원관리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ior's ability reputation, subordinate's self-efficacy, superior-subordinate task interdependence(independent variable) and swift-trust(mediate variabl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wift-trust and cooperation(dependent variable) in temporary task group. It also tests the mediating effects of swift-trust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Finally, It test the interacting effects of superior's ability reputation, subordinate's self-efficacy, superior-subordinate task interdependence on swift-trust. The results showed that superior's ability reputation, superior-subordinate task interdependence had positive effects on swift-trust, and swift-trust had positive effects on cooperation. Also, mediating effects of swift-trust were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superior's ability reputation, superior-subordinate task interdependence and cooperation. And interacting effects of superior's ability reputation, subordinate's self-efficacy, superior-subordinate task interdependence on swift-trust. But, subordinate's self-efficacy didn't have positive effects on swift-trust, and mediating effect of swift-trust wasn't shown to be significant between subordinate's self-efficacy and cooperat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as discussed. 최근 경영환경의 불확실성이 증가함에 따라 협력의 중요성은 강조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수평적 유연적 조직형태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단기적인 목표달성을 위한 임시적 과업집단(예를 들어, 프로젝트 팀, T/F팀 등)이 빈번하게 활용되고 있다. 협력을 촉진하는 주요 선행요인은 신뢰이며, 이는 점진적인 시간의 경과에 의해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임시적 과업집단에서는 신뢰의 발전과 유지를 위한 지속적인 관계형성에서 제한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최근, 조직들은 신뢰형성이 어려운 단기적 유연적 조직형태를 추구하면서도 신뢰를 더욱 강조하는 신뢰의 역설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기존의 전통적 신뢰로 임시적 과업집단에서의 신뢰를 설명하는 것은 어려울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속성신뢰 개념을 제시하였고 기존의 전통적 신뢰, 초기신뢰와의 차이점을 개념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임시적 과업집단에서 속성신뢰의 선행변수로서 상사의 능력평판, 부하의 자기효능감, 상사와 부하의 과업상호의존성을 검증하였고, 속성신뢰의 결과변수로서 협력을 검증하였다. 또한, 상사의 능력평판, 부하의 자기효능감, 상사와 부하의 과업상호의존성과 협력간의 관계에서 속성신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속성신뢰에 대해 상사의 능력평판, 부하의 자기효능감, 상사와 부하의 과업상호의존성의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상사의 능력평판, 상사와 부하의 과업상호의존성은 속성신뢰에 정적인 영향을 주며, 속성신뢰는 협력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사의 능력평판, 상사와 부하의 과업상호의존성과 협력간의 관계에서 속성신뢰의 정적인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속성신뢰에 대한 독립변수들의 상호작용효과는 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부하의 자기효능감과 속성신뢰간의 영향관계 및 부하의 자기효능감과 협력간의 관계에서 속성신뢰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 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조직동일시가 지식공유행동에 미치는 영향 -직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장승훈 ( Seung Hun Jang ),노명화 ( Myung Hwa Roh ),안상철 ( Ang Chul An ),손승연 ( Seung Yeon Son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4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조직에서 구성원들의 조직동일시가 지식공유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직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특히 지식공유행동은 세 가지 하위요인(서면기여, 조직내 의사소통, 구성원 상호작용) 각각에 대한 주 효과와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조직동일시가 지식공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은 지식공유행동의 하부요인 별로 차이가 있었다. 조직동일시의 서면기여에 대한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반면, 조직 내 의사소통과 구성원 상호작용에 대한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조직동일시와 지식공유행동의 관계에 있어 직업적 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본 연구는 다음의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이론적으로는 조직동일시 개념의 모태가 되는 사회정체성 이론과 조직정체성에 대해 살펴보고 조직에서 구성원의 지식공유의 딜레마를 완화할 수 있는 요인을 집단참여모델을 통해 설명하고자 하였다. 둘째, 국내연구에서는 드물게 최근에 개발된 지식공유행동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국내표본을 통해 살펴보고, 기존 측정도구보다 다차원화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셋째, 조직성과에 많은 잠재적인 영향력을 지니고 있음에도 연구가 제한되었던 조직동일시와 지식공유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 관계에서 직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실증하였다. 또한 실무적 시사점으로 지식공유의 하위변인 중 조직 내 의사소통과 구성원 상호작용과는 다르게 서면기여는 조직동일시와 유의한 관계가 증명되지 않았는데, 이러한 결과는 조직 내에서 지식공유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조직동일시와 같은 구성원의 심리적인 과정에 대한 관심과 함께 지식관리 시스템의 구축, 적절한 보상체계가 갖추어 져야 함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fluences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on employees’ knowledge sharing behavior which is composed of written contributio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s and personal interactions. And also this study has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occupational self-efficacy betwee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knowledge sharing behavior. The samples are obtained from pilots who are serving in ROK Air Force fighter squadrons and analyzed by using AMOS and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s and personal interactions. However,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does not impact on written contribution. Second, occupational self-efficacy acts as a complete mediator betwee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s and as a partial mediator betwee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personal interactions. The last part of this study summarizes all the results and provides the contribution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성격특성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진호(Jin Ho Kim),노명화(Myung hwa Roh),손승연(Seung Yeon Son) 대한리더십학회 2015 리더십연구 Vol.6 No.4

        본 연구는 최근 평범한 사람들의 공격성이 성격특성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밝히는 연구이다. 공격성은 범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살인, 상해, 폭행 등은 공격적 행동의 직접적인 결과에 해당하며 강도, 강간 등의 범죄성립요건에 폭행 또는 협박이 그 수단으로서 수반되어야하기 때문이다. 군은 범죄를 비롯한 각종 사건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존중과 배려의 선진 병영문화 정착'을 모토로 구성원 간의 '배려행동'을 강조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배려행동이 범죄의 예방에 효과를 가져다 줄 것인지에 대해서는 명확한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리더의 행동유형을 '배려행동'과 '비인격적 행동'으로 구분하고, 분노표현방식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리더 행동유형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주요 군내 병(兵) 집단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성격은 공격성의 예측변인이며, 개인의 분노표현방식이 각각의 성격특성과 공격성의 관계를 매개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리더의 행동유형에서 폭력적 성향의 구성원들에게는 배려 리더십이 능사가 아니란 점을 일부 보여주어 리더로 하여금 대상에 따라 행동을 달리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관리자로 하여금 구성원의 성격의 차이를 인정함으로써 잠재적인 공격성향이 발휘되기 쉬운 성격특성을 탐구하는 적절한 인력관리를 가능케 하며, 관리자의 리더십이 각 구성원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 시사점을 제공함으로써 군내 범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시도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충분한 가치가 있다. This study is an experimental study, exploring personality traits that they were prone to potential aggression by verifying the influence of individual personality traits on aggression and confirming the influence of managers' leadership on aggression of subordinates.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managers a new managerial method of enlisted men and some suggestions. The position of personality trait as an antecedent factor of human behavior became trivial than the past. It was originated from the latest view that various and mixed factors including personality trait determine human behavior. However, I believed that personality trait determines individual differences of human behavior, and I want to demonstrate the position of personality trait as an antecedent factor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anger expression style between personality trait and aggression. According to literature reviews, Five Factor Model including Neuroticism, Extraversion,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Openness was selected. And anger expression style is sorted into anger-control, anger-out, and anger-in. In a different way, I divided aggression into aggressive behavior and intention of aggression. Aggressive behavior is an observable outcome of an act, and intention of aggression is an non-observable concept before an act. For leadership of managers, moreov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consideration behavior emphasized from the military and also confirmed the influence of abusive supervision. 575 enlisted men participated in my survey, and 520 data were collected in the end.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emented by statistical analyses are the following. First, individual personality traits influence aggression. I found that Neuroticism and Extraversion positively influence aggressive behavior and Agreeableness negatively influences aggressive behavior and Neuroticism positively influences intention of aggression, and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negatively influence intention of aggression. Second, individual anger expression style mediates between personality trait and aggression completely or partially.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leader behavior style is partially significant. The people that they tend to control their anger increase a degree of control under their leaders' consideration behavior but decrease it under their leaders' abusive consideration. On the other hand, The people that they tend to express their anger increase a degree of expression even under their leaders' consideration behavi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Five Factor Model can be used as a predictor of aggression and measuring personality traits by Five Factor Model can be a new managerial method of enlisted men. Further, the result that consideration behavior is not always effective suggests that different leader behavior depended on objects and conditions can be more effective. Finally,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They are that it includes self-reporting survey and that it don't consider occupying conditions of anger or aggression and limited generalization, and lack of group sample.

      • KCI등재

        변화지향 리더십 행동과 창의성 : 관계적 에너지의 매개효과와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양승주(Yang Seung Joo),손승연(Son Seung Yeon),노명화(Roh Myung hwa) 한국인사관리학회 2017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1 No.4

        많은 조직들은 급속도로 변화하고 불확실한 환경 속에서 조직의 성공과 지속적인 번영을 위해 다각도로 노력하고 있다. 특히 조직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변화와 혁신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구성원의 창의성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구성원의 창의성을 증진시키고 발현하게 하는 요인에 대한 관심이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는데, 상사의 리더십은 여러 선행연구에서 구성원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선행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 변화와 혁신에 중점을 둔 변화지향 리더십 행동은 창의성에 보다 직접적인 행동으로 제시되어 왔지만, 두 변수간의 관계를 확인한 연구는 소수에 불과하다. 특히 변화지향 리더십 행동과 창의성 간의 영향력 관계를 설명하는 메커니즘에 초점을 둔 연구는 더욱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선행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변화지향 리더십 행동과 구성원의 창의성 간 관계를 검증하고, 두 변수간의 관계에서 관계적 에너지의 매개효과와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육군 장교 및 부사관 224쌍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변화지향 리더십 행동은 구성원의 창의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둘의 관계를 관계적 에너지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성원의 창의적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변화지향 리더십 행동과 관계적 에너지 간의 정(+)적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났으며, 관계적 에너지를 통해 창의성에 미치는 변화지향 리더십 행동의 간접효과 또한 창의적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창의성에 미치는 변화지향 리더십 행동의 영향, 그리고 두 변수간의 관계에 내재된 메커니즘을 실증적으로 확인했다는 측면에서 이론적, 실무적 함의를 지닌다. 연구의 말미에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This study had three objectives. First, we sought to ascertain a relationship between change-oriented leadership behavior and employee’s creativity. Second, we investigated whether the impact of change-oriented leadership behavior on creativity is mediated by relational energy. Third, this study examinedtested the moderating effect of employee’s creative self-efficac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upervisor-subordinate dyads in the Republic of Korea Army by postal mails or direct visits. All of the items except demography were measured on a seven-point Likert scale (ranging from 1=strongly disagree to 7=strongly agree). A total of 224 matched dyadic data was used for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for testing hypotheses. Specifically, we adopted SPSS macro to verify the mediating and moderated mediating model. SPSS bootstrapping methodology does not assume the data’s normal distribution. Thus, we determine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s based on the confidence interval suggested by the bootstrapping method. The result of analysis indicated the positive effect of change-oriented leadership behavior on creativity, and exhibited that the effect of change-oriented leadership behavior on creativity was completely mediated by relational energy. We also found that employee’s creative self-efficac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oriented leadership behavior and relational energy. Finally, study results supported the moderated mediation hypothesis, showing that the magnitude of the indirect effect was contingent upon the level of employee’s creative self-efficacy. Based on these finding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including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 KCI등재

        군 조직에서 상호작용 공정성이 상사지향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상사신뢰의 매개역할과 차상위 상사 상호작용 공정성의 조절효과

        이현우 ( Hyun Woo Lee ),손승연 ( Seung Yeon Son ),노명화 ( Myung Hwa Roh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15 국방연구 Vol.58 No.1

        본 연구는 군 조직에서 상호작용 공정성이 상사지향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이 관계에 있어 상사신뢰의 매개역할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아울러 상황요인으로서 차상위 상사의 상호작용 공정성(구성원이 인식한, 자신의 직속상사에 대한 차상위 상사의 상호작용 공정성)이 상사신뢰를 통한 상호작용 공정성의 간접효과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가설 검증은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였으며, 매개 및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위해 SPSS macro를 이용한 부트스트래핑 방식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상호작용 공정성은 상사지향 조직시민행동과 정(+)적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관계가 상사신뢰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알아냈다. 또한 구성원이 인식한 차상위 상사의 상호작용 공정성이 낮을수록 직속상사의 상호작용공정성과 상사신뢰 간의 정(+)적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났으며, 상사신뢰를 통해 상사지향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상호작용 공정성의 간접효과 또한 차상위 상사의 상호작용 공정성이 낮을수록 더 높게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거의 검증되지 않은 상호작용 공정성과 상사지향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 그리고 이 관계에서 상사신뢰의 매개 역할을 군 조직을 대상으로 밝힘으로써 선행연구 결과의 일반화 확장에 기여하고 있으며, 차상위 상사의 상호작용 공정성의 조절 및 조절된 매개역할을 살펴봄으로써 리더-구성원 관계에 국한된 선행연구의 관점을 보다 거시적인 관계망으로까지 확대하는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 연구의 말미에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하였다.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beneficial to the supervisor (OCBS) are essential for leader’s excellent performance and effective organizational functioning. Decisions by employees to engage in these important discretionary behaviors are based on how they receive treatment from their supervisor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and OCBS, and investigated whether the impact of interactional justice on OCBS is mediated by subordinates’ trust in leader (STL). Also, we present a moderated mediation model that demonstrates how 2nd-level superior’s interactional justice can influence these effects. We collected data from military members (officers and noncommissioned officers) in the Army, Republic of Korea. The samples consisted of 90 leaders and 150 subordinates.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ults showed subordinates’s perceptions of the fairness of the interactional treatment they receive related to OCBS. Second, consistent with our expectations, STL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and OCBS. Finally, our results demonstrated significant conditional indirect effects for interactional justice on OCBS. Specifical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nditional indirect effect is stronger when the 2nd-level superior’s interactional justice is low).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for research on organizational justice, trus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 KCI등재
      • KCI등재

        사회적 관계특성이 군 조종사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 질의 조절효과

        최인옥,이진규,노명화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사회 네트워크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에 따라서 사회적 관계특성인 비우호적 관계와 우호적 관계의 중심성에 의한 효과성을 살펴보았다. 효과성으로 이직의도를 설정하여 비우호적 관계와 우호적 관계의 중심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관리차원에서 리더-구성원 교환관계 질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군 조종사 386명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 비우호적 관계 중심성은 이직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우호적 관계 중심성은 이직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우호적 관계 중심성과 이직의도의 관계에 대한 리더-구성원 교환관계 질의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과 함께 향후 연구에 대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influences of social relationships that are centrality of negative and positive relationships on turnover intention and verified moderator effects of leader member exchange between social relationships and turnover intention. As a results of survey analysis for 386 air force pilots, the centrality of negative relationships had positive effects, but the centrality of positive relationships had negative effects on turnover intention. We verified that leader member exchange had moderator effects between negative relationships and turnover intention. We debated present events and suggested future studies on the basis of this study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