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린이지리교육학 연구 경향 분석

        남상준 ( Sang-Joon Nam ),장혜정 ( Hye-Jeong Jang ),나정향 ( Jung-Hyang Na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2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30 No.4

        Children’s-geographies-Education (CGE) is an educational trend formed in the 1990s by combining Children’s Geographies, child anthropology, and learning-ism. In Korea. Discussions on CGE began in earnest in the early 2000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of CGE conducted in Korea from 2004-2021. Furthermore, based on this, I would like to discuss the development tasks of CGE. First of all, 135 master's, doctorate papers, and academic papers that satisfy the criteria were selected from thesis search portals and online libraries. By analyzing these papers,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number of papers produced tended to increase over the entire period. In particular, 2008 was an inflection point for the increasing trend. This is judged to be the influence of the introduction of the 2007 curriculum. Second, research is concentrated in the Learner category and the Class category. This may be because the two categories are the main bodies of CGE. Third,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re the centers of thesis production. The former is specialized in the subject of children's place experience, and the latter is the study of the implementation of geography classes. Fourth, most of the academic papers were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his is due to the authority of the journal and interest in the field of primary geography education (PGE). Fifth, two research flows appear. First, it is to study children’s geographical perception and thinking as an approach to the subject or issue of PGE. Very few research papers belong to this flow. Another flow is research to understand the geographical life of children itself. Furthermore, I would like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it on PGE. Most of the research belongs to this flow. In light of the development model of subject, Korea's CGE is at an early stage. CGE is a direction for the paradigm shift of PGE research in Korea. It is expected that the meaning of CGE in PGE research will be widely shared.

      • KCI등재
      • KCI등재

        학교교육과정의 지역적 적합성과 사회과 교육과정 지역화의 상보적 관계

        남상준 ( Nam Sang-joon )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3 사회과교육연구 Vol.10 No.1

        우리나라의 사회과 교육과정은 특히 제 5차 이후 내용과 방법의 지역화를 강조하고 있으며, 이는 제 6차 이후의 교육과정이 지향하고 있는 지방분권화 정책의 일환으로서의 학교교육과 정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학교교육과정의 지역적 적합성에 대한 논의는 사회과의 지역화 관련 연구에서 이룩한 업적들을 충분히 활용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사회과 교육과정의 지역화에 대한 연구는 학교교육과정과의 관련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학교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지역적 적함성과 사회과 교육과정 지역화의 상보성을 논의함으로써 학교교육과정 정신에 충실하면서 사회과 지역화의 취지에 부응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고, 나아가 그 연결고리로서 교사의 역할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학교교육과정과 사회과 교육과정의 지역화가 유기적으로 연계되기 위해서는 균질적인 공간과는 대비되면서 학습자들의 일상생활이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장소를 지역화를 위한 일상적 공간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때 장소로서의 지역은 교육적 의도에 따라 구성되는 가변적인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학교교육과정의 지식은 아동의 추상적, 체계적인 학교지식보다 먼저 존재하고 경험되는 생활세계 내에서 의미있게 해석되고 이해될 때 가치를 갖는다. 일상적 공간을 바탕으로 하는 지역화는 실제성을 가진 맥락적 지식의 구성에 기여할 수 있다. 학교교육과정은 의사결정의 권한과 통제의 위치가 학교 내에 있을 때 존재할 수 있으며 주체는 교사(들)이다. 교사가 주체가 되는 학교교육과정이 가지는 가장 중요한 점은 교사가 학습자들의 요구와 수업에 대한 암묵적 지식, 그리고 생활세계로서의 장소들에 대하여 학습자들과 공유하고 있는 체험을 바탕으로 개발하는 것으로서 (사회과)교사의 전문성과 자율성의 기초를 이룬다는 것이다. Since the 5th Curriculum(1987), Social Studies curriculum has been revised to have relevancy to the respective regions(communities). And the educational authority to develop school-based curriculum was transfered to the schools from the 6th Curriculum(l992) in Korea. For Social Studies as a subject, curriculum regionalization and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should be considered complementary. However, the regionalization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have been carried separately so far. Recently, the meaning of space and region has been reconceptualized. By the new concept space and region are given the meaning emphasizing places in everyday life. This new aspect of space and region relevant to learners' everyday lives and immediate experience provides curriculum development with educationally effective conceptual tool for curriculum regionalization at the level of schools. In this process, regionalization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would be integrated. Furthermore, this process may enhance the professionalism and autonomy of educators.

      • KCI등재

        ‘교육생태학’ 연구의 생태계: 개념 변천 양상을 중심으로

        남상준(Sang Joon Nam),문현진(Hyun Jin Moon),이수룡(Su Ryong Lee),채유정(Yu Jeong Chae),이현진(Hyun Jin Lee) 한국환경교육학회 2020 環境 敎育 Vol.33 No.1

        본 연구는 교육생태학을 포괄적으로 정의하기 위해 관계성과 공존, 지속성의 원리에 기반한 교육 연구이다. 이를 실행하기 위해 Rodgers의 진화론적 개념 연구방법을 통해 ‘교육생태학’의 개념 변천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 과정은 전문가집단 협의를 거쳐 선정한 교육생태학 관련 연구물 377편을 분석하여 교육생태학 개념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사용 · 적용되고 변화해 왔는지, 개념 변화에 비추어 그 시기 구분은 어떻게 할 수 있는지 추론하였다. 그 결과, 교육생태학 연구는 2000년대를 전후하여 형성기와 확산기로, 2010년 이후를 정착의 시기로 나눌 수 있었다. 또한, 교육생태학이라는 용어 그 자체로써도 개념이 발전되어 왔지만, 생태적, 생태학적, 생태교육, 생태주의 등 유사개념들의 교호 속에 진화의 순환과정을 거쳐 의미가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교육생태학의 개념은 생태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근대 교육철학에 대한 반성, 교과교육 내부적 필요성 인식, 교육생태학을 둘러싼 연구간 통섭의 필요성에 의해 변화되었으며, 공통적인 속성은 관계성, 총체성, 메타성으로 나타났다. 최초의 환경교육이 환경위기 극복을 위한 지혜를 교육에서 찾고자 함이었고, 오늘날 교육생태학은 거꾸로 생태계의 지혜로 교육을 보는 관점으로 전환된 것으로 보이나, 관계적이고 전체적이며, 메타적이라는 속성은 같다고 할 수 있다. 즉, 교육생태학은 그 이름이 명명되기 전부터 개념이 존재해온 것이다. 이러한 교육생태학 개념의 변천은 환경교육을 각 교과교육의 메타교과로, 범교육과정으로서 그 위치를 공고화하도록 하며, 나아가 환경교육의 확장과 진화를 위한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comprehensively defines Educational Ecology as an educational study based on the principles of relationship, coexistence, and sustainability, and aims to analyze how the concept of ‘Educational Ecology changed over time by adopting the research method of Rodgers’ evolutionary concept analysis. To this end, 377 kinds of research related to Educational Ecology were selected through expert group consultation. They were analyzed as to how the concept of Educational Ecology has been used or applied and changed over time. Then, inferences were made for the classification of the studies by period from the concept transition, As a result, the studies of Educational Ecology were classified into three periods: formative period and expansion period before and after the 2000s, and settlement period after 2010. Even though the concept of Educational Ecology developed by the term ‘Ecology of Education’ itself, it was also found that the meaning of Educational Ecology was formed by going through a cyclic process of evolution and interacting with similar concepts such as ecology, ecology education, and ecologism. The concept of Educational Ecology changed according to the reflection on modern educational philosophy to overcome the ecological crisis, the recognition of the internal necessity of curriculum education, and the need for interdisciplinary consilience surrounding Educational Ecology. The common attributes of Educational Ecology were found to be relationship, totality, and meta-quality. The first environmental education aimed to find the wisdom for overcoming an environmental crisis in education. Conversely, it appears that Educational Ecology today views education with the wisdom of ecosystems. Nevertheless, the attributes of being relational, total and Meta have remained the same over time. In other words, the concept of Educational Ecology existed before the name was given. Such understanding of the transition of the Educational Ecology concept strengthens the posi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as a Meta-subject of each curriculum education and a cross-curriculum and may further serve as a cornerstone for the expansion and evolu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 KCI등재
      • 초등지리교육의 정체성 연구

        남상준 ( Nam Sang-joon )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9 초등교과교육연구 Vol.31 No.-

        교과교육의 정체성은 ‘누구를 가르치는가’라는 질문과 그 대답을 추구하는 과정에 바탕을 둔다. 초등지리교육의 정체성은 이와 관련하여 어린이지리학의 논의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어린이지리학은 우리 사회의 약자, 소수자들의 주체적인 공간적 행위에 중점을 둔 지리학 연구의 한 영역이며 관점이다. 어린이지리학은 어린이를 어른이 되기 위한 성장과정의 일부로 보지 않고 그 자체로 완성된 존재로 보고자 하는 어린이인간학에 기반을 둔다. 초등지리교육의 정체성으로서 어린이지리학은 어린이들의 지리적 삶의 비재현적 속성과 장소에 뿌리내린 삶이라는 두 가지 성격을 가진다. 어린이들의 장소에서의 비재현적 삶은 다감각적 삶, 놀이적 삶, 정서적 삶이라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어린이들의 장소적 삶은 지리적 자아의 형성에 기여한다. 초등지리교육은 어린이지리학적 관점에 충실한 목표, 내용, 방법, 평가의 체제하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증기양생 조건에 따른 터널 PC 패널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상준,장필성,신진용,관우,Ma, Sang-Joon,Jang, Pil-Sung,Shiin, Jin-Yong,Nam, Kwan-Woo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08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10 No.1

        Many problems exist in the current cast in place concrete lining used in domestic tunnel construction. Especially, the crack of tunnel lining brings about a social and economic problem. It has a lot of influence on stability of structure and the fine finish of lining. So enormous repair-work and reinforcement of tunnel lining could occur an running out of government's budget. In our country, there are domestic production enterprises which produce a special pre-cast concrete product, but the technical level of them is still far behind compared to developed countries. Also, optimum steam coring method is important for the production of high quality product. But there is no regulation of steam curing method in our country.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perties of PC panel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steam curing conditions such as presteaming time and rate of temperature rise. The result shows that the optimum presteaming time of steam curing method in PC panel is more than 1 hour and the desirable rate of temperature in curing chamber is about $20^{\circ}C/hr$. 국내에서 대부분 시공되어지고 있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라이닝은 여러 가지가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그 중에 특히 라이닝의 균열 발생은 사회적 및 경제적인 문제로까지 제기되고 있으며 라이닝의 미관뿐만 아니라 안정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막대한 보수보강 공사비의 지출을 유발해 국가 예산을 소모시키고 있다. 국내 콘크리트 2차 제품 생산업체의 생산기술은 아직 선진국 수준에 미치지 못하며, 고품질 제품 생산에 있어 가장 중요한 증기양생 방법 또한 규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터널용 PC 패널의 증기양생조건 중 전양생시간, 온도상승구배를 달리하여 물리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시험결과, 고강도 PC패널의 전양생시간은 최소 1시간 이상이 바람직하였으며 온도상승구배는 최대 $20^{\circ}C$가 물리 역학적으로 가장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