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악활동이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만 2세(25-36개월) 영아를 중심으로

        남옥선,Nam, Ok Seon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07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영아들에게 음악 활동을 제공하여, 음악이 또래 간 혹은 치료사와 영아간의 상호작용 증진과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는 가에 대해 살펴보고 이러한 상호작용이 사회 정서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분당 소재 직장보육 어린이집 2곳의 만 2세(25-36개월) 영아 24명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기간은 2007년 3월 31일부터 2007년 5월 11일까지로, 실험집단에게는 주 3회씩 총 17회기의 음악 활동 프로그램이 제공되었으며, 비교집단에게는 동일한 시간 동안 음악이 배제된 자유선택활동이 제공되었다. 연구도구는 사회 정서적 행동에 대해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기 위해 Briggs-Gowan과 Carter(2001)가 개발한 보육교사용 영아기 사회 정서 행동 측정도구(ITSEA)를 사용하였다. 또한 음악놀이 활동 중에 나타난 영아들의 상호작용 행동 변화에 대해 양적, 질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Holloway와 Reichhart-Erickson(1988)이 개발한 영아의 사회적 놀이행동 관찰 도구를 사용하였다. 총 17회 세션 중 1, 5, 9, 13, 17회기 세션에서 실시된 음악활동을 시간표집법으로 분석하여 양적(표, 그래프), 질적으로 기술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사회 정서적 긍정행동과 부정행동 평균점수를 비교하였을 때, 실험집단의 경우 긍정행동 평균점수는 증가(88.5에서 110.8)가 비교집단의 긍정행동 평균점수 증가(86.6에서 91.5)보다 점수 폭이 크게 나타났다. 부정행동 역시 실험집단의 평균점수 감소(56에서 45.8)가 비교집단의 부정행동 평균점수 감소(62.8에서 55.8) 정도가 크게 나타났다. 긍정행동의 하위 영역 중 실험집단은 주의집중과 감정이입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으며 부정행동 중 공격성 반항성과 분리불안, 새로운 것에 대한 거부(억제) 항목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이와 더불어 음악 활동 과정 중에 보인 영아의 행동변화에 대한 질적 평가 결과 또래와의 상호작용 중 친사회적 행동, 대화 미소 웃음, 애정적 신체접촉, 또래 행동 모방은 증가하였으며, 방해하기 행동은 감소하였다. 영아와 치료사 간에 보이는 상호작용 중 돕기, 동조하기, 대화 미소 웃음, 애정적 신체접촉, 교사모방행동은 증가하였고 거부 행동은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과 음악적 경험을 통한 또래 간 또는 치료사와의 상호작용은 사회 정서적 행동의 긍정행동을 강화시키고 부정행동을 감소시키는데 영향을 미쳤다. 둘째, 연구 결과 영아의 긍정행동 중 하위행동보다 부정행동의 하위행동에서 더 많은 변화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음악이 부정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influence of musical activities on social and emotional behavior of infants, through providing musical activities to the infants who were cared in a nursery and observing the interactions between peer group, or a therapist and an infant derived during them. The subject is 24 infants who are under 2 years of age(25~36months) at two nurseries located in Bundang area, and 13 infants among them are randomly assigned as study group and 11 infants as control group. Pretest and posttest about social and emotional behavior are performed, and ITSEA developed by Brggs-Gowan and Carter(2001) and amended by Shin Ji Yeon(2004) was used as an evaluation tool. Infants' changes of interaction behaviors during musical play were also analyz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nd for the analysis, infant's social play behavior examination tool developed by Holloway and Reichhart-Erickson(1988) was adopted. Based on time sampling method, each item of this tool was evaluated. Each session was performed for 15 minutes, and 60 times of analysis about interactions per session was conducted at every 15 seconds. The analysis result was showed with a table and a graph, and described qualitatively about behavior changes. When compared social and emotional positive behavior average figures and negative behavior average figures between study group and control group, this study showed that the positive behavior figure of study group was increased and the negative behavior figure was decreased. While concentration and empathy among positive behaviors increased meaningfully, aggression, defiance, separation anxiety and rejection to new things among negative activities also decreased meaningfully.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nteractions with peers or a therapist based on music and musical experience make an effect on strengthening positive behavior among social and emotional behavior and decreasing negative behavior. Second, music has influence on negative behaviors more than positive behaviors of an infant, and produces a good effect on sub behaviors of negative behaviors specially.

      • KCI등재

        인성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조사

        김순환(Soon Hwan Kim),남옥선(Ok Seon Nam),박선혜(Seon Hye Par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인성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을 조사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전국의 대도시 및 중소도시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유아교육과 1~4학년 학생 927명이며, 설문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도구는 박경옥, 2010, 의 유아인성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조사 시 사용한 질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카이 검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 일반적인 인성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은 실습유무에 따른 차이가 있는 항목이 있었고, 직전교육과정에 나타난 인성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과 유아의 인성 및 유아인성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이 각 항목에 따라 학교별, 학년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직전교육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인성교육에 기본인성 및 교직인성의 내용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또한 인성교육이 전 영역을 통한 지도가 이루어지고 전인적 인간발달과 건강한 정서 함양에 도움이 된다고 예비유아교사들이 인식하는 만큼 질 높은 유아교육을 실행할 필요가 있다는 것, 교사의 가치관이 중요한 만큼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 등을 시사 받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character education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included 927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rom freshmen to seniors at universities located in small, medium, and large cities across the nation. Data were collected via a survey. As for research instruments, the study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questionnaire used by Park Gyeong-ok (2010)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character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ollected data were put to SPSS 21.0 to obtain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the Chi-square test for analysis. As a resul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ch item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character education, their perceptions of character education in the pre-service curriculum, and their perceptions of young children`s characters and character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ccording to school, grade, and actual training. Based on those findings, the study reached a conclusion that it would be desirable to include the content of basic character and teaching profession character in character education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pre-service curriculum. The study also implied that high-qual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given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ved that character education would contribute to whole person development and healthy emotions when its instruction took place across all the domains. It was also implied that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given the importance of teachers` val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