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의 허영심 유형에 따른 가격태도와 소매점 선택에 관한 연구

        남미우 ( Mi Woo Nam ) 대한가정학회 2010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48 No.2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1) to classify survey respondents according to vanity scales, and 2) to identify price attitude among the classified groups. The participants were 276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residents in Seoul.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one-way ANOVA. The vanity scales consisted of four factors; physical concern, physical view, achievement concern and achievement view. Based on these four factors, the respond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lusters(interested, vain, and self-confident) as an attached group nam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mensions of materialism, price attitude and store choice behavior among the clusters. Marketing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남 · 녀 화장품 소비자의 쇼핑성향과 판촉유형이 소매점 선택에 미치는 영향

        남미우(Nam, Mi Woo)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4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화장품 소비자의 쇼핑성향을 알아보고 남·녀에 따른 선호하는 소매점 유형과, 판매촉진 유형에 대해서 규명하고, 또한 소매점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판매촉진의 유형과 쇼핑성향의 영향을 규명하고자한다. 본 연구는 20- 50대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연구방법으로 연구 문제를 규명하였다. 첫째, 응답자의 쇼핑성향을 요인분석 한 결과 7개 요인(유행/유명브랜드 추구; 소셜쇼핑/SNS관심; 경제적 구매; 화장품 품질/효과 추구; 편의성추구; 충성구매; 비계획구매)으로 나타났다. 남녀의 평균차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유행/유명브랜드추구, 소셜쇼핑/SNS관심, 경제성추구, 편의성추구요인에서 남성 집단의 평균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여성들의 경우, 화장품의 품질/효과추구, 충성구매 요인에서 남성보다 평균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화장품 구매 시 선호하는 소매점 유형은, 남성들의 경우 인터넷 쇼핑몰과 대형 할인점, 여성들의 경우 브랜드 인터넷 쇼핑몰, CATV홈쇼핑, 백화점, 방문판매에서 남성보다 높은 평균 점수를 나타내었다. 셋째, 화장품 구매 시 선호하는 판촉 유형은 남녀의 구분이 없이 가격할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남녀에 따른 소매점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쇼핑 성향과 판촉 유형을 규명하기 위하여 다단계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소매점의 선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쇼핑성향과 판매촉진 유형의 영향력을 비교한 결과, 화장품 소매점의 선택은 소비자의 쇼핑 성향과 선호되는 판촉 유형에 따라 달라지고, 특히 남성과 여성에 따라 달라지므로 화장품소매점은 이와같은 결과를 고려한 촉진전략을 설정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ill investigate 1)consumers" shopping orientation, 2)preferred types of retail store, and sales promotion. 3) sales promotion types and shopping orientation that affect the retail choices made by consumers. In this research, men and women from age 20 to 50, were targeted for an survey. First, factor analysis of shopping orientation showed 7 factors( popular/famous brand seeking; social shopping/SNS interest; economic purchases; cosmetic quality/effectiveness; convenience; loyalty; and unplanned purchases) were derived.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men were higher in popular/famous brand seeking, social shopping/SNS interest, economic purchases, and convenience. Whereas according to the women, quality/effectiveness and loyalty factor were shown higher than male consumers. Secondly, comparing men and women’s preferred retail store when buying a cosmetic product, men scored more in internet shopping malls, discount stores. In case of women, they have scored more in brand internet shopping, CATV home shopping, department stores and door-to-door sales, showing a wider variety in selecting retail stores than men. Thirdly, sales promotion preferred by both men and women appeared to be the promotional discounts. Final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 of shopping orientation and sales promotion on retail store selection. By the analysis of regression coefficients, consumers’ choice on cosmetic retails can be variant depending on one’s shopping orientation and preferred types of promotions.

      • KCI등재

        패션 및 뷰티 제품의 모바일 쇼핑에 영향을 미치는 마켓메이븐 및 시간지향특성에 관한 연구

        남미우(Mi Woo Nam) 한국복식학회 2014 服飾 Vol.64 No.5

        Mobile shopping, through the use of the smart phone, has become a very popular shopping method for consumers due to it not being limited by time or place. This research aims do the following:1)find the causes for consumers shifting to mobile shopping with the focus on fashion and beauty items; and in order to so, this research will use the TAM that was found by David et al (1989), and 2) distinguish any behavioral differences between consumer groups divided into purchasing intention of fashion and beauty items through smart phone. Path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Personal characteristics(i.e. market maven, time orientation), perceived usability, ease of use, attitude towards mobile shopping, and purchase intentions were all treated as dependant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attitude towards mobile shopping w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on mobile shopping intentions. Time-oriented and Market Maven were thought to affect mobile shopping attitude and the dependent variables of purchase intention. Also, when purchasing smart phones, consumers highly valued smart phone`s popularity; people with higher purchasing intention mainly used entertainment and utility apps. The following are the main reasons for not purchasing through mobile shopping: they are slower than computers, inconveniences in viewing due to small size of the screen, and security issues. The consumers used the internet as their main source of acquiring daily information. In this research, factors that affect the purchase intention were studi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rmly insist that this research correctly predicts the actual purchase intention? further studies need to be don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bile purchase intention and actual purchase intention.

      • KCI등재

        바로크 시대의 프랑스 남성 헤어양식의 기호학적 해석

        남미우(Nam, Mi Woo)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6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6 No.-

        본 연구는 첫째, 프랑스 바로크시대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건축․회화 양식을 기호학적 분석 방법을 통하여 내재된 미의식을 조사하고 둘째, 프랑스 바로크시대 인물화에 표현된 남성의 헤어양식을 기호학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헤어양식이 동시대의 미의식을 반영하는 것을 규명하고 프랑스 남성의 헤어양식의 변화에 내재된 의미를 이해하고 향후 미의식에 적합한 남성 헤어양식의 조형적 디자인 발상에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미용과 관련된 선행 연구 등을 이용하여 사회 문화, 정치 경제적 배경과 회화 및 건축양식에 관하여 이론적 고찰을 하고, 바로크시대의 인물화를 중심으로 남성 헤어양식의 형태적 특징과 변화를 바르트의 의미작용모델을 근거로 하여 기호학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바로크 초기에는 르네상스의 영향으로 짧은 머리를 유지하다 점차로 머리가 길어지면서 자연스러운 컬과 함께 늘임머리(love lock)가 등장하였다. 둘째, 바로크 중기에는 점차 가발이 일반화되기 시작하면서 남성의 헤어에 장식의 부분으로 가발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셋째, 바로크 말기에는 가발은 비정상적으로 커져서 후기에는 역사상 가장 큰 가발을 사용하게 되었고 구불구불한 컬과 함께 앞머리는 균형감과 안정감을 나타내는 두 개의 높임 머리 장식을 가지게 되어 당시 유행하는 여성의 머리스타일을 쫓아가는 형태가 나타났다. 이는 정체성의 상실을 상징하며 거대하며 장식적인 가발은 자유로움, 이탈과 함께 불안정적인 바로크적인 역동감과 고전주의적인 웅장함으로 착용자의 지위와 신분을 과시하는 것으로 해석되며 당시 바로크 회화와 건축양식에서 나타나는 미의식이 반영되었음을 알 수있었다. 바로크의 자유로운 감성은 건축, 회화 그리고 남성들의 헤어양식에도 반영되어 고전주의와는 다른 자유롭고, 율동적이며, 장식적인 형태의 바로크 양식이 나타났다. 한편 프랑스는 프랑스의 독자적인 예술양식이 반영되어 바로크의 감성과 프랑스의 정통성이 반영된 우아함과 웅장함이 건축 뿐 만 아니라 남성들의 헤어 양식에도 반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장식적이고 화려하며 자유로운 형태의 헤어양식에 웅장함까지 더해진 프랑스 남성의 헤어양식은 바로크 후기 유럽 전역에 영향을 미쳤고 바로크의 독특한 양식으로 남게 되었다. 따라서 헤어양식은 당대의 종교와 정치, 경제 사회적 요인 뿐 만아니라 예술양식 등의 영향을 받아 함께 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어 헤어양식은 문화의 척도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esthetics value of male hair style expressed in figure paintings of French Baroque era. This research uses semiotic analysis as its main t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First of all, in the early days of the Baroque, the Renaissance influences men to keep their hair short. However, as their hair gradually lengthen, the love-lock with natural curls starts to appear amongst men. Secondly, in the middle of the Baroque, wigs become much more commonly used; wigs become a big part of decoration in male hairstyles during this period. Thirdly, at the end of the Baroque, wigs become very large in its size, reaching their biggest size in the history during this era. With their twisty curls, the bangs get divided into two parts, with the two high-headed parts displaying balance and stability. The oversized and decorative wigs during this era not only represent the concept of classical styles, but also are used as a means to show off the status and identity of the wearer. The largest wig in Baroque era displays a style that expresses unstable dynamism, grandeur, freedom and departure. Baroque’s aesthetic values are well reflected in architecture, painting and the hairstyle of men; different from the values of classicism, the Baroque style expresses freedom and rhythm. However, unlike other Baroque styles, France has its own distinctive artistic style – it holds the beauty of Baroque’s aesthetic values, however, along with them, has its own French artistic style imbued into it. The sincereness of the French is well reflected in the hairstyles of men and architecture. The French males’ hairstyles, being more grandeur and decorative but also gorgeous and free-formed, remain very distinctive throughout the late Baroque era – art and architecture are also deemed as a unique form of French Baroque during this era.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hairstyles can be a useful measure of culture as they reflect changes in religious,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artistic values of their respective time period. Such conclusion leads to the idea that hairstyles can be used as key data in understanding the changes within socio-cultural environment.

      • KCI등재

        감각추구성향이 천연 염색 의류제품의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남미우 ( Nam Mi-woo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8 한국디자인포럼 Vol.20 No.-

        본 연구는 서울지역의 성인 283명을 대상으로 감각추구성향에 따른 천연 염색제품의 소비행동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첫째, 감각추구성향에 따라 응답자는 다감각추구집단, 무관심집단, 변화추구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의류제품에 대하여 추구하는 혜택은 다감각추구집단과 변화추구집단이 무관심 집단보다 의류를 구매 시에 심미성이나 유행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천연 염색제품의 구매경험은 다감각추구집단에서 가장 높았고 천연 염색제품을 구매한 이유는 색상 때문이었고 구매하고자하는 제품의 유형은 생활 한복이었다. 천연염색제품의 구매는 주로 가족이나 친지의 선물용으로 구매하려는 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구매상황은 명절 때 구매의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가장 선호하는 문양의 유형은 기하·문자문양이었고 선호하는 색상은 청색이었다. 따라서 감각추구성향은 소비자의 천연 염색제품의 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구매행동 동기로서 좀 더 다양한 변인을 포함하여 연구하거나 응답자를 성별과 연령 또는 지역으로 나누어 연구함으로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다양한 디자인의 상품개발에 주력해야할 것이다. 또한 천연 염색제품을 친환경적인 고부가가치 상품으로 실용화하기위해서는 환경오염을 낮추는 다양한 천연 염료의 개발이 필요하고 대량생산 시스템과 염색방법의 표준화를 통하여 천연 염색제품의 시장 확대를 이루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classify adult consumers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sensational seeking tendency 2)to identify the differences of the purchasing behavior of natural dyed products among the classified groups. 283 adults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χ2-test, one-way ANOVA. Three dimensions of sensational seeking tendency were identified by factor analysis. Based on these dimensions, adult consume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lusters; high sensation seekers and change seekers showed the highest scores in fashion and aesthetic of clothing benefits. High sensation seekers appeared to have the highest scores in buying experience of natural dyed products among the groups. color is the reason of buying the natural dyed products. Saenghwal hanbok is the most frequently bought items usually as holiday gifts for family and friends. Indigo blue and geometric pattern were most preferr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consumers with different sensational seeking tendency have different buying patterns on natural dyed products. Marketing implications were being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남성들의 여가활동유형에 따른 화장품 추구혜택과 소비행동

        남미우(Nam, Mi woo)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7 No.-

        최근 남성들도 여성 못지않게 멋진 외모를 가꾸기위해 다양한 화장품을 소비하고 있음에도 남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매우 미흡하다. 본 연구는 남성들의 여가활동을 알아보고, 남성들의 화장품 관련 구매 행동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첫째 여가활동에 따라 세분화되어진 집단에서 화장품 관심과 허영 변인의 차이를 알아보고 둘째, 세분화된 집단에서 기초 화장품 추구혜택에 차이가 있는 지를 규명하고, 셋째, 세분화된 집단에서 화장품 구매 시 불평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 거주 20대에서 50대 성인 남성을 편의 추출하여 2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회수된 것 중 불완전한 응답지를 제외한 157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여가활동은 온라인 활동, 신체적활동, 종교 활동, 사교 활동, 문화 활동, 일상 활동, 비활동의 7개 요인이 도출되었고, 비활동 요인이 가장 높은 평균 점수를 나타냈다. 둘째, 여가활동 요인점수를 이용하여 군집분석(k-means cluster)을 실시하였고, 적극적 여가활동 집단, 종교 활동 집단, 사교 활동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적극적 여가활동 집단에서 20대의 분포가 높았고, 종교 활동 및 사교 활동 집단은 기혼의 분포가 높았으며, 학력은 사교 활동 집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활동에 따른 세 집단에서 허영심 변인의 차이는, 성공 자신감 요인은 적극적 여가활동 집단과 종교 활동 집단에서 높게, 외모 /성공 관심 요인에서는 종교 활동 집단에서 가장 높게, 사교활동 집단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화장품에 대한 관심은 종교 활동집단에서 가장 높았고 사교활동 집단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넷째, 기초화장품 추구혜택은 기능성, 제품의 향, 피부 적합성, 천연성분의 4개 요인이었고, 피부 적합성의 평균이 가장 높았다. 기초 화장품 추구혜택에 관하여 세 집단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제품의 향 요인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종교 활동을 많이 하는 집단은 천연성분이 중요한 추구혜택으로 나타났고 적극적 여가활동 집단에서는 기초 기능성과 피부 적합성이 매우 중요한 추구혜택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불평행동은 제3자 불평행동, 사적 불평행동, 직접 불평이었고, 사적 불평의 평균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세 집단에서 불평행동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직접불평행동에서만 차이가 나타나, 종교 활동 집단이 가장 높고, 사교활동 집단이 가장 낮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남성들의 여가활동은 화장품 추구혜택 및 불평행동 그리고 화장품 관심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남성을 대상으로 한 마케팅 전략 설정시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study about consuming of a variety of cosmetic products for men is very insufficient even though they strive for their appearance stunning as women di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buying behavior of cosmetic product among groups according to leisure activities. To achieve the goal, we extracted samples from the target of capital area mens who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ies and used 178 data as research tools. The data was processed using SPSS V.18 with factor analysis, one-way ANOVA, cluster analysis being executed. Firs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cosmetic concern and vanity among groups subdivided according to the leisure activities. Secon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among groups in the benefit sought of cosmetic products. Thir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the complaint behavior when buying cosmetic products among groups. 157 samples were used in the study except an incomplete questionnai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7 factors were derived from factor analysis; on-line activities, physical activities, religious activities, social activities, cultural activities, daily activities, inactivities. Factor of inactivities showed the highest mean score. Second, a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k-means cluster) using factor scores and responden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ctive leisure activity group, religious activity group, social activity group. 20 ages were higher in the group of active leisure activity, married men in religious activity group and social activity group. Social activity group was the highest academic career among them. Fourth, four factors(incense products, skin fitness, functional, natural ingredients) were derived from benefits sought for skin cosmetic products, and the highest average score was derived from fitness of the skin. Except the incense factor, all the factor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among groups. Functional and skin fitness factor were important benefit sought to active leisure group, natural ingredients to religious group. Fifth, the private complaint behavior was the highest average mean score among the complaining behavior(private complain, direct complaint, third party complaint behavior). Compare the difference in the three groups" complaint behavior, the difference in direct complaint behavior was showed, the highest in religious activity group, the lower in social activity group.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leisure activities of men affects influence on the benefits sought of cosmetic products for skin, complaint behavior. And marketing strategy can be used this results when setting strategy for men"s cosmetic products.

      • KCI등재

        타투 소유자의 타투 상징성과 가치관에 관한 연구

        남미우(Nam, Mi Woo)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8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3 No.-

        사회의 부정적 인식과 시술에서의 신체적 심리적 공포를 수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남성 뿐만 아니라 여성들에게도 타투 시술이 증가하고 있다. 유행처럼 번져가고 있는 타투의 상징성과 타투소유자의 가치관을 파악하는 것은 개인의 신체장식 욕구를 이해하고, 신체장식을 위한 제품개발에 필요하다. 본 연구는 20대 남녀 타투 시술자를 대상으로 (1) 타투에 대한 정보원과 타투 시술의 동기, (2)타투에 대하여 가지는 상징성과 만족감, (3) 타투 소유자들의 가치관을 규명하고자 하는데 있다. 타투 동호인회의 타투시술자 20대 남성 및 여성을 대상으로 목표표집(purposeful sampling)하여 자유응답설문과 면접법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면접내용에서 의미 있는 문장들로부터 개념들을 도출하였고 도출된 개념들을 분류 비교하여 범주를 형성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타투에 대한 정보원은 주로 인적 정보원, 인터넷, TV, SNS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투를 하게 된 동기는 ①남들의 타투가 보기 좋아서 ②호기심으로/경험해보고 싶어서 ③의미있는 것을 지니고 싶어서 ④유행인거 같아서/튀어보이고 싶어서라고 응답하였다. 타투의 상징성은 7가지로 나타났다. ① 정체성의 표현, ② 가치관표현 ③ 전문적 직업이미지 표현, ④ 종교적 상징성의 표현, ⑤ 삶의 전환점, 기억하고 싶은 사건 ⑥ 패션, ⑦ 자기만족으로 나타났다. 타투에 대한 만족/불만족 요인에서 불만족요인은 ①디자인의 불만족 ②주변의 부정적 인식 ③직업선택의 제한 ④ 나이들었을때 외모의 변화요인이었고, 타투 만족요인은 타투가 보이지 않을 때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타투 시술자들의 가치관은 가족이나 대인관계에 집중하기보다는 자신이 원하는 삶과 행복을 추구하겠다는 개인주의적인 가치관이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타투는 (1) 하위문화집단의 상징에서 개인의 개성을 표현 하는 도구로 사용이 되고 있고, (2) 타투의 부정적인 이미지가 긍정적인 이미지로 의미 변화가 일어나고 있었다. 그러나 나이가 많은 연령층에서는 여전히 타투에 대한 이미지가 부정적이어서 타투인식에 세대 간의 갈등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3) 타투시술자의 가치관은 자신의 삶을 위해 살겠다는 집단주의 가치에서 개인주의적 가치로의 변화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로부터 타투라는 하나의 사회문화 현상을 통해 소비자의 욕구를 이해하고 이를 개인의 신체 장식을 위한 다양한 제품 개발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20대로 연령의 제한이 있어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통해 비교 연구 하는 것이 필요하다. Despite the negative perception of society and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fear in the practice, tattoos are increasing in recent years in women as well as in men. Understanding the symbolism of the tattoo that is spreading like a fashion and the value of the tattoo owner i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a product for the body decoration and to understand the desire for the body decoration of the individu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1)method for information search and motivation for tattoo, (2)the symbolism of the tattoo and satisfaction/disatisfaction on tattoo (3) the value of the people who has engraved tattoo in their body. The purposeful sampling of 16 male and female in tattoo clubs and cosmetology students who has experienced tattooed are engaged. Datum were collected through free response questionnaire and depth interview method. Research concepts were derived from meaningful sentences in the interview, and categories for analysis were came out by comparing and classifying the concep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formation about tattoos mainly uses personal information source, internet, TV, SNS. The motivation for tattooing is as follows: ①the tattoo of others looks good. ②because of curiosity / experience. ③because they want to have something meaningful. ④it seems to be fashionable. Second, The symbolism of tattoo appeared in 7 kinds. ① expression of identity ② expression of value ③ expression of professional job image ④ expression of religious symbolism ⑤ to remember turning point of life ⑥ event to remember ⑥ fashion, ⑦ for self-satisfaction appeared. Dissatisfaction factors for tattoos are ① dissatisfaction about tattoo design ② uncomfotable sight around ③ difficult to find a job employment ④ change in appearance when they were old. They were satisfied when tattoos were not visible. Finally, the value of the tattooed is not an collectivism or family relationship, but rather an individualistic value to pursue their own life and happiness Through this study, tattoo is used as a tool to express individual personality in the symbol of subculture group, and (2) the negative image of tattoo is positive image. However, the image of tattoos is still negative in older age groups, so there is a conflict between generations in tattoo recognition. (3) The values of the tattooed showed the change from collective value to individualistic value to live for his own life.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an find out the need of consumers through a socio-cultural phenomenon called tattoo and apply it to the development of personal decorative products. This study is limited to 20 age groups, so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a comparative study on various age group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