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UCCN)의 의제분석과 도시의 문화정책방향

        남기범(Nahm, Keebom)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21 문화콘텐츠연구 Vol.- No.21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UCCN)는 2004년 결성되어 현재 70개국 이상의 246개 도시가 가입되어있으며, 우리나라는 서울, 부산, 대구, 광주, 이천, 전주, 통영, 부천, 원주, 진주 등 10개 도시가 회원도시로 활동하고 있다. 이 논문은 UCCN의 지향점에 대한 논의와 최근 연례회의에서 제시된 어젠다 분석을 통해서 창의도시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고, 우리나라 도시의 문화정책이 가지는 문제점과 변회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UCCN은 창립 초기의 지향점인 문화산업 진흥, 투자와 고용의 기회창출, 문화관광의 확충 등의 산업적인 측면을 강조에서 벗어나, 지속적인 회의와 어젠다수립을 통해 시민의 문화예술역량 강화와 문화경제의 활성화를 통한 지속가능한 발전, 사회적 약자와 소외된 공간의 참여증대 등의 포용적 의제를 강조한다. 이 논문에서는 SDG 11을 중심으로 도시의 지속가능성 의미와 함께 소위 창조도시 담론이 도시 문화정책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비판하고, 약한 사회적 연계를 지향하는 문화정책,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을 통한 포용도시정책, 인간개발, 배태성, 시민성, 자유와 자율에 기반한 창의도시의 정책과 프로그램의 기획과 구성을 제안한다. 주민의 역량강화가 교육이 아닌 학습으로, 개인에서 공동체로, 주민이 대상에서 주체로 변화하여야 하며, 로마헌장과 시대정신을 반영하여 문화자산과 지역문화를 공유재로 인식하여야 한다. UNESCO Creative Cities Network(UCCN) was established in 2004 and now 246 cities in 70 countries worldwide joined the network. Several Korean cities, such as Seoul, Busan, Daegu, Gwangju, Icheon, Jeonju, Tongyoung, Bucheon, Wonju, Jinju are members of the network. This paper aims to suggest urban cultural policy directions through analyzing the missions of the UCCN and new agenda raised at the UCCN annual meetings, steering groups, and coordination committee. At the outset the main aims of the UCCN were the promotion of cultural industries, local employment growth, and tourism development, which were mainly focused on aggregated industrial growth. Gradually, UNESCO has changed its goals and missions and proposed new agenda as follows: sustainable human and urban society according to SDG 11, arts for socio-spatial disadvantaged, and human empowerment. The paper discussed the importance of weak tie in urban cultural policies, inclusive strategies based on collaborative governance, building creative cities not by neo-liberal competitive policies but by civility, inclusivity, and enbeddedness. All in all, it suggested collective learning (not education), community development (not indivisual competition), residents as subject (not policy object), and finally the importance of recognition of cultural resources and contemporary cultural interactions as local commons.

      • KCI등재

        창조경제정책논의와 지역발전

        남기범 ( Kee Bom Nahm ),송정은 ( Jung Eun Song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4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7 No.4

        이 글에서는 박근혜정부의 창조경제정책의 문제점과 지역발전에의 함의점을 고찰했다. 정부의 과학기술 기반의창조산업정책은, 창조경제에서 ICT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는 창업을 촉진하고 ICT 기반의 연구개발을 중심으로 협력적선순환 지식·기업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하지만 IT산업이 취약한 지역의 생태계에서의 배제는 더욱 가속화될 가능성이 크며, 나아가 지역격차의 확대에 기여할 가능성이 크다. 둘째, 창조경제와 이를 기반으로 하는 창도도시 논의는저성장시대로 접어들면서 창조산업의 선도적 역할이 축소되었으며, 나아가, 도시규모에 따라 차별적으로 작동해, 경제성장에 따른 급속한 공간적, 사회적 불균형을 가지고 있는 아시아지역의 도시공간체계 개선의 대안이 되기는 어렵다. 셋째, 기존의 테크노파크(TP), 기술혁신센터(TIC), 지역연구센터(RRC) 등의 모형을 답습한 창조경제혁신센터 모형은 기술 고착화의 위험성과 지역의 발전이 지체되고 현재의 상태에 안주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으며, ‘연관 다양성’의부족으로 인한 근본 문제도 있다. 창조경제의 원래의 의미를 회복하고, 창조경제의 구축이 아니라 창조경제 ‘생태계’를 구축하며, 지역의 발전을 위해 대기업에 의존하는 벤처창업중심이 아니라, 대학-기업-기방정부가 협력하여 학연·산·관이 공식, 비공식적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대학과 연구기관의 연구성과와 인력자원, 교육·훈련기능이 기업으로상시적으로 교호하고 지식이 수직, 수평적으로 교환되는 제도가 지역에 정착됨으로서, 혁신네트워크가 누적인과적으로 진화할 수 있는 학습지역으로 발전하는 정책이 요구된다. This paper criticized the recent Korean ‘creative economy policies’ focused on regional developmentalimplications. Even though the policies targeted to promote ICT new startups and build virtuouscircle of ICT industrial ecosystem in Korea as a whole, the outside regions of the Seoul-Busan industrialaxis where the bases of ICT industries are very weak would suffer from systematic exclusion in ICT investmentsand deepening regional disparities. Second, ICT-centered policies would selectively affect oroperate commensurate with the size of regions in this low-growth, after-financial crisis age. Third, thepossibilities of regional insularity and lock-in in these low levels of ‘related variety’ regions would worsenthe industrial competitiveness. Lastly, the policies should be reoriented to fortify region-based creativeeconomic ecosystem based upon triple helix learning region.

      • KCI등재후보

        일반논문 : 창조도시 논의의 비판적 성찰과 과제

        남기범 ( Kee Bom Nahm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4 도시인문학연구 Vol.6 No.1

        최근 도시발전과 지역경제 활성화의 대안으로 문화와 예술, 문화산업 등을 활용한 창조도시정책이 강조되고 있다. 관용을 기반으로 기술과 창조적 인재를 유입해 다양성과 역동성을 창출한다는 논리는 많은 도시와 지역에서 각광받았고 지금도 많은 곳에서 창조도시를 기반으로 하는 정책을 수립중이다. 하지만 창조도시의 논의는 20세기 후반 제인 제이콥스(Jacobs)의 이래 계속되어온 인문적 전통복원을 통한 창조도시의 추진방향과도 다르며, 실제로 후기 산업사회의 도시경제, 사회, 공간의 특성과는 괴리가 있게 진행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창조도시의 논의의 인문학적 배경과 플로리다 중심의 창조도시논의 문제점을 도시정책의 차원, 도시경제성장의 이론적 차원, 창조성의 창출논의의 차원으로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창조도시정책 방향전환의 과제를 제시한다. Urban policies for urban development and regional economic growth has recently focused on the creative city thesis based on culture, art, and cultural industries. The rationale for creating diversity and dynamics through upgrading technology and attracting talent stemming from tolerance, has been adopted by numerous urban regional planners in the world. These policies and strategies are, however, have widely been digressed from the very creative city thesis based on humanistic renaissance of urban areas since Jane Jacobs. Furthermore, on-going creative city-making policies seem to not to be able to reflect the changing characteristics of urban economy, society, and space of Post-Fordist cities. This paper reappraise the creative city thesis and analyze the ‘Florida style’ creative city policies in terms of humanistic backgrounds, theories of urban economic growth, and emergence of creativity. Lastly, it suggests the new directions for Korean creative city policies.

      • KCI등재

        `선택과 집중`의 종언: 포스트클러스터 지역산업정책의 논거와 방향

        남기범 ( Kee-bom Nahm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6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9 No.4

        지난 20여 년간 지역경제성장과 산업발전을 위해서 다양한 분야에서 클러스터정책이 진행되었다. 클러스터정책은 지역의 산업진흥과 혁신역량강화에 어느 정도 기여했지만, 모든 지역에 동일한 처방의 적용, 선택과 집중이라는 특화산업 중심의 지역산업정책으로 인한 산업고착화와 지역회복력 쇠퇴, 업종중심의 산업정책의 문제 등을 노정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산업의 융합화와 이에 따른 산업공간의 변화를 고찰하고, 산업지역의 혁신과 거버넌스의 변화의 추세를 분석한다. 기존의 지역특화 산업정책의 문제를 비판하고 지역산업의 발전을 위한 포스트 클러스터정책을, 장소기반의 스마트전문화 전략과 지역의 융복합 산업정책 중심으로 전환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During the last two decades, industrial cluster policies for promoting regional economic growth and industrial development have been flourishing all over the world. Even though cluster policies have partly contributed to regional industrial growth and innovation capabilities, they have long been blamed for regional industrial lock-ins and declining regional industrial resilience because of applying homeogenous cluster policies and regional specialized strategic industrial promotion policies for various localities, which are based on so-called `selection and concentration` principle. This paper suggests post-cluster policy focused on placed-based smart specialization and regional business platform strategies.

      • KCI등재

        청계천로변 전문상가의 신 산업집적체형성과 사회적 자본의 특성

        남기범(Kee Bom Nahm) 한국경제지리학회 2001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4 No.2

        This paper introduces a new type of industrial cluste developed at the CBD of Seoul. Conventionally, clusters are said to be consisted of hi-tech, often IT activities, manufacturing industries or artisan craft industries with increasing vertical integration and performance usually supported by venture capitals and favorable business infrastructure, not to mention governments`, be it central or local, incentive plans. The study area, Cheonggyechon region has long been a traditional CBD frame of Seoul, Korea, being troubled by deterioration, traffic jams, and environmental degradation as most inner cities experience. Recently, this region has transformed to the most dynamic and productive area not by IT industries but by apparel and fashion activities. The study of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and key characteristics for this kind of industrial cluster can give us insight both for the transition of inner city and for the cluster theory. This paper firstly briefly profiles the growth of the Cheonggyechon region over the past decade. It then shows the current spatial and business structure of the new industrial cluster, focusing on the fact that transactions costs are reduced, the creation and flow of information improves, and the local institutions are prone to be most responsive to the new cluster`s specialized needs. The third section presents the key components of the customized production-distribution-shopping cluster development process, emphasizing the localized networking, social capital, spontaneous institutionalization of associational economic climate, and cultural economy based on place-specific inertia. The paper concludes with some comments about the prospects and perils of the new industrial cluster of Seoul.

      • KCI등재
      • KCI우수등재

        보통도시로서 포용도시 논의와 서울의 과제

        남기범(Keebom Nahm) 대한지리학회 2018 대한지리학회지 Vol.53 No.4

        최근 신자유주의 도시정책으로 인한 불균형 심화와 총량적 효용극대화에 대한 비판이 많아지면서 포용도시의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으나, 주로 저개발국의 문제해결을 위한 국제기구들이 생산한 지표와 틀에 기반하고 있으며, 이미 불균등해진 공간, 경제, 사회, 문화적 격차와 상실감의 근본적인 해결보다는 격차지표의 구축을 통한 도시계획적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는 논의들이 주종을 이룬다. 본 연구에서는 저개발국가를 위해 제시된 포용도시 지표나 정책방향이 대도시지역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비판하고, 대도시 서울의 포용성에 대한 논의는, 도시의 본질에 대한 논의에서 시작하여 도시의 전반적인 기제에서 포용성을 구축하기 위한 노력과 도시거버넌스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포용도시는 사후적 특성을 가진 지표의 충족으로 달성되기 보다는 형성적 특성을 가진 요인(요소)의 구축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기존 포용도시의 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대도시에 적합한 포용성의 개념을 제시하며, 현대 도시의 본질과 특성에 대한 논의를 통해 도시포용성을 위한 보통도시의 개념을 제시한다. 보통도시로서 포용도시 서울이 되기 위해서는 시민의 역량강화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과 제도화, 도시경제 순환시스템의 회복, 연대, 상호존중과 협력의 수평적 관계형성, 경제·사회적 한계계층 지원, 도시 공통재와 어메니티에 대한 접근성 향상의 노력이 필요하다. 나아가 문화와 지향이 다른 사람도 포용할 수 있는 정치적 상상력을 가진 이방인의 도시, 환영도시가 되어야 한다. Inclusive city has been a buzz word, stemming from the critics for the neoliberal urban policies and resultant socio-spatial inequality. Most of the literature, however, are mainly focused on the less-developed countries and cities utilizing index-based ex-post urban planning prescriptions prepared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 such as UN HABITAT, OECD, EU, and ADB. Premising that this approach is inadequate for the global metropolitan city of Seoul, this paper started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city, urban commons and structural changes for urban governance. By criticizing Seoul’s inclusive city policies and strategies, the paper introduced Ash Amin’s ordinary city and strangers’ city concepts, and suggested new policy directions for a ordinary city Seoul as inclusive city. It proposed new policies such as building people-centered urban governance and sound urban economic circular system, horizontal relating for empathy, mutual respectiveness, and collaboration, subsiding for the socio-economically marginalized class, and lastly but not least importantly, improving accessibility for amenities and resources for better utilizing urban commons. All in all, in order to become a genuine inclusive city for a global metropolitan city like Seoul is to regain the mechanism of ordinary city and welcoming city by guaranteeing participation of people of various political, social, cultural backgrounds and perspectives in formulating a new urban governance.

      • KCI등재

        朝鮮後期 茶母의 類型과 役割

        남기범(Kee-Bom Nahm),정은희(Eunhee Jung) 한국차학회 2012 한국차학회지 Vol.18 No.1

        Tea-maids (chamo) were professional technicians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Their main roles included brewing and serving tea, but they gradually worked as banquet service women, medical technicians, and detective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ocial roles of tea-maids both in private and public places, as tea sommelier, surgeons treating women patients, keepers of traditional musics and dances, and as front line legislative executors, utilizing documents, poems, and pictures. First, the social roles of tea-maids were maintained under the Confucian social order in the late Chosun society. Second, their jobs were open only to women of low status, which reflected the fetters of old conventions for women in a feudal system. Third, tea-maids were professional women who exceeded stereotypes. The functions and roles of Chamo illustrate the practical and useful contributions of contemporary tea culture and tea lover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