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최소 증상 간성 뇌증에서 신경인지검사와 뇌 자기공명분광검사의 유용성

        남순우 ( Nam Soon Woo ),김진일 ( Kim Jin Il ),박수헌 ( Park Soo Heon ),한남익 ( Han Nam Ik ),한준열 ( Han Joon Yeol ),안병민 ( Ahn Byung Min ),김재광 ( Kim Jae Kwang ),최상욱 ( Choi Sang Wook ),정규원 ( Chung Kyu Won ),선희식 ( Su 대한소화기학회 2003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2 No.1

        Background/Aims: The aim of the study was to correlate neuropsychological test results with regional cerebral biochemistry determined by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MRS) in patients with minimal hepatic encephalopathy (MHE). Methods: The patients with liver disease were divided into 4 groups; group 1 chronic hepatitis; group 2, liver cirrhosis (LC) without a history of HE; group 3, LC with a history of HE of no manifestation, and group 4, LC with overt HE. All patients were examined using neuropsychological tests and brain MRS. Results: Trail making, Digit span, Digit symbol, and Peg board test in groups 2 and 3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with control. These neuropsychological tests were regarded more available test for diagnosis of MHE. In the LC patients, compared with control, MRS results showed a typical pattern with decrease of myoinositol/Cr (0.24±0.24 vs. 0.68±0.10, p<0.05) and increased glutamine-glutamate/Cr (2.97±0.80 vs. 1.94±0.47, p<0.05). The difference of myoinositol/Cr and glutamine-glutamate/Cr between patients with MHE and contro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0.16±0.15 vs. 0.68±0.10, 3.11±0.72 vs. 1.94±0.47, p<0.05). Conclusions: Neuropsychological tests and MRS maybe useful for diagnosing MHE. (Korean J Gastroenterol 2003;42:50-56)

      • SCOPUSKCI등재

        과량의 구리를 지속적으로 투여한 쥐에서 시간적 변화에 따른 간 손상의 전자현미경적 소견

        한남익 ( Nam Ik Han ),최상덕 ( Sang Duk Choi ),정규원 ( Kyu Won Chung ),남순우 ( Soon Woo Nam ),한준열 ( Joon Yeol Han ),최상욱 ( Sang Wook Choi ),이영석 ( Young Sok Lee ),선희식 ( Hee Sik Sun ) 대한소화기학회 2003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1 No.5

        Background/Aims: This study was designed to clarify the sequential morphologic changes of copper overloaded-rat liver. Methods: The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copper and penicillamine administration: Group I. normal control injected with lipiodol; Group II, treated with copper only; Group III, treated with copper plus D-penicillamine. Liver tissues were stained with hematoxylin-eosin and rubeanic acid. In order to elucidate the ultrastructural changes of the liver,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ic examination was also performed. Results: Electron microscopic findings in copper-treated group were characterized by a number of copper-containing lysosomes at pericanalicular ectoplasm, normal sized and bizarre mitochondria with small vacuoles (at 2 weeks), dilated bile canaliculi with decreased microvilli (at 3 weeks), disruption of sinusoidal border (at 4 weeks), microsteatosis (at 5 weeks), a Councilman body-like inclusion in sinusoid and round hepatocytes undergone coagulation necrosis in sinusoid (at 7 weeks), increased collagen bundles in Disse space and loss of microvilli (at 12 weeks). There were increased copper containing granules in hepatocytes of copper plus D-penicillamine treated group, but normal ultrastructural findings were observed. Conclusion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hepatic injury induced by copper overload is caused by deranged copper metabolism in the lysosome of the hepatocytes and administration of D-penicillamine in copper stressed rats seems to be effective for the restoration of hepatocyte function and morphologic changes. (Korean J Gastroenterol 2003;41:374-381)

      • SCOPUSKCI등재

        위선종, 위선암종에서 c-erbB-2, c-met 단백 발현

        이승우 ( Seung Woo Lee ),강상범 ( Sang Beom Kang ),김연수 ( Yon Soo Kim ),남순우 ( Soon Woo Nam ),이동수 ( Dong Soo Lee ),이혜경 ( Hye Kyung Lee ),한석원 ( Sok Won Han ) 대한소화기학회 2007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9 No.3

        목적: 내시경 또는 외과수술로 절제된 위선종 또는 위선암종 조직을 대상으로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이용하여 세포증식에 관여하는 c-erbB2, c-met 단백의 발현 정도를 비교 관찰함으로써 이들 단백이 위선종 및 위선암종의 발생 과정 및 진행에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위선종 조직 43예와 위선암종 조직 44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조직들은 단클론 항 c-erbB-2, c-met 항체들을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하였다. 결과: c-erbB-2 발현율은 위선종 (91%)에서 위선암종(30%)에 비하여 높았으며 위암에서 미만형(10%)보다 장형(46%)에서 높은 발현율을 보였다. c-met 발현율은 위선종(49%)보다 위선암(77%)에서 높았으며, 위선종에서는 고등급 형성이상군(94%)에서 저등급 형성 이상군(22%)보다 높은 발현율을 보였다. 위암에서는 림프절전이가 있는 경우(89%)가 없는 경우(56%)보다 높았다. 결론: c-erbB-2는 위암의 발생과정 중 초기단계에 관련이 되어있으며 위암에서는 장형위암과 관련이 있다. c-met 단백은 위암에서 림프절 전이와 관련이 있다. 이 두 종양유전자가 위암에서 발현되었을 때 의미하는 바는 서로 다르지만 위암 발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한다. Background/Aim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munohistochemical overexpression of c-erbB-2 and c-met proteins according to the histopathological parameters such as grade of dysplasia, histological type, depth of invasion, lymph node metastasis, and TNM stage in gastric adenoma and gastric adenocarcinoma. Methods: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using monoclonal c-erbB-2 and c-met antibodies was performed on paraffin embedded specimens in 43 adenomas and 44 adenocarcinomas. Results: The expression rate of c-erbB-2 was higher in adenomas (91%) than adenocarcinomas (30%). The expression rate of c-met was higher in adenocarcinomas (77%) than adenomas (49%). In adenoma, the expression rate of c-met was higher in high grade dysplasia (94%) than in low grade dysplasia (22%). In adenocarcinoma, c- met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lymph node metastasis. Conclusions: c-erbB-2 would be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relatively early stage gastric carcinogenesis. c-erbB-2 is related with histologic type and c-met with lymph node metastasis in gastric carcinomas. Although meaning for the experession of these proteins in gastric carcinomas would be different, these proteins may play as important oncogenes in gastric carcinogenesis. (Korean J Gastroenterol 2007;49:152-157)

      • 위샘종과 위샘암종에서의 세포자멸사와 세포증식

        이동수,강상범,이승우,남순우,유영경,한석원,Lee, Dong-Soo,Kang, Sang-Bum,Lee, Seung-Woo,Nam, Soon-Woo,Yoo, Young-Kyung,Han, Sok-Won 대한위암학회 2006 대한위암학회지 Vol.6 No.2

        목적: 일반적으로 DNA가 손상된 세포들은 사멸되거나 적절히 손상된 부위를 복구하여 항상성을 유지하거나, 손상된 DNA를 가지고 계속 증식하여 결국 암으로 진행한다. 그러므로 세포자멸사와 세포증식의 균형의 변화는 조직 항상성 및 암 발생의 중요한 조절기전이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위샘종 또는 위샘암종 조직을 대상으로 세포 사멸 및 세포증식의 정도를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내시경적으로 절제된 위샘종 41예, 외과 수술로 절제된 위샘암종 100예를 대상으로 면역조직화학적 검사를 시행하여 Ki-67 labelling 지수를 구하고, TUNEL 방법을 이용하여 세포자멸사 지수를 구하여 위샘종에서의 이형성 정도에 따른 발현도의 차이 및 위샘암종에서의 조직분류 및 병기에 따른 발현도의 차이를 관찰하였다. 결과: Ki-67 labelling 지수는 위샘종 $51.90{\pm}1.45$, 위샘암종 $55.33{\pm}0.94$로서 위샘암종에서 의의 있게 높았다(P<0.05). 세포자멸사 지수는 위샘종 $53.27{\pm}2.67$, 위샘암종 $42.41{\pm}1.32$로서 위샘종에서 의의 있게 높았다(P<0.05). 위샘종에서 이형성에 따른 Ki-67 labelling 지수 및 세포자멸사 지수는 차이가 없었다. 위샘암종에서 Ki-67 labelling 지수 및 세포자멸사 지수는 Lauren 분류법에 의한 장형과 미만형, 조기 위암과 진행성 위암, 림프절 전이 유무, TNM 분류에 따른 각 군 간의 통계학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샘암종에서의 세포자멸사 지수와 Ki-67 labelling 지수에 대한 연구에서 위샘종은 위샘암종보다 좀 더 정적인 결과를 보이고, 위암발생에서는 세포증식이 중요한 역할을 하나 이 두 지수가 위암의 조직학적 분류 및 병기에 따른 예후와는 관련이 없었다. Purpose: Cancer is a genetic disease caused by alterations in key regulators of cell growth and cell turnover, We investigated apoptotic cell death and cell proliferation in gastric adenomas and adenocarcinomas. Materials and Methods: The TdT-mediated dUTP-biotin nick end labelling (TUNEL) method and immunohistochemistry for Ki-67 were peformed, using paraffin-embedded tissues of 41 gastric adenomas and 100 gastric adenocarcinomas. These results were compared with histopathologic parameters. Results: The Ki-67 labelling index was higher in adenocarcinomas than in adenomas and the apoptotic index was higher in adenomas than in adenocarcinoma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poptotic index/Ki-67 labelling index and clinicopathological parameters. Conclusion: We propose that cell proliferation is more closely associated with gastric adenocarcinomas than apoptosis is, but that neither has any clinical significance as a prognostic factor in gastric adenocarcinomas. (J Korean Gastric Cancer Assoc 2006;6:91-96)

      • SCOPUSKCI등재

        위선종, 위선암에서 Bcl-2, Bcl-xL, Bax, p53 단백의 면역조직화학 발현

        이동수 ( Dong Soo Lee ),강상범 ( Sang Bum Kang ),백종태 ( Jong Tae Baek ),남순우 ( Soon Woo Nam ),이강문 ( Kang Moon Lee ),안병민 ( Byung Min Ahn ),이은희 ( Eun Hee Lee ),한석원 ( Sok Won Han ),정인식 ( In Sik Chung ) 대한소화기학회 2005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5 No.6

        Background/Aim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munohistochemical expression of bcl-2, bcl-xL, bax, and p53 proteins according to the pathological parameters such as grade of dysplasia, histological type, depth of invasion, lymph node meta

      • KCI등재

        조직접착제를 이용한 내시경적 정맥류 폐쇄요법으로 치유된 십이지장 정맥류 대량 출혈 2예

        기영화 ( Young Hwa Ki ),김석현 ( Suk Hyun Kim ),송춘영 ( Chun Young Song ),이승우 ( Seung Woo Lee ),김연수 ( Yeon Soo Kim ),강상범 ( Sang Bum Kang ),남순우 ( Soon Woo Nam ) 대한내과학회 2008 대한내과학회지 Vol.75 No.2

        십이지장 정맥류 출혈은 드물게 발생하며 대부분 진단이 어렵고 대량 출혈을 보여 치명적일 수 있다. 현재 식도와 위 정맥류 출혈과는 달리 효율적인 치료 방법이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지 않다. 정맥류 출혈에서 내시경을 이용한 치료는 보다 비침습적이며, 초기에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십이지장 정맥류 출혈에서는 여러 제한점을 가지고 있으며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십이지장 정맥류 출혈에서 내시경적 정맥류 폐쇄요법을 사용하여 재출혈 없이 성공적으로 지혈한 두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향후 문맥고혈압 환자에서 십이지장 정맥류 출혈이 있을 경우 내시경적 정맥류 폐쇄요법은 초치료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예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uodenal variceal bleeding is rare and difficult to diagnose. The rupture of duodenal varices leads to massive and often fatal bleeding. However, there is currently no definitive conservative therapy for duodenal varices, such as the methods used for treating esophageal and gastric varices. Endoscopic treatment of variceal hemorrhage has been implemented as an initial single, minimally invasive method for treatment. However, this approach has limited success in the treatment of duodenal variceal hemorrhage. We report two cases of massive duodenal variceal bleeding successfully controlled with endoscopic injection sclerotherapy. (Korean J Med 75:210-214, 2008)

      • KCI등재후보

        소화기 ; 만성 간질환에서 펜넬의®무작위, 이중맹검, 다기관 제4상 임상시험

        김형준 ( Hyung Joon Kim ),이준성 ( June Sung Lee ),이현웅 ( Hyun Woong Lee ),김문영 ( Mun Young Kim ),남순우 ( Soon Woo Nam ),손주현 ( Ju Hyun Sohn ),조세현 ( Se Hyun Cho ),윤승규 ( Seung Gyu Yoon ),양진모 ( Jin Mo Yang ),박충기 ( 대한내과학회 2014 대한내과학회지 Vol.86 No.2

        목적: 펜넬(Pennel(R))은 DDB에 마늘유(garlic oil)를 복합시킨 제제로 혈청 트랜스아미나제(AST와/또는 ALT)가 상승된 만성 간 질환자에서 펜넬의 치료 효과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활성대조약인 레가론, 위약군과 비교 평가한 다 기관 제 4상 임상연구를 실시하였다. 방법: 총 11개 병원, 237명의 피험자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 중 시험약군은 100명, 활성대조군은 102명, 위약군은 35명이었다. 12주간의 치료기간 동안 순응도는 좋았으며 중도 탈락은 없었다. 환자의 연령은 평균 46세, 남성의 비율이 높았다. 치료 전 ALT 값은 91 U/L였으며 66%가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15%가 알코올성 간염, 12%가 만성 C형간염 그리고 7%가 만성 B형간염 환자였다. 결과: 약물 투약 12주째 ALT 정상화 분율은 시험약군이 89명으로 89%, 활성대조군이 19명으로 18.6%, 위약군이 8명으로 22.9%로 나타났다(p < 0.001). 간염의 원인에 따른 분류에서도 시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ALT 정상화 분율의 비율이 높았다. 치료 전 대비 치료 12주의 ALT는 시험약군에서 평균 85 U/L 감소하였으나 활성대조군은 20 U/L, 위약군은 25 U/L 감소하였다. 항산화 효과 지표인 malondialdehyde(MDA)는 시험약군에서만 1.4 pmol/mg의 호전을 보였다. 하위그룹분석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염과, 바이러스성 간염 환자에서 의미 있게 MDA 수치의 호전을 보였다(p < 0.001). 시험약물의 안전성 평가에서도 이상반응의 발생빈도가 위약군에 비해 차이가 없었다. 이상반응의 대부분은 감기, 피로, 설사 및 소화불량 등 grade 1의 경증이었으며 중대한 이상반응은 없었다. 삶의 질 평가 총점수도 시험약군이 치료 12주에 10점 이상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p < 0.001). 결론: 결론적으로 ALT가 상승한 만성 간 질환자를 대상으로 한 12주간의 펜넬 4상 임상 시험의 유효성과 안전성 평가에서 펜넬은 원인 질환과 무관하게 치료 4주 만에 급격한 ALT 수치의 정상화를 유도하였으며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치료기간 동안 부작용이 거의 없는 안전한 약제로서 순응도가 뛰어났으며, 치료 후 삶의 질이 의미 있게 개선되는 효과를 보였다. Background/Aims: Biphenyl dimethyl dicarboxylate (DDB) combined with garlic oil (pennel) has been used to treat chronic liver disease. A randomized, double-blind, active- an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icacy, safety and quality of life in chronic liver disease patients. Methods: A total of 237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 were randomized into three groups; 100 patients were administered pennel, 102 patients Legalon as an active-control and 35 patients placebo for 12 weeks. The primary endpoint was the rate of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normalization. We assessed differences in ALT levels and malondialdehyde (MDA) as an oxidative biomarker between 0 and 12 weeks, the improvement in quality of life using a chronic liver disease questionnaire (CLDQ) and the incidence of adverse events. Results: Among 237 patients, there were 157 patients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36 patients with alcoholic liver disease, and 28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and C. The incidence of ALT normalization at 12 weeks was 89% for the pennel group, 18.6% for the active-control group, and 22.9% for the placebo-control group (p < 0.001). The difference in serum ALT level between 0 and 12 week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ennel group (p < 0.001) and the level of MDA was decreased in the pennel group, statistically (p < 0.001). There was no difference in incidence of adverse events among groups. The penne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based on the CLDQ (p < 0.001). Conclusions: Pennel can effectively improve the rate of ALT normalization and the quality of life with a safety profile in chronic liver disease. (Korean J Med 2014;86:179-189)

      • SCOPUSKCI등재

        연구논문 : 대전과 충청남북도에 거주하는 만성 C형간염 환자에서 페그인터페론 알파 2a와 2b의 초치료 효과 비교

        김정일 ( Jeong Il Kim ),김석현 ( Seok Hyun Kim ),이병석 ( Byung Seok Lee ),이헌영 ( Heon Young Lee ),이태희 ( Tae Hee Lee ),강영우 ( Young Woo Kang ),이향이 ( Hyang Ie Lee ),김안나 ( An Na Kim ),남순우 ( Soon Woo Nam ),박병출 ( By 대한간학회 2008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14 No.4

        목적: 페그인터페론 알파 2a와 알파 2b는 만성 C형간염의 표준치료제로 사용되고 있으나 두 약제의 치료반응을 비교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만성 C형간염의 초치료로서 리바비린과의 병합요법 시 페그인터페론 2a와 2b의 치료 효과와 부작용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7년 7월까지 대전과 충청남북도에 위치한 7개의 대학병원에서 만성 C형간염 또는 이로 인한 대상성 간경변증으로 진단받고 페그인터페론과 리바비린 병합요법을 시행한 환자 97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페그인터페론 알파 2a군이 48명, 2b군이 49명이었으며, HCV 유전자형 1형에 감염된 환자에 대해서는 페그인터페론 알파 2a (180 ?g/주) 또는 알파 2b (1.5 ?g/kg/주) 및 리바비린(1,000~1,200 mg/일)을 48주간, 비1형 환자에 대해서는 위와 동일한 용량의 페그인터페론과 리바비린(800 mg/일)을 24주간 투여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에서 페그인터페론 알파 2a와 2b의 조기 바이러스반응(89.6% vs. 89.7%), 치료 종료 바이러스반응(79.2% vs. 79.5%) 및 지속바이러스반응(72.9% vs. 73.5%)은 두 약제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HCV 유전자형에 따라 각 바이러스반응을 분석하였을 때도 유전자 1형과 비1형 모두에서 두 약제 간에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총 97명 중에 치료를 조기 중단한 환자는 10명(10.3%)이었고, 페그인터페론 알파 2a와 2b가 각각 7명(14.6%), 3명(6.1%)이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부작용으로는 독감양 증상이 가장 흔하였으며, 부작용의 종류별 발생빈도는 두 약제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만성 C형간염 환자의 초치료로서 리바비린과의 병합치료 시 페그인터페론 알파 2a와 2b 간에 치료효과와 부작용 발생빈도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Backgrounds/Aims: Peginterferon alpha-2a or -2b is the standard treatment regimen in chronic hepatitis C. However, there have been few comparative studies of the efficacies of these two types of peginterferon. We evaluated their efficacies in combination with ribavirin as a initial treatment for chronic hepatitis C. Methods: Ninety-seven patients were treated with peginterferon alpha-2a (180 ?g/week, n=48) or peginterferon alpha-2b(1.5 ?g/kg/week, n=49) plus ribavirin (800 mg/day for 24 weeks in genotype non-1 or 1,000-1,200 mg/day for 48 weeks in genotype 1). Virologic responses including the early virologic response (EVR), end-of-treatment response (ETR), sustained virologic response (SVR), and adverse effect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Results: The virologic response rate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peginterferon alpha-2a and -2b: 89.6% and 89.7% for EVR, 79.2% and 79.5% for ETR, 72.9% and 73.5% for SVR, respectively. Analysis of the virologic responses according to genotype also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VR between peg-interferon alpha-2a and -2b (59.3% vs. 59.7% for genotype 1 and 90.5% vs. 83.3% for genotype non-1, respectively), or in adverse effects including flu-like symptom, rash, itching, neutropenia, and thrombocytopenia. Conclusions: W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rapeutic efficacies and adverse effects between the alpha-2a and -2b types of peginterferon as the initial treatment regimen in naive chronic hepatitis C patients. (Korean J Hepatol 2008;14:493-502)

      • KCI등재후보

        임신성 당뇨병에서 발생된 당뇨병성 케톤산증 1예

        남순우,이인석,문성배,송기호,강무일,차봉연,이광우,손호영,강성구 대한내과학회 1997 대한내과학회지 Vol.53 No.3S

        임신성 당뇨병은 임신중 처음 발견되는 당뇨병으로서 대부분 임신의 종료와 함께 회복되는 것이 특징이며, 당뇨병성 케톤산증의 발생은 매우 드문 것으로 되어 있다. 최근에 저자들은 26세, 임신 36주의 산모에서 임신성 당뇨병에 의한 당뇨병성 케톤산증을 경험하였다. 임신 27주 이후에 임신성 당뇨병의 진단 및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은 결과로써 결국 사산과 당뇨병성 케톤상증이 발생 되었다.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is a self-limiting disorder of pregnant woman, which mostly returns to normal state after delivery. Diabetic ketoacidosis occurrs very rarely in gestational diabetes patients, and is harmful to fetal and maternal health. A 26-year-old pregnant woman was transferred from a private clinic. Because of dyspnea after cesarean section of dead fetus of 36+5 weeks, the clinical history, physical examination, and laboratory data were suitable to diagnose diabetic ketoacidosis. She received the management of fluid supplement and insulin therapy, and then she was soon recovered from ketoacidosis state. After delivery, she is being treated with sulfonylurea at outpatient department.

      • KCI등재후보

        양측성 거대결절성 부신피질 과증식에 기인한 쿠싱증후군 1예

        남순우,손태서,장상아,차봉연,이광우,손호영,강성구 대한내과학회 1997 대한내과학회지 Vol.53 No.3S

        쿠싱증후군을 나타내는 결절성 과증식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저자들은 내분비학적, 방사선학적 및 조직학적으로 규명된 양측성 결절성 과증식에 의한 쿠싱증후군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Cushing's syndrome due to macronodular adrenal hyperplasia comprises a clinical and biochemically heterogenous group of disorders whose pathogenesis is unclear. Opinion has differed as to whether this condition represents a primary hypothalamic pituitary defect, primary adrenal autonomy or combination of both. We describe a patient with atypical steroid dynamics and with bilateral macronodular hyperplasia(combined adrenal gland weight 176gm). Patient had elevated 24hour urinary free cortisol and cortisol levels that were not suppressed by high dose dexamethasone. Adrenal CT revealed marked enlarged nodular adrenal gland and sella CT revealed a pituitary microadenoma. Bilateral adrenaletomy was performed. The both adrenal glands showed all the pathologic features of macronodular hyperplas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