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품 관련 범죄의 억제를 위한 식품특별사법경찰제도의 효과적 운영방안

        남재성 ( Jae Sung Nam ) 대한범죄학회 2014 한국범죄학 Vol.8 No.1

        Since the launching of Park Geun-hye Administration, social interest is increasing on the four social evils pointed out to be eradicated - school violence, sexual violence, domestic violence and unsanitary food. Among them, crackdown on food related illegal acts such as unsanitary food in particular is being conducted through continuous activities by organizing personnel with expertise at special judicial police agency organized by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nd local govern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olicy alternatives and measures of advancement needed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food special judicial policy system to effectively crackdown and manage various food hazard illegal acts that could appear in the Korean society, as well as reduce food related crime and ensure the safety of people``s lives. The result of study revealed the followings in regards to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food special judicial police activitie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need to simultaneously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major and primary local governments by organizing new organizations in the unit of major local government, as well as increasing the number of personnel of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nd local governments. Second, the result revealed an urgent need to create conditions of long-term work for food special judicial police by revising related regulations to improve their expertise while extending the period of received specialized education, as well as strength their capability of field investigation and legal knowledge through entrusted education from police education institute. Third, it was found that to overcome the inefficiency from overlapping of duties between general police and food special judicial police,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duties of food special judicial police as primary agency in charge for food related crime, and prepare a real-time information sharing system between the two organizations to share crackdown information while establishing an effective system of collaboration by conducting continuous joint crackdown activities. Fourth, it would be necessary to increase the investigative activity expenses of food special judicial police to a realistic level to support their active investigative activity, and ensure that extra pay for special work is paid also for them by revising the regulation on the payment of extra pay for public officials.

      • KCI등재

        북한의 급변사태 및 대량탈북에 따른 경찰 대응방안 연구

        남재성(Nam Jae Sung),이창무(Lee Chang Moo) 한국공안행정학회 2013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2 No.1

        국내외를 불문하고 김정은 체제에 대한 심각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현실에 비추어 볼 때 가까운 장래에 북한의 급격한 정세변화와 대한민국에 대한 잠재적 위해요소의 등장은 우리가 반드시 겪게 될 현실이고 반드시 막아야할 문제라는 점에서 개방된 사고로 모든 가능성을 염두하고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국가 차원뿐만 아니라 세부적으로 경찰 차원에서, 김정은 체제 이후 예상되는 북한 내부의 권력투쟁과 그에 따른 사회적 혼란 및 잠재적 위해요소, 그리고 그로 인한 북한 주민의 대량 탈북사태와 국내 유입 등 치안과 안보위해 상황을 다각도로 검토해보고 무엇보다도 경찰의 대응방안을 중심으로 대책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여러 위협 변수들에도 불구하고 현 상태에서 당장 급격한 변화와 북한 정권의 붕괴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보인다. 하지만 북한체제의 특성상, 북한의 급변사태가 언제든 발생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항상 예의주시해야 할 것이며, 경찰은 북한의 급변사태에 따라 대량 탈북사태가 발생했을 경우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즉응적 대비태세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특히, 이에 대한 대비태세는 대량 탈북 등 급변사태 발생이전의 사전적 역량강화 방안, 평시상황이지만 준 급변사태 발생단계에서 나타날 수 있는 대량 탈북사태 대응 방안, 급변사태 발생시의 대량 탈북사태 대응 방안 등으로 구분하여 수립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따라서 향후 보안경찰은 이 세 가지의 대응방안을 중심으로 조직적, 인력적 역량을 강화하고 대응을 위한 세부 시나리오를 마련하는 등 대량탈북 사태와 같은 북한의 급변사태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철저한 준비태세를 확립해야 할 것이다. In the midst of present situation where a serious concern is being raised at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vel on Kim Jong-un regime, it is inevitable that we will certainly experience North Korea's sudden changes in the state of affairs and the appearance of potentially dangerous elements towards South Korea against which we must defend. Accordingly, we must develop measures of responses for every possibility with open mind. The purpose of this study, accordingly, was to extensively examine not only at the national level but also at the specific level of the police the North Korean power struggle and according social disorder, potentially dangerous elements, massive defections of North Koreans and their inflow to South Korea and situations that present risk to public order and national security in order to develop various measures of responses centering on the response of the police. The study result shows that in spite of numerous variables of threat, the possibility of immediate and sudden changes in North Korea and the collapse of its regime does not appear to be high.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rth Korea regime, however, there is a need for constant and close watch in the sense that sudden changes could occur at anytime in North Korea.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it would be necessary for the police to be equipped with instant readiness for swiftly responding to any massive defections of North Koreans according to sudden changes in North Korea. It was revealed that it would be appropriate to develop measures of responses by dividing them into a preemptive measure of reinforcing capabilities prior to the occurrence of sudden changes such as massive defections, a response measure against massive defections that could occur at the stage of semi-sudden changes during peacetime situation and a response measure against massive defections that occurs at the occurrence of sudden changes. Accordingly, it would be necessary for the security police to establish through readiness for swiftly responding to sudden changes in North Korea such as massive defections such as reinforcing organizational and personnel capabilities and develop specific scenarios of response centering on the three types of measures of responses mentioned above.

      • KCI등재

        캐나다의 여성 범죄자 교정처우 동향과 정책적 함의

        남재성(Jae-Sung, Nam) 한국범죄심리학회 2020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6 No.2

        이 연구에서는 캐나다의 교정제도와 여성 범죄자에 대한 처우의 주요 내용과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우리나라 교정당국에서 여성 범죄의 억제와 바람직한 교화개선, 효과적 재사회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할 정책적 대안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캐나다는 여성 범죄자들을 위해 주간 가석방(Day Parole), 전면적 가석방(Full Parole) 등 다양한 조건부 가석방 제도를 통해 사회내 처우를 확대하고 있는 가운데 적극적인 시민 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지역사회 연계 교정 프로그램을 활발하게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 교정시설에서는 여성 수형자들의 특성에 따라 단계별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심리지원과 정신건강 서비스, 현장 밀착형 직업훈련과 취업지원을 위한 지역사회 고용 코디네이터 제도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정처우를 위해 연방 교정청 내에 여성 범죄자부와 여성 담당 부청장 제도를 설치, 운영하는 등 여성 범죄자를 위한 선진화된 교정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에서도 캐나다와 같이 다양한 조건부 가석방 제도를 도입하고 가석방 위원회의 개선을 통해 수형자의 가석방 비율을 확대하는 등 여성 범죄자에 대한 사회내 처우를 활성화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지방자치단체 및 지역사회 내 관련 기관과 연계하여 여성 수형자를 위한 직업훈련과 취업알선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민 주도형 참여제도를 활성화하여 지역사회가 주도하는 적극적 지원체계가 운영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정본부 내에 가칭 ‘여성지원과’를 설치하고 법무연수원의 교정직 교육과정의 내용을 개선하여 여성 수용자들에 대한 처우의 전문성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끝으로 여성 수형자들의 심리지원을 위해 여성 수형자 전담 심리치료센터를 확충하고 충주여자교도소에 ‘일자리 센터’를 개소하여 전담 취업지원 코디네이터를 배치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Canadian correctional system and major content, trend of its treatment for female offenders. In doing so, the study sought to find police-wise alternatives which our country s correctional authorities should positively consider for the control of female offenses and ideal correctional improvement and effective re-socialization. As a result, the study found that Canada was actively conducting correctional programs in linkage with local communities based on citizens positive participation, while the country was increasing treatment in the society using diverse conditional parole systems including day parole, full parole for female offenders. And it also found that the country s each correctional facility was operating phased educational programs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female prisoners and was performing diverse activities such as psychological assistance for them, mental health service, field-based vocational training and employment coordinator system in the community to help them employed. Besides, the study learned that Canada was operating advanced correctional system for female offenders by establishing and running the department for female offenders and the system of deputy commissioner in charge of them within the country s federal department of corrections for systematic and professional correctional treatment. Therefore, the study believes our country should improve the treatment in the society for female offenders by introducing conditional parole system like Canada and advancement of parole committees and expanding the rate of parole for female prisoners. We should develop programs of vocational training and employment programs for female prisoners in linkage with local autonomous entities and related organizations within the communities. We should also activate citizens-led participation system in order to implement positive assistance system led by the communities. Along the way, the study suggested to establish the department for assistance of females (tentative name) within the correctional headquarters and improve content of curriculums for correctional jobs in legal research institute in order to advance the professionality of treatment for female prisoners. Finally, the study suggested to expand psychological treatment centers for female prisoners and open ‘job center at Cheongju Women s Correctional Institution and deploy exclusive employment-assisting coordinators.

      • KCI등재

        질적 연구를 통한 경찰 불량식품 단속활동의 효과성 제고 방안 모색

        남재성 ( Jae Sung Nam ) 한국경찰학회 2016 한국경찰학회보 Vol.18 No.3

        이 연구에서는 불량식품 단속 활동에서 나타나고 있는 내외부적 문제점을 분석하고 경찰의 단속 및 수사 활동의 효과성 제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선 경찰관들에 대한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하고 경찰 내부적인 단속 및 수사효율성 저해요인을 분석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단속활동을 실시할 수 있는 정책적방안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인 연구방법으로는 개별 심층면접(individualin-depthinterview)을 진행하였으며, 대상자들이 응답한 내용은 질적연구 결과에 대한 분석방법 중 가장 일반적인 형태라 할 수있는 주제 분석법(thematic analysis)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경찰은 내부 구성원과 외부 전문가들에 대한 적극적 의견수렴을 통해 불량식품 등 4대악 중점 추진의 지속여부에 대한 면밀한 검토과정을 마려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검토과정을 통해 조직 내외부에서 그 타당성을 인정한다면 장기적 정책기조를 유지함과 동시에 업무수행의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는 법적, 논리적 근거를 보완해야 할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단속활동에 대한 ‘성과평가위원회’의 기능을 강화하여 건수 위주의 실적이 아닌 보다 다양한 평가가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고, 식품 분야의 전문 인력을 증원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로 나타났다. 또한 내외부 전문화 교육의 강화를 통해 담당 인력의 전문성 향상에 주력하고 유관 기관과의 실질적 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This research aimed to analyze the internal & external issues being shown in the unsanitary food crackdown activity and examine a way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crackdown & investigation activities of the police. Accordingly,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for police officers to listen their opinions in the field, and hindering factors of the internal crackdown & investigation efficiency of the police were analyzed to examine policy measures for conducting more effective crackdown activities. As for specific research metho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and participants`` responses were analyzed by using thematic analysis that is the most common type of analytical methods of qualitative research.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police need to actively collect and reflect the opinions of internal constituents and external experts to prepare a thorough review process on whether to continue with the major implementation of Four Social Evils including unsanitary food. In the case where its validity is recognized internally and externally based on the review process, it would be necessary to also complement legal & logical basis for ensuring the validity of performing duties, as well as maintain a long-term policy direction. It was also revealed that there are urgent issues such as allowing multidimensional evaluation instead of crackdown case-oriented performances by strengthening the function of ``Performance Evaluation Committee`` on crackdown activities, as well as increase personnel specializing in the food area. Other urgent issues include focusing on improving the expertise of personnel in charge by strengthening internal & external education and training, and preparing an institutional device for allowing actual collaboration with related organizations.

      • KCI등재

        한국형 "Code Adam" 「실종아동예방지침」의 효과성 제고 방안

        남재성 ( Jae Sung Nam ) 한국경찰학회 2015 한국경찰학회보 Vol.17 No.3

        지난 2014년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실종아동·장애인 신고가 총 29,315건 발생했으며, 이 가운데 18세 미만의 일반 아동이 21,519건으로 집계되었을 정도로 실종아동 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관련 연구결과에 따르면 1명의 장기실종아동이 발생할 경우, 약 5억 7,000만 원 정도의 사회적 비용이 소모될 정도로 사회적 손실 역시 막대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실종아동에 대한 신속한 수색과 발견을 위해 도입한 한국형 ‘Code Adam’ 제도인 「실종아동예방지침」의 주요내용을 분석하고, 제도 운영상의 문제점과 효과성 제고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실종아동예방지침」은 제도 시행 이후 다양한 평가가 엇갈리고 있지만, 표준 매뉴얼상의 구체적 대응 매뉴얼 부재, 부실한 교육·훈련 내용과 시간, 홍보부족으로 인한일반 시민들의 미인지, 이원화된 정부 관리 주체로 인한 제도 시행의 비효율성, 과태료 등 행정적 제재수단의 부족 등으로 제도의 효과성이 저해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지침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보건복지부가 작성한 표준 매뉴얼의 보완을 통해 현장 활용도를 증대하고, 경찰 등 관계 정부기관 뿐만 아니라 해당 민간시설의 구성원들에 대한 교육·훈련을 확대하여 사건 발생 시즉각적인 대응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또한 현재 온라인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제도의 홍보방법을 오프라인 홍보 위주로 전환하고, 해당 시설에는 제도시행에 대한 표시를 의무화하여 일반 시민들이 쉽게 인지할수 있도록 해야 한다. 더불어 시설의 관리주체에 대한 교육·훈련과 지도, 감독에 대하여 경찰의 역할을 확대하고, 보건복지부와 경찰청으로 이원화되어 있는 정부 관리주체를 경찰청으로 일원화하여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을 도모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끝으로 현재 500만원 또는 200만원으로 규정되어 있는 의무 불이행 시설에 대한 과태료를 상향 조정하거나 시설 유형별로 과태료 금액을 차등화 하는 방법을 통해 행정적 제재 수단을 강화하여 시설의 관리주체가 보다 적극적으로 제도에 동참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re have been 29,315 cases of child missing and the disabled missing in Korea during the year of 2014, among which the children with the age of 18 years old or less were 21,519 cases, and the child missing issue became a serious social issue. According to the result of a related study, the social loss is also huge because about 570 million Korean Won(₩) of social cost occurs when a child is missing for a long time.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major content of the ‘Child Missing Prevention Guideline’, which is a Korea model ‘Code Adam’, studied the issues in the system operation and explored how the effectiveness of the ‘Child Missing Prevention Guideline’ could be enhanced. There has been various evaluations on the ‘Child Missing Prevention Guideline’ since it had been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it has been found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Child Missing Prevention Guideline’ system is being decreased by; the absence of concrete response manual in the standard manual, the poor content and insufficient hours of the education/training, non-recognition of general citizens due to insufficient publicizing, inefficient system implementation caused by the dualized government agencies in charge and the shortage of administrative sanctions such as fine or penalty. Therefore, followings are required for the enhancement of the ‘Child Missing Prevention Guideline.`` First, the utilization of ‘Child Missing Prevention Guideline’ system should be increased by complementing the standard manual prepar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cond, a system capable of immediate response when a case has occurred would be established by expanding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the staffs working in private facilities in addition to the people in government agencies such as the police. Third, the recognition of general citizens would be increased by shifting the current online-focused system publicizing to offline publicizing and making the posting of ‘Child Missing Prevention Guideline’ implementation at the facilities mandatory. Fourth, faster and more effective response should be enabled by expanding the role of the police in the education, training and supervision on the facilities management body and unifying the government control agencies to the National Police Agency, which is now dualized as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National Police Agency. Fifth, the facility management body should be encouraged to participate in the ‘Child Missing Prevention Guideline’ system more actively by increasing the current fine of 2 million Korean Won(₩) or 5 million Korean Won(₩) on the facilities which do not implement the ‘Child Missing Prevention Guideline’ or differentiating the fine dependent on the type of a facility.

      • KCI등재후보

        평창 동계올림픽의 안전위협 요인과 대책

        남재성(Nam, Jae Sung),강남수(Kang, Nam Su) 한국테러학회 2012 한국테러학회보 Vol.5 No.3

        This Study intended to seek the safety and the security to be secured without fail and the detailed countermeasure for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by analyzing the factor of danger raised recently at home and abroad. The concrete proposal can not be presented since the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are established owing to the friction of government related agencies, the absence of role in the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etc. in the discussion about the 2018 Winter Olympic Games at present. Particularly, the discussion is being focused on the issue for the budget support from the Government, the issue for the selection of exclusive zone and the issue for the construction of transport infrastructure, etc. only in spite of shortage in the preparation period for the competition, and even the issue for the construction of stadium and the induced city proposed at time of attracting the competition are reinvestigated, etc., even the issue for the safety countermeasure can not be discussed. However, the actual situation at home and abroad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is facing the diversification of threatening power by rapid change of terrorism, the potential factor of threat by North Korea is increasing owing to the rapid changing situation in North Korea and the tight situ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orth and South. Moreover, the disturbance and the state of disorder by the crowd may be causable in case the large scale of crowd is gathering around, the various factor of threat may occur at the direct and indirect facilities of the competition. Accordingly, it would be the important course of preparation among others to establish the thorough countermeasure over the long haul to secure the safety for the competition. The principle agent of safety should be re-selected and the establishment of mission of organizations for the security of safety shall have to be clarified at the level of Pan Government during the preparation period remaining about 6 years. The close arrangement for the security of safety shall have to be established by preparing the Manual for the detailed safety countermeasure by each sector also. 본 연구에서는 최근 대두되고 있는 국내외의 위험요소를 분석하여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반드시 담보되어야 할 안전 및 경비의 상세한 대책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현재 2018 동계올림픽에 대한 논의에 있어 안전과 관련된 대책은 관련 기관의 마찰, 조직위원회의 역할 부재 등으로 관련 법령의 제정 이후에도 구체적 방안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대회 준비 기간이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예산지원 문제나 특구 선정 문제, 교통 인프라 구축 등의 문제에만 논의가 집중되고 있고, 심지어 유치 당시 제출되었던 경기장 건립 및 유치도시 문제 까지 재검토 되는 등 안전대책 문제는 논의조차 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한반도를 둘러싼 국내외 정세는 테러리즘의 급격한 변화로 위협세력이 다각화되고 있으며, 급변하는 북한 정세와 남북관계의 경색으로 북한에 의한 잠재적 위협요인이 증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대규모의 군중이 운집할 경우 군중들로 인한 소요사태 및 질서혼란상태가 야기될 수 있으며, 대회 직․간접 시설에서 다양한 위협요인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대회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장기간에 걸쳐 철저한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야말로 무엇 보다 중요한 준비과정이라 할 수 있다. 약 6년 정도의 남은 준비기간 동안 범정부적 차원에서는 조속히 안전주체를 재선정하고 안전확보 조직의 임무설정을 명확히 해야 한다. 아울러 각 분야별로도 세부적인 안전대책 매뉴얼을 마련하여 빈틈없는 안전확보 태세를 수립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지역사회 안전 증진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및 프로그램 확대방안

        남재성(Nam Jae Sung)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21 안전문화연구 Vol.- No.11

        이 연구에서는 최근 각 지방자치단체에 대하여 적용하고 있는 주요 안전 평가 척도를 살펴보고 해외 국제안전도시들의 정책 및 운영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들이 지역사회와 지역 주민의 안전 증진을 위해 검토할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사회 안전 증진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과 , 프로그램 확대를 위해서는 첫째, 지역적 환경이나 성별․연령별 인구구성, 소득수준, 외국인이나 이주 노동자 거주 비율 등 다양한 지역 여건을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 그리고 지역안전지수와 손상사망 비율과 같이 지역별 안전 지표 평가결과를 반영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등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안전 증진 프로그램이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지역의 안전취약계층을 최일선에서 마주하는 지방자치단체의 관련 프로그램과 지원체계를 확대하기 위해 재난관리기금을 확충하여 각 지방자치단체가 안전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지역주민과 경찰, 소방 등 관내 공공기관 뿐만 아니라 의료기관이나 교육기관, 주민자치단체 등 지역 내 모든 주체들이 참여하는 지역사회 안전 네트워크를 구성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각 지방자치단체는 안전 관련 조직을 확대 개편하여 가칭 ‘재난안전과’를 설치함과 동시에 안전 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인력을 지속적으로 육성하여 이들에 대한 인사상 지원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넷째, 지방자치단체가 지역사회 안전 증진을 위한 제반 정책과 프로그램을 추진함에 있어 주기적 평가와 같은 환류 절차가 담보되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지역사회의 손상사망이나 손상부상 등 손상지표와 지역안전지수를 지속적으로 점검하여 기존 프로그램의 수정과 신규 프로그램의 도입 등에 활용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sought for political measures for enabling local governments of Korea to examine for improving safety of local residents by examining key evaluation standards for safety that each local government has been applying recently and analyzing policies and operation programs of overseas safe communities. For expansion of role and program of local governments for improvement of local safety, study results show that First, development of programs considering various local conditions such as local environment, composition of population by gender ㆍ age groups, income level, residence ratio of foreigners and immigrant workers etc., and expansion of safety improvement programs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development of programs that reflect the result of evaluation of safety indicators by regional groups same as local safety index or ratio of death by damage and determination of priority etc. Second, local governments need to expand support for safety vulnerable classes by increasing disaster management fund for expanding programs and support systems of local governments that face safety vulnerable classes in the first line. Third, it is necessary to organize network that all the subjects of the region such as medical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resident groups as well as local residents and public institutions including police and fire station within the jurisdiction participate. And each local government needs to establish a tentative name ‘Disaster and Safety Control Division’ and foster manpower specialized in safety by expanding and reorganizing a safety-related organization, and provide them with continuous personnel support. Fourth, in promoting all relevant polices and programs for improvement of local safety, local governments need to guarantee feedback procedures such as periodic evaluation etc. And through the foregoing, it is also necessary to keep checking indices of damage and local safety such as death or injury by damage within local communities and use them for correction of existing programs and introduction of new programs.

      • KCI등재

        국가경찰과의 조화를 통한 바람직한 자치경찰제 도입방안 모색

        남재성 ( Nam Jae Sung ) 한국경찰학회 2019 한국경찰학회보 Vol.21 No.4

        이 연구에서는 2019년 3월 11일 이후 현재까지 국회에 계류 중인가칭 「경찰법」 전부개정안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의 조직 및 운영에 관한 법률」안에서 제시하고 있는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예상되는 문제점과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바람직한 자치경찰제 도입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이 상호 협력하는 가운데 시민을 위한 최상의 치안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는 정책적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바람직한 자치경찰제가 도입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첫째, 국가경찰과의 상호협력과 선의의 경쟁체제 구축을 위해 업무와 역할의 명확한 구분이 이루어지는 법·제도적 장치의 강화, 지방경찰청과의 구체적 업무협약을 통한 자치경찰의 역할 강화, 자치경찰만의 시민친화적인 종합적 치안서비스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국가경찰과 공존하는 주민 친화형 자치경찰이 되기 위해 민주성과 정치적 중립성이 담보된 자치경찰 조직을 구성하여 그들의 위상을 강화하고 자치경찰대 중심의 자치경찰제를 운영해야 한다. 그리고 입법적 보완을 통해 최일선 지역경찰 조직 운영에 대한 자치경찰의 독립성을 강화하고 합리적인 상호협조 및 응원체계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셋째, 자치경찰제의 조기 정착을 위해 국가적 차원의 지원 아래국가경찰 기관을 적극적으로 이관하고, 현재 산출된 이관인력을 재산출하여 현장 지향적 인력의 전환을 확대해야 한다. 또한 국가경찰의 개방적 인력 전환체계를 마련하고 정부의 적극적 예산 지원을 통해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부담을 완화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reviewed main contents suggested at the government's revised bill for "Legislation regarding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national police and autonomous police" from "Police Act" (tentatively called) pending at the National Assembly to date since March 11, 2019. And then it sought to suggest the expected problems as well as methods to introduce desirable autonomous police system to resolve the problems. In doing so, the study aimed at exploring political alternatives that could offer the best security service for citizens amid mutual cooperation between national police and autonomous police. On the path towards exploring desirable autonomous police system, the study found firstly, legal and institutional strategy is needed to have clear division of jobs and roles of national police and autonomous police so as to build mutual cooperation with national police and bona fide competition system. Also needed strengthening of roles of autonomous police using detailed job agreement with local police agencies and development of overall citizen-friendly security service only available by autonomous police. Secondly, to build citizen-friendly autonomous police organizations coexisting with national police needs to establish those organizations for the cause of democracy and political neutrality, and strengthen their positions. Also needed enhancement of independence of autonomous police as to the operation of frontline local police organization, and legislative supplementation to build reasonable mutual cooperation and supporting system. Thirdly, to achieve early establishment of autonomous police system through national-level support needs to actively transfer the organizations of national police, extend manpower transfer towards front lines via manpower recalculation as well as bracing for open manpower shift system and alleviation of burdens of local governments through the central government's positive budget backing.

      • KCI등재

        중소기업의 산업기밀 유출범죄 피해실태와 대책

        남재성(Nam Jae Sung) 한국공안행정학회 2012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1 No.1

        중소기업의 산업기밀 유출범죄 피해는 국가의 생존권을 좌우할 수 있는 매우 심각한 사안이며, 범국가적 차원의 지원을 통해 더 이상 피해가 확대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그러나 그동안 중소기업의 산업기밀 유출범죄와 관련하여 국가적 차원의 법ㆍ제도적 지원과 관련 연구들은 극히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논의 역시 내부자 통제 및 관리방안과 자체 보안강화라는 측면에서만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산업기밀 유출범죄 피해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더불어 최근의 피해실태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중소기업 자체의 내부자 통제 및 보안강화의 측면을 넘어 국가적 차원에서 피해 감소시킬 수 있는 법ㆍ제도적 방안에 대하여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중소기업의 산업기밀 유출범죄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첫째, 국가적 차원의 보안시스템 구축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며, 둘째, 오래 전부터 논의되고 있는 민간조사제도의 도입 및 활성화가 시급하다. 셋째, 가칭 산업기밀유출 피해보상 보험제도를 도입하여 중소기업의 피해범위를 감소시킬 수 있어야 할 것이며, 넷째, 일원화된 기관을 창설하여 산업기밀 유출범죄에 대한 수사체계를 강화하거나 경찰 중심의 수사체계로 개편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섯째, 산업기밀(기술) 임치제도의 활성화를 통해 중소기업이 대기업 등에 의해 더 이상 악의적인 기밀유출을 당하지 않는 제도적 보완책이 필요하다. 중소기업은 국가경제의 버팀목이라 할 수 있다. 중소기업의 산업기밀 유출은 기업뿐만 아니라 국가경제에도 막대한 피해를 가져올 수 있는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나 더 이상 이와 같은 문제를 기업의 책임만으로 간주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중소기업의 산업기밀 유출범죄 피해를 감소시키고 이들이 더욱 건전한 국가경제의 핵심으로 자리잡을 수 있는 범국가적 차원의 지원방안이 시급히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The industrial secrets leakage crime of a small or medium sized business is a very serious issue capable of deciding natural rights of a country, so it should be prevented that more damage is expanded through support of a pan-national level. However, in connection with industrial secrets leakage crime of a small or medium sized business in the meanwhile, a national level of legalㆍsystematic support and related researches are being executed very limitedly and most discussions are being emphasized only in the aspect of insider control & management methods and self-security's strengthening. Accordingly, this research aims to closely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recent damages in addition to theoretical consideration on damage of industrial secrets leakage crimes of a small or medium sized business, and aims to seek legalㆍsystematic methods capable of decreasing damages in a national level by surpassing the aspect of insider control & self-security's strengthening of a small or medium sized business itself through this. As a research result, in order to decrease industrial secrets leakage crimes of a small or medium sized business, first, the support on construction of security systems in a national level should be carried out. Second, the introduction and vitalization of a private investigation system being discussed since a long time ago. Third, the damage range of a small or medium sized business should be decreased by introducing a tentative name's insurance system for compensating industrial secrets leakage damages. Fourth, it is necessary that the investigation system on industrial secrets leakage crimes is strengthened by establishing an unified agency or that it is reorganized as police-oriented investigation system. Fifth, it is necessary that systematic supplement policies to make a small or medium sized business not to suffer from malicious secrets leakage anymore by large companies, etc. It can be said that a small or medium sized business is a support of national economy. Therefore, the industrial secrets leakage of a small or medium sized business is an important issue that can bring about huge damages to the national economy as well as companies. However, the issue like this couldn't be regarded as a responsibility of only a company anymore. Therefore, a support method of a pan-national level that can reduce damages of industrial secrets leakage crimes of a small or medium sized business and be positioned as a core of national economy should be urgently devis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