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야나기타(柳田國男) 민속학의 중심이동과 ‘경세제민(経世済民)’ 학

        남성호(Nam, Sung-Ho) 실천민속학회 2016 실천민속학연구 Vol.27 No.-

        야나기타 구니오(柳田国男, 1875~1962)는 일본민속학의 창시자이며 일본 근대학문 형성에 지대한 영향력을 끼친 인물이다. 일찍이 농무성 관료로서 농정학에서 시작하여 민속학으로 옮겨가면서 학문적 대상이 크게 변화하였다. 즉 그의 초기연구는 산인, 유랑민, 예능민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였지만 후기로 오면 연구대상에서 거의 제외된다. 그 대신 평지인, 토착민, 도작민으로 옮겨가 상민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게 이른다. 학문대상에 대한 중심이동은 ‘세상을 위해 사람을 위해(世のため人のため)라는 그의 실천적 학문태도와 무관하지 않다. 다시 말해서 경세제민의 民은 일반 농민이자 도작민이며, 평지인이자 정착민이었다. 경세제민 사상은 기본적인 유교 이념으로 특별하다고 할 수 없지만, 주목할 점은 야나기타의 학문적 지향방향이 에도시대 유학자 오규 소라이(荻生徂徠, 1666~1728)의 정책적 의견에 매우 근접해 있다는 점이다. 본고는 에도막부에 제안한 소라이의 정책의견서 『정담(政談)』에 나타난 경세론 즉, 농민과 무사 중심의 토지정착론이 야나기타의 상민론에 어떻게 이어지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시대적 상황의 한계를 인정하더라도 소라이는 토지정착론을 통치의 근본이라고 주장한다. 토지정착론의 대상은 농민과 당시의 사회적 지배계층이었던 무사들이었다. 특히 농민의 토지정착 방책으로 여행자유 및 거주이전의 제한 등은 통치자의 입장을 대변한 논리이기는 하지만, 밀접한 협동사회의 구축과 함께 마을 구성원간의 친밀감은 악행을 방지하고 풍속을 순화시킨다고 보았다. 따라서 당시 농업에서 이탈한 농민이나 떠돌이 무사(낭인)들은 고향으로 돌아가서 정착해야 하는 이유를 다양한 각도에서 제시하고 있다. 반면 상인의 증가는 사회통제를 어렵게 하며 불안의 근원이 된다고 보았다. 이러한 소라이의 토지정착론은 야나기타가 농정학에서 산업조합의 구성과 민속학에서의 정착민 즉 농민에 중점을 둔 상민론과 밀접한 접점을 이루고 있음을 검토하였다. 일본 민속학의 성립초기, 야나기타학이 농정학에서 민속학으로 이행하면서 학문의 대상이 크게 변한 것은 민속학을 독립적인 학문으로서 그 위상을 세우기 위한 고심의 결과물이기도 했지만, 무엇보다도 상민에 의한 상민을 위한 학문이 되기를 바랐던 것이다. 시대적 상황과 배경을 달리하지만 두 학자의 학문적 바탕은 경세제민의 사상에서 출발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Kunio Yanagida(柳田国男, 1875~1962) is the founder of Japanese folklore who exerted a grea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Japan’s modern learning. He changed his direction from agricultural adminstration policy study to the folklore, which changed his academic subject accordingly. Initially, his major subject was a mountain dwellers, wanderers, and entertainers while they were replaced by plain dwellers, native people and farmers in the later period. The change of his academic subjects is closely related with his new concept of common people(常民) which reflects his practical attitude that emphasizes the idea of governing a nation and providing relief to people(経世済民). This idea is not so special as it was basically a Confucian idea. What attracts our concern is that it seems to be linked closely with the policy theory of Sorai Ogyu(荻生徂徠, 1666~1728), a great scholar of Confucianism in the Edo era. The settlement guidance theory of farmer and samurai class in Sorai’s Seidan(政談; discussion of policy) that displays a similar view-point as Yanagita’s concept of the common people. So this paper trace the possible relationship of both ideas. Sorai insists on a settlement guidance theory as the base of governing a nation. The object of his theory was focused on samurai and farmer class as it would build up cooperative cummunity, improve the social unity of villagers, and thereby purify manners and customs by reducing misdeeds even though it restricted their freedom of residence move and travelling. He proposed the merits of his idea in many points. Meanwhile, he warns that the increase of merchants and traders would cause social unrest difficult to control. In many points, Sorai’s settlement guidance theory assumes a close resemblance with Yanagita’s common people theory based on the constitution of industrial guild in agricultural administration. The early phase of Japanese folklore was led by Yanagida who broke new field of folklore escaping from agricultural administration study with his common people theory while founding its firm base as an independent science. In conclusion, it seems obvious that both scholars’ ideas start from the thought of governing a nation and providing relief to people in spite of time gap.

      • 근대 일본의 `무용`용어 등장과 신무용의 전개

        남성호 ( Nam Sung-ho ) 세계민족무용연구소 2016 민족무용 Vol.20 No.-

        The Korean modern dancing study still has much room for objection. Various theories are jumbled up close together in a concept of the new dance at the start up to a period and a range of the new dance. There are several these reasons, but it will be one of the main causes that the concept that is not established in Japan in the Japanese colony times either flowed at random. This report does the appearance of the term new dancing of Japan particularly "dancing" back and forth and dances it with Mai(舞) and Odori (踊) and Huri (振) from a historic point of view. And a term "dancing" submitted a question about the general theory that Shouyou Tsubouchi(坪內逍遙) used first and showed what Ouchi Fukuchi(福地?痴)used earlier. However, I confirmed that it was spread by Shoyo Tsubochi and colonized and examined a role of Shoyo Tsubochi and modern dance exercise of Shizue Fujikage(藤蔭靜枝) about an appearance and development of innovation and the new dance of the dancing study.

      • KCI등재

        야나기타 민속학을 통해본 일본 민속학의 현재

        남성호(Nam Sung-Ho) 비교민속학회 2012 비교민속학 Vol.0 No.48

        야나기타 구니오(柳田?男)에 의해 성립된 일본 민속학이 최근 10여년 사이에 ‘황혼의 민속학’, ‘해 저무는 민속학’이라 일컬어질 만큼 위기감이 감돌고 있다. 그러한 배경에는 다양한 요인이 있겠지만 그 중 하나가 야나기타라는 민속학을 대성시킨 거장의 그림자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자구의 반성에서 출발하고 있다. 본고는 야나기타가 제기한 과제, 특히 야나기타 민속학의 키워드인 민속학 목적으로서의 ‘經世濟民’, 민속학의 위상으로서 ‘역사학이냐 혹은 현재학이냐 라는 문제’, 민속학의 주체 또는 대상인 ‘상민’, 방법론으로서 비교 귀납적인 ‘중출입증법(重出立?法)과 방언주권론(方言周圈論)’, 그리고 민속학 범위로서의 ‘일국민속학(一國民俗學)’ 이라는 몇가지 쟁점을 통해 현재적인 상황을 개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야나기타학(柳田?)이라고도 일컬어질 만큼 문학, 역사학, 인류학, 지리학, 농정 과학 등 다방면에 걸쳐 방대한 연구성과가 있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주요 키워드를 중심으로 야나기타 민속학을 이해하고 이와 연관된 일본 민속학의 현재적 담론에 대해서 언급하는 것으로 한정했다. 현재 일본 민속학은 야나기타 민속학에 대한 비판과 계승이라는 두 개의 흐름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일본 민속학의 창시자라는 것에는 이견이 없는 만큼 현재 대두되고 있는 민속학 관련 과제는 그의 공과(功過)를 불문하고 야나기타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야나기타 민속학에 대한 비판 혹은 계승에 대한 검토는 오늘날 일본 민속학의 현재적인 모습을 반영한다. 특히 일본 민속학이 성립하기까지 문화 인류학, 고고학, 민족학, 역사학 등 인접 학문과의 접촉을 통해 학문으로서 민속학의 자리매김과 비판과 반성, 그리고 정보화 시대 속에서 새롭게 일어서는 민속학의 여러 과제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에 직면하고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經世濟民의 學’으로 출발한 야나기타 민속학이 상민이라는 신조어의 탄생, 그것이 곧 일본인이라는 개념 확장으로 이어지고 민속학이 일본 문화학의 지평을 넓히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지만 이에 대한 비판으로 비상민(非常民) 민속학이 대두되기도 하였다. 또 최근에는 야나기타가 꿈꾸어 왔던(?) ‘세계 상민학’이 제창되기도 하였다. 둘째, 일본 민속학이 민속자료의 조작법에 불과하다는 비판과 함께 야나기타 민속학의 방법론인 중출입증법과 방언주권론에 대해서 비판과 함께 회의적인 논의가 제기되었지만 지역민속학의 대두와 함께 한정된 지역(지방)내에서 중출입증법이 적용되기도 하고 언어중심의 방언주권론에서 민속주권론, 문화주권론으로 확대 재생산되기도 하였다. 끝으로 무엇보다 일본 민속학의 위기감은 그 목적의 상실 또는 유효성의 의문에서 출발하고 있다. 그리하여 일본 민속학이 성립하기 이전으로 돌아가 새롭게 재출발해야한다고 제기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논의들이 애초에 야나기타에서 비롯되었음은 말할 것도 없다. 현재 일본 민속학은 非常民민속학, 지역민속학, 도시민속학, 환경민속학, 생태 민속학 등 세분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야나기타를 비롯하여 일본 민속학계에서는 거의 논외시 되어 온 민속에 대한 정책과 관광자원으로서의 민속, 창조된 민속 등 이데올로기의 문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과제들이 제시되고 있다. 즉 민속자료의 고정화라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글로벌화, 세계 문화유산 문화 등재 등 문화 이데올로기의 영향 하에 놓인 현실을 무시할 수 없는 상황에 직면하였고 이에 다양한 출구를 모색하는 가운데 일본 민속학은 새로운 기로에 놓여 있다고 하겠다.

      • 백제문화제 제례악무 재구성을 위한 기초연구 - 공주(웅진) 백제문화제를 중심으로 -

        남성호 ( Nam Sung-ho ) 한국예술종합학교 세계민족무용연구소 2019 민족무용 Vol.23 No.-

        Since ancient times, ritual ceremonies have been a national event and have been a means of securing the legitimacy and legitimacy of power and gaining recognition. So the ritual is at the forefront of national ideology. Although Baekje Cultural Festival, which has a history of more than 60 years, has established itself as a regional festival, it is questionable whether it functions in a way that does not suit the reputation of being one of Korea’s representative festivals. Festivals have traditionally had their own structures different from event events. It has the ritual structure of the spirit-Osin-Songshin, which makes the gods happy, conveys the will of man to God, and then returns the god. The festival as a modern cultural event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a medium for the gods, but it cannot be ignored in terms of expanding the function of the festival by having a condensed and complete structure. The Baekje Cultural Festival has made trials and errors as it has made strenuous efforts through numerous changes and various event events. As the Baekje Cultural Festival has recently risen in status as an international event, there is a movement for reconsideration of music and dance accompanied by ritual ceremonies. The purpose of the ceremony is to use Confucian music and dance from the Joseon Dynasty. This paper starts from the position that it should be reconsidered with a wake-up call for such a move. This paper is starting from the position that it should be reconsidered with a wake-up call for such a move. In the limited data, the nature of the rite was reviewed by examining the conceptual differences in ancestral rites, je(祭), sa(祀), sa(祠), gi(祈), and al(謁) which is a visit to one’s ancestral grave. Based on this, we hope that the festival will have its origin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integration of local residents while making the best use of cultural assets in Chungcheong Province by holding rituals for the god of heaven, rites for the god of the earth, and memorial services for the man-made ancestors. The period of Baekje and its locality of Chungcheong Province should be considered by inclusion in the structure of the festival, rather than listing various rituals.

      • KCI등재

        일본 근대 ``전통춤``의 발견 - 우라야스무(浦安の舞)를 중심으로 -

        남성호 ( Nam Sung-ho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6 공연문화연구 Vol.0 No.33

        1940년 침략전쟁의 소용돌이가 최고조에 달했을 무렵, 일본에서는 ‘기원이천육백년축전(紀元二千六百年祝典)’이라는 기념행사가 대대적으로 거행되고 있었다. 국민총동원을 위한 정신적 통합과 정치에 대한 국민 불만과 전쟁에 지친 피로감을 해소시키려는 의도였다. 본고는 이 축전행사의 일환으로 일본 전국의 신사에서 연행된 우라야스무가 어떻게 창작되고 보급되었는가를 검토한다. 우라야스무는 일본 고대로부터 전해오는 아악 형식의 음악과 미코마이(巫女舞)에 기초를 둔 새롭게 창작된 춤이다. 전시상황에서 창작·보급된 우라야스무는 ‘만들어진 전통’의 전형적인 사례라 할 것이다. 또 우라야스무야말로 근대시기 창작된 전통이자 국가이데올로기의 선전도구로 이용된 불우한 유산으로 현재까지 온존하는 예능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역사적 경위는 충분히 밝혀지지 않은 채 오늘날 확산일로에 있으며 이러한 움직임은 보다 가속화될 것이다. 즉, 강압적인 사회 분위기에서 창조된 우라야스무가 어느새 새로운 민속으로 자리매김한 현실에 직면해 있다. 당시 흥아(興亞)의 기치를 내건 일본제국주의의 흐름 속에서 유구한 역사를 강조하고 정치적 정통성 확보를 위한 국민총동원체제 구축의 일환으로 우라야스무를 창조 보급하였던 것이다. 이처럼 근대시기에 창작된 우라야스무는 각 지역의 신사에서 오랫동안 계승해온 고유의 제례악무를 대신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일본사회의 우경화와 무관하지 않으며 문화권력의 새로운 양상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아울러 오늘날 재생산되고 확산되고 있는 전통의 재창조에 대해서 비판적인 시각으로 조명하였다. When an aggressive war reached at the climax in 1940, a commemorative event called celebration`` was held on a large scale in Japan for ``beginning former 2,600 years. It was performed for the policy that was going to break off the fatigue that was tired for nation dissatisfaction and war for the politics. I considered Urayasu-no-mai Dance played as part of a celebration event in a Shinto shrine of the all over Japan how was created and spread by this article Urayasu-no-mai Dance was created newly and was played in Shinto shrines of the whole country. The Urayasu-no-mai Dance was created based on Gagaku and Miko Mai (shrine maiden``s dance) that has been read aloud not to go out of the ancient times . It was created in the situation of the war and spread and was spread. It will be said that Urayasu Dance is a typical example of `forged traditional``. Urayasu Dance is a tradition made at modern time and remains for an unfortunate inheritance used again by the advertising tool of the national ideology. The Urayasu-no-mai Dance is expanded more now, without enough consideration about the historic procession other words, It played under a strong-arm society atmosphere is placed as new folk performing arts all too soon. In the complicated world situation at the time, Urayasu-no-mai Dance that emphasized a Japanese tradition for the inside and outside were spread. Urayasu-no-mai Dance created in modern times substitutes a traditional shaman dance, and there is even the tendency that ritual performing arts peculiar to each local Shinto shrine is unified to Urayasu-no-mai Dance. Such a movement shows a new aspect of the culture power that social turning to the right in Japan is not unrelated to becoming it. It is a traditional reinvention, or do you forge the tradition? I examined a process of a process and the spread of traditional creation produced consistently.

      • KCI등재

        니혼부요(日本舞踊)의 전승과 이에모토(家元) 제도

        남성호 ( Nam Sung-ho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20 공연문화연구 Vol.0 No.40

        일본의 대표적인 전통무용인 니혼부요(日本舞踊)는 가부키무용에서 출발하여 수많은 유파를 형성하였으며 이에모토 제도에 의해 운영되어왔다. 가업(家業)계승이라는 점에서 이에모토(家元)는 고대부터 존재해왔지만 근세봉건시대에 제도로서 성립되었다. 특히 니혼부요에 있어 이에모토 제도는 근대 이후에 크게 발전하였다. 이에모토 제도(家元制度)는 일본사회의 한 특징으로 여겨져 왔으며 전통예술의 계승에도 크게 기여해왔다. 즉 이에모토 제도는 기본적으로 뛰어난 스승의 기예를 왜곡없이 온전하게 전승하는 것을 최고의 권위로 여긴다. 구체적으로는 분야나 유파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띠고 있지만 의제(擬制) 가족제도 내에서 이에모토를 정점으로 하는 조직 및 제도이다. 본고에서는 니혼부요의 성립과 배경을 검토하고 습명제도를 통해 이에모토의 명성과 권위를 이어가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니혼부요계는 유파의 범람이라고 할 정도로 수많은 유파가 존재한다. 이러한 유파를 가부키배우계통, 안무가계통, 여성예인계통, 지우타마이(地唄舞)계통, 신무용계통으로 구분하여 각 유파의 성립배경과 특성을 통해 이에모토 제도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전통계승이라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는 한편, 창의적이고 개인의 자유로운 표현을 중요시하는 예술계에 있어서 이에모토의 경직된 조직경영, 봉건사회의 산물, 권력화, 이에 따른 예술의 고착화 등 부정적인 비판의 목소리도 끊이지 않는다. 그러나 전통을 중시하는 일본사회에서 이에모토 제도는 쉽게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오히려 다양한 예술장르가 공존하는 오늘날 전통예술에 대한 가치를 살리고자 이에모토 내부의 자성과 함께 젊은 무용가들의 도전이 시작되고 있다. 니혼부요계의 이에모토 제도에 대한 고찰을 통해 점차 형해화되어가고 있는 무형문화재에 대한 재인식의 계기가 되고자 한다. Nihonbuyo(日本舞踊), a typical traditional Japanese dance, began with kabuki dancing and formed many schools, and was managed by Iemoto system. Iemoto(家元) is the head family of a school of a traditional Japanese art. Iemoto(家元) exist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ancient family system, and it was established as a system during the modern feudal period. Especially in Nihon Buyo, the Iemoto system has developed greatly since the modern era. Iemoto System has has contributed greatly to the succession of traditional arts and has been considered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society. Basically, Iemoto system considers it the best authority to pass on the skills of excellent teachers without any distortion. It has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field and the school, but it is an organization with a family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a family with Iemoto at the top. In this article, I examined the establishment and background of the Nihonbuyo and considered the succession of the fame and authority of Iemoto through the system of succession. There are so many schools in the Nihonbuyo world that it is said to be a school kingdom. These schools were divided into kabuki actors, choreographers, female entertainers, ChiutaMai dance(地唄舞) and new dance styles, and the aspect of the Iemoto system was examined through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each school. While Iemoto system has a positive aspect of inheriting the tradition, there are also many negative criticisms in the art world, such as rigid organizational management, the products of feudal society, the power of Iemoto, and the stalemate of arts. Nevertheless, in a Japanese society that places importance on tradition, the landlady system will not disappear easily. In fact, today, when there are many different art genres in common, young dancers are starting to challenge themselves along with self-examination of Iemoto in order to make the best use of traditional art. We hope that through consideration of the Japanese housekeeping system, it will become a place where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will be re-acknowledged.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