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쥐에서 척수 신경절 내 Somatostatin Receptor Subtype 2의 면역 반응성

        노규철(Kyu Cheol Noh),정영기(Yung Khee Chung),유정한(Jung Han Yoo),박진수(Jin Soo Park),이지동(Jee Dong Lee),강민철(Min Chul Kang),원무호(Moo Ho Won),강태천(Tae Cheon Kang),박승국(Seung Kook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1

        목적: 통각의 전달 과정에는 몇 가지 신경 전달물질이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중 somatostatin과 관련된 통각의 조절에 대한 기전 연구를 위해서는 somatostatin이 직접적으로 결합하는 somatostatin 수용기(sstr)에 대한 연구가 필수 불가결하다. 특히 sstr중에서 sstr2가 통각 조절에 매우 중요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신경원성 통증의 조절과 관련된 somatostatin과 sstr2에 대한 면역 반응성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0마리의 쥐(Sprague-Dawley 랫드 후지, 수컷, 체중 200-250g)를 대상으로 제 4-6 요수분절에 해당하는 척수 신경절(dorsal root ganglia, DRG)을 적출한 다음 sstr2 (sstr2A, sstr2B)에 대한 면역 조직학적 염색을 실시하였다. 결과: 척수에서 sstr2의 isoforms인 sstr2A와 sstr2B의 면역 반응이 척수 후각에서 서로 상이한 분포를 보였는데, sstr2A의 면역 반응성은 somatostatin의 분포와 일치하는 천층인 제 Ⅰ, Ⅱ층에서 관찰된 반면에, sstr2B의 경우는 주로 제 Ⅲ-Ⅵ층에서 관찰되었다. 척수 신경절에서 sstr2A와 sstr2B의 면역 반응은 제 4-6 요수분절 척수 신경절 내에서 주로 중간 크기의 신경절 세포들에서 강하게 나타났으며, 일부 큰 크기와 작은 크기의 신경절 세포에서도 면역 반응이 관찰되었다. 결론: 척수 신경절을 통한 통증 전달의 완화 기능을 담당히는 것들 중 하나인 somatostatin은 척수 후각에서 somatostatin receptors 중 sstr2A의 분포는 somatostatin의 분포와 일치하나, sstr2B는 somatostatin과 다르게 분포하는 것으로 보아 척수에서 somatostatin의 기능에 또 다른 조절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런 면에서 생각해 볼 때 통증 조절시 수용기의 종류에 따라 그 역할이 매우 다양할 것이므로, 임상 적용시 많은 신경 활성 물질들의 수용기에 대한 선행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다고 사료된다. Purpose: Somatostatin has been suggested to play a role in the transmission of neurotransmitters and in the modulation of pain. Of the different subtypes of somatostatin receptors 2, sstr2A and sstr2B are important in the modulation and transmission of pain.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sstr2 immunoreactivity in rat. Materials and Methods: Dorsal root ganglia (DRG) cells at the L₄-L6 levels of the spinal cord of 10 rats (Sprague-Dawley, 200-250 g) were examined for sstr2 by immunohistochemistry. Results: In the control group, sstr2A immunoreactivity was strongly positive in the dense network within laminae Ⅰ and Ⅱ of the dorsal horn at spinal levels (L₄-L6). In contrast to sstr2A, sstr2B immunoreactivity was observed throughout laminae Ⅲ-Ⅵ. In the DRG, sstr2A and sstr2B immunoreactivities were mainly found in medium-sized neurons. Conclusion: The distribution of sstr2A immunoreactive cells among sstr2 in the dorsal root ganglia (L4-6) resembles that of somatostatin. Incontrast to sstr2A, sstr2B immunoreactivity showed a different distribution. The presence of sstr2A at laminae Ⅰ and Ⅱ, and sstr2B at laminae Ⅲ-Ⅵ of the dorsal horn may modulate sensory functions at these different regions of the spinal cord. Considering different actions according to the receptors of the neurotransmitter, the functions of the isoforma of sstr2 appear variable in terms of modulating and transmitting pain.

      • KCI등재

        유연성 천공기를 이용한 Bankart 병변의 골관통식 봉합

        박진수(Jin-su Park),원예연(Ye-Yeon Won),유정한(Jung-Han Yoo),박용욱(Yong-Wook Park),노규철(Kyu-Chul Noh),정국진(Kuk-Jin Chung),김홍균(Hong-Kyun Kim),황지효(Ji-Hyo Hwang),이용범(Young-Bum Lee),서일우(Il-Woo Suh)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0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3 No.1

        목적: 견관절의 Bankart 병변에 대하여서 관절경적 수술하에서도 골경유 봉합이 가능하도록 유연성 골 천공기를 개발하였으며 이에 대한 동물 실험 및 임상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대상 및 방법: 유연성 천공기 세트는 유연성 천공기와 유도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연성 천공기는 49개의 미세강선들이 단일 강선 (직경 1.2 mm)으로 꼬인 구조로 이루어져 유연성이 있으며 이러한 유연한 강선의 한 쪽 끝에는 천공기 (직경 1.2 mm)가 용접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유도관은 외경 3.0 mm, 내경 2.0 mm의 원통형 금속 도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한 쪽 끝은 30도 정도 굴곡되어 있다. 기기의 내구성 및 임상적 유용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돼지의 견갑골 관절와에 골 천공을 실시하는 실험을 30회 이상 실시하였다. 유연성 강선 부위의 기계적 파단이나 골 천공의 실패 등은 발생하지 않았다. 일반적 견관절 관절경 술식대로 견관절의 후방 입구 및 전 상방, 전 후방 입구들을 확보한 후 관절경하에서 Bankart 병변이 확인이 되면 면도기를 이용하여 견갑와 내측면의 변연 절제를 실시하여 골 출혈을 유도한다. 이후 관절경을 전 상방 입구로 이전 시키고, 후방 입구를 통하여서 유연성 골천공기 세트의 유도 강관을 삽입하는데 유도강관의 끝이 견갑와연에서 약 5 mm 정도 안쪽에 위치되도록 한다. 유도강관 내로 유연성 천공기를 삽입한 후 구동기를 이용하여서 견갑와의 골 천공을 실시한다. 골 천공 후에는 유연성 천공기만 유도강관에서 제거한 후에 유도 강관내로 봉합사를 삽입하여 천공된 골구로 통과시키도록 한다. 봉합 갈고리를 이용하여 관절와순에 유도봉합사를 통과시킨 후에 이 유도봉합사에 골 천공구를 통과한 봉합사를 끼워서 관절완순을 통과하도록 한 후 활주 결찰을 실시하여 골 관통 봉합을 이루도록 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견갑와의 2시, 4시 방향에 골 천공을 시행하여 견갑와순의 봉합을 실시한다. 결과: 외상성 견관절 탈구 환자 5예에서 유연성 골 천공기를 이용한 Bankart 병변의 봉합을 실시하였다. 수술 도중 또는 수술후의 신경이나 혈관 손상 등의 문제점이나 합병증 등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기기 자체의 문제들도 발생하지 않았다. 평균 6개월간의 추시 결과 상에서는 재탈구 등의 증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유연성 골 천공기를 사용한 Bankart 병변의 봉합시 관절경적 수술이면서도 골 관통식 봉합이 가능하여 관절와순의 부착면적의 증대 효과 뿐 아니라 손쉬운 활주 결찰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Purpose: Too develop a flexible drill devic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shoulder joint so that arthroscopic transosseous suture repair for Bankart lesion is possible. Materials and Methods: We created a device composed of a flexible drill unit and a guide pipe unit. The flexible drill unit was made of flexible multifilament wires (1.2 mm in diameter) that was twisted into one cord so that it can flex in any direction and a drill bit (1.2 mm in diameter) that is attached onto one end of the flexible wire. The guide pipe unit was a 150 mm long metal pipe (2.0 mm in inner diameter and 3.0 mm in outer diameter), with one end bent to 30 degrees. The flexible drill set was inserted into the shoulder joint through the posterior portal of the joint. The guide pipe component was placed onto the medial wall of the glenoid so that the pipe was placed 5 mm posterior to the margin of the anterior glenoid rim. The flexible drill was driven through the glenoid by the power drill so that holes were made in the glenoid. A non- absorbable suture was passed through the hole. Tying of a sliding knot tying was accomplished over the capsule and labrum after making a stitch through the capsule and labrum with a suture hook loaded with suture passer. The same procedures were done at the 2 and 4 O’Clock positions of the glenoid. Results: Five cases with Bankart lesion received arthroscopic transosseous repair with our flexible drill device. There were no intraoperative problems. Neither redislocation nor subluxation was reported at final follow-up. Conclusion: Arthroscopic transosseous suture repair without suture anchors and easy tying of a sliding knot are possible with a flexible drill s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